KR100600590B1 -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590B1
KR100600590B1 KR1020000032181A KR20000032181A KR100600590B1 KR 100600590 B1 KR100600590 B1 KR 100600590B1 KR 1020000032181 A KR1020000032181 A KR 1020000032181A KR 20000032181 A KR20000032181 A KR 20000032181A KR 100600590 B1 KR100600590 B1 KR 100600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elevating
lifting
suppor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640A (ko
Inventor
김도연
김종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590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구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아주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의 편심을 방지하여 원활한 승강과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토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셔터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토출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셔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승강수단은 두 지지판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부재와,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도록 랙과 피니언, 그리고 구동모터로 된 구동수단과, 승강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지지판의 안내홈 내면에 형성되는 수직레일 및 복수의 수평레일을 포함하는 레일과, 승강부재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셔터의 양단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승강부재와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레일에 끼워지는 복수의 지지핀과, 승강부재가 승강할 때 지지핀이 수평레일을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승강부재의 지지핀이 관통하는 부분에 형성된 경사홈과 슬라이더의 지지핀이 관통하는 부분에 수평레일과 평행하게 형성된 수평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IR DISCHARGE POR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를 확대한 상세도이다.
도 5, 도 6,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토출구 개폐장치의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3: 토출구,
20: 토출구 개폐장치, 21: 셔터,
22a,22b: 지지판, 23: 안내홈,
24a,24b: 지지핀, 25a: 수직레일,
25b,25c: 수평레일, 26a,26b: 승강부재,
27a,27b: 덮개, 29: 랙기어부,
30a,30b: 피니언기어, 31: 회전축,
32: 구동모터, 33a,33b: 경사홈,
35a,35b: 슬라이더, 36a,36b: 수평홈,
37: 스프링지지홈, 38: 복원스프링,
39: 지지턱.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의 편심을 방지하여 개폐동작이 원활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본체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본체 내부에서 조화시켜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 내부에는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에서 열교환 된 공기를 토출구 쪽으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된다. 또한 최근에 출시되는 공기조화기에는 실내기의 토출구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기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 개폐장치가 마련된 것도 있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에 마련된 토출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토출구 개폐장치는 본체의 전면커버(1)에 형성된 토출구(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토출구(2)에 상응하는 크기의 셔터(3)와, 토출구(2)의 양측에서 셔터(3) 를 지지하는 동시에 셔터(3)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지지판(4a,4b), 그리고 셔터(3)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토출구(2) 양측의 두 지지판(4a,4b)에는 셔터(3)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레일(6a)과 하부레일(6b)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셔터(3)의 양단에는 상부레일(6a)과 하부레일(6b)에 끼워져 걸리며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상부지지핀(7a)과 하부지지핀(7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셔터(3)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은 랙기어부(5a)가 형성된 소정길이의 승강부재(5)와, 승강부재(5)의 랙기어부(5a)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8), 그리고 피니언기어(8)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9)로 구성된다. 이때 승강부재(5)는 셔터(3) 이면의 대체로 중앙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이 셔터(3)의 이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피니언기어(8)가 결합된 구동모터(9)는 전면커버(1)의 이면에 고정된다. 이때 피니언기어(8)는 승강부재(5)의 랙기어부(5a)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토출구 개폐장치는 구동모터(9)에 의해 피니언기어(8)가 회전될 때 승강부재(5)의 승강이 이루어지고, 승강부재(5)와 결합된 셔터(3)가 지지판(4a,4b)의 레일(6a,6b)을 따라 승강하면서 전면커버(1)의 토출구(2)를 개폐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토출구 개폐장치는 셔터(3)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5)가 셔터(3)의 중앙에 하나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흔들림 등으로 셔터(3)가 편심될 때 셔터(3)의 승강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해 레일(6a,6b)과 지지핀(7a,7b)이 마모되어 토출구(2)의 개폐가 완전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구를 개폐하는 셔터를 양측에서 동시에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하여 셔터의 승강동작 및 토출구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는, 본체에 형성된 토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셔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두 지지판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부재와, 상기 두 승강부재를 함께 승강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셔터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레일과 이 수직레일로부터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레일을 포함하는 레일과, 상기 승강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셔터의 양단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상기 레일에 끼워지는 복수의 지지핀과, 상기 승강부재가 승강할 때 상기 지지핀이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의 상기 지지핀이 관통하는 부분에 형성된 경사홈과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지지핀이 관통하는 부분에 상기 수평레일과 평행하게 형성된 수평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승강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수용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상기 안내홈의 내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평소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진행하려는 복원력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핀을 평소 상기 경사홈 상부에 위치시키도록 복원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원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더에 함몰되어 형성된 스프링지지홈에 수용되며,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에서 상기 스프링지지홈 내로 돌출하는 지지턱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원스프링의 탄성이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상승하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력보다 작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삭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기조화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형의 케이싱(11)과, 이 케이싱(11)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12)로 이루어진 본체(10) 를 구비하며, 본체(10)의 내부에는 열교환을 위한 통상의 열교환기(15)와 유체의 송풍을 위한 송풍팬(16)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10)의 전면커버(12)에는 하측에 실내공기를 본체(10)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14)가 형성되고, 상측에 조화된 공기를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13)가 형성된다.
그리고 토출구(13) 내측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다수의 풍향조절날개(17)가 설치되며, 이 풍향조절날개(17)의 전방에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20)가 설치된다. 이때 토출구 개폐장치(20)의 셔터(21)는 토출구(13) 양측에 마련된 레일(25)을 따라 승강하면서 토출구(13)를 개폐하는데, 본 발명은 셔터(21)의 승강동작과 개폐동작이 원활하도록 셔터(21)를 토출구(13)의 양측에서 승강시키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3)가 형성된 전면커버(12)의 내면 양측에는 셔터(21)를 지지하는 동시에 승강을 안내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22a,22b)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각 지지판(22a,22b)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함몰되어 형성된 안내홈(23)이 마련되고, 안내홈(23)의 내측에는 셔터(21)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핀(24a,24b)이 안내되도록 역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형상의 레일(25)이 마련된다.
또 각 지지판(22a,22b)에는 셔터(21)를 승강시키기 위해 안내홈(23)을 따라 승강하는 소정길이의 승강부재(26a,26b)가 설치되고, 안내홈(23)에 수용된 승강부재(26a,26b)를 지지하도록 지지판(22a,22b)의 내측에는 판상의 덮개(27a,27b)가 결합된다. 이때 덮개(27a,27b)에는 지지핀(24a,24b)이 관통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지 지판(22a,22b)에 형성된 레일(25)과 상응하는 홈(28)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의 두 승강부재(26a,26b)를 승강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승강부재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랙기어부(29)와, 이 랙기어부(29)와 치합을 이루도록 양측의 각 지지판(22a,22b)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기어(30a,30b)를 구비한다. 그리고 피니언기어(30a,30b)는 지지판(22a,22b)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모터(32)의 기어(32a)와 치합된다. 즉 구동모터(32)가 회전될 때 피니언기어(30a,30b)가 회전을 하고, 피니언기어(30a,30b)가 회전을 할 때 승강부재(26a,26b)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 양측의 두 피니언기어(30a,30b)는 함께 회전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31)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은 일측 피니언기어(30a)와 결합된 하나의 구동모터(32)가 회전을 할 때 양측의 두 피니언기어(30a,30b)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양측의 두 승강부재(26a,26b)가 동시에 승강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두 피니언기어(30a,30b)를 연결하는 회전축(31)은 비틀림이 최소화 되도록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인 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한편, 셔터(2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핀(24a,24b)은 상부지지핀(24a)과 하부지지핀(24b)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이들 지지핀(24a,24b)은 덮개(27a,27b)와 승강부재(26a,26b)를 관통하여 지지판(22a,22b)의 레일(25)에 결합된다. 이 지지핀(24a,24b)은 승강부재(26a,26b)가 승강할 때 지지판의 레일(25)을 따라 이동되며, 승강부재(26a,26b)는 지지핀(24a,24b)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판(22a,22b)에 형성된 레일(2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2a)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레일(25a)과, 수직레일(25a)의 상단과 중도에서 수직레일(25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구간 연장되는 수평레일(25b,25c)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직레일(25a)은 지지핀(24a,24b)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수평레일(25b,25c)은 지지핀(24a,24b)이 수직레일(25a)의 상부에 이르렀을 때 상부지지핀(24a)과 하부지지핀(24b)이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셔터(21)가 토출구(13)의 전방 쪽으로 소정구간 돌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지판(22a,22b)의 안내홈(23)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26a,26b)에는 상부지지핀(24a)과 하부지지핀(24b)이 관통하는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홈(33a,33b)이 마련된다. 이들 경사홈(33a,33b)은 승강부재(26a,26b)의 상승으로 두 지지핀(24a,24b)이 수평레일(25b,25c)에 도달했을 때, 두 지지핀(24a24)이 수평레일(25b,25c)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경사홈(33a,33b)은 승강부재(26a,26b)의 상승으로 수직레일(25a)을 따라 수평레일(25b,25c)에 도달한 두 지지핀(24a,24b)이 경사홈(33a,33b)의 빗면에 밀려서 수평레일(25b,25c)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는 승강부재(26a,26b)가 승강할 때 셔터(21)를 지지하는 두 지지핀(24a,24b)이 수직레일(25a)과 수평레일(25b,25c)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여 셔터(21)의 개폐동작이 더욱 용이해 질 수 있도록 두 승강부재(26a,26b)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35a,35b)를 포함한다.
이 슬라이더(35a,35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6a)의 일면에 형성된 수용홈(34) 내에 설치되어 승강부재(26a,26b)의 길이방향으로 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 슬라이더(35a,35b)의 상부와 하부에는 두 지지핀(24a,24b)이 관통하는 두 수평홈(36a,36b)이 형성된다. 이들 수평홈(36a,36b)은 지지핀(24a,24b)이 수평레일(25b,25c)을 따라 이동할 때 지지핀(24a,24b)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판(22a,22b) 내면의 수평레일(25b,25c)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며, 수평레일(25b,25c)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더(35a)의 상단과 상측 수평홈(36a) 사이의 거리(L1)은 지지판(22a)에 형성된 상측 수평레일(25b)과 안내홈(23) 상단 사이의 거리(L2)와 일치하도록 하여, 승강부재(26a)와 함께 상승하는 슬라이더(35a) 상단이 안내홈(23) 상단에 이르렀을 때 슬라이더(35a)의 두 수평홈(36a,36b)과 지지판(22a)의 두 수평레일(25b,25c)이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승강부재(26a,26b)와 슬라이더(35a,35b) 사이에는 평소 상기 슬라이더가 승강부재의 길이방향(상측방향)으로 진행(돌출)하려는 복원력을 갖도록 복원스프링(38)이 설치된다. 이 복원스프링(38)은 슬라이더(35a,35b)의 일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스프링지지홈(37)에 수용이 되는 통상의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또 스프링지지홈(37)에 수용된 복원스프링(38)은 일단이 승강부재(26a)의 수용홈(34) 내면에서 스프링지지홈(37) 내로 돌출하는 지지턱(39)에 지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로 상호 결합되는 승강부재(26a,26b)와 슬라이더(35a,35b)는 지지판의 안내홈(23)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슬라이더(35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스프링(38)의 탄성에 의해 상단이 승강부재(26a)의 상부로 돌출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때는 슬라이더(35a)의 수평홈(36a,36b)이 상승하려 하기 때문에, 두 지지핀(24a,24b)은 승강부재(26a)의 경사홈(33a,33b) 상부에 위치된다. 즉 슬라이더(35a)는 두 지지핀(24a,24b)이 평소 경사홈(33a,33b)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여 셔터(21)의 승강동작시 셔터(21)의 진동을 방지하고 원활한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토출구 개폐장치의 개폐동작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3)가 열려있을 때에는 승강부재(26a)가 지지판(22a) 안내홈(23)의 하부에 위치하고, 셔터(21)와 결합된 두 지지핀(24a,24b)은 수직레일(25a)에 지지된 상태로 역시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두 지지핀(24a,24b)은 수직레일(25a)에 걸린 상태여서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고, 승강부재(26a) 역시 안내홈(23)에 수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좌우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는다. 또한 이때는 복원스프링(38)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더(35a)가 상승하려는 복원력을 가지기 때문에 슬라이더(35a)의 두 수평홈(36a,36b)이 상승하려하고, 이로써 두 지지핀(24a,24b)이 승강부재(26a)의 경사홈(33a,33b) 상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32)의 동작으로 승강부재(26a)의 랙기어부(29)와 치합된 피니언기어(30a)가 회동을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26a)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이때는 승강부재(26a)와 함께 슬라이더(35a)가 상승을 하고, 두 지지핀(24a,24b)도 승강부재(26a)와 슬라이더(35a)에 밀려서 상승을 하며, 두 지지핀(24a,24b)과 결합된 셔터(21)도 상승을 한다. 그리고 상부지지핀(24a)이 수직레일(25a)의 상단에 이르면, 상부지지핀(24a)이 수평레일(25b)에 걸려 상승이 제한된다. 또한 이때는 슬라이더(35a)의 상단이 안내홈(23)의 상단에 이르게 되므로, 슬라이더(35a)의 두 수평홈(36a,36b)은 수평레일(25b,25c)과 일치한 상태에서 상승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때는 두 지지핀(24a,24b)이 슬라이더 수평홈(36a,36b)의 상승 제한으로 인해 상승이 제한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승강부재(26a)가 소정구간 더 상승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지지핀(24a,24b)은 슬라이더(35a)의 수평홈(36a,36b)과 수평레일(25b,25c)을 통해 상승이 제한된 상태에서 승강부재(26a)의 경사홈(33a,33b)에 밀리면서 수평홈(36a,36b)을 따라 횡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승강부재(26a)의 상단이 안내홈(23)의 상단에 이를 즈음에 두 지지핀(24a,24b)은 토출구(13) 쪽으로 수평 이동되며, 경사홈(33a,33b)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또한 복원스프링(38)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는 두 지지핀(24a,24b)이 수평레일(25b,25c)과 수평홈(36a,36b)을 따라 토출구(13) 전방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므로, 셔터(21)가 토출구(13)를 완전히 폐쇄한다. 또한 이때는 셔터(21)의 외면과 전면커버(12)의 외면이 동일한 평면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원스프링의 탄성은 구동모터(32)의 동작에 의해 상승하는 승강부재(26a)의 상승력보다 작도록 해야한다.
그리고 셔터(21)가 닫힌 상태에서 다시 열릴 때에는 구동모터(32)의 역회전으로 피니언기어(30a)가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회전하면서 승강부재(26a)의 하강이 이루어진다. 이때 두 지지핀(24a,24b)은 승강부재(26a)의 두 경사홈(33a,33b)을 통 해 반대방향으로 밀리기 때문에 수평레일(25a,25c)과 수평홈(36a,36b)을 따라 수직레일(25a) 쪽으로 이동을 한다. 즉 토출구(13)의 전방 쪽으로 돌출한 셔터(21)가 다시 본체(10)의 내부로 들어간다. 그리고 두 지지핀(24a,24b)이 수직레일(25a)에 이르고 또한 두 지지핀(24a,24b)이 경사홈(33a,33b)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승강부재(26a)가 하강을 하면, 승강부재(26a)와 함께 슬라이더(35a)도 하강한다. 그리고 두 지지핀(24a,24b)이 수직레일(25a)을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전면커버의 토출구(13)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처럼 셔터(21)의 열림동작은 상술한 닫힘동작의 역으로 작동한다.
한편, 이와 같은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양측의 두 피니언기어(30a,30b)는 회전축(31)을 통해 연결된 상태이므로 동시에 회전을 한다. 따라서 피니언기어(30a,30b)의 구동에 의해 승강을 하는 양측의 두 승강부재(26a,26b)의 승강동작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셔터(21)의 양측에 배치된 두 승강부재(26a,26b)가 동시에 승강하는 동작을 통해 셔터(21)의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셔터(21)의 기울어짐이 없이 원활한 승강과 정확한 개폐동작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는 셔터의 양측에서 동시에 승강하는 승강부재를 통해 셔터의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셔터의 편심이 방지되어 셔터의 승강동작이 원활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판에 형성된 수직레일을 통해 셔터의 승강이 안내되고, 지지판의 수평레일 및 슬라이더의 수평홈 그리고 승강부재의 경사홈을 통해 셔터의 횡방향 개폐동작이 안내되기 때문에, 셔터의 개폐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본체에 형성된 토출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셔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두 지지판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승강부재와, 상기 두 승강부재를 함께 승강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셔터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레일과 이 수직레일로부터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레일을 포함하는 레일과, 상기 승강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셔터의 양단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상기 레일에 끼워지는 복수의 지지핀과, 상기 승강부재가 승강할 때 상기 지지핀이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의 상기 지지핀이 관통하는 부분에 형성된 경사홈과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지지핀이 관통하는 부분에 상기 수평레일과 평행하게 형성된 수평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승강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수용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상기 안내홈의 내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평소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진행하려는 복원력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핀을 평소 상기 경사홈 상부에 위치시키도록 복원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더에 함몰되어 형성된 스프링지지홈에 수용되며,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에서 상기 스프링지지홈 내로 돌출하는 지지턱에 지지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스프링의 탄성은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상승하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력보다 작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20000032181A 2000-06-12 2000-06-12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60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181A KR100600590B1 (ko) 2000-06-12 2000-06-12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181A KR100600590B1 (ko) 2000-06-12 2000-06-12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640A KR20010111640A (ko) 2001-12-20
KR100600590B1 true KR100600590B1 (ko) 2006-07-13

Family

ID=4174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181A KR100600590B1 (ko) 2000-06-12 2000-06-12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819B1 (ko) * 2002-07-09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473820B1 (ko) * 2002-07-09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845241B1 (ko) * 2003-07-30 2008-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32575B1 (ko) * 2008-11-21 201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203710B1 (ko) * 2018-05-21 2021-01-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N109736547A (zh) * 2019-02-28 2019-05-10 重庆金科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建筑外墙抹灰机
CN113476941B (zh) * 2021-08-22 2022-09-02 宁波芳远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餐厨残渣废油分离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640A (ko)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591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106583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4328353B2 (ja) 空気調和機
KR2010007362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3586249B2 (ja) 空気調和機
KR100600590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45298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셔터장치
KR100626702B1 (ko) 공기조화기
CN205402923U (zh) 空调器
KR100473819B1 (ko) 공기조화기
KR100474050B1 (ko) 공기조화기
KR100473820B1 (ko) 공기조화기
KR101482126B1 (ko) 공기조화기
KR100902283B1 (ko) 천정형 에어컨
KR100904309B1 (ko) 에어콘용 토출구 개폐장치
KR100554280B1 (ko) 공기조화기
KR10075539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3673245B (zh) 空气调节器
KR20130043984A (ko) 공기조화기
KR0149913B1 (ko) 공기조화기
KR100585320B1 (ko) 공기조화기
KR101482118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37319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69435A (ko) 공기조화기
KR100715535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