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923B1 -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923B1
KR100599923B1 KR1020040038555A KR20040038555A KR100599923B1 KR 100599923 B1 KR100599923 B1 KR 100599923B1 KR 1020040038555 A KR1020040038555 A KR 1020040038555A KR 20040038555 A KR20040038555 A KR 20040038555A KR 100599923 B1 KR100599923 B1 KR 100599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dical
treatment
medication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063A (ko
Inventor
히로코 오키
Original Assignee
히로코 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코 오키 filed Critical 히로코 오키
Priority to KR102004003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92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병별 진료 행위 및 투약제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의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은, 처방 데이터로부터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하는 제1 단계, 주된 상병명마다 진료 행위와 투여된 투약제를 종류별로 적산하여, 주된 상병명 각각의 진료 행위와 투약제의 종류별 데이터수를 연산하는 제2 단계, 적산된 데이터수가 소정의 빈도에 도달한 진료 행위의 종류와 투약제의 종류를 진료 행위 기본 및 투약제 기본으로서 기본 테이블에 기재하는 제3 단계, 이러한 것을 각각의 주된 상병에 이환(罹患)되어 있는 개개의 환자의 데이터와 대조하는 제4 단계, 및 환자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빈도가 높은 진료 행위 기본 및 투약제 기본의 조합을 각각의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으로서 표준 테이블에 기재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진다.
진료 행위, 투약제, 표준 진료 패턴, 데이터 베이스, 이환수, 빈도, 카르테 데이터

Description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METHOD OF ANALYZING DIAGNOSIS AND MEDICINE}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제2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제4 단계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플로 시트이다.
도 6은 이환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환자에 대해서는 적산 대상에서 제외하는 경우의 플로 시트이다.
도 7은 입원 및 외래 구분별로 분석하는 경우의 플로 시트이다.
도 8은 도 7에 계속되는 플로 시트이다.
본 발명은 전자화된 처방(receipt)에 기재된 진료 행위나 투약제(投藥劑)로부터 상병(傷病)별로 표준 진료 패턴을 작성하는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의 상병 각각에 대한 진료 행위나 투약제는 표준화가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각 의료기관에서 행한 상병 각각에 대한 진료 행위 및 투약제, 그 비용, 치료기간 등이 최적인 것이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었다.
그러나, 동일한 상병이더라도 진료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치료기간이 의료기관에 따라 다르다는 것은, 최적의 진료를 받고 있지 못하는 환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최적의 진료를 받고 있지 못한 환자는 육체적 및 경제적으로도 불필요한 부담을 지게 된다. 또한 이것은 국가가 본래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의료보험을 지불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정부는 상병별 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ss)를 도입하거나, 혹은 입원기간에 제한을 두거나, 상병에서의 투약제 사용량의 감사를 행하거나 하여, 과잉 진료 및 투약이 행해지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각 상병에 대한 진료 행위나 투약제 및 치료기간을 최적인 것으로 하기 위해 상병별 진료 행위 및 투약제의 표준화가 요망되어 왔다. 그러나 진료 행위 및 투약제는 개개의 환자의 연령이나 복수의 상병에 이환(罹患)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를 뿐 아니라, 치료법은 한 가지가 아니고 진료 행위나 투약제의 조합으로는 매우 많은 방법이 있었다. 이것은 의료기관마다 특유의 치료법을 실시하고 있거나, 새로운 치료법을 모색하거나 하기 때문이었다. 또한, 치료기간의 초기와 종기에는 진료 행위나 투약제가 달라지기 때문에, 상병별 진료 행위 및 투약제의 표준화는 매우 어렵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7-21260호 공보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진료 행위를 항목별로 단순 집계하여 통계표를 작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정도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제로 의료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상병별 진료 행위 및 투약제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컴퓨터에 의한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은, 전자화된 처방 데이터를 컴퓨터에 판독시켜 환자마다에 링크된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하는 제1 단계, 상기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주된 상병명마다 상기 주된 상병명을 가진 환자에 대해 행해진 진료 행위와 투여된 투약제를 각각의 종류별로 적산하여, 상기 주된 상병명 각각의 진료 행위와 투약제의 종류별 데이터수를 연산하는 제2 단계, 적산된 상기 데이터수가 소정의 빈도(頻度)에 도달한 상기 진료 행위의 종류와 상기 투약제의 종류를, 상기 각각의 주된 상병에 대한 진료 행위 기본 및 투약제 기본으로서 기본 테이블에 기재하는 제3 단계, 상기 기본 테이블에 기재된 상기 진료 행위 기본과 상기 투약제 기본을 상기 각각의 주된 상병에 이환되어 있는 개개의 환자의 데이터와 대조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환자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빈도가 높은 진료 행위 기본 및 투약제 기본의 조합을 상기 각각의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으로서 표준 테이블에 기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제1 단계에서, 상기 주된 상병명이 누락되어 있는 처방 데이터에 주된 상병명을 부여하면서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단계 에서, 상기 상병명의 수가 임계값 이상인 환자를 제외하고 적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3 단계의 빈도를, 개개의 진료 행위 또는 투약제에 대응하는 환자의 상병명의 수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진료 행위를 투약, 주사, 처치, 수술로 세분화하여, 제5 단계의 상기 표준 진료 패턴을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표준 진료 패턴의 작성은, 의료기관별, 경과년월별, 입원 및 외래 구분별로 작성할 수 있고, 또한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에 전자화된 카르테 데이터를 판독하고,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카르테 데이터 특유의 데이터를 첨가하여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을 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각 의료기관이 진료보수(診療報酬) 청구를 위해 작성하는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컴퓨터로 진료 행위 및 투약제의 분석을 행하는 것으로, 도 1에 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또, 도 2에 본 발명의 기본적인 단계를 나타내고, 도 5에 플로 시트를 나타낸다.
(제1 단계)
고객인 각 의료기관 등에서는 전자화된 처방 데이터를 작성한다. 각 의료기관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환자명 등의 은폐 처리를 실시한 다음, 처방 데이터를 센터에 보낸다. 센터의 분석용 서버는 본 발명의 제1 단계로서, 각 의료기관으로부터의 처방 데이터를 판독하여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한다. 본 발명에서 분석의 베이스로서 처방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접수 전산 처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표준화되어 있어 통계처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처방 데이터를 분석 용 데이터 베이스에 판독하는 것은 통상은 매월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진료 행위나 투약제도 분석 대상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분석 결과가 항상 갱신되어 분석 정밀도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는 환자별 링크를 행한 각 항목별 등록 데이터가 된다. 등록 데이터는 처방 등록 데이터, 환자 데이터, 상병명 데이터, 주된 상병 데이터, 진료 행위 데이터, 투약제 데이터, 특정 기재(器材)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 등록 데이터 중 수치 데이터 이외의 문자 데이터 등은 코드화하고, 분석 시에 컴퓨터의 부하가 커지지 않도록 하여 고속으로 검색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처방 등록 데이터는 의료기관 코드, 진료년월일 코드, 심사 지불기관 코드, 진료과목 코드, 처방 등록번호의 링크 데이터와 보험자 번호, 환자 번호, 입원 외래 구분 코드, 실제 진료일수, 합계 점수(点數), 입원년월일 등의 각종 항목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환자 데이터는 진료기관 코드, 환자 번호의 링크 데이터 및 남녀 구분 코드, 성명, 생년월일 등의 각종 항목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항목 데이터는 분석 시에 적절히 판독되는 것이다. 성명은 은폐 처리에 의해 삭제해 놓을 수 있다.
상병명 데이터는 의료기관 코드, 진료년월 코드, 심사 지불기관 코드, 진료과목 코드, 처방 등록번호, 처방 상병명 등록 번호의 링크 데이터 및 상병명 코드, 진료 개시일의 항목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항목 데이터는 분석 시에 적절히 판독되는 것이다. 주된 상병 데이터는 의료기관 코드, 진료년월 코드, 환자 번호, 상병명 코드의 링크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진료 행위 데이터는 의료기관 코드, 진료년월 코드, 심사 지불기관 코드, 진료과목 코드, 처방 등록번호, 처방 진료 행위 등록번호의 링크 데이터 및 진료 식별 코드, 진료 행위 코드, 진료 행위 수량, 진료 행위 점수, 진료 행위 회수(回數) 등의 각종 항목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투약제 데이터는 의료기관 코드, 진료년월 코드, 심사 지불기관 코드, 진료과목 코드, 처방 등록번호, 처방 투약제 등록번호의 링크 데이터 및 진료 식별 코드, 투약제 코드, 투약제 사용량, 투약제 점수, 투약제 회수 등의 각종 항목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특정 기재 데이터는 의료기관 코드, 진료년월 코드, 심사 지불기관 코드, 진료과목 코드, 처방 등록번호, 처방 특정 기재 등록번호의 링크 데이터 및 진료 식별 코드, 특정 기재 코드, 특정 기재 사용량, 특정 기재 점수, 특정 기재 회수 등의 각종 항목 데이터로 이루어지므로, 수술이나 진료 행위에서 사용하는 기재의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서는 분석 시에 주된 상병명을 사용한다. 그러나 처방 데이터에는 주된 상병의 상병명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는 해당 환자의 등록 데이터를 참조하고, 입원 환자에 대해서는 입원 데이터를 우선으로 하여 입원 시의 상병명을 주된 상병으로 하고, 또 진료 개시일이 오래된 상병명을 주된 상병으로 하여 해당 환자의 주된 상병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와 같이 해서 처방 데이터로부터 받아들인 모든 환자의 주된 상병 데이터를 확정한 다음,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의 등록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료 행위와 투약제의 분석을 시작 한다.
(제2 단계)
먼저, 동일한 주된 상병명 코드를 가진 환자의 진료 행위 데이터와 투약제 데이터로부터 동일한 진료 행위 코드와 동일한 투약제 코드를 전부 추출하고, 그 데이터수를 적산한다. 이 조작은 주된 상병명 코드마다에 대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주된 상병이 A병인 환자 1, 2, 3의 데이터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경우, 진료 행위와 투약제의 종류를 개별적으로 적산하면 도 3의 우측 프레임 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고, 주된 상병 A에 대해서는 진료 행위 "가", "나" 및 투약제 "a", "b"의 데이터수가 가장 많게 된다. 유효한 치료법은 반복적으로 행해지지만, 유효하지 않은 치료법은 반복되지 않기 때문에, 제2 단계에 의해 주된 상병 A에 대한 유효한 진료 행위와 투약제가 추출된다. 동일한 조작이 그 밖의 주된 상병에 대해서도 행해진다. 또한, 이 단계에서 다수의 진료 행위와 투약제를 추출하는 것은 연령이나 알레르기의 유무 등에 의해 수는 적지만 유효한 치료법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치료법이 제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제2 단계에서는, 주된 상병 이외에 상병의 이환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환자에 대해서는, 적산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임계값은 예를 들면 10으로 하고, 10을 초과하는 이환수를 가진 환자는 제외한다. 이것은 다수의 이환수를 가진 환자의 데이터에는 다수의 상병에 대한 진료 행위와 투약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분석 정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 임계값은 주된 상병명 등에 따라 다르므로, 10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의 플 로우를 도 6에 나타낸다.
(제3 단계)
다음에, 제2 단계의 적산치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빈도에 도달되어 있는 진료 행위와 투약제의 종류를 각각의 주된 상병에 대한 진료 행위 기본 및 투약제 기본으로서 기본 테이블에 기재한다. 빈도는 주된 상병의 대상자로서 추출된 환자의 주된 상병 이외의 평균적인 이환수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지만, 상병의 종류에 따라서도 변경된다. 이것은 주된 상병 이외의 상병에 대해 행해진 진료 행위와 투약제가 너무 많이 포함되면 분석 정밀도르 저하시킬 뿐 아니라, 상병의 종류에 따라서는 다양한 진료 행위와 투약제의 처방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고, 이로써 정밀도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진료 행위 기본 및 투약제 기본은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환자 마다 링크된 의료기관 데이터 또는 경과년월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 데이터별로 작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환자마다 링크된 입원 및 외래 구분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원 및 외래 구분별로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이하에 설명하는 표준 패턴을 의료기관, 경과년월, 입원 및 외래별로 작성할 때 이용된다.
(제4 단계)
다음에, 기본 테이블에 기재된 진료 행위 기본과 투약제 기본을, 그 주된 상병에 이환되어 있는 개개의 환자의 데이터와 대조하여, 각 환자의 진료 행위 또는 투약제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즉, 진료 행위 기본의 진료 행위 그 룹 코드에 각 환자의 진료 행위 코드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정을 행함과 아울러, 투약제 기본의 의약품 그룹 코드에 각 환자의 의약품 코드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판정을 행하고, 진료 행위 기본과 투약제 기본이, 그 주된 상병에 이환되어 있는 개개의 환자의 진료 행위 및 투약제에 실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상기 제2 단계 및 제3 단계에서는 개개의 환자에 대한 진료 행위와 투약제의 데이터가 따로 따로 분해된 다음 적산되고, 주된 상병명마다 사용 빈도가 높은 진료 행위 기본과 투약제 기본이 구해진다. 그러나 이 단계에서 얻어지는 것은 단순한 통계 처리이며, 개개의 환자와의 관련이 무시되어 있다. 그래서, 제3 단계에서 얻어진 진료 행위 기본과 투약제 기본을, 제4 단계에서 개개의 환자의 데이터와 대조하여, 기본 테이블에 기재된 진료 행위 기본과 투약제 기본을 환자 단위로 검증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된 상병 A에 대한 진료 행위 기본이 "가", "나"이고, 투약제 기본이 "a", "b", "c"인 것으로 하고, 환자 1의 진료 행위와 투약제가 "가", "나", "다", "a", "b", "c", "d"라고 하면, 환자 1에 대해서 진료 행위 기본과 일치한 것은 "가", "나"이고, 투약제 기본과 일치한 것은 "a", "b", "c"이다. 마찬가지로 주된 상병명이 동일한 개개의 환자에 대해서 대조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치한 데이터수의 합계는 "가"가 6, "나"가 5, "a"가 4, "b"가 5, "c"가 7이 된다. 이 설명은 극히 단순화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주된 상병마다 매우 많은 환자에 대해 이 작업이 이루어진다.
(제5 단계)
마지막으로, 제4 단계에서 얻어진 환자의 데이터와 일치 빈도가 높은 진료 행위 기본 및 투약제 기본을 조합하여, 각각의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으로서 표준 테이블에 기재한다. 도 4의 예에서는 진료 행위 "가", "나" 및 투약제 "a", "b", "c"의 조합이 2회, 진료 행위 "가" 및 투약제 "c"의 조합이 2회로서, 다른 조합보다 많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주된 상병 A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은 진료 행위 "가", "나" 및 투약제 "a", "b", "c"의 조합, 및 진료 행위 "가" 및 투약제 "c"의 조합이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각각의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을 각 의료기관의 의사가 치료법을 결정한 다음의 표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색용 데이터 베이스로 해 두고, 각 의료기관이 인터넷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해 참조할 수 있도록 해 둔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진료 행위와 투약제만의 조합을 나타냈지만, 실제 의료 행위는 복잡하며, 진료 행위를 추가로 투약, 주사, 처치, 수술이라는 4개의 카테고리로 세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분화된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표준 진료 패턴을 작성하면, 보다 구체적인 치료법의 표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주된 상병 A에 대해서는 투약제 "a", "b", "c"를 투약하고, 약제 "d"를 주사하고, 환부 소독의 처치를 실시하고, 수술은 행하지 않는다고 하는 식으로 표준 치료 패턴을 작성할 수 있다.
각 의료기관이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표준 진료 패턴을 참조하면,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치료 기간이 단축되고, 환자에 있어서는 불필요한 치 료비를 지불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의료보험제도에서의 국가의 부담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처방 데이터는 매월 갱신되기 때문에, 그것을 기초로 분석된 표준 진료 패턴도 매월 갱신되며, 새로운 치료법이 보급되면 표준 진료 패턴에 입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표준 진료 패턴을 입원 및 외래 구분별로 구하는 경우는, 도 7 및 도 8의 플로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환자마다 링크된 입원 및 외래 구분 데이터를 추출하고, 각 데이터별로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을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입원환자와 통원환자별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준 진료 패턴을 연령별로 구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표준 진료 패턴을 의료기관별로 구하는 경우는,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환자마다 링크된 의료기관 데이터 또는 경과년월 데이터를 추출하고, 각 데이터별로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을 표시하는 단계를 부가한다. 이로써 의료기관별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준 진료 패턴을 경과년월별로 구할 수도 있다.
또, 데이터 베이스에 전자화된 카르테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처방 데이터에는 기재되지 않은 카르테 데이터 특유의 알레르기 환자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게된다. 이에 따라 알레르기 환자의 진료 행위나 투약제의 분석이 용이해진다. 또, 카르테 데이터 특유의 투약년월일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투약제의 효과가 약해져서 다른 투약제로 바꾸어 가는 경과년월에 의한 분석도 양호한 정밀도로 행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르테 데이터에서는 원외 처방된 투약제의 데이터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표준 진료 패턴의 분석 정밀도를 가일층 높일 수 있게 된다.
청구의 범위 제1항 및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전자화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병명별 진료 행위와 투약제의 단순한 통계를 취하는 것이 아니고, 주된 상병명 각각의 진료 행위와 투약제의 종류를 제2 단계에서 적산하여 진료 행위 기본 및 투약제 기본을 기본 테이블에 기재한 다음, 기본 테이블에 기재된 진료 행위 기본과 투약제 기본을, 각각의 주된 상병에 이환되어 있는 개개의 환자에 대한 데이터와 대조하여, 일치 빈도가 높은 진료행위 기본 및 투약제 기본의 조합을, 각각의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으로서 추출한다. 즉, 제2 단계에서는 개개의 환자에 대한 데이터가 따로 따로 분해되고, 주된 상병명 각각의 진료 행위 기본과 투약제 기본이 통계 처리되어 있지만, 제4 단계에서 그러한 진료 행위 기본과 투약제 기본이 실제로 동일한 환자에게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5 단계에서 진료 행위 기본과 투약제 기본의 조합 중 동일한 환자에게 적용된 데이터수가 많은 조합을 그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표준 진료 패턴을 참조하면, 각 의료기관에서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치료 기간이 단축되고, 환자에 있어서는 불필요한 치료비를 지불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의료보험제도에서의 국가의 부담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의료기관은 일상 업무로서 작성하는 처방 데이터를 제공하기만 하면 되고, 통계처리를 위한 여분의 작업은 전혀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처방 데이터는 매월 정기적으로 발행되기 때문에, 항상 최신 데이터에 기초한 분석이 가능하다. 또, 상기 처방 데이터 중에는 성인병 등으로 영속적인 치료를 받으면서 동시에 그 밖의 상병의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와 같이, 복수의 상병을 가진 환자에 대한 진료 행위나 투약제의 데이터도 포함되기 때문에, 이러한 환자에 관해서도 적절한 진료 행위나 투약제를 참조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주된 상병명을 가진 환자에 대한 동일한 진료 행위와 동일한 투약제를 모든 환자에 대해 가산하는 제2 단계에서, 상병명의 수(이환수)가 소정 이상인 환자를 제외한다. 동시에 이환되어 있는 상병명의 수가 많은 환자의 데이터는 상병과 진료 행위 및 투약제와의 관련성이 분산되기 때문에, 그 데이터를 제외하고 통계처리함으로써 분석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4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3 단계의 빈도를, 개개의 진료 행위 또는 투약제에 대응한 환자의 상병명의 수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적절한 치료법이 확립되어 있는 않은 경우나, 다수의 치료법이 있는 경우와 같이, 다양한 진료 행위와 투약제가 있는 경우의 분석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5항의 발명과 같이, 진료 행위를 투약, 주사, 처치, 수술로 세분화하여 제5 단계의 표준 진료 패턴을 작성함으로써, 각 의료기관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인 표준 진료 행위를 제시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6항의 발명과 같이,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환자마다 링크된 의료기관 데이터 또는 경과년월 데이터를 추출하고,각 데이터별로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을 표시함으로써, 의료기관 데이터, 경과년월 데이터, 의료 기관과 경과년월별로 행해진 표준 진료 패턴을 참조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상병에 대한 치유율이 높은 의료기관의 치료법 및 단기간에 치유한 치료법, 혹은 치유율이 높고 또한 치료 기간이 짧은 의료기관의 치료법을 참조할 수 있게 된다.
청구의 범위 제7항의 발명과 같이,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환자마다 링크된 입원 및 외래 구분 데이터를 추출하고, 각 데이터별로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을 표시함으로써, 입원 환자와 외래 환자의 데이터를 따로 따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분석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청구의 범위 제8항의 발명과 같이,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에 전자화된 카르테 데이터를 판독하고,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카르테 데이터 특유의 데이터를 첨가하여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을 행함으로써, 카르테 데이터 특유의 알레르기 정보나 투약제의 처방년월일을 분석에 포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알레르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 대한 투약제의 효과나, 내성균에 대한 항생물질의 투여 패턴, 혹은 원외 처방 등의 정보를 포함한 분석이 가능하므로 보다 정밀도 높은 분석이 가능해진다.

Claims (8)

  1. 전자화된 처방 데이터를 컴퓨터에 판독시켜 환자마다 링크된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하는 제1 단계,
    상기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주된 상병명(傷病名)마다 상기 주된 상병명을 가진 환자에 대해 행해진 진료 행위와 투여된 투약제(投藥劑)를 각각의 종류별로 적산하여, 상기 주된 상병명 각각의 진료 행위와 투약제의 종류별 데이터수를 연산하는 제2 단계,
    적산된 상기 데이터수가 소정의 빈도(頻度)에 도달한 상기 진료 행위의 종류와 상기 투약제의 종류를, 상기 각각의 주된 상병에 대한 진료 행위 기본 및 투약제 기본으로서 기본 테이블에 기재하는 제3 단계,
    상기 기본 테이블에 기재된 상기 진료 행위 기본과 상기 투약제 기본을 상기 각각의 주된 상병에 이환(罹患)되어 있는 개개의 환자의 데이터와 대조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환자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빈도가 높은 진료 행위 기본 및 투약제 기본의 조합을 상기 각각의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으로서 표준 테이블에 기재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한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주된 상병명이 누락되어 있는 처방 데이터에 주된 상병명을 부여하면서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상병명의 수가 소정 이상인 환자를 제외하고 적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의 빈도를, 개개의 진료 행위 또는 투약제에 대응하는 환자의 상병명의 수에 따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행위를 투약, 주사, 처치, 수술로 세분화하여, 제5 단계의 상기 표준 진료 패턴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환자마다에 링크된 의료 기관 데이터 또는 경과년월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 데이터별로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환자별로 링크된 입원 및 외래 구분 데이터를 추출하여, 각 데이터별로 주된 상병에 대한 표준 진료 패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용 데이터 베이스에 전자화된 카르테(Karte) 데이터를 판독하고,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카르테 데이터 특유의 데이터를 첨가하여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KR1020040038555A 2004-05-28 2004-05-28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KR100599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555A KR100599923B1 (ko) 2004-05-28 2004-05-28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555A KR100599923B1 (ko) 2004-05-28 2004-05-28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63A KR20050113063A (ko) 2005-12-01
KR100599923B1 true KR100599923B1 (ko) 2006-07-13

Family

ID=3728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555A KR100599923B1 (ko) 2004-05-28 2004-05-28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72B1 (ko) * 2012-02-15 2013-10-28 주식회사 메타헬스 전자건강기록기반 진료패턴의 표준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5724A (ja) * 1999-12-16 2001-06-29 Mhi Laboratory:Kk 診療報酬明細書分析システム
JP2003050870A (ja) * 2001-08-06 2003-02-21 Hiroko Oki 診療行為分析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5724A (ja) * 1999-12-16 2001-06-29 Mhi Laboratory:Kk 診療報酬明細書分析システム
JP2003050870A (ja) * 2001-08-06 2003-02-21 Hiroko Oki 診療行為分析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3175724
1505087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063A (ko)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st et al. The impact of spinal manipulation on migraine pain and disabi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US11568963B2 (en)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registry of clinical trial participants
Awad et al. Self-medication practices in Khartoum state, Sudan
Caplehorn et al. Physicians' attitudes and retention of patients in their methadone maintenance programs
DE102006035653A1 (de) System und Benutzerschnittstelle zur Überwachung von Patientenbehandlungsverordnungen
Wakeland et al. Modeling the impact of simulated educational interventions on the use and abuse of pharmaceutical opioids in the United States: a report on initial efforts
McCauley et al. Prescription drug monitoring program use: national dental PBRN results
Luque et al. Mixed methods study of the potential therapeutic benefits from medical cannabis for patients in Florida
Chatterton et al. Economic evaluation of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high distress cancer patients and carers: costs and quality‐adjusted life years
Frauenfelder et al. Documented nursing interventions in inpatient psychiatry
Salzman et al. Epidemiology of opioid-related visits to US Emergency Departments, 1999–2013: A retrospective study from the NHAMCS (National Hospit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
Afzal et al. Evaluation of a pharmacist and nurse practitioner smoking cessation program
US20140303999A1 (en)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registry of clinical trial participants
Shever et al. The effect of high nursing surveillance on hospital cost
MacNeill et al. Experiences of clients in three types of methadone maintenance therapy in an Atlantic Canadian city: A qualitative study
Richter et al. The effects of opt-out vs opt-in tobacco treatment on engagement, cessation, and cos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Marsh et al. Complementary Intervention in Postoperative Care: Aromatherapy's Role in Decreas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Kadoyama et al. Frequency and documentation of medication decisions on discharge from the hospital to hospice care
Berg et al. Evaluation of the use of buprenorphine for opioid withdrawal in an emergency department
Batty et al. Ward pharmacy: a foundation for prescribing audit?
CN112233765A (zh) 一种重复用药智能分析的方法、系统和设备
KR100599923B1 (ko) 진료 행위 및 투약제 분석 방법
Killey et al.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optimising adherence to treatment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cars: A systematic review
US10510437B2 (en)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registry of clinical trial participants
Gao Systematic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