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701B1 -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701B1
KR100598701B1 KR1020030099998A KR20030099998A KR100598701B1 KR 100598701 B1 KR100598701 B1 KR 100598701B1 KR 1020030099998 A KR1020030099998 A KR 1020030099998A KR 20030099998 A KR20030099998 A KR 20030099998A KR 100598701 B1 KR100598701 B1 KR 100598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module
home network
power line
autom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505A (ko
Inventor
김지훈
허관
김은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701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하위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위 디바이스의 설치 초기에 무선 수신용 채널 아이디 및 각 디바이스의 채널 아이디를 자동적으로 부여하며, 상기 하위 디바이스와 상기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게이트웨이와; 상기 각각의 하위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채널 아이디와 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명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디바이스중의 하나 또는 다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과, 해당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해당 디바이스의 온/오프 및 디바이스의 동작 또는 밝기를 제어하는 조작 버튼을 구비한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에서 수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를 그 성격에 따라 그룹핑(grouping)한 다수의 모듈별로 설정된 수치범위 내에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채널 아이디가 부여되고, 상기 모듈 중 하나인 스위치 모듈에 포함되는 하위 디바이스에 부여된 채널 아이디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고, 변경된 상기 채널 아이디는 변경 전 채널 아이디로 일시에 복귀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는 상기 스위치 모듈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홈, 네트워크, 전력선, 통신, 가전, 제어, 리모콘(remote controller), 주소, 채널

Description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HOME NETWORK AUTOMATION SYSTEM USING ELECTRIC POWER L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의 리모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리모콘 110 : 선택 버튼
120 : 조작 버튼 130 : 디스플레이 창
202 : 리모콘 신호 수신부 204 : 스위치 모듈
206 : 콘센트 제어 모듈 208 : 가스 밸브 제어 모듈
210 : 난방 제어 모듈 212 : 블라인드 제어 모듈
214 : 가스 오븐 제어 모듈 216 : 냉방 제어 모듈
220 : 전력선 230 : 게이트웨이
본 발명은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단일화된 통합 리모콘을 이용하여 천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하위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하이 디바이스의 리모콘 수신 아이디의 설정방법을 크게 기본 설정과 사용자 설정으로 나누고, 그 아이디를 부여하는 방법과 무선 수신장치가 없는 제어기도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통합 리모콘을 이용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수신부가 없으므로 리모콘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별도의 무선 수신부의 설치가 어렵다. 또한 리모콘을 이용한 디바이스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전용 송수신기 세트를 이용하여 1:1로 제어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디바이스에 부착된 딥 스위치를 이용하는 방법, 특정한 키 조작을 통해 아이디 설정 모드로 들어가서 디바이스에 아이디를 성정하느 방법, 리모콘 자체에 아이디를 부여하는 방법, 또는 일반 리모콘의 출력 신호를 직접 기억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하나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다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보통 10 채널 이하의 재품에 적용되는데 불과하며, 아이디 설정 작업이 복잡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합 리모콘을 이용하여 최대 100개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하위 디바이스 전체를 조작하고 이를 위하여 각 하위 디바이스의 모든 채널에 대해 아이디를 설정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리모콘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회로별 채널 아이디를 부여하는 것과, 선택된 채널을 디스플레이 표시창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초기에 상위의 MMI(Man Machine Interface)로부터 기본 채널 아이디를 부여받아 채널 아이디를 설정하고 사용하는것 사용자가 원할 때에 단순히 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리모콘의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채널 아이디의 설정을 변경시키는 방법, 초기 상태로 돌아가고 싶은 경우에 초기에 설정된 기본 채널 아이디로 복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 무선 수신장치가 없는 하위 디바이스도 동일한 통합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채널 아이디를 부여하여 원격으로 집안의 모든 가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위 디바이스의 설치 초기에 무선 수신용 채널 아이디 및 각 디바이스의 채널 아이디를 자동적으로 부여하며, 상기 하위 디바이스와 상기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게이트웨이와,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에서 수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게이트웨이(230)는 상위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위 디바이스의 설치 초기에 무선 수신용 채널 아이디 및 각 디바이스의 고유 번호를 자동적으로 부여하여 각 디바이스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게이트웨이(230)는 모든 제어 모듈들과 전력선(220)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리모콘(100)은 디스플레이 창(130)을 구비하며, 각각의 하위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채널 번호와 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명칭을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보면서, 리모콘(100)에 마련된 선택 버튼(110)을 이용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해당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리모콘에 마련된 조작 버튼(120)을 통해 해당 디바이스의 온/오프, 밝기 및 디바이스의 동작, 예컨대 오픈/클로즈 등을 제어하며, 모든 제어 모듈들과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 때의 무선 방식은, 예컨대 적외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Radio Frequency) 방식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204)은 리모콘 신호 수신부(202)를 포함한 전력선 통신용 벽면 매립형 전등제어 스위치로서 전력선(220)을 통하여 유선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는 각 방 또는 마루 등에 1개 이상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스위치 모듈(204)에 연결하여 리모콘(100)과 통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202)를 설치한다. 스위치 모듈(204)은 리모콘(100)을 통해 전등과 연결되어 전등의 온/오프 및 밝기 등을 조절한다.
콘센트 제어 모듈(206)은 전력선(220)을 통해 연결된 통신용 이동 콘센트 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콘센트 제어 모듈(206)을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리모콘(100)을 통해 콘센트에 연결된 모든 하위 디바이스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가스 밸브 제어 모듈(208)은 전력선에 연결되고, 리모콘(100)을 통해 가스 밸브의 개폐를 제어한다. 가스 밸브 제어 모듈(208)는 전력선(220)을 통해 연결된 통신용 가브 밸브 제어 모듈(208)로서 이와 같은 디바이스의 하위에는 가스레인지 가스오븐레인지가 연결된다. 또한 가스 밸브는 난방과는 별도이며, 난방 제어기를 따로 설치하여 제어기를 통합하여 구성하는 경우의 혼란을 피할 수 있다. 가스를 이용하는 하부 장치들은 가스 밸브가 닫히게 되면 오프(off)되며, 가스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만 동작한다.
블라인드 제어 모듈(212)은 전력선(220)을 통해 연결되며, 리모콘(100) 및 리모콘 신호 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의해 블라이드의 오픈 및 클로즈를 제어한다.
냉방 제어 모듈(216)은 전력선(220)을 통해 연결되며, 리모콘(100) 및 리모콘 신호 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의해 냉방기의 온/오프 및 설정온도의 상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다.
난방 제어 모듈(210)은 전력선(220)을 통해 연결되며, 리모콘(100) 및 리모콘 신호 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의해 난방기의 온/오프 및 설정온도의 상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다.
가스 오븐 제어 모듈(214)은 전력선(220)을 통해 연결되며, 리모콘(100) 및 리모콘 신호 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의해 가스 오븐 레이지의 온/오프 및 설정온도의 상승/하강 및 기타 불꽃의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선(220)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의 리모콘의 평면도이다. 리모콘(100)의 조작은 선택 버튼(110)을 눌러 해당 디바이스에 연결된 채널을 선택하고, 디스플레이 창(130)에 표시된 디바이스를 확인한 후, 조작 버튼(120)을 눌러 해당 디바이스에 제어명령을 내리도록 한다. 이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202)를 통해 입력되어 본 발명에서 채용된 론톡 프로토콜(Lontalk Protocol)에 의해 해당 디바이스와 통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든 디바이스는 론톡 프로토콜에 의해 각 채널을 점유하고 있는 각각의 디바이스들에게는 고유한 네트웍 주소(Network Address)가 할당된다. 이는 인터넷 통신하는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하여 고유하게 부여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와도 유사하다. 본 발명에서는 론톡 프로토콜 방식에 따라 도메인과 서브넷 및 노드를 구분하구분하였으며, 리모콘으로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아이디를 부여하였다.
당업자가 주지하는 바와 같이 론톡 방식의 프로토콜은 확장성이 용이하므로 전술한 하부의 디바이스의 추가가 용이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내의 모든 제어기의 아이디에 따른 개별 조작이 가능하다. 조명 스위치와 콘센트 모듈은 각 제어 회로마다 독립된 채널 아이디를 가지며, 조명 스위치의 채널 아이디는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초기에 상위의 게이트웨이(230)로부터 저정받는 기본 채널 아이디를 가져 최초 설치후 사용자에 의해 채널 아이디가 기억되기 전까지 기본 채널 아이디를 이용하여 통합 리모콘의 명령을 수신한다. 가스밸브 제어기는 채널 아이디가 98번으로 고정되어 있고 변경이 불가능하다. 채널 아이디 99번은 마스터 스위치로 모든 조명 스위치와 콘센트 모듈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때 가정의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 스위치에만 무선 수신장치가 설치되 어 있고 그 이외의 디바이스(콘센트 제어기, 가스밸브 제어기, 커튼 제어기, 에어컨, 난방 제어기, 가스오븐 렌지)에는 무선 수신장치 없이 조명 스위치에서 수신한 명령을 전력선(220) 통신을 통해 전달받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디바이스의 원가를 절감하고, 초기에 무선 수신장치가 없이 설계된 디바이스도 간단한 프로그램의 변경을 통해 통합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리모콘(100)의 선택 버튼(110)으로 조작하고자 하는 채널의 아이디를 선택하고 상태표시창으로 선택한 채널을 확인하고 조작 버튼(120)으로 채널에 대한 온/오프(on/off) 업/다운(up/down) 오픈/클로즈(open/close) 조작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조작한다. 최대 100개의 채널을 조작하기 때문에 상태 디스플레이 창(130)에 제어하고자 하는 채널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주 이용하는 버튼을 0 번부터 9번까지 등록하여 해당 버튼을 일정시간 이상 누르고 있음으로 빠른 스위치 조작(온/오프)이 가능하다. 리모콘(100)은 채널을 각각의 디바이스에 0-99번 채널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표 1과 같이 각 채널에 대한 초기 설명이 되어 있고 이는 사용자에 의해 수정이 가능하다.
번호 설명 표시 설명
0 - 9 사용자 지정 버튼 사용자에 의해 할당됨. 자동으로 할당되지 않음.
10 - 29 거실/베란다 조명 거실 및 베란다 조명의 온/오프 밝기 업/다운 조작
30 - 39 방/침실 조명 안방, 침실 조명의 온/오프, 밝기 업/다운 조작
40 - 49 주방/식당 조명 주방/식당, 보조식당 조명의 온/오프 밝기 업/다운 조작
50 - 59 기타조명 서재, 가족식 조명의 온/오프 밝기 업/다운
60 - 69 콘센트 모듈 콘센트 모듈의 온/오프 조작
70 - 79 블라인드 제어 블라인드의 오픈/클로즈
80 - 89 난방 제어 난방 제어기의 온/오프, 설정온도 업/다운 조작
90 - 94 냉방 제어 냉방 제어기의 온/오프, 설정온도 업/다운 조작
95 - 97 가스오븐레인지 가스오븐레이진의 온/오프 및 기타 설정
98 가스밸브(고정) 가스 벨브 제어기 조작, 가스 벨브는 프로그램 상에서 98번으로 고정되고 변경할 수 없음
99 모든 채널 오프 리모콘으로 조작되는 모든 채널을 오프시킴. 프로그램 상에서 99번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변경할 수 없음.
표 1에서와 같이 조명 스위치의 채널 아이디는, 예컨대 채널 10번부터 채널 59번까지 설정되며 조명 스위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게이트웨이(230)에서 자동으로 할당한다. 예를 들면, 거실 또는 베란다에 있는 조명 스위치는 10번부터 시작되어 각 스위치 회로별로 일련번호가 할당되고, 침실에 있는 조명 스위치는 30번부터 시작되어 일련번호가 할당된다. 이렇게 조명 스위치는 설치 위치별로 그룹지워져서 채널 아이디가 할당되며, 이 때 위치 정보는 최초 설치 후 상위의 게이트웨이(230)에서 지정된다. 이렇게 함으로 사용자가 스위치에 할당된 채널 아이디를 쉽게 기억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기본 설정된 아이디 중 조명 스위치의 채널 아이디는 단순히 조명 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리모콘(100)의 채널을 선택/조작함으로 쉽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때 변경된 채널 아이디를 선점하고 있던 다른 조명 스위치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채널 아이디가 2개의 조명 스위치(채널 아이디를 선점하고 있던 조명 스위치와 채널 아이디가 변경된 조명 스위치)에 설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변경된 채널 아이디는 기본 채널 아이디로 일시에 복귀시킬 수 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기능키(복귀버튼)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채널을 할당하고 이에 대응하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일시에 초기의 채널 아이디 설정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콘센트 제어 모듈(206)의 채널 아이디는, 예컨대 채널 60번부터 69번까지 설정되며 커미션(Commission ; 홈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순서에 따라 게이트웨이(230)에 의해 자동으로 일련번호가 할당된다. 기본 설정된 채널 아이디는 콘센트 제어 모듈(206)의 리모콘(100)의 채널 선택/조작 후 일정시간, 예컨대 5초 이내의 자동/수동 조작 스위치의 조작으로 채널 아이디를 변경/설정이 가능하다.
블라인드 제어 모듈(212)은 지정되는 설치 위치에 따라 설정된다. 예컨대, 거실, 큰방, 작은방의 순서로 게이트웨이(230)에 의해 자동으로 일련번호가 할당되며, 예컨대 70번 부터 79번까지의 번호가 할당된다.
난방 제어 모듈(210)의 채널 아이디는, 예컨대 80번부터 88번까지 설정되며 난방 제어 모듈(210)의 기 설정된 방 번호에 따라 자동으로 일련번호가 할당된다. 이때 채널 89번은 난방 제어기를 외출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채널이다.
냉방 제어 모듈(216)의 채널 아이디는 90번부터 94번까지 설정되며 커미션되는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일련번호가 할당된다.
가스 오븐 제어 모듈(214)의 채널 아이디는 95번부터 97번까지 설정되며 커미션되는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일련번호가 할당된다.
가브 밸브 제어 모듈(208)의 채널 아이디는 98번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 자에 의해 변경이 불가능하다. 이때 2개 이상의 가스 밸브 제어 모듈(214)이 있는 경우에도 동시에 제어가 가능하다.
채널 99번은 홈 네트워그 내의 모든 조명기구를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204), 콘센트 제어 모듈(206), 가브 밸브 제어 모듈(208), 가스 오븐 제어 모듈(214), 블라인드 제어 모듈(212), 냉방 제어 모듈(216), 난방 제어 모듈(210)에 채널 아이디가 할당되어 있건 해제되어 있건간에 관계 없이 오프/클로즈시킨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이 집을 비우고 외출할 때 채널 99번에 의해 모든 조명과 콘센트 모듈에 연결된 대기전원을 오프시키고 전기료 및 연료를 절감시키고, 블라인드를 클로즈 시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것의 동등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특정하게 설명된 것 이외의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를 리모콘 하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채널 아이디를 등록하는 방법과는 달리 사용자의 조작 없이 초기에 상위의 게이트웨이로부터 기본 채널 아이디를 할당받아 사용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 간단히 스위치를 누르고 리모콘 조작을 함으로 보다 쉽고 간편하게 채널 아이디를 변경/등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디스플레이 창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먼저 확인하고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어 오동작의 방지가 가능하고, 자주쓰는 버 튼을 등록함으로 빠르고 편리한 조작이 가능하며, 전체 오프 기능 채널이 별도로 지정되어 전기료의 절감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리모콘의 무선 명령을 전력선 통신을 통해 타 홈 네트워크 하위 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 무선 수신 장치가 없는 제어기도 리모콘을 이용해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하위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위 디바이스의 설치 초기에 무선 수신용 채널 아이디 및 각 디바이스의 채널 아이디를 자동적으로 부여하며, 상기 하위 디바이스와 상기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게이트웨이와;
    상기 각각의 하위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채널 아이디와 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의 명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창과, 상기 디바이스중의 하나 또는 다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과, 해당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해당 디바이스의 온/오프 및 디바이스의 동작 또는 밝기를 제어하는 조작 버튼을 구비한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에서 수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바이스를 그 성격에 따라 그룹핑(grouping)한 다수의 모듈별로 설정된 수치범위 내에서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채널 아이디가 부여되고, 상기 모듈 중 하나인 스위치 모듈에 포함되는 하위 디바이스에 부여된 채널 아이디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고, 변경된 상기 채널 아이디는 변경 전 채널 아이디로 일시에 복귀될 수 있으며,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는 상기 스위치 모듈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듈은,
    집 내부에 설치된 조명 스위치를 그룹핑한 스위치 모듈과, 집 내부에 설치된 콘센트를 그룹핑한 콘센트 모듈과, 집 내부에 설치된 가스 밸브를 그룹핑한 가스 밸브 모듈과, 집 내부에 설치된 블라인더를 그룹핑한 블라인더 모듈과, 집 내부에 설치된 냉방기를 그룹핑한 냉방기 모듈과, 집 내부에 설치된 난방기를 그룹핑한 난방기 모듈과, 집 내부에 설치된 가스 오븐 레인지를 그룹핑한 가스 오븐 레인지 모듈과, 자주 사용되는 하위 디바이스를 그룹핑한 사용자 모듈과, 모든 하위 디바이스를 동시에 오프 또는 클로즈시키는 전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모듈 및 상기 블라인드 제어 모듈로 그룹핑 된 하위 디바이스는 설치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채널 아이디를 할당받고, 상기 콘센트 제어 모듈, 상기 냉방기 모듈 및 상기 가스 오븐 모듈로 그룹핑 된 하위 디바이스는 등록 순서에 따라 채널 아이디를 할당받으며, 상기 난방기 모듈로 그룹핑 된 하위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방 번호에 따라 채널 아이디를 할당받고, 상기 가스 밸브 제어 모듈로 그룹핑 된 하위 디바이스는 고정된 채널 아이디를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아이디는 리모콘의 조작버튼과 선택버튼 및/또는 해당 디바이스의 스위치를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모듈에는 채널 0번부터 채널 9번까지 설정되고, 상기 스위치 모듈에는 채널 10번부터 채널 59번까지 설정되며, 상기 콘센트 모듈에는 채널 60번부터 채널 69번까지 설정되고, 상기 블라인더 모듈에는 채널 70번부터 채널 79번까지 설정되며, 상기 난방기 모듈에는 채널 80번부터 채널 89번까지 설정되고, 상기 냉방기 모듈에는 채널 90번부터 채널 94번까지 설정되며, 상기 가스 오븐 레인지 모듈에는 채널 95번부터 채널 97번까지 설정되고, 가스 밸브 모듈에는 채널 98번이 설정되며, 전체 모듈에는 채널 99번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KR1020030099998A 2003-12-30 2003-12-30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KR100598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998A KR100598701B1 (ko) 2003-12-30 2003-12-30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998A KR100598701B1 (ko) 2003-12-30 2003-12-30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505A KR20050068505A (ko) 2005-07-05
KR100598701B1 true KR100598701B1 (ko) 2006-07-11

Family

ID=3725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998A KR100598701B1 (ko) 2003-12-30 2003-12-30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53B1 (ko) * 2006-12-19 2008-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제어기기에 대한 원격제어 아이디설정방법
KR100885887B1 (ko) * 2007-04-27 2009-02-27 삼성물산 주식회사 원터치 방식을 통한 전등 및 가스의 일괄 제어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U2022347443A1 (en) * 2021-09-17 2024-04-04 Hunter Douglas Inc. Determining placement of an architectural covering gatew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505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099B2 (en) Load control adjustment from a wireless device
US11497100B2 (en) Configuring a load control system
US20170223808A1 (en) Commissioning a configurable user control device for a lighting control system
EP3269209B1 (en) Control device having an illuminated portion controll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sensor
US20060284734A1 (en) Remote control lighting control system
US20220342373A1 (en) Configuration and control of load control systems
US11751303B2 (en) Configuring color control for lighting devices
WO2013008252A2 (en) An integrated, interoperable and re-configurable automation system
US11825574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issioning a building control system
KR100598701B1 (ko) 전력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용 자동화 시스템
EP3070800B1 (en) Electrical system f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TWM482903U (zh) 多功能智慧家庭遙控系統
KR100786528B1 (ko) 홈 네트워크 환경의 다중 디바이스 게이트웨이용 통합형리모트 컨트롤러 시스템
CN104968116A (zh) 一种基于无线通信的智能灯控制方法、装置及系统
WO2023114528A2 (en) Gesture-based load control
JP2023130911A (ja) 照明器具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KR100749046B1 (ko) 리모콘을 이용한 전등 자동제어 시스템
CN112684714A (zh) 一种家用电器人机交互系统及其智能开关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