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422B1 -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422B1
KR100598422B1 KR1020050124264A KR20050124264A KR100598422B1 KR 100598422 B1 KR100598422 B1 KR 100598422B1 KR 1020050124264 A KR1020050124264 A KR 1020050124264A KR 20050124264 A KR20050124264 A KR 20050124264A KR 100598422 B1 KR100598422 B1 KR 100598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amper
space portion
suction
volum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은
Original Assignee
(주)티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티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124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배기구와 외기흡입구 댐퍼 및 혼합 댐퍼의 기능을 모두 갖는 하나의 댐퍼를 제공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가 적고, 그 운용비가 적게 드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순환공기흡입구 및 순환공기댐퍼를 통해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공간부; 상기 흡입공간부와 일정크기의 연통구에 의해 연통되고, 그 상부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 외기흡입구가 형성된 전환공간부; 상기 전환공간부의 상부 일측에 대하여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연통구를 상하로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흡입공간부와 배기구, 또한 상기 흡입공간부와 전환공간부 및 상기 외기흡입구의 개도량을 조절하게 되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의 작동에 따라 전환공간부의 공기가 열교환을 이룬 후, 이동되어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송풍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풍량조절, 방향전환, 댐퍼, 공기조화기, 공조기, 공기조화장치

Description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Air-conditioner}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구성을 보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한 내부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 및 작동관계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보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기조화기 20 : 흡입공간부
21 : 순환공기흡입구 22 : 흡입팬부재
31 : 배기구 70 : 송풍공간부
71 : 공기송풍구 90 : 연통부
92 : 가이드홈 100 :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
102 : 제 1회동부재 104 : 제 2회동부재
106 : 가이드부 110 : 측판부
112 : 개구부 120 : 외기흡입구
130 : 전환공간부
본 발명은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배기구 댐퍼와 외기흡입구 댐퍼 및 혼합 댐퍼의 기능을 모두 갖는 하나의 댐퍼를 제공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가 적고, 그 운용비가 적게 드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산업의 발달에 따라 대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대기오염으로부터 건강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공기정화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및 기류 등을 조절하여 인간이 활동하기에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더 나아가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실내공기에 포함된 분진 등을 여과집진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송풍팬의 흡입력에 의해 실내 및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이와 같이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가열 또는 냉각된 다음 다시 실내로 토출되므로서 냉난방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사각형태의 공조기몸체부와; 상기 공조기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순환공기가 흡입되는 순환공기 흡입구(21)가 댐퍼(23)와 함께 구비되고, 그 내부에 흡입팬부재(22)가 설치되어진 순환공기 흡입공간부(20)와; 상기 순환공기 흡입공간부(20)와 연통되면서 그 내부로 유입된 일부 공기를 댐퍼(32)가 구비된 배기구(31)로 배기하는 배기공간부(30)와; 상기 배기공간부(30)에서 혼합 댐퍼(4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며, 소정량의 외기가 외기 댐퍼(42)의 조절을 받아 외기 흡입구(43)로 유입되는 외기 혼합공간부(40)와; 상기 외기 혼합공간부(40)와 근접 설치되어 흡입된 혼합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장치(50)와; 상기 필터장치(50)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이 필터장치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변환장치(60)와; 상기 열변환장치(60)와 근접/설치되어 이에 물을 살수하여 가습시키는 가습장치(80)와; 그 일측으로 공기송풍구(71)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기송풍구를 통해 강제 송출하는 송풍팬부재(72)가 설치되어진 송풍공간부(7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0)는, 공조기몸체부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순환공기 흡입구(21)의 일측에 흡입팬부재(22) 및 필터장치(50), 그리고 열변환장치(60)가 직렬로 설치되어 상기 순환공기 흡입공간부(20)의 순환공기 흡입구(21)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가 순차적으로 필터장치(50)를 통해 여과된 다음, 상기 열변환장치(60)에 의해 적당한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되고, 이와 같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가 가습장치(80)로부터 살수된 물에 의해 적당한 습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송풍공간부(70)의 송풍팬부재(72)를 통해 공기송풍구(71)로 송출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환공기흡입구(21)의 댐퍼(23)가 개방되어 순환공기가 흡입공간부(20)로 유입된 상태에서, 실내의 공기 오염도에 따라 배기구의 댐퍼(32) 및 외기흡입구의 댐퍼(42)와 혼합댐퍼(41) 개도량을 조절하면 된다.
상기 배기구의 댐퍼(32)와 외기흡입구의 댐퍼(42)는 동일한 개도력을 가지게 되며, 상기 배기공간부(30)와 외기혼합공간부(40) 사이에 위치하는 혼합 댐퍼(41)는 상기 배기구의 댐퍼(32) 및 외기흡입구의 댐퍼(42)와는 반대의 개도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실내공기의 오염으로 순환공기를 배출시키고, 반대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배기구의 댐퍼(32)와, 외기흡입구의 댐퍼(42)를 개방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배기구의 댐퍼(32) 개도량이 50% 이면, 외기흡입구의 댐퍼(42) 또한 50% 개도되고, 배기공간부와 외기혼합공간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혼합 댐퍼(41) 또한 50% 개도되게 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구의 댐퍼(32)와 외기흡입구의 댐퍼(42)는 동일하게 개도되고, 상기 배기구의 댐퍼(32) 및 외기흡입구의 댐퍼(42)와 혼합 댐퍼(41)는 반대의 개도력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 배기구의 댐퍼(32) 개도량이 10% 이면, 외기흡입구의 댐퍼(42) 또한 10% 개도되고, 혼합 댐퍼(41)는 반대로 90% 개도된다.
반대로, 상기 배기구의 댐퍼(32) 개도량이 90% 이면, 외기흡입구의 댐퍼(42) 또한 90% 개도되고, 혼합 댐퍼(41)는 반대로 10% 개도된다.
위의 기능에 따라, 실내공기 오염도가 높아 실내공기를 많이 배기시키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많이 유입시키고자 배기구 댐퍼(32)와 외기흡입구 댐퍼(42)를 50% 개도시키게 되면, 상기 혼합 댐퍼(41) 또한 50% 개도되는 바, 순환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공간부(20)로 유입된 순환공기가 흡입팬부재(22)에 의해 배기공간부(30)로 이송될 때, 일부의 공기(대략 50%)는 배기구 댐퍼(32)를 통해 배기구(31)로 배출되고, 나머지 일부(대략 50%)는 혼합 댐퍼(41)를 통해 외기혼합공간부(4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외기혼합공간부(40)로 유입된 일부의 순환공기는 외기흡입구의 댐퍼(42)를 통해 유입된 신선한 외부공기(대략 50%)와 혼합된 후, 필터장치(50), 열교환장치(60) 및 가습장치(80)등을 통해 열교환을 이룬 후, 송풍팬부재(72)에 의해 공기송풍구(71)를 거쳐 실내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순환공기의 일부가 외부로 배기되고, 반대로 배기된 만큼의 신선한 외기가 계속적으로 실내로 유입되는 과정을 거쳐 자연스럽게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 배기구 댐퍼(32)와 외기흡입구 댐퍼(42)의 개도량을 조절함으로써, 실내공기의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실내공기의 환기량을 적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기구 댐퍼(32) 및 외기흡입구 댐퍼(42)의 개도량을 적게 하여 실내공기의 배기 및 외부공기의 흡입을 적게 하고, 반대로 공기조화기를 순환하는 많은 양의 공기가 계속해서 순환되도록 하면 된다.
예컨대, 실내공기를 조금만 환기시키고자, 배기구 댐퍼(32)를 10%정도 개도시키게 되면, 외기흡입구 댐퍼(42) 또한 10% 개도되고, 반대로 혼합 댐퍼(41)는 90% 개도된다.
따라서, 흡입공간부를 거쳐 배기공간부로 이동된 순환공기 중, 90% 정도는 혼합댐퍼(41)를 통과하여 외기혼합공간부로 이동되고, 10%정도의 순환공기만 배기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상기 외기흡입구 댐퍼(42) 또한 10%정도만 개도되어 있는 바, 10%만큼의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90% 정도의 순환공기와 혼합된 후, 송풍공간부로 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매우 커서, 대부분의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고자 배기구 댐퍼(32)를 100% 개도시키게 되면, 외기흡입구 댐퍼(42) 또한 100% 개도되고, 반대로 혼합댐퍼(41)는 완전히 폐쇄된다.
따라서, 실내를 순환하던 공기는 모두 배기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100%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기조화기로 유입되어 실내를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는, 순환공기 흡입댐퍼와, 배기구와, 외기흡입구 댐퍼 및 혼합 댐퍼 등, 모두 4개의 댐퍼를 구비하고 있고, 특히 상기 배기구와, 외기흡입구 댐퍼 및 혼합 댐퍼가 각각 유기적으로 작동됨으로써, 그 구조가 매우 클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순환공기의 흡입공간부와 송풍공간부 외에, 별도의 배기공간부와 외기혼합공간부를 형성하여야 함으로써, 그 전체적인 크기가 클 수밖에 없었으며, 혼합 댐퍼를 통과한 순환공기와 외기흡입구 댐퍼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직각방향으로 부딪힘으로써, 상호 마찰에 의한 와류현상이 발생되어 원활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 송풍기의 효율이 저하되어 큰 전력을 필요로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기구 댐퍼와 외기흡입구 댐퍼 및 혼합 댐퍼를 개도 및 차폐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각각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그로 인한 공기조화기 용량이 커짐은 물론, 그에 따른 설치비 부담과 그 운용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 또한 적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배기구 댐퍼와 외기흡입구 댐퍼 및 혼합 댐퍼의 기능을 모두 갖는 하나의 댐퍼를 제공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가 적고, 그 운용비가 적게 드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마찰을 줄이고, 완전밀폐 구조로 하여 공기의 누설을 줄여 송풍기의 용량을 축소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한 설비크기가 작은 풍량 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순환공기흡입구 및 순환공기댐퍼를 통해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공간부; 상기 흡입공간부와 일정크기의 연통구에 의해 연통되고, 그 상부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 외기흡입구가 형성된 전환공간부; 상기 전환공간부의 상부 일측에 대하여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연통구를 상하로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흡입공간부와 배기구, 또한 상기 흡입공간부와 전환공간부 및 상기 외기흡입구의 개도량을 조절하게 되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의 작동에 따라 전환공간부의 공기가 열교환을 이룬 후, 이동되어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송풍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그 일측단이 전환공간부 일측 모서리에 대하여 힌지로 결합되는 제 1회동부재와; 상기 제 1회동부재의 수납공간에 대하여 수납되며, 그 단부에는 각각 측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연통구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추진장치 등에 의해 승하강하게 되는 제 2회동부재와; 상기 제 1회동부재의 일측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그 중간에 일정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2회동부재의 가이드부가 연통구의 가이드홈의 최하부까지 내려온 상태에서 상기 외기흡입구와 일치되고, 상기 제 2회동부재의 가이드부가 연통구의 가이드홈 최상부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외기흡입구와 일치되는 부위가 전혀 없게 되는 측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이루는 제 1회동부재와 제 2회동부재는 일정각도로 라운드 진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회동부재의 가이드부가 연통구의 가이드홈 중간에 위치되면, 상기 측판부의 개구부와 전환공간부의 외기흡입구가 각각 반씩 오버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 c는 본 발명에 따른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3a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가 배기, 외기흡입 및 혼합이 0% 이루어지고, 순환공기가 그대로 순환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고, 도 3b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가 배기, 외기유흡, 혼합이 각각 50% 이루어지는 위치에 있는 것이며, 도 3c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가 배기, 외기유입이 100%, 혼합이 0% 이루어지는 위치에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의 구성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종래 의 공기조화기와 대비하여 볼 때, 배기공간부와 외기혼합공간부가 하나의 전환공간부로 이루어져 있는 바, 별도의 혼합 댐퍼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환공간부(130)의 상부에는 댐퍼를 갖지 않는 배기구(31)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환공간부(130)의 일측면에는 댐퍼를 갖지 않는 외기흡입구(120)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는,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그 일측단이 전환공간부(130)의 상부 일측 모서리에 대하여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제 1회동부재(102)와, 상기 제 1회동부재(102)의 내부에 대하여 수납가능하며, 그 일단이 흡입공간부(20)와 전환공간부(130) 사이에 형성된 연통부(90)의 양측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된 제 2회동부재(104)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 1회동부재(102)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 2회동부재(104)가 수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2회동부재(104)의 단부에는, 흡입공간부(20)와 전환공간부(130) 사이에 개구된 연통부(9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9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함과 더불어 자체 회전도 가능한 힌지구조의 가이드부(106)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부(106)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액츄에이터 등의 추진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회동부재(102)의 일 측면에는 아랫방향으로 일정면적의 측판부(110)가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이 측판부(110)에는 일정크기의 개구부(112)가 형 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12)는 전환공간부(13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외기흡입구(120)와 동일크기로 형성되어서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의 이동에 따라 일치 또는 부분일치 또는 불일치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서, 그에 대한 작동관계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장치의 작동관계를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순환공기흡입구(21)의 댐퍼(23)가 개방되어 순환공기가 흡입공간부(20)로 유입된 상태에서, 실내의 공기 오염이 설정치 이하이면, 도 3a에서와 같이,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가 상승되어, 흡입공간부(20)와 전환공간부(130)를 연통시키게 된다.
즉,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의 제 2회동부재(104)는 그 가이드부(106)가 흡입공간부(20)와 전환공간부(130)를 연통시키는 연통부(9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92)을 따라 상승되면서, 제 1회동부재(102)의 수납공간내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제 1회동부재(102)는 그 일단이 전환공간부(130)의 상부 일측에 대하여 힌지로 결합되어 있는 바, 그 힌지결합부가 회동되면서 상향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회동부재(102)가 상향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 1회동부재(102)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측판부(110) 또한 상향회동됨으로써, 상기 측판부 (110)의 개구부(112)가 외기흡입구(120)와 일치되지 않고 이격된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상기 외기흡입구(120)가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공기는 흡입팬부재(22)의 송풍에 의해 전환공간부(130)로 이송되되,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의 차폐에 의해 배기구(31)와 연통이 되지 않는 바, 필터장치(50)와 열교환장치(60) 및 가습장치(80) 등을 직선방향으로 통과하여 열교환을 이룬 후, 송풍공간부(70)를 거쳐 공기송풍구(7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외기흡입구(120) 또한 차폐되어 있는 바, 외부의 공기 또한 공기조화기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어 실내공기를 배출시킴과 더불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를 도 3b에서와 같이 중간만큼 개도시키면 된다.
즉, 상기 흡입공간부(20)와 전환공간부(130)를 연통시키는 연통부(90)의 중간에 제 2회동부재(104)의 가이드부(106)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구(31)와 외기흡입구(120)가 각각 50%씩 개도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의 제 2회동부재(104)는 그 가이드부(106)가 액츄에이터 등의 추진장치에 의해 연통부(90)의 가이드홈(92)의 중간까지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 1회동부재(102)는 힌지결합부위를 기점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결합부와 가이드부(106) 사이의 길이가 더 길어지게 되는 바, 상기 제 2회동부재(104)는 늘어난 길이만큼 제 1회동부재(102)의 수납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회동부재(102)가 아랫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그 측판부(110) 또한 연동하여 아랫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측판부(110)에 형성된 개구부(112)가 전환공간부(130) 일측면에 형성된 외기흡입구(120)와 일부 즉 반 정도가 겹쳐져 50% 정도 개도된다.
따라서, 순환공기흡입구(21)를 통해 흡입공간부(20)로 유입된 순환공기가 흡입팬부재(22)의 송풍에 의해 전환공간부(130)로 이송될 때,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를 기점으로 일부(대략 50%)는 배기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대략 50%)는 외기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채로 필터장치(50)와 열교환장치(60) 및 가습장치(80)를 거쳐 열교환을 이룬 후, 송풍공간부(70)를 거쳐 공기송풍구(7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일부의 실내공기는 배출시키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게 됨으로써, 결국 환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를 배기구 10%, 전환공간부(130) 90%, 외기흡입구(120) 10% 정도 개도되도록 하거나, 그 반대로 개도되도록 하는 등, 그 개도량은 조건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실내의 공기가 많이 오염되어 실내공기를 완전히 밖으로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3c와 같이,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를 배기구(31) 쪽으로 완전히 개도시키면 된다.
즉, 상기 흡입공간부(20)와 전환공간부(130)를 연통시키는 연통부(90)의 최 하부에 제 2회동부재(104)의 가이드부(106)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구(31)가 완전히 개도되도록 하고, 흡입공간부(20)와 전환공간부(130)를 차폐시키면 된다.
이 경우,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의 제 2회동부재(104)는 그 가이드부(106)가 액츄에이터 등의 추진장치에 의해 연통부(90)의 가이드홈(92) 최 하부까지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 1회동부재(102)는 힌지결합부위를 기점으로 하향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결합부와 가이드부(106) 사이의 길이가 더 길어지게 되는 바, 상기 제 2회동부재(104)는 늘어난 길이만큼 제 1회동부재(102)의 수납공간으로부터 더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회동부재(102)가 아랫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그 측판부(110) 또한 연동하여 아랫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측판부(110)에 형성된 개구부(112)가 전환공간부(130) 일 측면에 형성된 외기흡입구(120)와 완전히 겹쳐지게 된다.
따라서, 순환공기흡입구(21)를 통해 흡입공간부(20)로 유입된 순환공기가 흡입팬부재(22)의 송풍에 의해 전환공간부(130)로 이송될 때,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에 의해 배기구(31)를 통해 모두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외기흡입구(120)가 100% 개도되어 있는 바, 외기흡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신선한 외부공기와 필터장치(50)와 열교환장치(60) 및 가습장치(80)를 거쳐 열교환을 이룬 후, 송풍공간부(70)를 거쳐 공기송풍구(71)를 통해 계속해서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높을 경우, 실내를 순환하던 공기를 모두 외부로 배기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게 됨으로써, 환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100)를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일정각도로 라운드 진 형태의 유선형인 것을 예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직선형이어도 가능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공기의 흐름시 마찰저항을 더 줄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유선형으로 한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측판부(110)의 개구부(112) 둘레에는 공기조화기에서 전환공간부(130)의 내면과 밀착되는 실링부(미도시됨)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전환공간부(130)의 외기흡입구(120)와 측판부(110)의 개구부(112)가 연통될 때, 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누설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종래에서와 같이 배기구 댐퍼와 외기흡입구 댐퍼 및 혼합 댐퍼를 모두 구비하지 않고도 단 하나의 댐퍼만으로 상기한 댐퍼들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바, 그 구조가 간단해지고 그에 따라 설비비용이 줄어듦은 물론 유지비용 또한 저감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의 흐름에 따른 마찰저항이 줄어들고, 공기의 흐름에 따른 누설량이 줄어들어 송풍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등, 그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효율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순환공기흡입구 및 순환공기댐퍼를 통해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공간부;
    상기 흡입공간부와 일정크기의 연통구에 의해 연통되고, 그 상부 일측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 외기흡입구가 형성된 전환공간부;
    상기 전환공간부의 상부 일측에 대하여 그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연통구를 상하로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흡입공간부와 배기구, 또한 상기 흡입공간부와 전환공간부 및 상기 외기흡입구의 개도량을 조절하게 되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의 작동에 따라 전환공간부의 공기가 열교환을 이룬 후, 이동되어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송풍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그 일측단이 전환공간부 일측 모서리에 대하여 힌지로 결합되는 제 1회동부재와;
    상기 제 1회동부재의 수납공간에 대하여 수납되며, 그 단부에는 각각 측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연통구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추진장치 등에 의해 승하강하게 되는 제 2회동부재와;
    상기 제 1회동부재의 일측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그 중간에 일정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2회동부재의 가이드부가 연통구의 가이드홈의 최하부까지 내려온 상태에서 상기 외기흡입구와 일치되고, 상기 제 2회동부재의 가이드부가 연통구의 가이드홈 최상부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외기흡입구와 일치되는 부위가 전혀 없게 되는 측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이루는 제 1회동부재와 제 2회동부재는 일정각도로 라운드 진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회동부재의 가이드부가 연통구의 가이드홈 중간에 위치되면, 상기 측판부의 개구부와 전환공간부의 외기흡입구가 각각 반씩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050124264A 2005-12-16 2005-12-16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0598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64A KR100598422B1 (ko) 2005-12-16 2005-12-16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64A KR100598422B1 (ko) 2005-12-16 2005-12-16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8422B1 true KR100598422B1 (ko) 2006-07-10

Family

ID=3718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264A KR100598422B1 (ko) 2005-12-16 2005-12-16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4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983B1 (ko) 2011-09-30 2012-04-09 (주)티원엔지니어링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폐열 회수형 공기조화기
KR101496971B1 (ko) * 2014-12-26 2015-03-04 주식회사 신명엔지니어링 공기믹싱챔버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352978B1 (ko) * 2021-09-30 2022-01-20 씨에이엔지니어링(주)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조화기용 회전유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6740A (ko) 1974-11-12 1975-06-23
JPS63286649A (ja) 1987-05-18 1988-11-24 Matsushita Seiko Co Ltd 空調用グリル
JPH09226346A (ja) * 1996-02-21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調装置
JP2003336877A (ja) 2002-05-21 2003-11-28 T H Ee:Kk 排気ダクトの締切り蓋機構
KR20050029921A (ko) * 2003-09-24 2005-03-2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6740A (ko) 1974-11-12 1975-06-23
JPS63286649A (ja) 1987-05-18 1988-11-24 Matsushita Seiko Co Ltd 空調用グリル
JPH09226346A (ja) * 1996-02-21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調装置
JP2003336877A (ja) 2002-05-21 2003-11-28 T H Ee:Kk 排気ダクトの締切り蓋機構
KR20050029921A (ko) * 2003-09-24 2005-03-2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983B1 (ko) 2011-09-30 2012-04-09 (주)티원엔지니어링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폐열 회수형 공기조화기
KR101496971B1 (ko) * 2014-12-26 2015-03-04 주식회사 신명엔지니어링 공기믹싱챔버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352978B1 (ko) * 2021-09-30 2022-01-20 씨에이엔지니어링(주)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공기조화기용 회전유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156B1 (ko)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
KR101790696B1 (ko)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KR100617078B1 (ko) 콤팩트형 환기시스템
KR102026341B1 (ko)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650164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40102566A (ko)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100705670B1 (ko) 다수의 열교환부를 갖는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90124698A (ko) 열교환 및 습도조절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KR102388507B1 (ko) 나노 필터를 적용한 제습 댐퍼를 포함한 공기조화기
KR20180080415A (ko) 환기장치
JP200531553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598422B1 (ko) 풍량조절 및 방향전환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0767734B1 (ko) 슬라이딩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0667228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JP2006125825A (ja) 換気装置
CN209819795U (zh) 一种空气调节用风机
KR20030063843A (ko) 환기장치
KR100572122B1 (ko) 가변 풍량 및 풍향 댐퍼를 갖는 공기조화기
CN208139507U (zh) 一种新风机
KR20030063868A (ko) 환기장치
KR20060026759A (ko) 온도센서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CN218820712U (zh) 洁净式空调机组
KR20030063842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운영방법
CN109882935A (zh) 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20070089001A (ko) 창호형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