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293B1 - 가변비트율 부호화장치 - Google Patents

가변비트율 부호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293B1
KR100598293B1 KR1019990041650A KR19990041650A KR100598293B1 KR 100598293 B1 KR100598293 B1 KR 100598293B1 KR 1019990041650 A KR1019990041650 A KR 1019990041650A KR 19990041650 A KR19990041650 A KR 19990041650A KR 100598293 B1 KR100598293 B1 KR 100598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bit
bit amount
error
all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504A (ko
Inventor
후쿠다히데키
나카무라가즈히코
가와사키고지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5Selection of the code volume for a coding unit prior to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onitoring actual compressed data size at the memory before deciding storage at the transmission buf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생비트량의 총합을 규제하면서, 부호화 난도가 높은 장면이 계속되는 경우에도 각 장면에 최저한의 평균목표량만큼의 할당비트량을 확보함으로써 고화질을 보증하기 위한 가변비트율 부호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어진 평균목표량 Ba와 부호화 비트스트림의 소정기간마다의 발생비트량 Bg의 차를 차례로 가산함으로써 누적오차 D를 계산한다. 압축부호화기(10)로의 할당비트량 Bt의 결정에 있어서, 장면의 전환 직후의 프레임에서는 평균목표량 Ba를 상회하는 비트량을 복잡한 장면에 할당하도록 부호화 난도 X에 따라 가할당 비트량을 결정하고, 또 누적오차 D가 소정량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가할당 비트량을 최대한 평균목표량 Ba까지 줄이도록 누적오차 D의 크기에 따라 가할당 비트량을 보정한다. 동일 장면내의 프레임에서는 누적오차 D가 미리 설정된 최대량 Dmax를 상회하지 않도록 직전의 할당비트량 Bt를 차례로 갱신한다.

Description

가변비트율 부호화장치{VARIABLE BIT RATE COD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부호화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부호화장치에 있어서의 피드백제어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할당비트량 Bt의 시간추이를 나타내고, (b)는 누적오차 D의 시간추이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부호화장치에 있어서의 누적오차 D에 따른 할당비트량 Bt의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부호화 난도(難度)가 높은 장면이 계속된 경우의 도 1의 부호화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부호화 난도 X의 시간추이를 나타내고, (b)는 할당비트량 Bt의 시간추이를 나타내며, (c)는 누적오차 D의 시간추이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5는 부호화 난도가 높은 장면과 부호화 난도가 낮은 장면이 혼재된 경우의 도 1의 부호화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부호화 난도 X의 시간추이를 나타내고, (b)는 할당비트량 Bt의 시간추이를 나타내며, (c)는 누적오차 D의 시간추이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압축부호화기 20 : 부호량 제어기
21 : 발생비트량 검출기 22 : 오차비트량 계산기
23 : 누산기 24 : 비트할당기
25 : 부호화 난도 검출기 26 : 난도변화 검출기
Ba : 평균목표량 Bg : 발생비트량
Bst : 가할당 비트량 Bt : 할당비트량
d : 오차비트량 D : 누적오차
Di : 누적오차의 초기값 Dmax : 누적오차의 최대량
X : 부호화 난도 Xa : 평균난도
△X : 난도변화 검출신호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부호화 비트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실시간 가변비트율 제어의 부호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신호의 압축부호화 처리를 위한 국제표준방식으로서 MPEG2 방식이 있다. MPEG2 방식에서는 하나의 화면을 복수의 화소로 된 블록으로 분할하고, 각 블록에 이산코사인변환(DCT)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얻어진 변환계수를 양자화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함으로써 공간방향의 리던던시(redundancy)를 삭제하는 것과,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모션보상을 행하는 전(前)방향예측 프레임 부호화처리 및 양방향예측 프레임 부호화처리를 조합하는 것으로 시간방향의 리던던시를 삭제함으로써 고압축, 고화질을 실현하고 있다.
영상에는 움직임이 심한 장면, 복잡한 그림을 많이 포함하는 장면인 부호화 난도가 높은 장면과, 움직임이 적고 단조로운 장면인 부호화 난도가 낮은 장면이 혼재되어 있다. 부호화 난도가 높은 장면에 충분한 비트량을 주지 않을 경우, 블록노이즈, 모스키토노이즈라는 DCT부호화처리 특유의 노이즈가 발생하여 화질이 현저히 열화된다.
따라서 고정비트율 제어로 고화질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부호화 난도가 높은 장면에 맞춘 높은 비트율로 부호화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 부호화 난도가 낮은 장면에서는 상대적으로 과대한 비트량을 할당하게 되고,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경우, 가변비트율 제어한 경우보다 많은 기록용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광디스크를 기록매체로 한 디지털 비디오디스크(DVD)에서는 가변비트율 제어에 의한 MPEG2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단 종래에는 영상의 부호화 난도 측정처리와 부호화처리의 적어도 두 경로의 처리가 필요하였다. 즉 기록하는 장면의 복잡도를 미리 측정한 후 그 복잡도에 따라 비트할당을 행하여 부호화처리하는 비실시간방식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신호를 부호화 비트스트림으로 실시간에 변환하기 위한 가변비트율 부호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호화장치는 가변 할당비트량에 따른 가변비트율을 갖는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도록 영상신호를 압축부호화하기 위한 압축부호화기와, 주어진 평균목표량과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의 소정기간마다의 발생비트량의 차를 차례로 가산함으로써 누적오차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수단과, 상기 영상신호에 의해 나타낸 장면의 복잡도를 나타내는 부호화 난도를 검출하기 위한 부호화 난도 검출기와, 장면의 전환를 검출하기 위한 변화검출기와, 장면의 전환 직후의 프레임에서는 상기 평균목표량을 상회하는 비트량을 복잡한 장면에 할당하도록 상기 검출된 부호화 난도에 따라 가할당 비트량을 결정하고, 또 상기 누적오차가 소정량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할당 비트량을 최대한 상기 평균목표량까지 줄이도록 상기 누적오차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할당 비트량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할당비트량을 결정하고, 동일 장면내의 프레임에서는 상기 누적오차가 미리 설정된 최대량을 상회하지 않도록 직전의 상기 할당비트량을 차례로 갱신하기 위한 비트할당기를 구비한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가변비트율 부호화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부호화장치는 가변 할당비트량 Bt에 따른 가변비트율을 갖는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도록 영상신호를 압축부호화하기 위한 압축부호화기(10)와, 발생부호 량을 제어하기 위한 부호량 제어기(20)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부호화기(10)는 MPEG2방식의 압축부호화처리를 실현하는 것으로서, 이산코사인 변환기, 양자화기, 가변길이 부호화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할당비트량 Bt는 압축부호화기(10)에서의 양자화폭을 규정한다. 얻어진 부호화 비트스트림은, 예를 들면 디스크형의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부호량 제어기(20)는 부호화 비트스트림의 소정기간마다의 발생비트량 Bg를 검출하기 위한 발생비트량 검출기(21)와, 검출된 발생비트량 Bg와 주어진 평균목표량 Ba의 차를 오차비트량 d로서 구하기 위한 오차비트량 계산기 (22)와, 갱신된 누적오차 D를 구하도록 직전의 누적오차에 오차비트량 d를 가산하기 위한 누산기(23)와, 압축부호화기(10)로의 할당비트량 Bt를 제어하기 위한 비트할당기(24)와, 상기 영상신호에 의해 나타낸 장면의 복잡도를 나타내는 부호화 난도 X를 발생비트량 Bg에 기초하여 검출하기 위한 부호화 난도 검출기(25)와, 부호화 난도 X의 변화에 기초하여 장면의 전환을 검출하기 위한 난도변화 검출기(26)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화 난도 X는 발생비트량 Bg와 양자화폭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X는 장면 전환시에 비트할당기(24)로 공급되는 난도변화 검출신호이다. Di는 누적오차의 초기값을, Dmax는 누적오차의 최대량을 각각 나타낸다. 여기에서 누적오차 D와 그 최대량 Dmax의 차를 여유량 M으로 정의한다.
비트할당기(24)는 장면의 전환 직후에는 부호화 난도 X에 따라 할당비트량 Bt를 새롭게 결정하고, 동일 장면내에서는 직전의 할당비트량 Bt를 차례로 갱신하도록 피드백제어를 행한다. 즉, 장면의 전환 직후의 프레임에서는 비트할당기(24)는 평균난도 Xa를 상회하는 부호화 난도 X를 나타내는 복잡한 장면에는 평균목표량 Ba를 상회하는 비트량을 할당하도록 가할당 비트량 Bst를 결정하고, 또 이 시점에서 누적오차 D가 소정량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가할당 비트량 Bst를 최대한 평균목표량 Ba까지 줄이도록 누적오차 D의 크기에 따라 가할당 비트량 Bst를 보정함으로써 할당비트량 Bt를 결정한다. 단 평균난도 Xa를 하회하는 부호화 난도 X를 나타내는 단조로운 장면에는 평균목표량 Ba를 하회하는 비트량 Bt가 할당된다. 동일 장면내의 프레임에서는 비트할당기(24)는 누적오차 D가 미리 설정된 최대량 Dmax를 상회하지 않도록 직전의 할당비트량 Bt를 차례로 갱신한다. 이때 비트할당기(24)는 누적오차 D가 최대량 Dmax에 가까워짐에 따라 할당비트량 Bt가 평균목표량 Ba에 가까워지도록, 갱신된 할당비트량 Bt를 결정한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부호화장치에 있어서의 피드백제어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할당비트량 Bt의 시간추이를 나타내며, 도 2의 (b)는 누적오차 D의 시간추이를 각각 나타낸다.
발생비트량 Bg는, 예를 들면 화상그룹(Group of Picture : GOP)단위로 발생하는 부호량이다. 여기에서 n번째 GOP의 발생비트량을 Bg[n]으로 한다. 이 때 n번째 GOP의 오차비트량 d[n], 누적오차 D[n], 여유량 M[n] 및 할당비트량 Bt[n]은 다음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로 각각 나타낸다.
Figure 111999012045068-pat00006
Figure 111999012045068-pat00007
Figure 111999012045068-pat00008
Figure 111999012045068-pat00009
여기에서 k는,
Figure 111999012045068-pat00010
에 의해 결정되는 피드백계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드백계수 k는 여유량 M에 따라 가변한다. 할당비트량 Bt가 평균목표량 Ba에 가까워지는 속도는 여유량 M, 초기할당비트량 Bt[0] 에 따라 다르다.
도 2의 (a) 및 (b) 중의 일점쇄선은 상기 수학식 4 중의 피드백계수 k를 고정한 경우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누적오차 D가 최대량 Dmax를 상회한다. 따라서 주어진 매체용량 내에서 원하는 기록시간의 영상을 기록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임의의 시각 t에서 누적오차 D가 최대량 Dmax를 상회하는 일은 없고, 할당비트량 Bt가 평균목표량 Ba를 하회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어진 매체용량에 대하여 기록시간을 보증할 수 있다. 또 상기에 덧붙여 누적오차의 최소량 Dmin도 지정하고, 누적오차 D가 최소량 Dmin을 하회하지 않도록 할당비트량 Bt를 갱신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도 3은 도 1의 부호화장치에 있어서의 누적오차 D에 따른 할당비트량 Bt의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비트할당기(24)는 복잡한 장면에 평균목표량 Ba를 상회하는 비트량을 할당하도록 가할당 비트량 Bst를 결정한다. 이 시점에서 누적오차 D가 소정량(예를 들면 0)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가할당 비트량 Bst를 최대한 평균목표량 Ba까지 줄이도록 누적오차 D의 크기에 따라 가할당 비트량 Bst가 보정된다. 이 보정에 의해 할당비트량 Bt가 결정된다. 또 여유량 M이 매우 커진 경우에는 단조로운 장면에 대하여 최대한 평균목표량 Ba까지의 비트량 Bt의 할당을 허용하도록 해도 된다.
도 4의 (a)∼(c)는 부호화 난도가 높은 장면이 계속된 경우의 도 1의 부호화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부호화 난도 X의 시간추이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할당비트량 Bt의 시간추이를 나타내며, 도 4의 (c)는 누적오차 D의 시간추이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Di=0, 따라서 여유량의 초기값 Mi가 Dmax로 설정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4의 (a)∼(c)에 의하면 부호화 개시시에 여유량 M이 충분히 있기 때문에 부호화 난도 X에 따라 평균목표량 Ba보다 큰 할당비트량 Bt가 된다. 그러나 여유량 M이 없어짐에 따라 할당되는 비트량 Bt는 감소된다. 그리고 누적오차 D가 최대량 Dmax에 도달한다. 이렇게 하여 여유량 M이 제로(0)가 되면, 예를 들어 부호화 난도 X가 높은 장면이더라도 평균목표량 Ba밖에 주지 않는다. 따라서 총부호량이 소정량을 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기록시간이 보증되고, 또 여유량 M이 없어진 경우라도 고정비트율 제어의 화질이 보증된다.
도 5의 (a)∼(c)는 부호화 난도가 높은 장면과 부호화 난도가 낮은 장면이 혼재된 경우의 도 1의 부호화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부호화 난도 X의 시간추이를 나타내고, (b)는 할당비트량 Bt의 시간추이를 나타내며, (c)는 누적오차 D의 시간추이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Di = Dmax, 따라서 여유량의 초기값 Mi가 제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의 (a)∼(c)에 의하면, 부호화 개시시에는 여유량 M이 없기 때문에 부호화 난도 X가 높은 장면이지만 평균목표량 Ba 밖에 할당할 수 없다. 그 후 계속되는 부호화 난도 X가 낮은 장면에서, 평균목표량 Ba보다 적은 비트량 Bt가 할당된다. 이 결과, 누적오차(D)는 저하된다. 즉 여유량 M이 축적된다. 다음에 부호화 난도 X가 높은 장면으로 되었을 때에는 축적된 여유량 M을 인출하여 충분한 할당을 행한다. 이와 같이 부호화 난도가 높은 장면과 부호화 난도가 낮은 장면이 혼재된 일반적인 영상에서는 여유량 M의 저장과 소비가 평균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장면의 부호화 난도 X에 따른 가변비트율 제어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누적오차의 초기값 Di는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의 기록예정시간 Tv[분]에 따라 결정해도 된다. 여기에서 기록율을 Rv[bps]로 하면, 예를 들면,
(1)기록예정시간(Tv)이 30분 미만인 경우에는, Dmax, Mi, Rva, Di는 다음의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9와 같이 된다.
Figure 111999012045068-pat00011
Figure 111999012045068-pat00012
Figure 111999012045068-pat00013
Figure 111999012045068-pat00014
(2)기록예정시간(Tv)이 30분 이상인 경우에는, Dmax, Mi, Rva, Di는 다음의 수학식 10 내지 수학식 13과 같이 된다.
Figure 111999012045068-pat00015
Figure 111999012045068-pat00016
Figure 111999012045068-pat00017
Figure 111999012045068-pat00018
여기에서 Rva는 평균목표량 Ba에 대응하는 평균목표율이다.
기록예정시간 Tv가 불명확한 경우(예약녹화가 아닐 때)에는 기록매체의 기록잔량으로부터 계산한 최대기록 가능시간을 기록예정시간 Tv로 한다. 단 최대기록 예정시간을 예를 들면 60분으로 제한해도 된다.
이상, 도 1 중의 압축부호화기(10)에 MPEG2방식을 채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다른 압축부호화방식이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동 도면중의 부호량 제어기(2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소프트웨어로 실현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예에서는 발생비트량 Bg로부터 부호화 난도 X를 검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입력영상신호의 공간적인 레벨변화량을 부호화 난도로서 검출해도 되고, 프레임 사이에서의 시간적인 레벨변화량을 부호화 난도로서 검출해도 된다. 또 상기 예에서는 부호화 난도 X의 변화에 기초하여 장면 전환을 검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경우에는 예측오차신호의 절대값합, 2승합 등에 기초하여 장면전환을 검출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 할당비트량에 따른 가변비트율을 갖는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도록 영상신호를 압축부호화하기 위한 압축부호화기와, 주어진 평균목표량과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의 소정기간마다의 발생비트량의 차를 차례로 가산함으로써 누적오차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수단과, 상기 누적오차가 미리 설정된 최대량을 상회하지 않도록 상기 할당비트량을 갱신제어하기 위한 비트할당기를 구비한 구성을 채용하였으므로 영상신호를 부호화 비트스트림으로 실시간에 변환하기 위한 가변비트율 부호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누적오차가 상기 최대량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할당비트량이 상기 평균목표량에 가까워지도록, 갱신된 상기 할당비트량을 결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상기 발생비트량의 총합을 규제하면서, 부호화 난도가 높은 장면이 계속되는 경우에도 각 장면에 최저한 상기 평균목표량만큼의 할당비트량이 확보되어, 고화질이 보증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 할당비트량에 따른 가변비트율을 갖는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도록 영상신호를 압축부호화하기 위한 압축부호화기와, 주어진 평균목표량과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의 소정기간마다의 발생비트량의 차를 차례로 가산함으로써 누적오차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수단과, 상기 영상신호에 의해 나타낸 장면의 복잡도를 나타내는 부호화 난도를 검출하기 위한 부호화 난도 검출기와, 상기 평균목표량을 상회하는 비트량을 복잡한 장면에 할당하도록 상기 검출된 부호화 난도에 따라 가할당 비트량을 결정하고, 또 상기 누적오차가 소정량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할당 비트량을 최대한 상기 평균목표량까지 줄이도록 상기 누적오차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할당 비트량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할당비트량을 결정하기 위한 비트할당기를 구비한 구성을 채용하였으므로 영상신호를 부호화 비트스트림으로 실시간에 변환하기 위한 가변비트율 부호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발생비트량의 총합을 규제하면서 부호화 난도가 높은 장면이 계속되는 경우라도 각 장면에 최저한 상기 평균목표량만큼의 할당비트량이 확보되어 고화질이 보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가능한 DVD 등의 광디스크, 하드디스크, 기타 가변율의 비트스트림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실시간에 기록하는 경우, 기록매체의 기록용량에 따라 영상신호의 부호화 난도에 따라 가장 적합하게 비트할당을 하면서 정해진 시간의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가변의 할당비트량에 따른 가변비트율을 갖는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도록 영상신호를 압축부호화하기 위한 압축부호화기와,
    주어진 평균목표량과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의 소정기간마다의 발생비트량의 차를 차례로 가산함으로써 누적오차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수단과,
    상기 누적오차가 미리 설정된 최대량을 상회하지 않도록 상기 할당비트량을 갱신제어하기 위한 비트할당기를 구비하며,
    상기 비트할당기는, 상기 누적오차가 상기 최대량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할당비트량이 상기 평균목표량에 가까워지도록, 갱신된 상기 할당비트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발생비트량을 검출하기 위한 발생비트량 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발생비트량과 상기 평균목표량의 차를 오차비트량으로서 구하기위한 오차비트량 계산기와,
    갱신된 상기 누적오차를 구하도록 직전의 상기 누적오차에 상기 구해진 오차비트량을 가산하기 위한 누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기에 있어서의 상기 누적오차의 초기값은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의 기록예정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5. 가변 할당비트량에 따른 가변비트율을 갖는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도록 영상신호를 압축부호화하기 위한 압축부호화기와,
    주어진 평균목표량과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의 소정기간마다의 발생비트량의 차를 차례로 가산함으로써 누적오차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수단과,
    상기 영상신호에 의해 나타낸 장면의 복잡도를 나타내는 부호화 난도를 검출하기 위한 부호화 난도 검출기와,
    상기 평균목표량을 상회하는 비트량을 복잡한 장면에 할당하도록 상기 검출된 부호화 난도에 따라 가할당 비트량을 결정하고, 또 상기 누적오차가 소정량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할당 비트량을 최대한 상기 평균목표량까지 줄이도록 상기 누적오차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할당 비트량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할당비트량을 결정하기 위한 비트할당기를 구비하며,
    상기 비트할당기는, 상기 누적오차가 상기 최대량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할당비트량이 상기 평균목표량에 가까워지도록, 갱신된 상기 할당비트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할당기는 복잡하지 않은 장면에 상기 평균목표량을 하회하는 비트량을 할당하도록 상기 할당비트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발생비트량을 검출하기 위한 발생비트량 검출기와, ·
    상기 검출된 발생비트량과 상기 평균목표량의 차를 오차비트량으로서 구하기위한 오차비트량 계산기와,
    갱신된 상기 누적오차를 구하도록 직전의 상기 누적오차에 상기 구해진 오차비트량을 가산하기 위한 누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난도 검출기는 상기 발생비트량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발생비트량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난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기에 있어서의 상기 누적오차의 초기값은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 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의 기록예정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0. 가변 할당비트량에 따른 가변비트율을 갖는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도록 영상신호를 압축부호화하기 위한 압축부호화기와,
    주어진 평균목표량과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의 소정 기간마다의 발생비트량의 차를 차례로 가산함으로써 누적오차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수단과,
    상기 영상신호에 의해 나타낸 장면의 복잡도를 나타내는 부호화 난도를 검출하기 위한 부호화 난도 검출기와,
    장면의 전환을 검출하기 위한 변화검출기와,
    장면의 전환 직후의 프레임에서는 상기 평균목표량을 상회하는 비트량을 복잡한 장면에 할당하도록 상기 검출된 부호화 난도에 따라 가할당 비트량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누적오차가 소정량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할당 비트량을 최대한 상기 평균목표량까지 줄이도록 상기 누적오차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할당 비트량을 보정함으로써 상기 할당비트량을 결정하고, 동일 장면내의 프레임에서는 상기 누적오차가 미리 설정된 최대량을 상회하지 않도록 직전의 상기 할당비트량을 차례로 갱신하기 위한 비트할당기를 구비하며,
    상기 비트할당기는, 상기 누적오차가 상기 최대량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할당비트량이 상기 평균목표량에 가까워지도록, 갱신된 상기 할당비트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할당기는 복잡하지 않은 장면에 상기 평균목표량을 하회하는 비트 량을 할당하도록 상기 할당비트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수단은,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발생비트량을 검출하기 위한 발생비트량 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발생비트량과 상기 평균목표량의 차를 오차비트량으로서 구하기위한 오차비트량 계산기와,
    갱신된 상기 누적오차를 구하도록 직전의 상기 누적오차에 상기 구해진 오차비트량을 가산하기 위한 누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난도 검출기는 상기 발생비트량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발생비트량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난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검출기는 상기 부호화 난도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상기 부호화 난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장면의 전환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기에 있어서의 상기 누적오차의 초기값은 상기 최대량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기에 있어서의 상기 누적오차의 초기값은 상기 부호화 비트스트림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의 기록예정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장치.
KR1019990041650A 1998-09-29 1999-09-29 가변비트율 부호화장치 KR100598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74939 1998-09-29
JP27493998 1998-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504A KR20000023504A (ko) 2000-04-25
KR100598293B1 true KR100598293B1 (ko) 2006-07-07

Family

ID=1754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650A KR100598293B1 (ko) 1998-09-29 1999-09-29 가변비트율 부호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10176B1 (ko)
KR (1) KR100598293B1 (ko)
CN (2) CN11746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322B1 (en) * 1999-06-08 2003-09-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coding apparatus
JP4607305B2 (ja) * 2000-09-27 2011-01-05 株式会社東芝 映像符号化装置及び映像符号化方法
JP2002197015A (ja) * 2000-12-27 2002-07-12 Toshiba Corp 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配信方法
GB2387055A (en) * 2002-03-28 2003-10-01 Sony Uk Ltd Data compression method including target data quantity allocation
KR100468726B1 (ko) * 2002-04-18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가변 비트율 제어를 수행하는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7769084B1 (en) 2002-07-15 2010-08-03 Apple Inc. Method for implementing a quantizer in a multimedia compression and encoding system
US7418037B1 (en) * 2002-07-15 2008-08-26 Apple Inc. Method of performing rate control for a compression system
US7804897B1 (en) 2002-12-16 2010-09-28 Apple Inc. Method for implementing an improved quantizer in a multimedia compression and encoding system
US7940843B1 (en) 2002-12-16 2011-05-10 Apple Inc. Method of implementing improved rate control for a multimedia compression and encoding system
US8982945B2 (en) * 2003-11-04 2015-03-17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ncoding video information using a variable bit-rate
JP4257655B2 (ja) * 2004-11-04 2009-04-2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
GB2432985A (en) * 2005-12-05 2007-06-06 Univ Robert Gordon Encoder control system based on a target encoding value
KR102584526B1 (ko) * 2016-09-26 2023-10-05 한화비전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213585B (zh) * 2018-10-31 2022-10-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编码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14513664B (zh) * 2022-04-18 2022-07-22 鹏城实验室 视频帧编码方法、装置、智能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981A (ko) * 1995-12-27 1997-07-31 구자홍 동영상 부호화기의 할당비트율 제어방법 및 장치
KR19980029969A (ko) * 1996-10-28 1998-07-25 양승택 장면 전환시의 비트 할당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1484A (en) * 1991-11-08 1993-07-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tion video compression system with adaptive bit allocation and quantization
DE69330043T2 (de) * 1992-10-28 2001-07-19 Victor Company Of Japan Kodiervorrichtung und -verfahren mit variablen Übertragungsraten
US5426463A (en) * 1993-02-22 1995-06-20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quantizing in a video signal compressor
US6055270A (en) * 1994-04-20 2000-04-25 Thomson Cosumer Electronics, Inc. Multiplexer system using constant bit rate encoders
JPH08149413A (ja) 1994-09-22 1996-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ビットレート符号化装置および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5675384A (en) * 1995-10-03 1997-10-07 Nec Usa, Inc. VBR MPEG video encoding for ATM networks with dynamic bandwidth renegotiation
US5929916A (en) * 1995-12-26 1999-07-27 Legall; Didier J. Variable bit rate encoding
JP3392335B2 (ja) 1996-11-26 2003-03-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動画像可変ビットレート符号化装置、動画像可変ビットレート符号化方法、および動画像可変ビットレート符号化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10164581A (ja) * 1996-12-03 1998-06-19 Sony Corp 画像信号符号化方法及び装置、信号記録媒体
US6263020B1 (en) * 1996-12-24 2001-07-1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it rate control in a digital video system
US6088392A (en) * 1997-05-30 2000-07-11 Lucent Technologies Inc. Bit rate coder for differential quantization
KR19990042668A (ko) * 1997-11-27 1999-06-15 정선종 다중 비디오 전송을 위한 비디오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6037987A (en) * 1997-12-31 2000-03-14 Sarnoff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rate and distortion based coding mode for a coding system
US6192154B1 (en) * 1998-01-26 2001-0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wo-pass encoding method of digital motion video sequences for constant-or variable bit rate
US6212232B1 (en) * 1998-06-18 2001-04-0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Rate control and bit allocation for low bit rate video communication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7981A (ko) * 1995-12-27 1997-07-31 구자홍 동영상 부호화기의 할당비트율 제어방법 및 장치
KR19980029969A (ko) * 1996-10-28 1998-07-25 양승택 장면 전환시의 비트 할당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70057981 *
101998002996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4624C (zh) 2004-11-03
CN1234246C (zh) 2005-12-28
KR20000023504A (ko) 2000-04-25
CN1516472A (zh) 2004-07-28
CN1249628A (zh) 2000-04-05
US6510176B1 (en) 200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6596B1 (ko) 비디오 데이터 부호화 장치 및 비디오 데이터 부호화 방법
KR100598293B1 (ko) 가변비트율 부호화장치
US7092441B1 (en) Moving pictures encoding with constant overall bit rate
US6625322B1 (en) Image coding apparatus
JP4256574B2 (ja) 画像信号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信号符号化装置
US6697567B1 (en) Dynamic image encoding apparatus
US20050036698A1 (en) Method of controlling encoding rate, method of transmitting video data, encoding rate controller for video encoder, and video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encoding rate controller
US7388995B2 (en) Quantization matrix adjusting method for avoiding underflow of data
US7065138B2 (en) Video signal quantiz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1999001987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encoding, encoding system, transmission system and broadcast system
WO2002032141A2 (en) Video bitrate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digital video recording
WO2000065842A1 (en) Image encoder and its method
EP1157560B1 (en) Bit rate control for video data compression
JPH10191343A (ja) 映像データ圧縮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4328150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
JPH06141298A (ja) 可変転送レート符号化装置及び記録媒体
JPH11275577A (ja) 映像信号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3152148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2000174635A (ja) 可変ビットレ―ト符号化装置
JP3767007B2 (ja) 符号化装置および符号化方法
KR100214578B1 (ko) 영상정보의 실시간 가변비트레이트 코딩방법 및 장치
JP3307367B2 (ja) 可変転送レート符号化装置
KR100214584B1 (ko) 가변율 동영상 부호화기의 비트량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1409835A (zh) 利用拉格朗日乘子和视觉掩蔽来控制速率-失真折中的方法和装置
JP4604757B2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