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407B1 -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407B1
KR100597407B1 KR1020040051999A KR20040051999A KR100597407B1 KR 100597407 B1 KR100597407 B1 KR 100597407B1 KR 1020040051999 A KR1020040051999 A KR 1020040051999A KR 20040051999 A KR20040051999 A KR 20040051999A KR 100597407 B1 KR100597407 B1 KR 100597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rame
data
node
count value
hop 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195A (ko
Inventor
남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1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407B1/ko
Publication of KR20060003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0Hop count for routing purposes, e.g. TT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홉 카운트값을 1홉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증가된 홉 카운트값에 따라 무선 링크를 점유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임계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 및 재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무선 링크를 점유하여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쳐온 홉수가 많은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성공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그 재전송에 소비되는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애드 혹 네트워크, RTS 임계값, 재시도 제한값, 백오프 알고리즘

Description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d hoc network}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애드 혹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애드 혹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노드의 데이터 패킷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 제어부 220 : 카운트부
230 : 송수신부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쳐온 홉(hop) 수가 많은 데이터 프레임일수록 그 전송 성공 가능성을 높이도록 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Mobile ad hoc network; MANET)는 이동성을 갖는 네트워크 장치(이하 노드(node)라 한다)들 간에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에 기반하지 않고 무선 링크(wireless link)를 이용하여 통신을 확보하는 네트워크이다. 애드 혹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에 비하여 제한된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한다. 따라서 애드 혹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주된 관심사로서, 제한된 네트워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중 하나는 소스 노드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패킷이 최단 경로를 따라 목적지 노드까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도 1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5개의 노드로 구성된 애드 혹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며, 화살표로 연결되는 각 노드는 1홉 거리에 있음을 의미한다.
노드1이 노드4를 목적지로 하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려는 경우 데이터 패킷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는 노드5를 경유하는 제1 경로(110)와 노드2 및 노드3을 경 유하는 제2 경로(120)가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경로(11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은 총 2홉을 거치게 되며, 제2 경로(120)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은 총 3홉을 거치게 된다.
데이터 패킷이 1홉을 거칠 때 마다 네트워크 자원을 소비하므로, 데이터 패킷이 보다 짧은 경로(적은 홉수)를 거쳐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노드1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제1 경로(110)를 통해 노드4까지 전달된다.
각 노드간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최단 경로는 헬로우 패킷(Hello packet)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헬로우 패킷은 애드 혹 네트워크에 속한 각 노드들이 이웃 노드들의 상태와 전체 네트워크의 토폴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교환하는 메시지이다.
이처럼 최단 경로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것이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이기는 하나, 특정 시간에 최단 경로 지역에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 무선 링크를 선점하기 위한 주변 노드들의 경쟁에 의해 데이터 패킷의 전송 효율이 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로드 밸런스(load balance)를 고려하여 라우팅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이 사용되기도 한다.
즉 최단 경로에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 데이터 패킷의 전송 경로가 길어지더라도 대역폭이 남아있는 경로를 선정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함으로써 전체 네트워크 자원 사용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의 기술에서는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방법으로써,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라우팅 경로를 찾는데 주된 관심을 두었다. 그러나 라우팅 경로를 찾는 문제와는 별개로, 여러 노드를 경유한(거쳐온 홉수가 많은) 데이터 패킷은 적은 홉수를 거쳐온 데이터 패킷보다 그 전송에 우선순위를 두어 전송 성공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예컨데 도 2에서, 노드5가 소스 노드이고 노드4가 목적지 노드인 제1 데이터 패킷은 1홉만 거치면 목적지까지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제1 데이터 패킷의 전송이 실패하더라도, 이를 재전송하기 위해 노드5는 무선 링크를 한번만 더 점유하면 된다.
한편 노드1이 소스 노드이고 노드4가 목적지 노드인 제2 데이터 패킷은 총 3홉을 거쳐야 목적지까지 전송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패킷이 2홉을 거쳐서 노드3까지 전송된후 노드3이 무선 링크를 선점하지 못하거나 네트워크 혼잡 등의 이유로 제2 데이터 패킷의 전송이 수차례 실패하여 제2 데이터 패킷이 노드3에서 버려진 경우, 제2 데이터 패킷은 노드1부터 다시 전송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제2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위해 노드1 내지 노드3은 또다시 무선 링크를 선점해야 하며, 전술한 제1 데이터 패킷의 재전송 경우보다 더 많은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데이터 패킷의 전송에 있어서, 거쳐온 홉수가 많은 데이터 패킷일수록 그 전송 성공율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거쳐온 홉수가 많은 데이터 프레임일수록 그 전송 성공율을 높임으로써, 재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홉 카운트값을 1홉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증가된 홉 카운트값에 따라 무선 링크를 점유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임계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무선 링크를 점유하여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노드의 데이터 패킷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최초 소스 노드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S110).
소스 노드는 전송할 데이터 프레임을 패킷화하는데, 이때 각 패킷이 포워딩되어 거쳐온 홉수를 나타내는 정보(Forward Hop Count, 이하 홉 카운트값이라 한다)를 설정한다(S120). 소스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 패킷은 홉 카운트값이 0으로 설정되며, 그후 데이터 패킷이 각 노드를 경유할 때마다 이를 포워딩하는 노드들은 홉 카운트값을 1씩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홉 카운트값은 일반 데이터 패킷의 헤더영역중 TTL 필드(Time to Live)에 설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이터 패킷를 구성하는 기타 필드중 일부를 할애하여 홉 카운트값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홉 카운트값을 0으로 설정한 소스 노드는 홉 카운트값이 설정된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한다(S130).
일반적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크기가 큰경우 노드는 이를 패킷화 하여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게 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이러한 의미를 생략하고 각 노드가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최초 홉 카운트값이 설정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면(S210), 이를 수신한 노드(이하 수신 노드라 한다)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다른 노드를 위해 포워딩 되어야 하는지 판단한다(S220). 데이터 프레임의 포워딩 여부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목적지 주소 등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즉,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목적지 주소가 다른 노드의 주소이거나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로 설정된 경우 수신 노드는 이를 포워딩하게 된다. 또한 수신 노드가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은 소스 노드로부터 직접 수신된 것일수도 있고, 다른 노드에 의해 중계된 것일 수도 있다.
데이터 프레임을 포워딩해야 하는 경우, 수신 노드는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홉 카운트값을 1홉 만큼 증가시킨다(S230).
그후 증가된 홉 카운트값에 따라 RTS/CTS(Request to Send/Clear to Send) 절차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전송 요청 임계값(RTS threshold, 이하 RTS 임계값이라 한다)을 재설정 한다(S240).
일반적으로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송신 노드는 RTS 프레임을 통해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개시한다. RTS 프레임은 여러 목적으로도 기능하는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위하여 무선 링크를 예약하는 것과 함께, 이를 수신한 노드들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시킨다.
목적지 노드가 RTS 프레임을 수신한다면 CTS 프레임으로 응답한다. RTS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CTS 프레임은 다른 노드들의 데이터 프레임 송신을 중단시킨다. RTS/CTS 교환이 완료되면, 송신 노드는 다른 노드들의 방해를 받지 않고 안전하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크기가 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위해서는 이러한 RTS/CTS 절차를 이용하여 무선 링크를 예약하는 것이 유리한 반면, 작은 크기의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위해 RTS/CTS 절차를 이용하는 것은 오히려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RTS/CTS 절차의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RTS 임계값이며, IEEE802.11 표준에서 그 크기는 2347 바이트로 설정되어 있다.
종래에는 RTS 임계값보다 크기가 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위해서 RTS/CTS 절차를 사용하였으며, RTS임계값보다 작은 크기의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서는 간단히 데이터 프레임을 보내기만 하였다.
그러나 작은 크기의 데이터 프레임이라도 많은 홉수를 거쳐온 데이터 프레임은 RTS/CTS 절차를 거치도록 하여 안전하게 무선 링크를 확보한 후에 전송시킴으로써, 전송 실패로 인해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버려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RTS 임계값의 재설정 단계(S240)에서 RTS 임계값은 포워딩할 데이터 프레임의 홉 카운트값에 반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그 일 예를 표1에 나타내었다.
[표1]
홉 카운트 값 RTS 임계값
1 2347
2 2147
3 1947
... ...
홉 카운트값에 따른 RTS 임계값의 재설정은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홉 카운트값이 특정 크기 이상인 데이터 프 레임의 포워딩시에는 RTS 임계값을 0으로 설정하여 항상 RTS/CTS 절차를 거친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홉 카운트값이 큰 데이터 프레임 일수록 데이터 프레임의 크기가 작더라도 그 전송에 있어서 RTS/CTS 절차를 거치도록 할 수 있다. RTS/CTS 절차를 거치게 되면 무선 링크의 사용을 예약함으로써 데이터 프레임 전송에 안전을 기할 수 있으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RTS 임계값이 새로이 설정되면, 수신 노드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크기와 재설정된 RTS 임계값의 크기를 비교한다(S250).
비교 결과 데이터 프레임의 크기가 RTS 임계값 이상이면 RTS/CTS 절차를 거쳐서 무선 링크를 선점한 후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을 시도하고(S260), 데이터 프레임의 크기가 RTS 임계값보다 작으면 RTS/CTS 절차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S27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과정중 단계 S310 내지 단계 S330은 도4에 도시된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홉 카운트값을 1홉만큼 증가시킨후(S330), 수신 노드는 증가된 홉 카운트값에 따라 긴 재시도 제한값(Long retry count) 및 짧은 재시도 제한값(Short retry count)(이하 재시도 제한값이라 통칭한다)을 재설정한다(S340).
재시도 제한값이란 특정 노드가 전송에 실패한 데이터 프레임의 재전송을 시 도할 수 있는 제한 횟수를 나타낸다. 전송에 실패한 특정 데이터 프레임의 재전송을 무한히 시도하면 다른 데이터 프레임을 중계할 수 없으므로,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중계하는 노드는 사전에 설정된 재시도 제한값까지 재전송을 시도한다. 노드는 재시도 제한값 만큼 재전송을 시도하였음에도 그 전송에 실패한 데이터 프레임은 버리고 다른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준비한다.
재시도 제한값 중 긴 재시도 제한값은 RTS 임계값보다 큰 크기의 데이터 프레임에 적용되며 IEEE802.11 표준에서 그 기본 설정 값은 4이다. 즉 전송전에 RTS/CTS 절차가 필요한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 실패로 버려지기 이전에 네번까지 재전송이 시도된다. 한편 짧은 재시도 제한값은 RTS 임계값보다 크기가 작은 데이터 프레임에 적용되고 IEEE802.11 표준에서 그 기본 설정값은 7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재시도 제한값은 홉 카운트값에 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2]
홉 카운트값 긴 재시도 제한값 짧은 재시도 제한값
1 4 7
2 5 8
3 6 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쳐온 홉수가 많은 데이터 프레임 일수록 그 재시도 제한 값을 늘리게 되면,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중계하는 노드는 전송 실패로 인해 해당 데이터 프레임이 버려지기 이전에 보다 많은 재전송을 시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계 노드에서의 데이터 프레임 전송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이로써 많은 홉수를 거쳐온 데이터 프레임이 중계 노드에서 버려짐으로 인해 소스 노드 에서부터 다시 재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재시도 제한값이 새로이 설정되면(S340),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시도한다(S350).
만약 데이터 프레임 전송에 실패하면 재시도 횟수를 1회 증가시킨다(S370). 재시도 횟수는 최초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의 재전송을 시도할 때 마다 1씩 증가시킨다.
재시도 횟수가 단계S340에서 설정한 재시도 제한값보다 작으면(S380),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시도하는 단계S350 이하 과정을 반복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버린다(S390).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과정은 수신 노드가 백오프 알고리즘을 통해 무선 링크를 점유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시된 과정중 단계 S410 내지 단계 S430은 도4에 도시된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홉 카운트값을 1홉 만큼 증가시킨후(S430), 수신 노드는 증가된 홉 카운트값에 따라 백오프 알고리즘을 위한 백오프 타이머(경쟁 윈도우)의 초기값을 재설정한다(S440).
백오프 타이머는 복수의 슬롯으로 나뉘며 슬롯의 개수(경쟁 윈도우의 크기)는 2의 제곱수 보다 1만큼 작다(예컨데, 31, 63, 127, 255 등). 노드는 각 슬롯에 맵핑된 숫자중 하나를 랜덤으로 선택하며, 무선 링크의 점유를 시도하기 전에 자신이 선택한 슬롯을 기다린다. 각 슬롯을 선택할 확률은 모두 같으며, 여러 노드들이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시도할 때 첫 슬롯(가장 작은 랜덤 숫자)을 선택한 노드가 무선 링크를 선점하게 된다.
무선 링크의 점유에 실패한 노드들은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재시도하게 되며, 재시도 횟수가 증가할 때마다 백오프 타이머의 크기는 다음번 2의 제곱수 보다 1만큼 작은 값으로 증가한다(예컨데 백오프 타이머의 초기값이 31인 경우 백오프 타이머의 크기는 첫번째 재시도시 63, 두번째 재시도시 127로 증가한다). 백오프 타이머는 데이터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전송될 때나 데이터 프레임의 재전송 시도 횟수가 재시도 제한값에 도달하여 프레임이 버려질 때 초기값으로 재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 초기값의 설정을 표3에 나타내었다.
[표3]
홉 카운트 값 백오프 타이머 초기값
0 또는 1 63 슬롯
2 또는 3 31 슬롯
4 또는 5 15 슬롯
...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많은 홉수를 거쳐온 데이터 프레임 일수록 그 전송에 있어서 백오프 타이머를 설정할 때 그 초기값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백오프 타이머의 초기값이 작으면 그만큼 빠른 슬롯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많은 홉수를 거쳐온 데이터 프레임일수록 이를 전송하기 위한 노드는 무선 링크를 선점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신 노드는 포워딩할 데이터 프레임의 홉 카운트 값이 특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에 실패하여 이를 재전송하게 되더라도 백오프 타이머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그 초기값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백오프 타이머의 초기값을 재설정한 수신 노드는, 백오프 알고리즘에 의해 무선 링크를 선점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게 된다(S450).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방법들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방법이 병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각종 임계값(RTS 임계값, 재시도 제한값, 백오프 타이머 초기값 등)이 홉 카운트값에 비례 또는 반비례 하도록 설정 된다는 의미는 수학적으로 명백한 비례 또는 반비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홉 카운트값이 클수록 임계값이 크게 설정되면 이를 비례한다고 표현한 것이고, 홉 카운트값이 클수록 임계값이 작게 설정되면 이를 반비례한다고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표3과 같은 경우에는, 홉 카운트값에 따라 임계값이 반비례하도록 설정된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중계하는 경우 홉 카운트값에 따라 무선 링크를 점유하기 위해 필요한 임계값들을 재설정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중계를 제어하는 제어부(210),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홉 카운트값을 증가시키는 카운트부(220) 및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부(230)를 포함한다.
카운트부(220)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다른 노드를 위해 포워딩되어야 하는지 판단하고, 이를 포워딩 해야 하는 경우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홉 카운트값을 1홉 만큼 증가시킨다. 데이터 프레임의 포워딩 여부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목적지 주소 등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즉,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목적지 주소가 다른 노드의 주소이거나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로 설정된 경우 수신 노드는 이를 포워딩하게 된다.
제어부(210)는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포워딩할 경우, 카운트부(220)에 의해 1홉만큼 증가된 홉 카운트값에 따라 무선 링크를 점유하는데 필요한 임계값들을 재설정한다.
이러한 임계값들은 전술한 RTS 임계값, 재시도 제한값 또는 백오프 타이머 초기값 등일수 있다.
홉 카운트값에 따른 RTS 임계값, 재시도 제한값 및 백오프 타이머 초기값의 재설정은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제어부(210)는 RTS 임계값, 재시도 제한값 및 백오프 타이머 초기값 중 하나 이상을 동시에 재설정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송수신부(230)는 무선 링크를 이용하여 다른 노드와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거쳐온 홉수가 많은 데이터의 전송 성공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그 재전송에 소비되는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홉 카운트값을 1홉 만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증가된 홉 카운트값에 따라 무선 링크를 점유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임계값을 재설정 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무선 링크를 점유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RTS 임계값 또는 재시도 제한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TS 임계값은 상기 증가된 홉 카운트값에 반비례하도록 재설정되고, 상기 재시도 제한값은 상기 증가된 홉 카운트값에 비례하도록 재설정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백오프 타이머의 초기값을 더 포함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타이머 초기값은 상기 증가된 홉 카운트값에 반비례하도록 재설정되는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40051999A 2004-07-05 2004-07-05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597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999A KR100597407B1 (ko) 2004-07-05 2004-07-05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999A KR100597407B1 (ko) 2004-07-05 2004-07-05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195A KR20060003195A (ko) 2006-01-10
KR100597407B1 true KR100597407B1 (ko) 2006-07-06

Family

ID=3710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999A KR100597407B1 (ko) 2004-07-05 2004-07-05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7850B2 (en) 2015-04-30 2019-08-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mesh network using bluetoo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195A (ko)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3817B2 (en) Congestion control in wireless mesh networks
Chen et al. Congestion-aware routing protocol for mobile ad hoc networks
JP4526533B2 (ja) 統合マルチユーザ検出機能を備えるコンテンション方式転送
JP5474562B2 (ja) 無線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輻輳管理の方法
US96550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wireless mesh networks
EP22805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cket transmissions within wireless networks to enhance network formation
KR100664953B1 (ko)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멀티캐스트 라우팅방법
Sheu et al. A highly reliable broadcast scheme for IEEE 802.11 multi-hop ad hoc networks
US20080123682A1 (en) Method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in an ad hoc network
JP5852782B2 (ja) マルチホップ・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ロバスト符号化
Kumar et al. Robust on-demand multipath routing with dynamic path upgrade for delay-sensitive data over ad hoc networks
EP1446920B1 (en) Methods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in ieee 802.11 systems
US10624017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10191053B (zh) 一种基于认知学习的无线自组网络多径路由方法
Qin et al. Opportunistic routing with admission control in wireless ad hoc networks
CN110661550B (zh) 一种hplc通信链路中转发报文的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0597407B1 (ko)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30015800A (ko)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다중 경로 QoS 라우팅 방법
Solanki et al. SR-AODV: Modified AODV to avoid link breakage in wireless mesh network
Lin et al. necoMAC: Network coding aware MAC protocol for multirate wireless networks
KR100761935B1 (ko)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동적인 패킷 버스팅을 이용한혼잡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80088722A (ko) 경로-다이버시티 라우팅을 이용한 적응형 통신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통신 노드
Spachos et al.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opportunistic multihop routing in wireless networking scalability
KR100922863B1 (ko) 공유 비콘 구간을 이용한 QoS 제공 방법
Mirza et al. Cross-layer multipath multichannel MAC protocol for MAN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