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104B1 - connector-housing - Google Patents

connector-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104B1
KR100597104B1 KR1020040039740A KR20040039740A KR100597104B1 KR 100597104 B1 KR100597104 B1 KR 100597104B1 KR 1020040039740 A KR1020040039740 A KR 1020040039740A KR 20040039740 A KR20040039740 A KR 20040039740A KR 100597104 B1 KR100597104 B1 KR 100597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using
terminal
support
hou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4507A (en
Inventor
최선학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104B1/en
Publication of KR2005011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5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1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하우징은 하우징본체(30)와 홀더(5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30)에 형성된 단자안착공간(37)의 입구에 해당되는 내측에는 가이드레일(38)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게 상기 홀더(50)의 측면에는 가이드채널(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50)는 대응되는 하우징본체(30)의 지지대(42)와 지지스커트(43)에 대응되는 절결부(52,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50)의 가이드채널(51)이 하우징본체(30)의 가이드레일(38)에 삽입되고, 상기 홀더(50)의 절결부(52,52')에는 각각 대응되는 지지대(42)와 지지스커트(43)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사용환경에서도 커넥터하우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홀더(50)가 하우징본체(3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ousing. The connector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ousing body 30 and a holder 50. A guide rail 38 is formed at an inner side corresponding to an inlet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formed in the housing body 30, and a guide channel 51 is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holder 50 to correspond thereto. . The holder 50 has cutouts 52, 52 ′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42 and the support skirt 43 of the housing body 30. The guide channel 51 of the holder 50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38 of the housing body 30, and the support 42 corresponding to the cutouts 52 and 52 ′ of the holder 50, respectively. The support skirt 43 is inserted and coup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nector housing in a variety of use environ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older 5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housing body (30).

하우징, 홀더, 가이드레일, 지지스컷트Housing, Holder, Guide Rail, Support Cut

Description

커넥터하우징{connector-housing} Connector-hous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본체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bod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홀더의 정면과 배면사시도.4A and 4B constitu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and back perspective views of the holder.

도 5는 도 2의 d-d'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하우징본체 32: 하우징부30: housing body 32: housing part

34: 통체부 36: 구획부34: cylinder part 36: compartment part

37: 단자안착공간 40: 슬롯트37: Terminal seating space 40: Slotted

42: 지지대 43: 지지스컷트42: support 43: support cut

43': 곡선부 45: 걸림홈43 ': curved portion 45: locking groove

47: 단자삽입안내부 50: 홀더47: terminal insertion guide 50: holder

51: 가이드채널 52,52': 절결부51: guide channel 52,52 ': notch

53: 걸림돌기 55: 단자누름턱53: locking projection 55: terminal pressing jaw

57: 걸림턱57: hanging jaw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와 하우징본체로 구성되는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ou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housing consisting of a holder and a housing body.

커넥터하우징은 세탁기, 냉장고 등의 전기 또는 전자 기기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어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Connector housings are widely used in power circuits of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washing machines and refrigerators. The use of the connector housing in thes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has the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parts can be assembled individually and then inserted into the final product, thereby greatly simplifying not only the device manufacturing but also maintenance work.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을 도시하고 있다. 1 shows a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하우징(2)은 한 쌍의 하우징(4)을 병렬관계로 연결 일체화한 하우징(4)과 전선의 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플래그형단자(6)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4)은 두개로 되어 있고 기부(8)와 사각형의 통체(10)를 갖추고, 상기 통체(10)의 단자수용공동 내에 전선의 한끝에 종래의 압착기법으로 형성된 단자(6)를 수용한다. 양 하우징(4)의 기부(8)에 대향하는 측벽이 얇은 벽으로 연결되고 슬롯트(12)를 형성한다. 상기 슬롯트(12) 내에는 랫치숄더(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4)의 양 외측면에는 랫치돌기(16)가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or housing 2 comprises a housing 4 in which a pair of housings 4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a pair of flag terminals 6 connected to an end of an electric wire. The housing (4) has two and has a base (8) and a rectangular cylinder (10), and accommodates the terminal (6) formed by a conventional crimping method at one end of the wire in the terminal receiving cavity of the cylinder (10). do. Side walls opposing the base 8 of both housings 4 are connected by thin walls and form slots 12. A latch shoulder 14 is formed in the slot 12. The latch protrusions 16 are provid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housing 4.

홀더(18)가 상기 하우징(4)에 힌지 형식으로 기부(8)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홀더(18)는 평탄한 외면을 지니고 내면에는 양측단에 비교적 높은 측벽(20), 비교적 낮은 돌출부(22) 및 중앙부에 한쌍의 랫치 다리(24)를 갖는다. 또한 각 측벽(20)에 랫치개구(26)가 형성되어 있다.The holder 18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ase 8 in the form of a hinge to the housing 4. The holder 18 has a flat outer surface and has a relatively high sidewall 20 at both ends, a relatively low protrusion 22 at the inner side and a pair of latch legs 24 at the center. In addition, a latch opening 26 is formed in each side wall 20.

상기 커넥터하우징(2)의 조립에는 전선에 형성된 단자(6)가 하우징의 각 단자 수용공동 내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힌지 결합된 홀더(18)를 힌지부에서 회동하여 양 하우징(4)의 개방상태의 상면을 덮는다. 상기 홀더(18)는 폐쇄위치에 확실히 고정되고 단자 수용공동의 다른 끝을 폐쇄한다. 이 때문에 상기 홀더(18)의 랫치다리(24) 및 양 측벽(20)의 랫치개구(26)를 중심 슬롯트(12)의 랫치숄더(14)와 하우징(4) 양 외벽의 랫치돌기(16)에 각각 랫치 결합시킨다.In assembling the connector housing 2, a terminal 6 formed in an electric wire is inserted into each terminal accommodating cavity of the housing. Next, the hinged holder 18 is rotated at the hinge portion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state of both housings 4. The holder 18 is secured in the closed position and closes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receiving cavity. For this reason, the latch legs 24 of the holder 18 and the latch openings 26 of both sidewalls 20 are latched on the latch shoulders 14 of the central slot 12 and the latch protrusions 16 on both outer walls of the housing 4. Latch each).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하우징(4)과 홀더(18)는 힌지형태로 결합되어 있어서, 홀더(18)가 하우징(4)에 반복적으로 착탈되는 경우에 피로누적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여 상기 홀더(18)가 상기 단자(6)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특히 기온이 영하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에 더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The housing 4 and the holder 18 are coupled in a hinged form so that when the holder 18 is repeatedly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housing 4, breakage due to fatigue accumulation occurs and the holder 18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There arises a problem of not fixing (6) in the correct position.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acute when the temperature drops below zero.

그리고, 상기 단자(6)를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 정확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우징(4)에 상기 홀더(18)가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4)과 홀더(18)사이의 결합은 다수개의 랫치돌기(16)와 랫치다리(24)가 상대측의 랫치개구(26)와 랫치숄더(14)에 결합되므로, 이중의 어느 하나라도 파손되면 단자(6)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In order to accurately fix the terminal 6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4, the holder 18 must be firmly coupled to the housing 4. However, the coupling between the housing 4 and the holder 18 is because a plurality of latch protrusions 16 and the latch leg 24 is coupled to the latch opening 26 and the latch shoulder 14 of the opposite side, If any damage occur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erminal 6 is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을 정위치에 안착시키는 홀더가 하우징몸체에 보다 견고하게 설 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holder for seating the terminal in place is more firmly installed in the housing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이 하우징몸체의 내부에 보다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terminal to be more accurately seat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bod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가 구획부에 의해 적어도 두개의 단자안착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구획부의 상부에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는 상기 구획부를 관통하여 하부를 향해 곡선부를 가지는 지지스컷트가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안착공간과 직교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통체부로 구성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의 개구된 일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고 상기 지지대 및 지지스컷트가 안착되어 체결되는 절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단자안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의 고정을 위한 단자누름턱이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terminal seating spaces by the partition portion, the suppor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and the compartment below the support A housing main body including a housing part through which a support cut having a curved part is formed toward the lower part and a tubular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part and having an inner space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It is formed separately and selectively shields one open side of the housing body, and a cutout part is formed to which the support and the support cut are seated and are pressed. A terminal press for fixing a termina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seating space is formed. The jaw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lder.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양측 내측면에 가로로 상기 홀더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된다.The housing body has guide rails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holder horizontally on both inner side surfaces thereof, and guide channels for accommodating the guide rails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holder.

삭제delete

상기 하우징본체의 지지대 하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 대응되게 상기 홀더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의 구획부에는 슬롯트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슬롯트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반대면에 형성된다.A groov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of the housing main body,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in the holder to correspond to the groove. It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form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상기 구획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단자안착공간에는 상기 단자의 고정을 위 한 단자삽입안내부가 구비된다.Partitioned by the partition The terminal seating space A terminal insertion guide part is provided for fixing the terminal.

삭제delet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 의하면, 기온이 영하 이하에서 발생하는 힌지의 파괴율을 줄이는 이점이 있고, 하우징본체에 홀더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그 구조강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breakage rate of the hinge that occurs below zero tempera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older is more firm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the structural strength is increas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본체가 도시되어 있고, 도 4a, 4b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의 홀더의 정면과 배면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도 2의 d-d'선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2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housing bod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4b connector housing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back of the holder are show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2.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하우징은 하우징본체(3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본체(30)는 내부에 단자가 안착되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부(32)와 상기 하우징부(32)의 하부로 연장되는 통체부(34)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부(32)와 통체부(34)는 그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부(32)와 통체부(34)의 내부공간은 도 1에 도시된 단자와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서로 직교하게 연통된다. 상기 통체부(34)의 내부에는 단자의 선단이 위치되어 커넥터하우징에 연결되는 상대 커넥터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체부(34)의 형상이 사각통형상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is, the connector hous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body 30. The housing body 30 is composed of a housing part 32 having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in which a terminal is seated therein, and a cylinder part 34 extending below the housing part 32. The inner spaces of the housing portion 3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34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part 32 and the cylinder part 34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right angles so that the terminal and the wire shown in FIG. 1 can be seated.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is positioned inside the tubular portion 34 to allow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mating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using. Although the shape of the said cylinder part 34 in this embodiment is a square cylinder shape, it is not necessarily so.

상기 하우징부(32)의 내부는 구획부(36)에 의해 구획되고, 각각 구획된 공간은 단자안착공간(37)을 형성한다. 상기 단자안착공간(37)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우징부(32)의 상면과 정면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공간(37)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자 및 와이어가 안착된다.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32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36, each partitioned space forms a terminal seating space 37.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front surfaces of the housing part 32 are open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is mounted with the terminal and the wire as shown in FIG.

상기 단자안착공간(37)은 하우징부(32)에 수납되는 단자의 갯수에 따라 달리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단자안착공간(37)이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된다. 참고로, 상기 구획부(36)의 갯수는 상기 단자안착공간(37)의 갯수에서 하나를 뺀 수가 된다.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32.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terminal seating spaces 37 are formed, but are not necessarily the same and vary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For reference, the number of the partitions 36 is the number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minus one.

상기 하우징부(3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50)의 삽입 및 지지를 위한 레일(38)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38)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단자안착공간(32)의 상측 입구에 해당되는 하우징부(32)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일(38)의 선단에는 각각 경사면(38')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면(38')은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50)의 최초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The housing portion 32 is formed with a rail 38 for insertion and support of the holder 50 to be described below. The rails 38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32 corresponding to the upper inlet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32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inclined surface 38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ail 38, respectively. The inclined surface 38 ′ is for easier initial insertion of the hold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하우징본체(30)의 내부에 형성된 구획부(36)에는 슬롯트(40)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부(36)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상면 중앙에서 개구되게 상기 슬롯트(40)가 형성된다. 상기 슬롯트(40)는 상기 구획부(36)의 하부를 통해 하우징부(32)의 하부까지 개구된다.A slot 40 is formed in the partition 36 formed inside the housing body 30. The partition 3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the slot 40 is formed to be ope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slot 40 is open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portion 36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32.

상기 구획부(36)의 상부에 해당되는 하우징부(32)의 상단에는 지지대(4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42)와 구획부(36)의 상단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42)는 도면상 하우징부(32)의 선단으로 길게 외팔보 형상으로 형 성된다. 상기 지지대(42)의 일단부는 하우징부(32)에 일체로 연결된다.A support 42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part 32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part 36.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42 and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36. The support 42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with a long end of the housing portion 32 in the drawing. One end of the support 4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ousing portion 32.

상기 지지대(42)의 하단에는 지지대(42)를 지지하는 지지스커트(4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스컷트(43)는 그 상단이 상기 지지대(42)의 하면에 연결되고 후단이 하우징부(32)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스컷트(43)는 상기 슬롯트(4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support skirt 43 for supporting the support 4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42. The support cut 43 has an upper end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42, and a rear end thereof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part 32. Therefore, the support cut 43 is located inside the slot 40.

상기 지지스컷트(43)의 선단 상부에서 하단까지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부(43')가 형성된다. 상기 곡선부(43')는 상기 지지스컷트(34)가 상기 지지대(42)를 지지할 때,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지지스컷트(43)는 홀더(50)가 하우징본체(30)의 내부로 삽입될 때, 지지대(42)가 유동되지 않고 강한 지지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cut 43, as shown in Figure 5, a curved portion 43 'is formed. The curved portion 43 'serves to disperse the force acting when the support cut 34 supports the support 42. The support cut 43 is such that when the holder 5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body 30, the support 42 does not flow and can exhibit a strong support ability.

상기 지지대(42)의 하면에는 걸림홈(4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45)은 상기 지지스컷트(43)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대(42)의 하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림홈(4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50)의 걸림돌기(53)가 안착되어 홀더(50)를 하우징본체(30)에 체결한다.A locking groove 45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42. The locking groove 45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42 on the basis of the support cut 43. The locking grooves 53 of the holders 50 to be described below are seated in the locking grooves 45 to fasten the holders 50 to the housing body 30.

상기 구획부(36)에 의해 구획되는 단자안착공간(37)의 일측에는 각각 단자삽입안내부(47)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삽입안내부(47)는 상기 단자안착공간(37)의 상부입구에 해당되는 쪽의 모서리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단자가 상기 단자안착공간(37)으로 정확하게 안내되어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삽입안내부(47)는 상기 단자안착공간(37)의 폭을 설정하여 단자가 폭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Terminal insertion guides 47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36. The terminal insertion guide 47 is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upper inlet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is curved so that the terminal is accurately guided and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The terminal insertion guide 47 also sets a width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f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홀더(50)는 상기 하우징본체(30)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안착공간(37)의 상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홀더(50)는 상기 하우징본체(30)에 삽입되었을 때, 그 상면이 상기 지지대(42)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있게 되어 커넥터하우징의 외관일부를 형성한다.Holder 5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body 30 serves to shield the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When the holder 5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body 30,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50 is flush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42 to form an external part of the connector housing.

상기 홀더(50)는 대략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양단에 가이드채널(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51)은 상기 레일(38)을 따라 상기 홀더(5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레일(38)에 의해 홀더(50)의 양단이 지지되게 하는 역할도 한다.The holder 5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and guide channels 51 are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he guide channel 51 allows the holder 50 to move along the rail 38 and also supports both ends of the holder 50 by the rail 38.

상기 홀더(50)에는 상기 지지대(42)와 지지스컷트(43)가 안착되는 절결부(52,52')가 각각 형성된다. 먼저, 상부절결부(52)는 상기 홀더(50)가 하우징본체(3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단차지게 형성되고, 하우징부(32)에 접촉하는 선단쪽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절결부(52)에는 상기 지지대(42)가 안착되고, 삽입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선단측은 완전히 절결되어 있다. 하부절결부(52')는 상기 상부절결부(52)의 중앙에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절결부(52')에는 상기 지지스컷트(43)가 위치된다.The holder 50 is formed with cutouts 52 and 52 'on which the support 42 and the support cut 43 are seated, respectively. First, the upper cutout 52 is formed to be steppe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5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main body 30, and the front end side of the upper cutout 52 is opened to be opened. The support 42 is seated on the upper cutout 52, and the front end side is completely cut out to prevent interference during insertion. The lower cutout 52 'is formed to be long in the center of the upper cutout 52. The support cut 43 is positioned at the lower cutout 52 ′.

참고로, 상기 상부절결부(52)는 지지대(42)의 폭과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절결부(52')는 지지스컷트(43)의 최상단 폭 및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For reference, the upper cutout 52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width and length of the support 42, the lower cutout 52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uppermost width and length of the support cut 43. .

상기 상부절결부(52)의 바닥면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하부절결부(52')의 양단에는 걸림돌기(5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3)는 상기 지지대(42)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45)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홈(45)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만큼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53)는 상기 홀더(50)의 삽입방향 선단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반대쪽면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걸림홈(45)에 실질적으로 걸어지게 된다.Engaging protrusions 53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cutout 52 ′ corresponding to the bottom end of the upper cutout 52. The locking protrusion 53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45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42, and provided with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locking groove 45. The locking projection 53 is formed incli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holder 50, the opposite side is formed vertically to be substantially hooked to the locking groove (45).

상기 홀더(50)의 하면에는 단자누름턱(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누름턱(55)은 각각의 단자안착공간(37)에 하나씩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단자누름턱(55)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누름턱(55)은 상기 단자안착공간(37)에 안착된 단자를 눌러 유동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자누름턱(55)의 선단면도 홀더(50)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누름턱(55)은 상기 통체(34)의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terminal pressing jaw 55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50. One terminal pressing jaw 55 is formed in each terminal seating space 37.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wo terminal pressing jaw 55 is formed. The terminal pressing jaw 55 serves to press the terminal seat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so as not to flow.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terminal pressing jaw 55 is also inclin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holder 50. The terminal pressing jaw 55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cylinder 34.

상기 홀더(50)의 하면중 상기 구획부(36)의 슬롯트(40)의 일단부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걸림턱(57)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7)은 상기 슬롯트(40)에 걸어져 홀더(50)가 임의로 하우징본체(30)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57)은 상기 걸림돌기(58)와 협력하여 상기 홀더(50)가 상기 하우징본체(30)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A locking jaw 57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50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slot 40 of the partition 36. The locking jaw 57 is hooked on the slot 40 so that the holder 50 is not detached from the housing body 30 arbitrarily. The locking jaw 57 cooperates with the locking protrusion 58 so that the holder 50 is firmly coupled to the housing body 30.

한편, 상기 홀더(50)에는 상기 하우징본체(3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통공(59)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59)은 홀더(50)의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를 줄이고, 상기 걸림돌기(53)가 형성되는 부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lder 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9 in the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body 30. The through hole 59 serves to reduce the material used to manufacture the holder 50 an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a portion where the engaging protrusion 53 is form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하우징본체(30)의 내부에 단자가 삽입된다. 상기 단자는 상기 하우징부(32)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안착공간(37)에 일부가 위치되고, 선단은 상기 통체부(34)의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단자에 연결되는 와이어는 상기 단자안착공간(37)에 구비된다.First, a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body 30. A part of the terminal is locat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formed in the housing part 32, and the tip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ube part 34. The wire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provid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이때, 상기 단자는 상기 단자삽입안내부(47)의 라운드진 모서리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단자안착공간(37)내에 정확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삽입안내부(47)는 단자가 단자안착공간(37)의 폭방향으로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한다.At this time, the terminal is guided along the rounded corners of the terminal insertion guide 47 and is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The terminal insertion guide 47 prevents the terminal from randomly flow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다음으로, 상기 단자가 삽입된 상기 하우징본체(30)에 상기 홀더(50)를 결합시킨다. 상기 홀더(50)는 상기 하우징본체(30)의 선단에서부터 삽입되어 진다. 상기 홀더(50)에 형성된 가이드채널(51)에 상기 하우징부(32)의 레일(38)이 삽입되게 홀더(50)가 하우징본체(30)에 끼워진다.Next, the holder 50 is coupled to the housing body 30 into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The holder 50 is inserted from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body 30. The holder 50 is fitted to the housing body 30 so that the rail 38 of the housing part 32 is inserted into the guide channel 51 formed in the holder 50.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상부절결부(52)에는 지지대(42)가 안착되고, 상기 하부절결부(52')에는 지지스컷트(43)가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42)와 지지스컷트(43)도 상기 홀더(50)가 하우징본체(30)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support 42 is seated on the upper cutout 52, and the support cut 43 is seated on the lower cutout 52 ′. Here, the support 42 and the support cut 43 also guide the insertion of the holder 50 into the housing body 30.

상기 홀더(50)가 상기 하우징본체(3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홀더(50)의 상기 걸림돌기(53)는 상기 하우징본체(30)의 걸림홈(45)에 안착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홀더(50)의 걸림턱(57)은 상기 하우징부(32)의 슬롯트(40)일측에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57)과 걸림돌기(53)는 상기 홀더(50)가 하우징본체(30)에서 임의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holder 50 is fully inserted into the housing body 30, the locking protrusion 53 of the holder 50 is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45 of the housing body 30.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jaw 57 of the holder 50 is hooked to one side of the slot 40 of the housing part 32. At this time, the locking step 57 and the locking protrusion 53 serves to prevent the holder 50 from being randomly escaped from the housing body 30.

상기와 같이 홀더(50)가 하우징본체(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자누 름턱(55)은 상기 단자안착공간(37)에 수납된 단자를 둘러주게 된다. 상기 단자누름턱(55)은 상기 홀더(50)의 삽입방향 선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자를 따라 안내되어 결국 단자를 눌러주게 된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holder 50 into the housing body 30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pressing jaw 55 surrounds the terminals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The terminal pressing jaw 55 has an inclined tip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holder 50, is guided along the terminal, and finally presses the terminal.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단자는 그 선단이 상기 통체부(34)의 내부공간으로 확실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누름턱(55)은 단자를 눌러서 상기 단자안착공간(37)의 상하방향으로 임의로 유동되지 못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In this case, the terminal is reliably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34. In addition, the terminal pressing jaw 55 also serves to prevent a random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37 by pressing the terminal.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커넥터하우징에서는 하우징본체와 홀더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같이 하우징본체와 홀더가 별도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이들 사이의 연결을 위한 구성이 필요없게 되어 혹한의 경우에 파손발생의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In the connector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body and the holder are separately manufactured to be coupled and separated. Thus, since the housing body and the holder are manufactured separately, there is no need for a configuration for the connection therebetween, so there is no fear of breakage in the event of a severe case.

본 발명에서는 또한 하우징본체와 홀더가 구획부의 슬롯트, 지지대의 걸림홈 그리고 걸림돌기와 걸림턱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가 곡선부를 구비하는 지지스컷트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하우징본체와 홀더 사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되어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단자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in body and the holder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lot of the partition, the locking groove of the support,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locking jaw, and the like, and the suppor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cut having the curved portion. Therefore, the coupling between the housing body and the holder is more firm, so that the terminal can be more firmly fixed inside the connector housing.

Claims (6)

내부가 구획부에 의해 적어도 두개의 단자안착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구획부의 상부에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는 상기 구획부를 관통하여 하부를 향해 곡선부를 가지는 지지스컷트가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안착공간과 직교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통체부로 구성되는 하우징본체와,A housing part having an interior divided into at least two terminal seating spaces by a partition part, and having a support on an upper part of the partition part, and a support cut having a curved part downward through the partition part at a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A housing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portion and having a cylindrical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상기 하우징본체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의 개구된 일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고 상기 지지대 및 지지스컷트가 안착되어 체결되는 절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단자안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의 고정을 위한 단자누름턱이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It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housing body and selectively shields an open side of the housing body, and a cutout portion is formed to which the support and the support cut are seated and fastened, and the terminal is fix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seating space. Connector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holder is formed for the terminal pressing jaw f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양측 내측면에 가로로 상기 홀더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body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holder horizontally, both sides of the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channel for receiving the guide rail is formed Connector housing.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지지대 하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 대응되게 상기 홀더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의 구획부에는 슬롯트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슬롯트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반대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of the housing body, a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in th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groove, a slot is formed in the partition portion of the housing body and the slot in the holder The connector jaw is hanged on the connector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form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단자안착공간에는 상기 단자의 고정을 위한 단자삽입안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mpartment is partitioned by The terminal seating space Connector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terminal insertion guide for fixing the terminal. 삭제delete
KR1020040039740A 2004-06-01 2004-06-01 connector-housing KR1005971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740A KR100597104B1 (en) 2004-06-01 2004-06-01 connector-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740A KR100597104B1 (en) 2004-06-01 2004-06-01 connector-hou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507A KR20050114507A (en) 2005-12-06
KR100597104B1 true KR100597104B1 (en) 2006-07-05

Family

ID=3728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740A KR100597104B1 (en) 2004-06-01 2004-06-01 connector-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1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215B1 (en) * 2006-09-15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tor hav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water from entering thereinto through a part for receiving a power line
KR101697256B1 (en) * 2010-08-11 2017-0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101695696B1 (en) * 2015-07-15 201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302263B1 (en) * 2020-07-16 2021-09-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870A (en) * 1995-06-13 1996-12-24 Yazaki Corp Cover sliding type connector
JPH0963725A (en) * 1995-08-29 1997-03-07 Sumitomo Wiring Syst Ltd Joint connector
JPH1056386A (en) 1996-03-15 1998-02-24 Fr Telecom Supply method for expression of optical scene by walsh-hadamard transformation and image pickup that implement the same method
JPH10255908A (en) 1997-03-14 1998-09-25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KR20030087539A (en) * 2002-05-07 2003-11-14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Connector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870A (en) * 1995-06-13 1996-12-24 Yazaki Corp Cover sliding type connector
JPH0963725A (en) * 1995-08-29 1997-03-07 Sumitomo Wiring Syst Ltd Joint connector
JPH1056386A (en) 1996-03-15 1998-02-24 Fr Telecom Supply method for expression of optical scene by walsh-hadamard transformation and image pickup that implement the same method
JPH10255908A (en) 1997-03-14 1998-09-25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KR20030087539A (en) * 2002-05-07 2003-11-14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Connecto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507A (en)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949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US7857637B2 (en) Method of forming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connector, and electric junction box having printed circuit board
US9509079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al junction box, and electronic component
RU2001121483A (en) TELECOMMUNICATION NEST CONNECTOR
US7946860B2 (en) Electric junction box for a vehicle
US20220173540A1 (en) Connector Housing,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KR101441045B1 (en) Connector having front-holder
KR100597104B1 (en) connector-housing
KR100502029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locking structure
US4235501A (en) Connector
KR200494151Y1 (en) Horizontal Outlet
WO2013135848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899334B2 (en) Plug for electrical connection
KR20080003684U (en) A spacer for connector
KR100948132B1 (en) Box for car
US11710924B2 (en) Connector housing with locking cover
CN212626176U (en) Seat subassembly and socket
CN217387641U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JPS5928950B2 (en) Device for tightening conductors, especially conductors
KR200410014Y1 (en) a connecter
JP7211843B2 (en) Fixing structure of busbar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1014607B1 (en) Connector assembly
KR20100070891A (en) Connector having front-holder
KR100922154B1 (en) Connector
KR100709340B1 (en) Wire arranging app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