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356B1 -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 Google Patents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356B1
KR100594356B1 KR1020040069010A KR20040069010A KR100594356B1 KR 100594356 B1 KR100594356 B1 KR 100594356B1 KR 1020040069010 A KR1020040069010 A KR 1020040069010A KR 20040069010 A KR20040069010 A KR 20040069010A KR 100594356 B1 KR100594356 B1 KR 100594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coupling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0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0214A (en
Inventor
김중한
Original Assignee
김중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한 filed Critical 김중한
Priority to KR102004006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356B1/en
Priority to PCT/KR2005/002640 priority patent/WO2006025661A1/en
Publication of KR2006002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2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3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태의 몸체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양측벽에 톱니 형상을 갖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측부에 상기 제1 걸림턱에 끼워지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부재,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상기 삽입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attachment device in which the height and angle of the tooth are indicated, the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 bracket to the tooth surface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for fixing a correction wire for correcting the arrangement of the tooth, A housing in which a coupl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side the box-shaped body, and at least two first locking jaws having a sawtooth shape on both side walls of the coupling groove; And an insertion member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tooth, the insertion member being bent at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 second locking jaw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to be fitted to the first locking jaw, and formed at one side of the bracket. It is provided with a bracket for the orthodontic bracket comprising a; moving jig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member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to be inserted into the orthodontic wire receiving groove.

치아, 교정, 브라켓, 부착장치, 하우징, 이동지그, 걸림턱Teeth, Orthodontics, Brackets, Attachments, Housings, Moving Jigs, Hanging Jaws

Description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Bracket attachment device with tooth height and angle indicated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도 1은 일반적인 치아의 치면에 브라켓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racket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of a general tooth.

도 2(a) 내지 (c)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2 (a) to (c) is a view showing a bracket at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c)는 각도 지시부재를 포함한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3 (a) to (c) is a view showing a bracket attachment device including an angle indicating member.

도 4(a) 내지 (c)는 흘림방지턱을 포함한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4 (a) to (c) is a view showing a bracket attachment device including a spill prevention jaw.

도 5는 밴드고정홈을 포함한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bracket attachment apparatus including a band fixing groove.

도 6은 어금니용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한 접촉돌기를 포함한 이동지그를 갖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bracket attachment device having a moving jig including a contact projection for fixing the molar bracket.

도 7(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켓 부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7 (a) to (d)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racket at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나사 형상의 이동지그를 갖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view showing a bracket attachment apparatus having a screw-shaped moving jig.

도 9(a) 내지 (b)는 본 발명에 의한 브라켓 부착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9 (a) to (b)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racket at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이동지그 12: 삽입부재 10: moving jig 12: insertion member

13: 제2 걸림턱 14: 지지부재 13: second engaging jaw 14: support member

16: 결합돌기 20: 하우징16: coupling protrusion 20: housing

21: 하우징 몸체 23: 제1 걸림턱 21: housing body 23: first locking jaw

24: 결합홈 25: 접촉돌기24: engaging groove 25: contact projection

본 발명은 치아의 높이와 각도가 지시된 브라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면에 부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삽입되고 브라켓을 지지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고 이동지그의 삽입위치의 조절을 통해 브라켓의 높이를 조정하고 이에 더하여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브라켓의 부착위치를 재현하기 용이한 브라켓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attachment device in which the height and angle of the teeth are instructed,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a housing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and a movable jig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supporting the bracket, and adjust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movable jig.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bracket and 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angle can be adjusted, and relates to a bracket attachment device that is easy to reproduc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bracke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아의 교정을 위해서는 치아(101)의 전면(또는 후면)에 부착된 브라켓(103)에 교정용 와이어(105)를 고정시켜 치아에 지속적인 교정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치열을 바르고 기능적으로 배열하는 교정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인 브라켓(103) 부착과정은 작업자에 의해 좌우되는 브라켓 높이와 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한 상태에서 부착될 때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correct a tooth, a method of fixing a straightening wire 105 to a bracket 103 attached to a front side (or a rear side) of a tooth 101 allows continuous correction to the tooth. Used. Attaching the bracket 103,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in orthodontic and functionally arranged orthodontic treatment, can be performed successfully when the bracket height and angle are properly adjusted depending on the operator.

정상교합의 치열은 각각의 치아가 적절한 형태를 지닌 채로 특정한 요구 조건의 위치선정이 필수적으로 되며, 앞니에서 어금니 쪽으로 갈수록 약간씩 높이가 낮아지게 배열되고, 앞니, 송곳니, 어금니는 적절한 정도의 경사 각도를 지닌채로 배열되어야만 씹고 말하고 잘 삼키며 예쁘게 보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Orthodontic dentition requires the positioning of specific requirements, with each tooth in the proper shape, arranged slightly lower in height from the incisor to the molars, and the incisors, canines, and molars at appropriate degrees of inclination. They must be arranged with to be able to chew, speak, swallow well and perform beautiful looking functions.

이처럼 모든 치아에서 각기 다양한 위치를 갖추기 위해 그간 교정학계에서 여러 가지 위치 결정을 위한 게이지나 재 배열된 모형 또는 육안 등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부착하여 왔으나 20여개의 모든 치아를 신뢰도있고 빠르게 부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As such, in order to have various positions in all teeth, the orthodontic system has been using brackets for various positioning, re-arranged models, and the naked eye, but there are limits to attaching all 20 teeth reliably and quickly. there was.

먼저, 위치 결정을 위한 각종 게이지를 이용한 직접 부착방식은 비싼 게이지를 사용하여 브라켓 부착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어금니에 부착시 시야 확보의 어려움이 있고 또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타액분비 환경의 구강에서 부착함으로써 부착력 저하로 인한 부착 실패요인이 초래되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중 브라켓이 떨어졌을 때 기존의 위치를 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재 부착시 기존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 기준을 잡을 수 없기 때문이며, 이는 교정을 받는 사람에게 불편과 치료기간을 길게하는 단점을 초래하게 된다. First, the direct attachment method using various gauges for positioning should be carried out using a bracket using an expensive gauge, there is a difficulty in securing the field of view when attached to the molar and also has a problem of poor accessibility. In addition, by attaching in the oral cavity of the salivary secretion environment,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 failure in adhesion due to the adhesion force takes a lot of work tim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reproduce the existing position when the bracket falls during use. This is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establish a location standard that can maintain the existing position when reattachment, which causes disadvantages that the discomfort and long treatment period for the person undergoing correction.

다음으로, 육안을 이용한 직접 부착 방식이 있다. 이는 값비싼 게이지는 사용하지는 않지만 상기 게이지를 사용한 경우의 단점들이 그대로 나타나고, 특히 오로지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다양한 높이와 각도를 재현하지 못하는 원인이되고, 재부착시 각도 및 위치 재현의 일관성과 정밀성이 저 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Next, there is a direct attachment method using the naked eye. This does not use expensive gauges, but the disadvantages of using such gauges are prese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rely only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This causes a failure to reproduce various heights and angles, and causes a problem that the consistency and precision of angle and position reproduction are degraded when reattaching.

또한, 셋업모델을 이용한 간접부착 방식이 있다. 이는 게이지나 육안을 이용한 방법보다는 정밀도와 일관성 있는 위치선정의 장점은 있다. 이방식은 치아 모형을 각각의 치아 사이에서 잘라내고, 모든 잘린 석고치아를 재배열하여 이상적인 치열을 형성하게 된다. 이 셋업 모델 상에서 이 모형과 유사하게 구부러진 철사를 이용하거나 복잡한 기구들을 이용하여 브라켓의 슬롯 위치를 정한뒤, 석고 셋업 모델의 치아에 부착하게 된다. 그후 각종 트랜스퍼 트레이(transfer tray)가 이 치아와 브라켓 사이에 연결되어 비로소 간접부착이 완성되는 방식이다. There is also an indirect attachment method using a setup model. This has the advantage of precision and consistent positioning over gauge or visual methods. This method cuts the tooth model between each tooth and rearranges all the cut gypsum teeth to form the ideal teeth. On this setup model, the brackets are positioned using a bent wire or complex instruments similar to this one, and then attached to the teeth of the plaster setup model. After that, various transfer trays are connected between the teeth and the brackets to complete the indirect attachment.

이 방식은 부착 작업의 시간 소요와 재료의 낭비가 과도하게 되고, 많은 작업력이 투입되므로 높은 교정비용의 지출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교정치료의 특성상 아무리 가지런한 치열을 셋업하여 이 위치에서 브라켓을 부착하더라도, 이러한 브라켓에 정착되어 치아이동을 수행하는 교정용 철사는 교정용 철사가 삽입되는 사각형의 홈인 브라켓 슬롯의 빈공간(play) 존재와 철사의 탄력부족으로 인하여 미리 정해진(셋업된) 형태대로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이는 완벽한 교정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In this method, the time required for the attaching operation and the waste of materials are excessive, and a lot of work force is applied, which leads to a high cost of calibration. In particular, even if the orthodontic teeth are set up and the bracket is attached at this pos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the orthodontic wire that is settled in these brackets and performs tooth movement is the play of the slot of the bracket which is a square groove into which the orthodontic wire is inserted. The lack of presence and wire resilience prevents them from moving in a predetermined (set up) fashion. This raises a problem that a perfect correction effect cannot be obtained.

또한, 다른 방식으로는 TARG, SLOT 머신 등을 이용한 간접부착 방식이 있다. 이는 치아모형을 기구의 고정대 위에 설치한 후, 개개치아의 적절한 높이(Height), 근원심경사 각도(Angulation), 순설 또는 설측 경사각도(Torque), 두께(In & Out), 회전정도(Rotation) 등을 계측하고 이 기구들의 또다른 부속물을 이용하여 브라켓 슬롯의 위치를 정하게 된다. 그 뒤 앞서 설명한 방식과 같이 트랜스퍼 트레이를 제 작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고가의 장비사용, 여러 가지 계측사항 존재 및 그에 따른 과도한 작업시간의 소요 등의 문제가 있고, 앞서 설명한 방식과 마찬가지로 복잡한 트랜스퍼 트레이의 연결과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In addition, another method is an indirect attachment method using a TARG, a slot machine, or the like. This is because the tooth model is placed on the fixture of the instrument, and then the appropriate height of the individual teeth, angular inclination angle, snow or lingual inclination (Torque), thickness (in & out) and rotation (rotation). The back is measured and another accessory of these instruments is used to position the bracket slot. After that, the transfer tray is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is is a problem such as the use of expensive equipment, the presence of various measurement items and the excessive time requir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the connection process of a complex transfer tray,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브라켓 부착방식과는 달리 각종 게이지나 장비들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교정 시술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bracket attachment device that can reduce the cost of the calibration procedure by not using a variety of gauges or equipment unlike the conventional bracket attachment method. do.

또한, 본 발명은 직접 부착시의 시야 및 접근의 곤란함을 해결하고, 타액으로 인한 부착 실패를 없앨 수 있으며, 사용 중 브라켓의 탈락으로 인하여 재부착할 때 종전과 동일한 위치에 재부착할 수 있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difficulty of vision and access when directly attached, eliminates the attachment failure due to saliva, and can be reattached to the same position as before when reattached due to the dropping of the bracket during use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bracket attachment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의 부착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높이 및 각도 조절 구성을 포함하여 보다 용이하게 부착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쉽게 부착하고 부착 에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ight and angle adjustment configuration to easily adjust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bracket is possible to adjust the attachment position more easily, to provide a bracket attachment device that allows the operator to easily attach and reduce the attachment error It is another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이동지그를 브라켓과 하우징에 삽입하고 하우징을 치아모형에 부착하는 과정만으로 트랜스퍼 트레이가 제작되므로, 교정작업에 드는 시간, 노동력, 재료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cket attachment device that can reduce the time, labor, material costs, etc. required for the calibration operation since the transfer tray is produced only by inserting the moving jig into the bracket and the housing and attaching the housing to the tooth model. It is another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태의 몸체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양측벽에 톱니 형상을 갖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측부에 상기 제1 걸림턱에 끼워지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부재,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상기 삽입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As a constituent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 bracket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for fixing a correction wire for correcting the arrangement of the tooth on the tooth surface, A housing in which a coupl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side the body, and at least two first locking jaws having a sawtooth shape on both side walls of the coupling groove; And an insertion member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tooth, the insertion member being bent at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having a second locking jaw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to be fitted to the first locking jaw, and formed at one side of the bracket. It is provided with a bracket for the orthodontic bracket comprising a; moving jig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member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to be inserted into the orthodontic wire receiving gro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삽입부재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의 일측 끝단에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수평 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Preferably,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of the movable jig is preferably formed with a handle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on member, the fixing project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ward on one side end of the coupling projection of the movable jig, It is possible to limit the horizontal position movement of the bracke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장치는 전체적으로 일자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각도 지시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서 상기 결합돌기 형성면 의 반대측면에는 각도 지시부재의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the attachment device further includes an angle indicating member which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straight line as a whole and is formed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forming surface in the supporting member of the movable ji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of the angle indicating member may be form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 지시부재의 일측 끝단은 상기 삽입돌기와 같은 방향으로 소정각도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그 끝부분이 치아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 및 삽입부재의 사이에는 치아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흘림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Also preferably, one end of the angle indicating member is form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protrusion so that its end may contact the tooth surface, and the teeth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member of the movable jig. It is also preferred that a spill prevention member is formed to prevent the adhesive for attaching the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from flowing down.

또한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브라켓을 추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밴드를 걸기 위한 한쌍의 밴드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band fix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of the movable jig to hang an elastic band for additionally fixing the bracket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has a wider width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t can be made to hav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돌기 대신에 브라켓의 양측끝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한쌍의 접촉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동지그는 한쌍이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결함홈에 서로 마주보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 형성부분의 외측 표면에는 제1 걸림턱 형성 위치 인지가 용이하도록 돌출된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Also preferably, a pair of contact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elastically contact both end surfaces of the bracket instead of the coupling protrusion, the coupling groove of the housing is formed through the housing, and the movable jig is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is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defect groove of the housing. In addition, preferably, a protruding display portion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forming portion of the housing so as to easily recognize the first locking step form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 박스 형상을 갖고, 내측에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결합홈에 삽 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내측 양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부재;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고정돌기에 들어맞는 고정홈이 양측면에 각각 적어도 두개이상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 bracket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for fixing the correction wire for correcting the arrangement of the tooth on the tooth surface, having a box shape, the coupling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side A housing; A coupling member having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wherein a cutting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and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at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cutt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ooth to be inserted into the orthodontic wire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and at least two fixing member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rojection to fit the fixing projections It provides a device for attaching the orthodontic bracket comprising a; moving jig including a coupling proj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치열 교정시 교정을 위한 브라켓을 종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면의 순측(외측) 및/또는 설측(내측)에 부착해야 한다. 이때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서 브라켓을 치아의 적절한 높이(Height)에 부착해야 하고, 교정 와이어를 지지하게 되어 있는 브라켓의 홈이 치아의 수직축(장축, 치아의 윗면으로부터 그을 수 있는 가장 긴 가상축)과 수직이 되도록(Angulation) 부착해야 한다. In orthodontics, a bracket for orthodontics should be attached to the forward side (outside) and / or the lingual side (inside) of the tooth surfac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bracket should be attached to the proper height of the tooth according to the patient's dental condition, and the groove of the bracket that is supporting the correction wire is the vertical axis of the tooth (longest axis, the longest virtual axis that can be cut from the top of the tooth). It should be attached so that it is perpendicular to (Angulation)

이러한 두가지 조건을 만족하면서, 브라켓이 치면에 잘 부착되도록 하여야 하고, 부착시에 그 부착 조건(높이 및 각도)을 기록하여 동일한 위치에 재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While satisfying these two conditions, the bracket should be well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and the attachment condition (height and angle) should be recorded at the time of attachment so that it can be reattached at the same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하도록 하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며,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cket attachment apparatus that satisfies these conditions, and looks at the following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

본 발명의 부착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하우징(20), 이동지그(10)를 포함하고 있다. The attach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ure 2, and includes a housing 20, the moving jig 10.

하우징(20)Housing (20)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전체적으로 박스형태의 몸체(21)를 갖고 있다. 하우징(20)에는 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 결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홉(24)은 양측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측에만 개구부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0)은 그 하부가 상부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c), the housing 20 has a box-shaped body 21 as a whole. The housing 20 has a coupling groove 24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gure. Coupling hop 24 may be formed to penetrate both sides, it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only on one side. The housing 20 may be formed such that its lower portion has a wider width than the upper portion.

상기 결합홈(24)의 내측벽에는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제1 걸림턱(23)이 형성된다. 제1 걸림턱(23)은 양쪽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씩 형성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1 걸림턱(23)에는 후술하는 이동 지그(10)의 제2 걸림턱(13)이 결합되며, 제1 걸림턱(23)의 형성 위치에 따라서 이동 지그(10)의 부착위치가 다르게 되며, 그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아주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A first locking jaw 23 having a protruding shape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24. The first catching jaw 23 is formed in pairs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and at least two are formed. The second locking jaw 13 of the moving jig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jaw 23, and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oving jig 10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first locking jaw 23. This has the effect of making it very easy to adjust the height.

제1 걸림턱(23)은 바람직하게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 직사각형의 형상 등 후술하는 제2 걸림턱과 서로 대응하여 제2 걸림턱이 슬라이딩 되어 삽입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제1 걸림턱(23) 형성부분의 하우징 표면에는 제1 걸림턱 형성위치의 인지가 용이하도록 돌출된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catching jaw 23 may be preferably formed in a sawtooth shape, and the second catching jaw may be slid in correspondence with a second catching jaw described later, such as a trapezoidal shape and a rectangular shape. Any shape is possible. A display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housing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jaw 23 forming part so as to easily recognize the first locking jaw forming position.

상기 하우징(20)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돌기(25)는 하우징(20)이 치면에 부착 될 때 치면에 도포된 결합용 수지(접착제)와 하우징의 바닥면이 접촉하는 접촉면적을 늘리게 하는 효과가 있고, 도포된 수지가 하우징의 접촉돌기(25)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분에 투입되어 상당량이 흘러내리지 않고 접촉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25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0. This contact projection 25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act area that the bonding resin (adhesive) applied to the tooth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when the housing 20 is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the coated resin of the housing It is introduced into the groove portion formed by the contact projection 25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used for contact without a significant amount flowing.

이동지그(10)Jig (10)

이동지그(1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결합홈(24)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는 브라켓과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브라켓을 수직치면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moving jig 1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4 of the housing 20, as shown in FIG. 2 (b), and is detachably coupled with the bracket for fixing the calibration wire to vertically mount the bracket. Allow it to move on the tooth surface.

이동지그(10)는 치아의 축방향(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14)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4)는 긴 막대형상 또는 막대형상 보다 좀더 폭이 넓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14)의 일측 끝부분에는 지지부재(14)와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삽입부재(12)가 마련된다. The moving jig 10 includes a support member 14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f the tooth. The support member 14 may be formed in a long rod shape or a plate shape that is wider than the rod shape. One en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4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member 12 formed by b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member 14.

삽입부재(12)는 상기 하우징(20)의 결합홈(24)에 삽입되며, 삽입부재(12)의 양측면에는 상기 결합홈(24)의 제1 걸림턱(23)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걸림턱(13)이 형성된다. 제2 걸림턱(13)은 상기 제1 걸림턱(23)과 마찬가지로 톱니 형상, 사각, 사다리꼴 단면 등 여러 가지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삽입부재(12)는 상기 하우징(20)의 결합홈(24)의 깊이보다 작은 수평길이를 갖게 된다. Inserting member 1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4 of the housing 20, both sides of the insertion member 1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step 23 of the coupling groove 24. The second locking step 13 is formed. Similar to the first locking step 23, the second locking step 13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awtooth shape, a square shape, and a trapezoidal cross section. The insertion member 12 has a horizontal length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coupling groove 24 of the housing 20.

상기 지지부재(14)의 타측 끝단에는 결합돌기(16)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6)는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홈(도 1 참조)의 너비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홈의 너비보다 약간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6)는 상기 삽입부재(12)가 절곡되어 있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Coupling protrusions 16 ar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member 14. Coupling projection 16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see Fig. 1) to be inserted into the calibration wire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preferably slightly than the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It can be formed in a small thickness. Coupling protrusion 16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member 12 is bent.

또한, 상기 지지부재(14)에는 삽입부재(12)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18)가 형성된다. 손잡이(18)는 손 또는 집게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지그(10)를 하우징(20)에 삽입하여 치면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4 is formed with a handle 18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on member 12. The handle 18 is used to insert the moving jig 10 into the housing 20 by using a hand or a forceps to move toward the tooth surface.

각도 지시부재Angle indicator

상기 지지부재(14)에서, 상기 결합돌기(16) 형성위치 중 결합돌기 형성면과 반대면에는 각도 지시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7)이 형성된다. In the support member 14, an insertion hole 17 into which the angle indicating member 30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a surface opposite to the coupling protrusion forming surface among the coupling protrusions 16 forming positions.

각도 지시부재(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일자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다. 도 3(a)는 그 측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적어도 일측끝단이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각도 지시부재(30)에는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삽입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끝단의 절곡방향은 상기 삽입돌기(32)가 뻗어있는 방향과 같다. The angle indicating member 3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form a straight line as a whole, as shown in FIG. Figure 3 (a) is a view shown in the lateral direction, at least one end is formed by bending in one direction. The angle indicating member 30 has an insertion protrusion 32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one end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32 extends.

각도 지시부재(30)는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삽입홀(17)에 삽입돌기(32)를 삽입한 상태로 사용된다. The angle indicating member 30 is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3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7 as shown in FIG.

도 3(c)는 상기 각도 지시부재(30) 및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 및 이동지그가 브라켓을 치면에 부착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3 (c) shows an operation of attaching the bracket to the tooth surface by the angle indicating member 30 and the housing and the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동지그(10)의 브라켓 결합돌기(16)에 브라켓(103)을 끼우고, 하우징(20)의 결함홈에 이동지그(10)의 삽입부재(12)를 삽입한다. 이때 브라켓(103)의 위치는 치아의 중심(치아의 최장축에 수직하게)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20)의 결합홈 내의 제1 걸림턱 중 적당한 높이의 걸림턱에 상기 삽입부재(12)를 삽입하게 된다. 다음으로 하우징(20)을 치아(101)의 수평치면에 부착한다. First, the bracket 103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engaging projection 16 of the moving jig 10, and the insertion member 12 of the moving jig 10 is inserted into the defect groove of the housing 20.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bracket 103 should be install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tooth (perpendicular to the longest axis of the tooth). To this end, the insertion member 12 is inserted into a locking jaw of a suitable height among the first locking jaws in the coupling groove of the housing 20. Next, the housing 20 is attached to the horizontal tooth surface of the tooth 101.

이때 브라켓의 뒤쪽에는 각도 지시부재(30)가 지지부재(14)에 삽입되어 있으며, 브라켓(103)을 수직치면에 가져갈 때 브라켓의 와이어 수납홈이 치아의 최장축에 수직하도록 맞추게 된다. 즉, 치아의 최장축과 각도 지시부재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각도 지시부재를 삽입돌기(32)를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키고, 그 각도 지시부재의 지시축에 일치하도록 브라켓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angle indicating member 3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14 at the rear of the bracket, and the wire receiving groove of the bracket is align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est axis of the tooth when the bracket 103 is brought to the vertical tooth surface. That is, the angle indicating member is rotated at an angle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32 as the central axi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longest axis of the tooth and the position of the angle indicating member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position of the bracket is adjusted to match the indicating axis of the angle indicating member. do.

따라서, 도 3(c)에는 이러한 높이 및 수직각도 조절이 완료된 상태의 브라켓(103)이 도시되어 있다. Thus, Figure 3 (c) shows the bracket 103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nd vertical angle adjustment is completed.

흘림방지부재(67)Spill Prevention Member (67)

도 4는 흘림방지 부재를 형성한 부착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서 하우징(70)은 도 2의 하우징(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4 shows an attachment device in which a spill prevention member is formed. In FIG. 4A, the housing 7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housing 10 of FIG. 2.

도 4(a)에서의 이동지그(60)가 도 4(b)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동지그(60) 역시 손잡이(68), 삽입부재(62), 결합돌기(64)를 갖는 점에서 도 2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도 4에서는 치아면과 하우징(70)의 하부면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 (교정용 접착수지)가 브라켓 고정과정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흘림방지부재(67)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The moving jig 60 in Fig. 4 (a) i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4 (b). The moving jig 60 is also the same as in FIG. 2 in that it has a handle 68, an insertion member 62, and a coupling protrusion 64. 4, the spill prevention member 67 is formed to prevent the adhesive (orthodontic adhesive resin) for attaching the tooth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70 from flowing down during the bracket fixing process.

흘림방지부재(67)는 상기 결합돌기(64)보다 더 많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브라켓의 두께에 결합돌기의 돌출량을 더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pill prevention member 67 protrudes more than the coupling protrusion 64, which is preferably to protrude by the length of the bracket plus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coupling protrusion.

고정돌기(641)Fixing protrusion (641)

또한, 도 4에서 상기 결합돌기(64)의 일측 끝단에 상측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64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641)는 결합돌기(64)가 끼워지는 브라켓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브라켓의 일측방향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브라켓의 위치선정이나, 이동지그를 통한 브라켓 이동중의 위치 이동/탈락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돌기(641)와 동일한 고정돌기(171)를 도 2(b)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641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upward directio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64 in FIG. 4. The fixing protrusion 641 serves to prevent the bracket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64 is fitted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bracket in one direction, it serves to prevent the positioning of the bracket more accurately or the movement of the bracket during the movement of the bracket through the jig. The same fixing protrusion 171 as the fixing protrusion 641 can be found in FIG.

한쌍의 이동지그A pair of moving jig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70)의 결함홈(74)이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그 하우징의 결합홈이 양측에 모두 개구부를 갖도록 하는 형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하우징(70)을 사용하면 치아의 외측 및 내측에 동시에 브라켓을 부착시키는 이동지그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c), the defect groove 74 of the housing 7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have a shape such that the coupling groove of the housing has openings on both sides. Using the housing 70 can simultaneously use a moving jig for attaching the bracket to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tooth at the same time.

즉, 일측의 이동지그(601)는 치아의 외측에서 브라켓을 이동시켜 부착하게 되고, 타측의 이동지그(602)는 치아의 내측에서 브라켓을 이동시켜 부착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이동지그(601,602)의 삽입부재의 길이는 하우징의 결합홈(74)의 길이의 절반보다 작도록 형성하여야만 한다. That is, one side of the jig 601 is attached by moving the bracket on the outside of the tooth, the other side of the jig 602 is attached by moving the bracket on the inside of the tooth.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insertion member of each of the moving jig (601,602) should be formed to be less than half of the length of the coupling groove 74 of the housing.

밴드고정홈(88)Band Locking Groove (88)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5에서는, 브라켓을 추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한쌍의 밴드고정홈(88)이 형성된다. 도 5(a)의 사시도에서,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하우징(90) 및 이동지그(80)를 포함하게 된다. 하우징의 구조는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이동지그(80)는 결합돌기(84)의 상하측으로 지지부재(85)에 밴드고정홈(88)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In FIG. 5, which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band fixing grooves 88 for additionally fixing the bracket are formed.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 5A, the housing 90 and the moving jig 80 are included as in FIG. 2.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is the sam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jig 8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d fixing groove 88 i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85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ngaging projection 84.

밴드고정홈(88)은 결합돌기(84)가 삽입되어 브라켓이 이동지그에 안착되면 브라켓과 이동지그를 탄성밴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추가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탄성밴드를 걸기 위해 밴드고정홈(88)은 한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밴드고정홈(88)은 끝단이 양측면방향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어 탄성밴드를 걸어도 잘 빠지지않도록 하는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The band fixing groove 88 serves to additionally fix the bracket and the moving jig through an elastic band (not shown)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84 is inserted and the bracket is seated on the moving jig. The band fixing groove 88 is preferably provided in pairs to hang the elastic band. The band fixing groove 88 may have a shape so that the end is slightly protruded in both side directions so that it does not fall well even when walking the elastic band.

또한, 앞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결합돌기(84)의 일측끝단에는 고정돌기(841)가 형성되어 브라켓의 수평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s 841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84 as in FIGS. 2 to 4 to limit the horizontal position movement of the bracket.

어금니 브라켓용 접촉돌기(954)Contact protrusion for molar bracket (954)

도 6은 어금니 브라켓용 접촉돌기를 갖는 브라켓 고정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교정용 브라켓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방향의 수납홈을 전면에 형성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어금니 쪽에 부착되는 브라켓은 수납홈이 튜브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교정 와이어가 시작되는 부분 및 끝나는 부분을 이루기 때문이며, 따라서 와이어의 상하 이동위치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와이어가 풀리지 않도록 완전히 체결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6 shows a bracket fixing device having contact protrusions for molar brackets. The orthodontic bracket has a shape in which horizontal and vertical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as shown in FIG. 1, but the bracket attached to the molar side is formed to have a tube shape. This is because the calibration wire is form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wire, and thus not only serves to fix the vertical movement position of the wire but also serves to completely tighten the wire so that it does not loosen.

따라서 이와 같은 어금니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는 다른 형상의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6에서, 하우징(20)은 도 2와 동일하고, 하우징(20)에 삽입되는 이동지그(95)는 결합돌기대신에 상기 어금니 브라켓(104)의 양측 끝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한쌍의 접촉돌기(954)를 포함하게 된다. 접촉돌기(954)는 끝이 뾰족한 원뿔형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접촉암(952)의 끝단에 형성된다. 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such a molar bracket, it is necessary to have a shape different from those in FIGS. 2 to 5. In FIG. 6, the housing 20 is the same as FIG. 2, and a pair of moving jigs 95 inserted into the housing 20 may elastically contact both end surfaces of the molar bracket 104 instead of the engaging protrusion. It will include the contact protrusion 954 of. The contact protrusion 954 preferably has a conical shape with a sharp tip, which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tact arm 952.

결합부재를 갖는 부착장치Attachment device with coupling member

본 발명은 도 7에서와 같이 브라켓을 고정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그 위치 조절이 용이하면서 재현성 있도록 하는 또 다른 구조의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도 7(a)에 따른 부착장치는 하우징(50)과 그 내측에 삽입되는 결합부재(40) 및 결합부재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지그(45)를 포함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cket attachment device of another structure to fix and move the bracket as shown in FIG. The attachment device according to FIG. 7 (a) includes a housing 50, a coupling member 40 inserted into the inside thereof, and a movable jig 45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through the coupling member.

도 7(c)에서, 하우징(50)은 전체적으로 박스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깊이로 형성된 결합홈(56)이 형성된다. 하우징(50)의 하부면은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소 정 길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55)가 형성되어 있다. In FIG. 7C, the housing 50 is formed to have a box shape as a whole. In addition, a coupling groove 56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coupling member 40 can be inse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5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55 protruding downward a predetermined length.

결합부재(40)는 도 7(d)에서와 같이 하우징의 결합홈(56)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돌출되어 있어 그 돌출된 면에는 절개홈(44)이 형성되며, 절개홈의 내측 양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43)가 형성된다. 고정돌기(43)는 반구형의 돌기가 될 수 있으며, 탄성적으로 어느정도 신축이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Coupling member 40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6 of the housing as shown in Figure 7 (d), one side is protruding so that the incision groove 44 is formed on the protruding surface,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43 is form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cutting groove. Fixing protrusion 43 may be a hemispherical protrusion,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so as to be able to stretch to some extent elastically.

상기 결합부재(40)의 절개홈(44)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동지그(45)가 삽입된다. 이동지그(45)는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48)를 포함한다. 지지부재(48)는 양측면에 상기 결합부재의 절개홈의 고정돌기(43)에 들어맞는 고정홈(47)이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홈(47)은 지지부재(48)의 양측면에 각각 적어도 두개 이상이 형성된다. 이들 고정홈은 상기 고정돌기(43)에의해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조여지며, 이에 의해 이동지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moving jig 45 as shown in FIG. 7 (b) is inserted into the cutting groove 44 of the coupling member 40. The moving jig 45 includes a support member 48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ooth. The support member 48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grooves 47 to fit the fixing projections 43 of the cutting groove of the coupling member on both sides. At least two fixing grooves 47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48. These fixing grooves are tightened so as not to move up and down by the fixing protrusion 43, there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ving jig.

이동지그(45)는 또한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46)를 포함한다. 결합돌기의 형상은 앞서 살펴본 도면에서와 동일하다. The moving jig 45 also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46 that can be inserted into a calibration wire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지그(45)는 상기 결합부재(40)의 절개홈(44)에 결합되며, 결합부재는 이동지그를 결합한 채로 하우징(50)에 삽입된다. 상기 이동지그(45)의 끝단에서 상방으로 힘을 가하면 결합부재의 고정돌기(43)에 이동지그(45)의 고정홈(47)이 걸리면서 소정 피치만큼 이동하게되고, 이에 의해 결합돌기(46)의 수 직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The moving jig 45 in this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cutting groove 44 of the coupling member 40,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50 with the moving jig coupled. When a force is applied upward from the end of the moving jig 45, the fixing groove 43 of the moving jig 45 is caught by the fixing protrusion 43 of the coupling member, thereby moving by a predetermined pitch, thereby engaging the coupling protrusion 46. The vertical position of can be adjusted.

나사형 이동지그(415)Threaded Moving Jig (415)

또한 상기 이동지그는 도 8에서와 같이 나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결합부재(410)는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는 동일하다. 그러나, 결합부재(410)의 일측에는 도 7에서와 같은 절개홈이 형성되지 않고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4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홈(412)을 통해 이동지그(415)가 회전하며 삽입된다. 따라서 이동지그(415)는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벽면에는 소정 피치를 가진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이동지그의 하부측에는 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418)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movable jig may be formed in a screw shape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7, the coupling member 41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housing (not shown). However, on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410 is not formed with a cutting groove as shown in FIG. 7 is formed with a threaded groove 412 is formed. The moving jig 415 is rotated and inserted through the screw groove 412. Therefore, the moving jig 415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 thread having a predetermined pitch is formed on the wall surface.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418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ving jig to fix the bracket.

이와 같은 나사산을 가진 이동지그(415)를 사용하는 경우, 이동지그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결합돌기의 위치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높이의 조절이 용이하게 되고, 조절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는 유지력이 강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이동지그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In the case of using the movable jig 415 having such a thread, the posi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movable jig, so that the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holding force can be maintained. It becomes stronger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more stable moving jig coupling structure.

높이 선택형 이동지그Height Selective Jigs

본 발명은, 도 9에서와 같은 높이 선택형 이동지그(242)를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other embodiment using the height selective moving jig 242 as in FIG.

도 9(a) 및 9(b)에서, 하우징(241)은 다단의 서랍방식이 아닌, 한단으로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41)의 하부면 및 전체적인 형상은 앞서 실 시예에서와 같고, 단지 높이를 선택적으로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아닌 점이 다르게 된다. 9 (a) and 9 (b), the housing 241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formed in one stage, rather than a multi-stage drawer method. The lower surface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housing 241 is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differs in that it is not configured to merely insert the height selectively.

이러한 하우징(241)에 이동지그(242)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브라켓이 부착될 위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이동지그(242)를 도 9(b)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높이가 미리 정해진 세트를 사용하게 된다. 도 9(b)에서 좌측의 이동지그가 가장 수직길이가 길게 되고, 우측으로 갈 수록 그 높이가 작아지게 된다. The moving jig 242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41. At this time,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height) to which the bracket is attached, the moving jig 242 uses a predetermined set of various heights as shown in FIG. 9 (b). In FIG. 9 (b), the vertical length of the moving jig on the left becomes long, and the height thereof decreases toward the right.

본 실시예에서는, 치아모형에 적합한 높이를 가진 이동지그를 선택하여 이동지그의 결합홈에 브라켓을 끼우고, 이 이동지그를 하우징에 결합하여 브라켓을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구조는 하우징을 보다 단순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의 용이성이 확보되며, 이동지그를 여러개 세트로 제작하여 각 높이별로 다른 이동지그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그 높이의 조절폭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ing jig having a height suitable for the tooth model is selected to insert the bracket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oving jig, and the moving jig is coupled to the housing to attach the bracket. This structure allows the housing to be manufactured in a simpler shap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anufacture, and by making several sets of moving jigs to use different moving jigs for each height, it is possible to vary the width of the height adjustment. This will be.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각종 게이지나 장비들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물을 사용하여 브라켓의 부착위치를 정확하게 정할 수 있고, 브라켓 부착위치를 재현하기 용이하도록 부착 높이 및 각도를 수치화할 수 있어 재현성이 뛰어난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bracket using a simple structure without using various gauges or equipment, and to quantify the attachment height and angle so as to easily reproduc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bracke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bracket attachment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직접 부착시의 시야 및 접근의 곤란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브라켓의 부착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높이 및 각도 조절 구성을 포함하여 보다 용이하게 부착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쉽게 부착하고 부착 에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difficulty of the field of view and access when directly attached, including the height and angle adjustment configuration to easily adjus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racket is possible to adjust the attachment position more easily, the operator easily There is an effect to provide a bracket attachment device that can attach and reduce the attachment error.

또한, 본 발명은 이동지그를 브라켓과 하우징에 삽입하고 하우징을 치아모형에 부착하는 과정만으로 트랜스퍼 트레이가 제작되므로, 교정작업에 드는 시간, 노동력, 재료비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ransfer tray is manufactured only by inserting the moving jig into the bracket and the housing and attaching the housing to the tooth model, the transfer tray can reduce the time, labor, material cost, etc. required for the calibration work.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Claims (22)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In the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 bracket to the tooth surface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for fixing a correction wire for correcting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박스 형태의 몸체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양측벽에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A housing in which a coupl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side the box-shaped body, and at least two first locking jaws having protruding shapes on both side walls of the coupling groove; And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측부에 상기 제1 걸림턱에 끼워지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부재,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상기 삽입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A support member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ooth, the insertion member is formed bent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engaging jaw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engaging jaw, the correc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And a moving jig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membe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orthodontic bracket attach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ly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삽입부재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of the jig for orthodontic bracket mou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on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의 일측 끝단에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수평 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The orthodontic bracket mount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fixing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es upwar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moving jig to limit the horizontal positional movement of the bracke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전체적으로 일자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각도 지시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I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straight line as a whole, and further comprises an angle indicating member is forme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서 상기 결합돌기 형성면의 반대측면에는 각도 지시부재의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in which the insertion projection of the angle indicating member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projection forming surface in the support member of the jig.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지시부재의 일측 끝단은 상기 삽입돌기와 같은 방향으로 소정각도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그 끝부분이 치아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one end of the angle indicating member is form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protrusion so that the end thereof contacts the tooth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 및 삽입부재의 사이에는 치아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흘림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2. The orthodontic appliance of claim 1, wherein a spill prevention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member of the movable jig to prevent the adhesive for attaching the tooth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o flow down. Bracket attachmen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브라켓을 추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밴드를 걸기 위한 한쌍의 밴드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of the movable jig is provided with a pair of band fixing grooves for hooking an elastic band for additionally fixing the bracket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orthodontic bracket attach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 대신에 브라켓의 양측끝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한쌍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thodontic bracket attach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contact projections which can elastically contact the opposite end surface of the bracket instead of the engaging projection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groove of the housing is formed through the housing, 상기 이동지그는 한쌍이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결함홈에 서로 마주보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The jig is provided with a pair of orthodontic bracket attach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defect groove of the housing to face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 형성부분의 외측 표면에는 제1 걸림턱 형성 위치 인지가 용이하도록 돌출된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forming portion of the housing orthodontic bracket attach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display portion is formed to facilitate the recognition of the first locking step forming position.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In the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 bracket to the tooth surface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for fixing a correction wire for correcting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박스 형상을 갖고, 내측에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A housing having a box shape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herein;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일측에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의 내측 양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A coupling member having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having a cutt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formed at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cutting groove; And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고정돌기에 들어맞는 고정홈이 양측면에 각각 적어도 두개이상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ooth to be inserted into the orthodontic wire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and at least two fixing member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rojection to fit the fixing projections Attachment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comprising a; moving jig including a engaging projec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의 일측 끝단에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수평 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The orthodontic bracket mounting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a fixing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es upwar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movable jig to limit the horizontal positional movement of the bracket. 제 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전체적으로 일자형을 이루도록 수직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수평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각도 지시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I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straight line as a whole, and further comprises an angle indicating member is forme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이동지그의 지지부재에서 상기 결합돌기 형성면의 반대측면에는 각도 지시부재의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Device for orthodontic brack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in which the insertion projection of the angle indicating member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upling projection forming surface in the support member of the jig.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지시부재의 일측 끝단은 상기 삽입돌기와 같은 방향으로 소정각도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그 끝부분이 치아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7. The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one end of the angle indicating member is form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protrusion so that the end thereof contacts the tooth surfa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 및 삽입부재의 사이에는 치아면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을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흘림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4. The orthodontic appliance of claim 13, wherein a spill prevention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insertion member of the movable jig to prevent the adhesive for attaching the tooth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o flow down. Bracket attachment devic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is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 대신에 브라켓의 양측끝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한쌍의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a pair of contact protrusions are formed to elastically contact both end surfaces of the bracket instead of the engaging protrusion.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In the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 bracket to the tooth surface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for fixing a correction wire for correcting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박스 형상을 갖고, 내측에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A housing having a box shape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herein;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일측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A coupling member having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having a screw groov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나사홈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A moving jig including a support member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ooth and formed with a screw thread engaged with the screw groove, and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so as to be inserted into a straightening wire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Brackets attachment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comprising; 치아의 배열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수납홈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상기 치아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장치에 있어서,In the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a bracket to the tooth surface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for fixing a correction wire for correcting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박스 형상을 갖고, 내측에 소정 깊이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A housing having a box shape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herein; And 치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교정 와이어 수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상기 삽입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이동지그;를 포함하고, The support member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ooth, the insertion member is bent to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housing,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member to be inserted into the correction wire receiving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And a moving jig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member. 상기 이동지그의 결합돌기와 삽입부재 사이의 길이가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이동지그가 한 세트를 이루어, 브라켓 부착시 필요한 길이를 가진 이동지그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브라켓 부착장치.At least two movable jigs having different lengths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movable jig and the insertion member form a set to select and use the movable jig having a length required for attaching the bracket. .
KR1020040069010A 2004-08-31 2004-08-31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KR100594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010A KR100594356B1 (en) 2004-08-31 2004-08-31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PCT/KR2005/002640 WO2006025661A1 (en) 2004-08-31 2005-08-12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010A KR100594356B1 (en) 2004-08-31 2004-08-31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214A KR20060020214A (en) 2006-03-06
KR100594356B1 true KR100594356B1 (en) 2006-06-30

Family

ID=3600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010A KR100594356B1 (en) 2004-08-31 2004-08-31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4356B1 (en)
WO (1) WO2006025661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552B1 (en) 2007-10-04 2009-07-20 최용현 Orthodontic connector
KR101109531B1 (en) 2009-02-18 2012-01-31 유겐가이샤오소스타시온 Lingual bracket rebonding magnet core
KR102174693B1 (en) * 2019-06-18 2020-11-05 자인텍 주식회사 Jig for orthodontics brack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535B1 (en) * 2007-08-09 2009-05-26 이준호 Transfer jig for bracket or tube, manufacturing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1757242B1 (en) 2015-07-02 2017-07-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Bracket Mount For Orthodontic Treatment, Bracket Module Having the Same, And Fabricating Method Of Bracket Mount
KR102090381B1 (en) * 2018-05-21 2020-03-1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Orthodontic zig, orthodontic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157109B1 (en) 2018-07-03 2020-09-17 주식회사 케어덴트코리아 Bracket Block For Manufacturing Customized Orthodontic Bracket, Customized Orthodontic Bra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00071B1 (en) * 2019-02-28 2020-04-10 박상필 Apparatus for attaching the orthodontic bracket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tooth
CN110507434B (en) * 2019-07-30 2020-08-14 张正朴 Mounting device for directly adhering bracket to tooth surface
US11534269B2 (en) * 2019-07-30 2022-12-27 Zhengpu ZHANG Mounting device for directly bonding brackets to the tooth surface
KR20220118246A (en) * 2021-02-18 2022-08-25 마이라인 주식회사 Orthodontic data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4208A (en) 1976-09-22 1979-01-16 Lawrence Pearlman Adjustable positioning means for orthodontic brackets
US4474555A (en) 1981-11-17 1984-10-02 Diamond Michael K Dental instru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 orthodontic bracket
WO1998006347A1 (en) 1996-08-12 1998-02-19 Silvia Gero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gual brackets placement
JP2000014681A (en) 1998-07-07 2000-01-18 Toshiaki Ko Bracket positioner and bracket mounting for orthodontic apparatus
KR100419445B1 (en) 1999-12-31 2004-02-19 김중한 the lingual bracket jig for orthodontic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2849A (en) * 1981-11-17 1983-12-27 Diamond Michael K Dental instru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lingual orthodontic bracket
US4424029A (en) * 1982-06-01 1984-01-0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Lingual placement device
US6447291B2 (en) * 1999-12-31 2002-09-10 Joong Han Kim Orthodontic jig for attaching orthodontic bracke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4208A (en) 1976-09-22 1979-01-16 Lawrence Pearlman Adjustable positioning means for orthodontic brackets
US4474555A (en) 1981-11-17 1984-10-02 Diamond Michael K Dental instru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 orthodontic bracket
WO1998006347A1 (en) 1996-08-12 1998-02-19 Silvia Geron Apparatus and method for lingual brackets placement
JP2000014681A (en) 1998-07-07 2000-01-18 Toshiaki Ko Bracket positioner and bracket mounting for orthodontic apparatus
KR100419445B1 (en) 1999-12-31 2004-02-19 김중한 the lingual bracket jig for orthodontic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552B1 (en) 2007-10-04 2009-07-20 최용현 Orthodontic connector
KR101109531B1 (en) 2009-02-18 2012-01-31 유겐가이샤오소스타시온 Lingual bracket rebonding magnet core
KR102174693B1 (en) * 2019-06-18 2020-11-05 자인텍 주식회사 Jig for orthodontics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25661A1 (en) 2006-03-09
KR20060020214A (en)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356B1 (en) Bracket positioner indicating the height and angulation of the teeth
KR100899535B1 (en) Transfer jig for bracket or tube, manufacturing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0763315B1 (en) Bracket for tooth alignment
JP2011218166A (en) Mounting structure equipped with mounting aid and orthodontic bracket
JP3488694B2 (en) Orthodontic bracket mounting device
KR101691219B1 (en)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for the orthodontic bracket
US5090901A (en) Face bow and adjustable occlusal fork
EP0950384B1 (en) Apparatus for tracing centric relation of mandible
KR20180103761A (en) Jig integrated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53775B1 (en) Surgical apparatus implant kit for accurate implant precision guiding
KR102352945B1 (en) Dental Model Base Structure
US5064368A (en) Indexing device for placement of orthodontic brackets
US5219282A (en) Dental cast indexing for accurate placement of orthodontic brackets
JP2019503244A (en) Orthodontic bracket and orthodontic bracket manufacturing method
KR102274308B1 (en) Bracket indirect attachment jig for orthodontics formed as integral with bite block,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method of use
JP3645189B2 (en) Denture production equipment
KR20160010227A (en) The articulator and the articulating Method of the same
KR200275292Y1 (en) Surgical jaw relator
KR100769223B1 (en) Typodont
US10993789B2 (en) Orthodontic implant device
KR101042380B1 (en) Dental impression apparatus and dental medel fixing instrument using that
WO2006016593A1 (en) Orthodontic set and method for fixing orthodontic bracket
KR101432420B1 (en) articulator
KR100251238B1 (en) Recorder of centric jaw relationship
KR101210757B1 (en) Jig Complex With Anchor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