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098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098B1
KR100594098B1 KR1020040082853A KR20040082853A KR100594098B1 KR 100594098 B1 KR100594098 B1 KR 100594098B1 KR 1020040082853 A KR1020040082853 A KR 1020040082853A KR 20040082853 A KR20040082853 A KR 20040082853A KR 100594098 B1 KR100594098 B1 KR 100594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e
packet data
reverse
base station
ra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827A (ko
Inventor
김윤선
권환준
김동희
한진규
정정수
이수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3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핸드오프를 수행 중인 단말이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률 제어 비트를 수신하는 경우, 가장 효율적인 전송률 제어 비트 해석 방법을 제공하며, 전체 시스템의 처리율을 높일 수 있는 전송률 제어 비트 해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ACK 또는 NACK 정보들과 전송률 제어 정보들의 수신에 의해 이후의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된 ACK 또는 NACK 정보와 상기 역방향 전송률 제어 정보들 중 NACK 정보와 함께 역방향 전송률의 유지 정보를 송신한 기지국을 제외하고, 나머지 기지국들로부터의 전송률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시스템, 역방향 전송률 제어, 핸드오프, 패킷 데이터 전송.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ACKET DATA RAT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제한 데이터율 전송 방식에서 이동단말의 전송률 제어 과정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제한 데이터율 전송 방식에서 이동단말의 전송률 제어 과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부호분할다중접속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음성 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한다. 그리고 상기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구분은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고유 부호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에서 단말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방향을 순방향이라 하며,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방향을 역방향이라 한다. 이와 같이 각 방향에서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으며, 역방향 뿐 아니라 순방향의 데이터 전송 시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단위는 물리 계층 패킷(physical layer packet : 이하 "PLP"라 함) 단위로 전송이 이루어지며, 패킷의 길이는 고정된다. 그러나 각 패킷의 데이터 전송률은 매 패킷마다 가변적이며, 이동단말의 전력, 전송할 데이터의 양 등의 정보에 대한 단말의 피드백 및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한 기지국의 스케쥴링 등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매 패킷마다 가변적인 이동단말의 데이터 전송률을 결정하는 소정의 과정을 스케쥴링(scheduling)이라 하고, 이러한 스케줄링은 기지국의 스케쥴러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기지국의 스케쥴러(scheduler)는 '열잡음 대 전체 수신 전력(Rise of Thermal; 이하 "RoT"라 함)'이나, 현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 이하 "BTS")에 속한 이동단말의 '수신 신호 대 잡음비'로부터 얻은 부하(load) 등을 고려하여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이 이동단말의 역방향 데이터 전송률을 제어하는 방식은 제한 데이터율 전송(Limited Rate Transition) 방식과 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한 데이터율 전송(Limited Rate Transition) 방식이란 기지국이 이동단말의 역방향 데 이터 전송률을 제어함에 있어 데이터 전송률의 천이를 한 단계로 제한을 두는 방식이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데이터 전송률의 가능한 셋(set)에 9.6kbps, 19.2kbps, 38.4kbps, 76.8kpbs, 153.6kbps, 307.2kbps 등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특정 시점에서 이동단말이 역방향으로 전송하고 있는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이 38.4kpbs 라 가정하자. 여기서 상기 데이터 전송률 셋에 포함된 데이터 전송률의 개수와 데이터 전송률의 값은 시스템마다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한 전송률 전송 방식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다음 패킷의 데이터 전송률을 결정함에 있어 이전 패킷 전송률에서 한 단계 업 또는 한 단계 다운 또는 현재 전송률의 유지로 그 범위에 제한을 둔다. 예를 들어, 76.8 kbps 로 전송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기지국의 다음 패킷의 전송률 제어는 38.4kpbs, 76.8kbps, 153.6kpbs 중 하나로 제한을 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현재 표준에 제안되어 있는 제한 전송률 전송 방식에서 기지국과 이동단말의 동작 및 정보 전송 그리고 상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 등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기지국의 스케쥴러가 RoT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RoT를 '기준 RoT 레벨'에 맞추도록 스케쥴링하고, RoT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부하를 '기준 부하 레벨'에 맞추도록 스케쥴링한다. 상기 스케쥴링 결과에 따라 기지국은 이동단말에게 데이터 전송률 제어 정보를(통상, RCB(Rata Control Bit)라 칭함.) 전송한다. 상기 전송률 제어 정보 즉, RCB는 순방향 데이터율 제어 채널(F-RCCH : Forward Rata Control Channel)을 통하여 특정 이동단말로 전송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하는 특정 제어 정보 명칭 혹은 채널 명칭은 설명의 편이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다른 이름이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RCB는 다음과 같이 운용될 수 있다. 이동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CB 값이 '+1'(up) 이면 다음 전송 구간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높이고, 수신된 RCB 값이 '-1'(down) 이면 한 단계 낮춘다. 또한 수신된 RCB 값이 '0'(hold)이면 이전 전송 구간의 데이터 전송률을 유지한다.
도 1은 제한 데이터율 전송 방식에서 이동단말의 전송률 제어 과정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에서 RCB는 순방향 데이터율 제어 채널(F-RCCH)(101)을 통해 기지국에서 이동단말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RCB는 기지국이 여러 이동단말들의 역방향 전송률을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도 1의 역방향 링크는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Reverse Packet Data Control Channel : 이하 "R-PDCCH"라 함)(104), 역방향 패킷 데이터 채널(Reverse Packet Data Channel : 이하 "R-PDCH"라 함)(105), 역방향 파일럿 채널(Reverse Pilot Channel : 이하 "R-PICH"라 함)(10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R-PDCCH는 R-PDCH과 함께 전송되는 제어 채널로서, 상기 R-PDCH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률을 나타내는 전송률 지시 시퀀스(Rate Indication Sequence : 이하 "RIS"라 함), 이동단말의 전력 및 버퍼 상태를 복합적으로 알려주는 이동단말 상태 시퀀스(Mobile Status Sequence : 이하 "MSS"라 함) 등의 정보가 이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R-PDCCH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와 그 비트 수는 특정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R-PDCCH의 RIS 필드와 그에 따라 할당된 R-PDCH 데이터 전송률을 나타낸다.
R-PDCCH RIS R-PDCH 데이터 전송률
0000 0kbps
0001 9.6kbps
0010 19.2kbps
0011 38.4kbps
0100 76.8kbps
0101 153.6kbps
0110 307.2Akbps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RIS 필드가 '0001'이면 R-PDCH이 9.6kpbs로 전송됨을 의미한다. 그 외 다른 시퀀스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해석된다. 한편, 상기 MSS는 이동단말의 상태에 대한 정보들을 담고 있으며, 상기 정보들은 기지국에 보고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이동단말은 자신의 버퍼에 쌓여 있는 데이터양 및 현재 이동단말이 전송하고 있는 전력 등을 고려하여, 다음 전송 구간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를 원하는지, 유지하기를 원하는지 혹은 낮추기를 원하는지를 나타내는 MSS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생성된 MSS를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보고한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이동단말의 데이터 전송률이 상기 보고에 의해 바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즉, 기지국은 상기 보고된 MSS를 수신하고, 스케쥴러에서 스케줄링된 결과에 따라 전송률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하기 <표 2>는 상기 MSS의 일례를 보여준다.
MSS 의미
00 MS가 전송률 증가를 요청
01 MS가 전송률 감소를 통보
10 MS가 전송률 유지를 요청
11 미사용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MSS가 '00'이면, 이동단말이 다음 전송 구 간에서 현재 구간에서보다 한 단계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는 의미이다. MSS가 '01'이면, 이동단말이 다음 전송 구간에서 현재 구간에서보다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더 낮추겠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전송률을 높이는 것과는 달리 낮추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이 요청을 하는 것이 아니라 통보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 전송률을 낮추는 경우에는 기지국의 허가 없이 이루어져도 시스템에 아무런 악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MSS가 '10'인 경우에는, 이동단말이 다음 전송 구간에서도 현재 구간에서와 동일한 데이터 전송률을 요청함을 의미한다. MSS가 '11'인 경우는 아직 정의되지 않은 경우로서, 추후에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한 도 1의 기술에서 이동단말의 전송률 제어 운영 방식을 자세히 살펴보자. 상기 도 1의 참조 부호 107의 시점에서 이동단말의 버퍼에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도착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버퍼에 있는 데이터를 참조 부호 108 시점에서부터 최소 데이터 전송률인 9.6kbps로 전송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도 1의 시스템은, 모든 이동단말에 대해, 9.6kbps의 최소 데이터 전송률에 대해서는 기지국의 제어 없이도 전송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역방향의 최소 데이터 전송률에 대하여는 기지국의 제어 없이도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초기 역방향 전송 시 즉, 상기 108 시점에서 이동단말의 전송 전력은 상기 이동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 제한 값보다 충분히 작은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참조 부호 108 시점에서 R-PDCH를 통해 9.6kbps의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R-PDCCH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RIS, MSS를 전송한다. R-PDCH의 데이터 전송률이 9.6kbps이므로 상기 <표 1>에서의 예와 같이 RIS는 '0001'이 된다. 또한 이동단말이 9.6kbps보다 더 높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MSS 는 '00'이 된다.
상기 참조 부호 108 시점에서 한 프레임동안 전송된 R-PDCH 및 R-PDCCH을 수신한 기지국은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즉,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MSS '00'을 해석하여 상기 이동단말이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길 원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의 스케줄러는 상기 이동단말 이외의 다른 이동단말들로부터의 역방향 수신 신호의 총합(또는 RoT나 역방향 전체 부하) 등을 고려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데이터 전송률을 올릴 수 있을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지국은 상기 스케쥴링 결과로 상기 이동단말이 데이터 전송률을 올리도록 결정하였고, 그에 따른 RCB를 생성한다. 상기 기지국은 102 시점에서 F-RCCH을 통해 상기 이동단말로 데이터 전송률을 올리도록 하는 RCB를 전송한다.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전송된 RCB를 참조하여, 참조 부호 109 시점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한 단계 올린다.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9.6kbps보다 한 단계 높은 19.2kbps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참조 번호 109 시점에서 R-PDCH과 같이 전송되는 R-PDCCH 의 RIS는 '0010'이 된다.
기지국과 이동단말은 이동단말이 버퍼의 데이터를 모두 전송할 때까지 상술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과정에 의하면 이동단말의 버퍼의 데이터양, 이동단말의 최대 전력 제한 값 대비 현재의 송신 전력 및 기지국의 역방향 전체 자원 분배 등에 근거하여 이동단말은 데이터 전송률을 서서히 한 단계씩 올릴 수 있게 된다. 만일, 이동단말이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고 나면, 이동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중단한다. 이동단말의 데이터 전송이 중단되면 R-PDCCH 는 RIS '0000'의 정보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하는 전송률 제어 비트를 수신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해석한다.
전송률 제어 비트 의미
+1 전송률을 한 단계 올리는 것이 허용됨.
0 전송률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허용됨.
-1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추어야 함.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이동단말에는 하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핸드오프를 수행 중인 이동단말이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률을 제어 받는 경우, 채널 환경이 좋지 않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전송률 제어 비트(Rate Control bit) 때문에 이동단말의 전송률이 제대로 올라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오프를 수행 중인 이동단말이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률 제어 비트를 수신하는 경우, 가장 효율적인 전송률 제어 비트 해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단말에서 전체 시스템의 처리율을 높일 수 있는 전송률 제어 비트 해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ACK 또는 NACK 정보들과 전송률 제어 정보들의 수신에 의해 이후의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된 ACK 또는 NACK 정보와 상기 역방향 전송률 제어 정보들 중 NACK 정보와 함께 역방향 전송률의 유지 정보를 송신한 기지국을 제외하고, 나머지 기지국들로부터의 전송률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ACK 또는 NACK 정보들과 전송률 제어 정보들의 수신에 의해 이후의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된 ACK 또는 NACK 정보와 상기 역방향 전송률 제어 정보들 중 상기 NACK 정보를 송신한 기지국을 제외하고, 나머지 기지국들로부터의 전송률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 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동단말의 전송률 제어 정보 해석 방법은, 이동단말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양호(ACK)에 따른 응답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만, 전송률 유지(rate hold) 명령이 유효한 것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수신 불량(NACK)에 따른 응답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전송률 유지(rate hold) 명령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수신 양호(ACK) 또는 수신 불량(NACK) 이란, 이동단말이 전송한 패킷 데이터에 대한 기지국의 수신 성공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로써 기지국으로부터 이동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이다. 즉, 이동단말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지국이 이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경우, 기지국은 이동단말에게 수신 양호(ACK)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반면에 상기 이동단말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지국이 상기 패킷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단말에게 수신 불량(NACK)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한 ACK 또는 NACK에 따라 전송률 제어 정보를 해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와 제2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전송률 제어 정보 해석 방법은 하기 <표 4> 및 하기 <표 5>와 같다. 하기 <표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며, 하기 <표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다.
수신한 ACK/NACK bit 수신한 RCB 이동단말의 RCB 해석
ACK UP(+1) 전송률을 한 단계 올리는 것이 허용됨.
ACK DOWN(-1)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추어야 함.
ACK HOLD(0) 전송률을 현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허용됨.
NACK UP(+1) 전송률을 한 단계 올리는 것이 허용됨.
NACK DOWN(-1)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추어야 함.
NACK HOLD(0) 전송률 제어 정보를 무시함.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이동단말은 수신한 전송률 제어 정보가 +1(UP) 또는 -1(DOWN)인 경우, 이를 항상 유효한 전송률 제어 정보로 해석하고 이를 따르며, 수신한 전송률 제어 정보가 0(HOLD)인 경우에는 이를 항상 유효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ACK이 같이 수신된 경우에만 유효한 것으로 간주한다.
수신한 ACK/NACK bit 수신한 RCB 이동단말의 RCB 해석
ACK UP(+1) 전송률을 한 단계 올리는 것이 허용됨.
ACK DOWN(-1)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추어야 함.
ACK HOLD(0) 전송률을 현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허용됨.
NACK UP(+1) 전송률 제어 정보를 무시함.
NACK DOWN(-1) 전송률 제어 정보를 무시함.
NACK HOLD(0) 전송률 제어 정보를 무시함.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이동단말은 수신한 전송률 제어 정보가 ACK 과 함께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전송률 제어 정보를 유효한 것으로 해석하고 이를 따른다. 그러나, 수신한 전송률 제어 정보가 NACK과 같이 수신된 경우에는 이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고 무시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소프트 핸드오프 상황에 있는 이동단말의 전송률 제어 정보의 해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실시 예에서 소프트 핸드오프 상황은 2개의 기지국 즉, 핸드오프의 대상이 되는 기지국이 하나이고, 현재 서 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만 존재하는 경우로 설명한다. 그러나 실제에서는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는 대상 기지국이 2 이상인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서비스 기지국과 핸드오프의 대상 기지국을 구별하지 않고 제1기지국과 제2기지국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러면 먼저 제1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동단말은 역방향으로 제1기지국 및 제2기지국으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고, 각 기지국으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 신호와 RCB의 수신을 대기하고 있다. 이때, 제1기지국으로부터 역방향으로 송신한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ACK신호가 수신되고, 수신한 RCB가 UP(+1)이며, 제2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NACK이며 수신한 RCB가 UP 또는 DOWN일 경우가 발생한다. 즉, 제1기지국으로는 역방향 데이터의 전송이 양호하게 전송되었으며, 상기 제1기지국의 상태가 전송률을 증가할 수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이동단말은 제2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CB에 따라 제2기지국의 RCB가 UP(+)인 경우 전송률을 한 단계 올리며, 제2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RCB가 DOWN(-1)일 경우 전송률을 한 단계 내린다. 이는 제2기지국의 상황에 따라 데이터 전송률을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1실시 예에 따르는 경우 상기 제1기지국으로부터 ACK이고, RCB가 UP인 경우 제2기지국의 신호가 NAK와 HOLD(0)일 경우, 이동단말은 제2기지국의 RCB를 무시하고 제 1 기지국의 RCB가 UP(+1)임으로 이에 따라 전송률을 올린다. 만일 상기 제1기지국 및 제2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제1기지국으로부터 RCB를 DOWN(-1)으로 수신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경우 이동단말은 전송률을 감소한다.
한편 제1기지국으로부터 ACK과 RCB로서 HOLD(0)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제2기지국의 명령이 NACK이며, UP(+1)일 경우 전송률을 유지하며, DOWN(-1)일 경우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추며, HOLD(0)일 경우 전송률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핸드오프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라 이동단말이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률 제어비트를 수신할 경우를 해석 방법은 하기 <표 6>에 도시하였다.
제1기지국 제2기지국 이동단말의 RCB 해석
ACK/NACK 수신여부 Rate Command ACK/NACK 수신여부 Rate Command
ACK UP(+1) NACK UP(+1) 전송률을 한 단계 올리는 것이 허용됨.
ACK UP(+1) NACK DOWN(-1)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추어야 함.
ACK UP(+1) NACK HOLD(0) 전송률을 한 단계 올리는 것이 허용됨.
ACK DOWN(-1) NACK UP(+1) DOWN(-1) HOLD(0)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추어야 함.
ACK HOLD(0) NACK UP(+1) 전송률을 현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허용됨.
ACK HOLD(0) NACK DOWN(-1)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추어야 함.
ACK HOLD(0) NACK HOLD(0) 전송률을 현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허용됨.
그러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소프트 핸드오프 상황에 있는 이동단말의 전송률 제어 비트의 해석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제2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NACK인 경우, 제2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RCB의 신호에 상관없이 제1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전송률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1기지국을 Primary serving 기지국(or sector)라고 하며, 제2기지국을 secondary serving 기지국(or sector)라고 할 때, 이동단말은 제2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가 NACK일 경우 이를 무시하고 제1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ACK 신호와 전송률 제어신호(RCB)에 따라 전송률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제1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신호가 ACK신호이며, 수신한 RCB가 UP(+1)일 경우 전송률을 한 단계 증가시키며, 수신한 RCB가 HOLD(0)인 경우 전송률을 유지하며, 수신한 RCB가 DOWN(-1)일 경우 전송률을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이 상기 핸드오프 상황에 있는 경우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률 제어비트를 수신할 경우를 동작을 하기 <표 7>에 도시하였다.
제1기지국 제2기지국 이동단말의 RCB 해석
ACK/NACK 수신여부 Rate Command ACK/NACK 수신여부 Rate Command
ACK UP(+1) NACK UP(+1) DOWN(-1) HOLD(0) 전송률을 한 단계 올리는 것이 허용.
ACK DOWN(-1) NACK UP(+1) DOWN(-1) HOLD(0) 전송률을 한 단계 낮추어야 함.
ACK HOLD(0) NACK UP(+1) DOWN(-1) HOLD(0) 전송률을 현 수준으로 유지 허용.
상기 <표 7>에서 두 기지국으로부터 모두 응답 신호로 ACK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하여는 살피지 않았다. 왜냐하면 핸드오프에 참여하고 있는 기지국 또는 섹터로부터 모두 ACK를 수신한 경우 RCB를 해석하는 방법은 종래 기술과 동일한 방법이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단말이 2개의 기지국간에 핸드오프 상황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나, 3개 이상의 기지국간의 핸드오프 상황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ACK/NACK의 수신여부와 상관없이 순방향으로 내려오는 "Rate Command"에 따라 전송률을 조절할 수 도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핸드오프 시 이동단말에서 역방향 전송률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동단말은 역방향 전송모드인 경우 200단계에서 결정된 전송률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초기 전송인 경우 결정된 전송률은 기지국과 이동단말간 미리 약속된 전송률이 될 수 있다. 또한 초기 전송이 아닌 경우 이전에 슬롯에서 결정된 전송률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단말은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 이후에 202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기지국들로부터 ACK 또는 NACK를 수신한다. 상기 이동단말은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중이므로 상기 이동단말에 핸드오프에 참여한 모든 기지국으로부터 ACK 또는 NACK를 수신한다. 그리고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ACK 또는 NACK와 함께 RCB를 수신한다. 따라서 이동단말은 202단계로 진행하여 핸드오프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으로부터 ACK 또는 NACK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ACK 또는 NACK을 수신한 경우 204단계로 진행하여 ACK 및 NACK과 함께 수신된 RCB를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는 앞의 2가지 실시 예에서 살핀 바와 같이 제외할 RCB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하기 위함이다. 즉, 제1실시 예의 경우라면, NACK와 함께 전송률 유지를 지시하는 RCB가 전송되었는가를 검사하는 것이며, 제2실시 예의 경우라면 NACK가 전송된 기지국이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검사를 수행한 후 이동단말은 206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RCB 중 제외할 RCB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외할 RCB가 존재하는가의 검사는 제1실시 예의 경우라면 NACK와 함께 전송률 유지를 지시하는 RCB가 전송된 기지국이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것을 의미하며, 제2실시 예의 경우라면 NACK을 전송한 기지 국이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것이 된다. 상기 206단계의 검사결과 제외할 RCB가 존재한다면, 이동단말은 208단계로 진행하여 해당하는 RCB를 제외하고 나머지 RCB들을 이용하여 역방향 전송률을 결정한다. 반면에 제외할 RCB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핸드오프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CB를 이용하여 역방향 전송률을 결정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오프 시에 패킷 데이터의 역방향 전송을 수행할 경우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시스템의 처리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ACK 또는 NACK 정보들과 전송률 제어 정보들의 수신에 의해 이후의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ACK 또는 NACK 정보와 상기 역방향 전송률 제어 정보들 중 NACK 정보와 함께 역방향 전송률의 유지 정보를 송신한 기지국을 제외하고, 나머지 기지국들로부터의 전송률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ACK을 수신하고,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ACK 또는 NACK 정보가 수신하며 동시에 각 기지국들로부터 상기 역방향 전송률 제어 정보들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 결정 시,
    상기 나머지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전송률 제어 정보 중 전송률 감소가 하나라도 존재할 시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현재 전송률에서 한 단계 감소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 결정 시,
    상기 나머지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전송률 제어 정보들 중 전송률 감소가 없고, 상기 수신된 전송률 제어 정보들 중 전송률 유지가 하나라도 존재하는 경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을 현재 전송률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 결정 시,
    상기 나머지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모든 전송률 제어 정보들이 전송률 증가를 지시할 경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을 현재 전송률로부터 한 단계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ACK 또는 NACK 정보들과 전송률 제어 정보들의 수신에 의해 이후의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결정하 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ACK 또는 NACK 정보와 상기 역방향 전송률 제어 정보들 중 상기 NACK 정보를 송신한 기지국을 제외하고, 나머지 기지국들로부터의 전송률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ACK을 수신하고,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ACK 또는 NACK 정보를 수신하며, 동시에 각 기지국들로부터 상기 역방향 전송률 제어 정보들이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 결정 시,
    상기 나머지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전송률 제어 정보 중 전송률 감소가 하나라도 존재할 시 역방향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을 현재 전송률에서 한 단계 감소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 결정 시,
    상기 나머지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전송률 제어 정보들 중 전송률 감소가 없고, 상기 수신된 전송률 제어 정보들 중 전송률 유지가 하나라도 존재하는 경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을 현재 전송률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 결정 시,
    상기 나머지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모든 전송률 제어 정보들이 전송률 증가를 지시할 경우 역방향 패킷 데이터 전송률을 현재 전송률로부터 한 단계 증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82853A 2003-10-15 2004-10-1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 제어 방법 KR100594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71955 2003-10-15
KR1020030071955 2003-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827A KR20050036827A (ko) 2005-04-20
KR100594098B1 true KR100594098B1 (ko) 2006-06-30

Family

ID=3611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853A KR100594098B1 (ko) 2003-10-15 2004-10-15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50111379A1 (ko)
EP (1) EP1524791A3 (ko)
JP (1) JP2006525698A (ko)
KR (1) KR100594098B1 (ko)
CN (1) CN1748373A (ko)
AU (1) AU2004286714B8 (ko)
BR (1) BRPI0407078A (ko)
CA (1) CA2514820A1 (ko)
RU (1) RU2304842C2 (ko)
WO (1) WO20050367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4754B2 (en) 2014-10-31 2018-04-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andom access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8206B2 (ja) 2003-03-05 2009-08-0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逆方向伝送率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964670B1 (ko) * 2003-05-12 201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레이트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방법
US7668110B2 (en) * 2003-05-12 2010-0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etermining reverse data rat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516880B2 (ja) * 2005-03-29 2010-08-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JP4643354B2 (ja) * 2005-05-02 2011-03-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WO2008023949A1 (en) * 2006-08-24 2008-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to send ack / nack within assignment message for reverse link traffic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65713B1 (ko) * 2006-12-12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20100211842A1 (en) 2007-10-09 2010-08-19 Sung Ho Moo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using constellation rearrangement
US8548485B2 (en) * 2009-03-26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 broadcasting and multicasting in a wireless network
JPWO2010122783A1 (ja) 2009-04-21 2012-10-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再送制御方法
WO2011016253A1 (ja) 2009-08-07 2011-02-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再送制御方法
FR2977101A1 (fr) * 2011-06-24 2012-12-28 France Telecom Retransmission de donnees perdues entre un emetteur et un recepteur
CN104955110B (zh) * 2014-03-28 2019-12-1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在支持双连接的无线网络中使用的方法和设备
US20160360397A1 (en) * 2015-06-02 2016-12-08 Qualcomm Incorporated Color coding for data confirmation sign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648A (ko) * 2003-01-11 2004-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분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79326A (ko) * 2003-03-05 2004-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4730A (en) * 1994-07-25 1997-02-18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transmitter power control in a contention based multiple access system
US6377809B1 (en) * 1997-09-16 2002-04-2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ructure for communication systems
US6574211B2 (en) * 1997-11-03 2003-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packet data transmission
FR2778043A1 (fr) * 1998-04-23 1999-10-29 Thomson Multimedia Sa Appareil de poursuite a satellites a defilement
KR100615374B1 (ko) * 1999-03-12 2006-08-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전력제어 채널상에 전력을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678257B1 (en) * 2000-09-25 2004-0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on of power to base station channels
ATE488064T1 (de) * 2001-03-21 2010-11-15 Lg Electronics Inc Wiederübertragung von daten durch eine rückwärtsverbindung in einem paketdatenübertragungssystem mit automatischer wiederholungsaufforderung
US7158504B2 (en) * 2001-05-21 2007-01-02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mode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forward and/or reverse link control channel structure
US6678249B2 (en) * 2002-02-14 2004-01-13 Nokia Corporation Physical layer packet retransmission handling WCDMA in soft handover
US7684329B2 (en) * 2002-05-06 2010-03-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gmenting physical layer ARQ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JP2003338809A (ja) * 2002-05-22 2003-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制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AU2003304189B2 (en) * 2003-06-10 2008-01-2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mobile station between autonomous and scheduled transmissions
US7469146B2 (en) * 2003-07-10 2008-1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link management based on retransmission request performance
US20050030953A1 (en) * 2003-08-04 2005-02-10 Subramanian Vasudevan Method of controlling reverse link transmission
US7315527B2 (en) * 2003-08-05 2008-01-01 Qualcomm Incorporated Extended acknowledgement and rate control chan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648A (ko) * 2003-01-11 2004-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분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79326A (ko) * 2003-03-05 2004-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4754B2 (en) 2014-10-31 2018-04-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andom access method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4791A2 (en) 2005-04-20
WO2005036773A1 (en) 2005-04-21
JP2006525698A (ja) 2006-11-09
AU2004286714B2 (en) 2008-01-03
AU2004286714A8 (en) 2008-08-28
US20050111379A1 (en) 2005-05-26
KR20050036827A (ko) 2005-04-20
AU2004286714A1 (en) 2005-07-14
CN1748373A (zh) 2006-03-15
RU2304842C2 (ru) 2007-08-20
EP1524791A3 (en) 2008-02-13
BRPI0407078A (pt) 2006-01-24
CA2514820A1 (en) 2005-04-21
RU2005125409A (ru) 2006-03-20
AU2004286714B8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35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verse packet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7759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KR100793121B1 (ko) 이동국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레이트를 제어하는 방법 및장치
KR10065145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 제어 방법
RU2503126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передач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радиосвязи и контроллер радиосети
KR10065142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트래픽 전송률 제어 장치 및방법
KR10059409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률 제어 방법
RU2348107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передач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базовая радиостанция и контроллер радиосети
EP15214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rates adaptively to fast rate ramping in a packet communication system
RU2328079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передачи и радиосетевой контроллер
IL152712A (en) METHOD AND DEVICE FOR QUICK RATE ADJUSTMENT IN CLOSED CIRCUIT IN DATA TRANSMISSION WITH HIGH RATE OF ENCLOSURES
RU2328075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передачи 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AU20043100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verse rat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140080B2 (en)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RU2475975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х данных и контроллер радиосети
US8185126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ntrol station
US200501352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ate transmission of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872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전송속도제어방법
KR20040064938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제어채널 데이터 송수신 장치및 방법
KR101119088B1 (ko) 핸드오프 영역에서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전송률 제어 방법
JP5163480B2 (ja) 無線基地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06002637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전송률 결정 장치 및 방법
KR2005005887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