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047B1 -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047B1
KR100594047B1 KR1020030083038A KR20030083038A KR100594047B1 KR 100594047 B1 KR100594047 B1 KR 100594047B1 KR 1020030083038 A KR1020030083038 A KR 1020030083038A KR 20030083038 A KR20030083038 A KR 20030083038A KR 100594047 B1 KR100594047 B1 KR 100594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cap
stylus
portable terminal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150A (ko
Inventor
전홍준
옥성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047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 및 데이터 입력을 위한 팁이 일단에 형성된 펜; 상기 펜의 타단에 탈착되는 캡; 및 상기 펜과 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캡이 상기 펜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노출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을 청소하는데 이용되는 클리너(cleaner)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너는 상기 펜의 타단 또는 상기 캡의 단부에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는 펜과 캡 사이에 설치되는 클리너를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등을 청소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를 휴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펜과 캡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스타일러스로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펜으로부터 캡을 분리하여 클리너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말기, 스타일러스, 터치 스크린, 클리너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STYLUS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타일러스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타일러스의 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타일러스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00 : 스타일러스 201 : 펜
211 : 팁 213 : 나사산
215 : 수용홀 202 : 캡
221 : 결합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기지국 또는 다른 단말기와 유,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로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피디에이(PDA)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초기에 전화통신, 무선 호출, 문자전송 등으로부터 점차 발전을 거듭하여 최근에는 화상통화, 동영상 전송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그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은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다양화됨에 따라, 단말기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패드로부터 점차 확대되어 최근에는 데이터 입력 장치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출력 장치로도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 등을 활용하게 되었다. 키패드는 단말기에 한번 탑재되면 그 기능의 확장이 어렵지만, 터치 스크린은 그를 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아이콘 등 그래픽을 이용한 단말기와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그 기능 확장이 용이하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필기하는 방식으로 문자 데이터 등을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입력수단으로 활용되는 추세이다.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스타일러스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타일러스(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100)는 일단에 팁(111)이 형성된 펜(101)과, 상기 펜(101)의 타단에 결합되는 캡(102)을 구비한다. 상기 팁(111)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하거나, 터치 스크린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펜(101)의 타단에 상기 캡(102)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펜(101)의 타단에는 결합홀(113)이 형성되고, 상기 캡(102)의 단부에는 돌기(121)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21)가 결합홀(113)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캡(102)이 상기 펜(101)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피디에이(PDA) 등이 보편화되면서, 상기와 같은 스타일러스(100)도 다양화되고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점차 확대되면서,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명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너는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클리너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임의로 천 등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 등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이 손상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필요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클리너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 및 데이터 입력을 위한 팁이 일단에 형성된 펜;
상기 펜의 타단에 탈착되는 캡; 및
상기 펜과 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캡이 상기 펜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노출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을 청소하는데 이용되는 클리너(cleaner)를 구비하고,
상기 클리너는 상기 펜의 타단 또는 상기 캡의 단부에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2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200)는 펜(pen)(201), 캡(cap)(202) 및 클리너(cleaner)(203)를 포함함다.
상기 펜(201)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의 일단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 및 데이터 입력을 위한 팁(tip)(211)이 구비되고, 타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홀(21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펜(201)의 타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213)이 형성된다.
상기 캡(202)은 상기 펜(201)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캡(202)은 그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펜(201)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결합홀(2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221)의 내주면에는 상기 펜(201)의 타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13)과 상응하는 또 다른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캡(202)은 펜(201)의 타단부 외주면과 상기 결합홀(221)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상기 펜(201)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클리너(203)는 상기 펜(201)의 타단부에 형성된 수용홀(215)에 삽입, 고정되며, 그의 단부는 상기 펜(201)의 타단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캡(202)을 상기 펜(201)으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클리너(203)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청소하는데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클리너(203)가 상기 펜(201)의 타단부에 삽입, 고정되었으나, 상기 캡(202)에도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캡(202)의 단부에 수용홀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클리너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펜(201)의 타단부 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홀을 형성하고 그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게 됨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200)는 펜(201)과 캡(202) 사이에 개재되는 클리너(203)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청소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를 휴대해야 할 필요가 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3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타일러스(300)의 캡(302)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타일러스(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300)는 펜(301), 캡(302) 및 클리너(303)를 포함함다.
상기 펜(301)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의 일단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 및 데이터 입력을 위한 팁(311)이 구비되고, 타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홀(31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펜(301)은 그의 타단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313)의 내부와 외부를 지름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315)을 구비한다.
상기 캡(302)은 상기 펜(301)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캡(302)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홀(313)의 지름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315)에 맞물리는 후크(321)가 설치된다. 상기 후크(321)는 상기 캡(302) 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푸쉬 버튼(push button)(323)과 함께 연동되며,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관통홀(315)과 맞물린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캡(302)이 상기 펜(301)의 타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푸쉬 버튼(323)을 누르면 상기 후크(321)가 상기 관통홀(315)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캡(302)을 상기 펜(30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리너(303)는 상기 캡(302)의 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클리너(303)를 상기 캡(302)의 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선행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캡(302)의 단부에 수용홀(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클리너(303)를 상기 수용홀에 삽입,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는 펜과 캡 사이에 설치되는 클리너를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등을 청소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를 휴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펜과 캡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스타일러스로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 펜으로부터 캡을 분리하여 클리너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 및 데이터 입력을 위한 팁이 일단에 형성된 펜;
    상기 펜의 타단에 탈착되는 캡;
    상기 펜과 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캡이 상기 펜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노출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을 청소하는데 이용되는 클리너(cleaner); 및
    상기 펜의 타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홀을 구비하고,
    상기 클리너는 상기 수용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펜의 타단부로 일부분이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펜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결합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펜의 타단부 외주면과 상기 캡의 결합홀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6.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메뉴 선택 및 데이터 입력을 위한 팁이 일단에 형성된 펜;
    상기 펜의 타단에 탈착되는 캡;
    상기 펜과 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캡이 상기 펜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노출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을 청소하는데 이용되는 클리너(cleaner); 및
    상기 캡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홀을 구비하고,
    상기 클리너는 상기 수용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캡의 단부로 일부분이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펜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캡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결합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캡의 타단부 외주면과 상기 펜의 결합홀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펜의 타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캡의 단부가 수용되는 결합홀;
    상기 펜의 타단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내부와 외부를 지름방향으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 및
    상기 캡의 단부에서 상기 결합홀의 지름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관통홀에 맞물리는 후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KR1020030083038A 2003-11-21 2003-11-21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KR100594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038A KR100594047B1 (ko) 2003-11-21 2003-11-21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038A KR100594047B1 (ko) 2003-11-21 2003-11-21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150A KR20050049150A (ko) 2005-05-25
KR100594047B1 true KR100594047B1 (ko) 2006-06-30

Family

ID=3724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038A KR100594047B1 (ko) 2003-11-21 2003-11-21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0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829B1 (ko) 2007-07-03 2009-06-24 (주)세일엠텍 스타일러스펜
KR101334790B1 (ko) 2012-10-31 2013-11-29 황승섭 스타일러스 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209B1 (ko) * 2005-08-03 2012-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중 데이터 입력/검색 방법
KR101680253B1 (ko) 2010-07-27 2016-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터치패널용 스타일러스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829B1 (ko) 2007-07-03 2009-06-24 (주)세일엠텍 스타일러스펜
KR101334790B1 (ko) 2012-10-31 2013-11-29 황승섭 스타일러스 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150A (ko)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5421A1 (en) Stylus pen combined with antenna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20040097256A1 (en) Protective cover
US20050096082A1 (en) Duo-display mobile phone
KR20070016330A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중 데이터 입력/검색 방법
JP4142836B2 (ja) ペンフォンpda
KR10059404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타일러스
KR100630116B1 (ko) 휴대 장치의 데이터 입력 키 및 그의 키 어레이
KR100312232B1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구비하는 디지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KR20100117053A (ko) 앞뒤 두 개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스마트폰과 그 작동 방식
JPH0879353A (ja) 電話機一体型位置入力装置
EP1047247A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30022556A (ko)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 자동 잠금 방법
JPH10301714A (ja) 携帯通信情報端末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アンテナ
KR100606784B1 (ko) 초기화면 메뉴 등록방법
TWI382330B (zh) 在一手持式電子裝置上相鄰於一巡覽工具之聯合輸入鍵
KR200214684Y1 (ko) 전화기의 터치펜 및 터치펜의 장착구조
KR100800698B1 (ko) 외장 케이스부 교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0456752B1 (ko) 덮개를 갖는 정보 단말기 케이스 시스템
KR100442593B1 (ko) 무선단말기의 호 서비스 방법
KR200279979Y1 (ko) 핸드폰용 악세사리
KR20120005272U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에 구비된 세정 장치
KR200214724Y1 (ko)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용 펜-타입 기구물 수납 장치
KR20000018445A (ko) 복합무선단말기의 엘씨디 장치
KR200286717Y1 (ko) 케이블이 분리되는 마우스
KR20030082520A (ko) 이동통신 기기용 악세사리 겸용 화면 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