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034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034B1
KR100594034B1 KR1020050027657A KR20050027657A KR100594034B1 KR 100594034 B1 KR100594034 B1 KR 100594034B1 KR 1020050027657 A KR1020050027657 A KR 1020050027657A KR 20050027657 A KR20050027657 A KR 20050027657A KR 100594034 B1 KR100594034 B1 KR 100594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apacity
attachable
image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수
유위현
최승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7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034B1/ko
Priority to US11/348,244 priority patent/US20060234198A1/en
Priority to CNA2006100574374A priority patent/CN1842191A/zh
Priority to EP06005363A priority patent/EP170844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전송할 메시지 내용이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이용하여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에 첨부할 영상 촬영시,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에 한하여 상기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메시지에 첨부하는 과정과, 전송키 입력시, 상기 첨부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MMS메시지, 첨부 가능한 용량, 영상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픽셀의 용량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METHOD FOR DISPATCHING THE MESSAGE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
도 2a-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첨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3은 도 2a에 적용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첨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의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메시지에 첨부할 데이터를 첨부 가능한 용량에 맞게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시지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점점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는, 메시지 서비스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상태에 관계없이, 예를 들어 상대방이 통화중일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원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음성통화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단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인터넷 접속은 물론이고 카메라 기능을 탑재시켜 언제 어디서나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SMS서비스에 상기 촬영되거나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MMS서비스는 해당 영상데이터 파일을 해당 이동통신사에서 정한 MMS 전송규격과 전송 용량(일반적으로 300kbytes)에 맞춰 이동통신사의 MMS전담 시스템인 MMSC로 전송하면 MMSC는 전송 받은 영상데이터 파일을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MMS서비스 이용시, 영상데이터 파일이 첨부된 MMS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사에서 정한 MMS 전송 용량을 초과하면 사용자는 상기 MMS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사에서 정한 MMS 전송 용량에 맞게 MMS메시지를 작성해야 하는데, 사용자는 MMS메시지 내용을 입력하고 새로운 영상데이터를 촬영하여 첨부할 경우 사용자는 첨부 가능한 용량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용량을 초과하여 영상데이터를 촬영하는 일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첨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시지에 첨부할 영상데이터를 첨부 가능한 용량에 한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메시지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전송할 메시지 내용이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이용하여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에 첨부할 영상 촬영시,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에 한하여 상기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메시지에 첨부하는 과정과, 전송키 입력시, 상기 첨부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시지에 첨부할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픽셀을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에 맞게 조절하고 메시지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전송할 메시지 내용이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이용하여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에 첨부할 이미지 촬영시,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화소수가 차지하는 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에 맞게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를 조절하여 상기 메시지에 첨부하는 과정과, 전송키 입력시, 상기 첨부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3)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패드(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첨부메시지 실행키, 촬영키 및 선택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첨부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어부(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23)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전송할 메시지 내용이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확인하고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메시지에 첨부할 영상 촬영시, 상기 영상을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에 한하여 촬영하고 상기 메시지에 첨부한다. 그리고 전송키가 입력되면, 상기 첨부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에 첨부할 이미지 촬영시,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화소수가 차지하는 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에 맞게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를 조절한다.
카메라(5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는 상기 카메라(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하는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80)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시작주소 값을 전송하거나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상기 시작주소 값을 변경 설정하여 전송한다.
표시부(80)는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8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와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표시부(80)는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얼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를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첨부할 영상데이터를 첨부 가능한 용량에 한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메시지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메시지(MMS메시지)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메시지 작성모드로 진행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전송할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입력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메시지 내용의 용량과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 용량을 이용하여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에 첨부할 영상데이터 촬영하기 위하여 키패드(29)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드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에 한하여 촬영하고 상기 메시지에 첨부한다. 그리고 전송키 입력시, 상기 첨부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2a-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첨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2a-b를 참조하여 메시지에 첨부할 영상데이터를 첨부 가능한 용량에 한하여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메시지에 첨부하여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201단계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첨 부메시지(MMS메시지)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5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메시지 입력창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전송할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한글의 한 음소를 입력하면 2bytes가 사용되고 하나의 알파벳을 입력하면 1byte가 사용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209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표 1과 같이 첨부파일 종류 목록을 표시한다.
첨부파일 종류 목록
1 동영상 첨부
2 이미지 첨부
상기 표 1과 같이 표시된 첨부파일 종류 목록 중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1번 항목인'동영상 첨부'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3단계로 진행하여 첨부방식메뉴 목록을 표 2와 같이 표시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2번 항목인'이미지 첨부'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미지 첨부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이미지 첨부 동작은 도 3을 이용하여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동영상 첨부방식 메뉴 목록
1 새 동영상 촬영
2 저장된 동영상
상기 표 2와 같이 표시된 동영상 첨부방식 메뉴 목록 중 첫 번째,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1번 항목인'새 동영상 촬영'을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7단계로 진행한다. 217단계에서 제어부(10)는 프리뷰 모드로 진입하여 카메라(50)에 입력된 영상의 광신호인 영상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경하여 표시부(8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219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의 용량을 확인하고,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 용량에서 상기 확인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제외하여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9)를 이용하여 촬영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3단계로 진행하여 동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동영상 촬영 중 제어부(10)는 2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비교하고 상기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보다 작으면 상기 223단계로 진행하여 촬영을 계속한다. 단, 종료키 입력시, 촬영을 중지한다.
그러나 상기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과 같으면 제어부(10)는 227단계로 진행하여 촬영을 중단하고 229단계에서 상기 촬영된 동영상을 메시지에 첨부한다.
두 번째,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2번 항목인'저장된 동영상'을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3단계로 진행한다. 233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의 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 용량에서 상기 확인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제외하여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235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저장된 동영상 목록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첨부하고자 하는 동영상을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3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9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비교하고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보다 크면 상기 241단계로 진행하고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첨부 불가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첨부 불가 메시지는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과 같거나 작으면 제어부(10)는 24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동영상을 메시지에 첨부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9)를 이용하여 전송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3단계에서 RF부(21)를 제어하여 상기 작성된 첨부메시지(MMS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3은 도 2a에 적용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첨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첨부파일 종류 중'이미지 첨부'항목이 선택되어 이미지 데이터를 첨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도 2a의 상기 표 1과 같이 표시된 첨부파일 종류 목록 중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2번 항목인'이미지 첨부'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01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표 3과 같이 표시한다.
이미지 첨부방식 메뉴 목록
1 새 이미지 촬영
2 저장된 이미지
상기 표 3과 같이 표시된 이미지 첨부방식 메뉴 목록 중 첫 번째,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1번 항목인'새 이미지 촬영'을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5단계로 진행한다. 305단계에서 제어부(10)는 프리뷰 모드로 진입하여 카메라(50)에 입력된 영상의 광신호인 영상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경하여 표시부(8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307단계에서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의 용량을 확인하고,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 용량에서 상기 확인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제외하여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9)를 이용하여 촬영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3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1단계로 진행하여 이미지를 촬영하고 313단계에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픽셀(pixel)수에 해당하는 용량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100만 화소(pixel)의 파일의 용량은 2929Kb이다.
그리고 제어부(10)는 315단계에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비교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보다 작거나 같으면 3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메시지에 첨부한다. 그러나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보다 크면 제어부(10)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에 맞게 리사이징 하고 319단계에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메시지에 첨부한다.
두 번째,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2번 항목인'저장된 이미지'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3단계로 진행한다. 323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29)를 제어하여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의 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 용량에서 상기 확인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제외하여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325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저장된 이미지 목록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첨부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9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비교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보다 크면 상기 333단계로 진행하고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첨부 불가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기 첨부 불가 메시지는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계산된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과 같거나 작으면 제어부(10)는 3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메시지에 첨부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9)를 이용하여 전송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33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7단계에서 RF부(21)를 제어하여 상기 작성된 첨부메시지(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는 동영상 데이터의 용량 또는 이미지 데이터의 용량이 첨부 가능한 용량보다 작거나 같으면 첨부(MMS)메시지에 첨부된다고 하였으나, 전송키 입력시, 첨부(MMS)메시지에 첨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에 첨부할 영상데이터를 첨부 가능한 용량에 한하여 촬영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는 첨부 가능한 용량을 알지 못하더라도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에 맞게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메시지에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전송할 메시지 내용이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이용하여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에 첨부할 영상 촬영시,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에 한하여 상기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메시지에 첨부하는 과정과,
    전송키 입력시, 상기 첨부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 용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 용량에서 상기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제외하여 상기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에 한하여 촬영하는 과 정은,
    상기 영상 촬영동작 중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용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용량을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상기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 미만이면 상기 촬영동작을 계속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상기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과 같으면 상기 동영상 촬영동작을 중지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MS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작성모드에서 전송할 메시지 내용이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이용하여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에 첨부할 이미지 촬영시,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화소수가 차지하는 용량을 확인하고 상기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에 맞게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를 조절하여 상기 메시지에 첨부하는 과정과,
    전송키 입력시, 상기 첨부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 용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전송 가능한 전체 메시지 용량에서 상기 메시지 내용의 용량을 제외하여 상기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을 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첨부 가능한 메시지 용량에 맞게 상기 촬영된 이미지 의 화소수를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 촬영동작 중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용량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가 차지하는 용량을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가 차지하는 용량이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 이하면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가 차지하는 용량이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 초과면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화소수를 상기 첨부 가능한 용량에 맞게 리사이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MMS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KR1020050027657A 2005-04-01 2005-04-0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KR10059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657A KR100594034B1 (ko) 2005-04-01 2005-04-0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US11/348,244 US20060234198A1 (en) 2005-04-01 2006-02-07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wireless terminal
CNA2006100574374A CN1842191A (zh) 2005-04-01 2006-03-15 在无线终端中发送消息的方法
EP06005363A EP1708442A1 (en) 2005-04-01 2006-03-16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with an attachment comprising a photograph in a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657A KR100594034B1 (ko) 2005-04-01 2005-04-0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034B1 true KR100594034B1 (ko) 2006-06-30

Family

ID=3660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657A KR100594034B1 (ko) 2005-04-01 2005-04-0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34198A1 (ko)
EP (1) EP1708442A1 (ko)
KR (1) KR100594034B1 (ko)
CN (1) CN18421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4108A3 (en) * 2010-11-12 201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data service apply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3443A (zh) * 2011-06-16 2011-10-19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走路时查看短信的方法及装置
CN109257825B (zh) * 2018-10-15 2022-02-11 重庆大学 一种基于二元逻辑关系的无线数据发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328129A1 (en) * 2001-06-22 2003-01-08 Emblaze Systems, Ltd. Mms system and method with protocol conversion suitable for mobile/portable handset display
US20030229667A1 (en) * 2002-06-10 2003-12-11 Nils-Johan Pedersen System, computer product and method for delivering pictures electronically
JP4351160B2 (ja) * 2002-08-12 2009-10-28 京セラ株式会社 撮影機能付き通信端末、同通信端末用プログラム
JP2005012764A (ja) * 2003-05-22 2005-01-13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通信装置、画像送信方法および画像送信プログラム
US20050018050A1 (en) * 2003-07-23 2005-01-27 Casio Computer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ynamic image preparation method and dynamic image preparation program
US7934155B2 (en) * 2003-09-12 2011-04-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size of an electronic collection of media ele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4108A3 (en) * 2010-11-12 201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r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data service apply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08442A1 (en) 2006-10-04
US20060234198A1 (en) 2006-10-19
CN1842191A (zh)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206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KR100656589B1 (ko) 분할 촬영 영상의 표시 및 편집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그 방법
KR100810303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표시 및 전송방법
KR100735290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05940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82152A (ko) 원격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카메라 촬영 방법
KR100703462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첨부모드 전환방법
KR1004385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81024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방법
KR100678130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06634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삭제 방법
KR100630165B1 (ko) 휴대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1151607B1 (ko) 화상 통화 중에 캡쳐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목록을 구성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36235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101030418B1 (ko) 미리 준비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통화 방법
KR100741427B1 (ko) 휴대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KR100593298B1 (ko) 고화소 영상을 프리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6342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및 수신방법
KR10054776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전화번호 전송방법
KR20070044426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0605956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89409B1 (ko) 휴대단말기의 외부표시부에 데이터 표시방법
KR1007901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640348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KR10060587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번호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