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304B1 - 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electronic key for manual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electronic key for manual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304B1
KR100591304B1 KR1020050020786A KR20050020786A KR100591304B1 KR 100591304 B1 KR100591304 B1 KR 100591304B1 KR 1020050020786 A KR1020050020786 A KR 1020050020786A KR 20050020786 A KR20050020786 A KR 20050020786A KR 100591304 B1 KR100591304 B1 KR 100591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key
groove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7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5002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3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operating on the steering wheel, e.g. bars locked to the steering wheel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는, 내부에 록 홈이 형성된 키 박스 하우징과; 상기 키 박스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시동 키 또는 시동 노브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캠 샤프트와;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되어 직선 이동되면서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하거나 해제하고, 상기 록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플레이트 홈이 형성된 컬럼 록 기구와; 상기 컬럼 록 기구의 플레이트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키 박스 하우징의 록 홈에 걸리거나 이탈되는 스토퍼 플레이트 및 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키 박스 하우징에 설치되어 전자 통신에 의해 상기 록 홈에 걸린 스토퍼 플레이트를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무단 컬럼 록 방지 기능을 부여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using an electronic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box housing having a lock groove formed therein; A cam shaft provided in the key box housing and rotat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tart key or a start knob; A column lock mechanism that restrains or releases a steering column while linearly moving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cam shaft, and a plate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 groove; A stopper plate that is engaged with or detached from the lock groove of the key box housing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late groove of the column lock mechanism, and an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thereto;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olenoid actuator installed in the key box housing to release the stopper plate caught in the lock groove by electronic communication, thereby providing an endless column lock prevention function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전자 통신, 시동키, 스티어링 컬럼, 록 바, 록 스토퍼, 캠 샤프트,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Telecom, Starter Key, Steering Column, Lock Bar, Lock Stopper, Camshaft, Solenoid Actuator

Description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electronic key for manual transmission}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electronic key for manual transmission

도 1은 종래 스티어링 록 장치가 도시된 키박스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key box showing a conventional steering lock device;

도 2는 종래 스티어링 록 장치가 도시된 키박스 외관도,2 is an external view of a key box showing a conventional steering lock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가 도시된 주요부 절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cutaway showing a steering lock device for a manual shift vehicle using an electronic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로서,4 to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eering lock device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using an electronic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시동 스위치 LOCK 위치 상태도,4 is a state diagram of the start switch LOCK position,

도 5는 시동 스위치 LOCK 위치에서 시동 노브 누름 상태도,5 is a state diagram of pressing the start knob in the start switch LOCK position,

도 6은 시동 스위치 ACC 위치 상태도,6 is a state diagram of the start switch ACC position;

도 7은 시동 스위치 ON 위치 상태도,7 is a state diagram of the start switch ON position,

도 8은 시동 스위치 START 위치 상태도,8 is a state diagram of the start switch START position,

도 9는 시동 스위치를 ON에서 ACC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도,9 is a state in which the start switch is rotated from the ON to the ACC position,

도 10은 시동 스위치를 ACC에서 LOCK로 회전시킨 상태도,10 is a state in which the start switch is rotated from the ACC to LOCK,

도 11은 시동 스위치 LOCK 위치에서 컬럼 록 상태도이다.11 is a column lock state diagram in the start switch LOCK posi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키 박스 하우징 51 : 록 홈 50: key box housing 51: lock groove

52 : 핀 홀 55 : 시동 스위치부 52: pin hole 55: start switch unit

56 : 스티어링 록부 60 : 캠 샤프트 56: steering lock 60: cam shaft

62 : 간섭 캠 70 : 컬럼 록 기구 62: interference cam 70: column lock mechanism

71 : 록 스토퍼 72 : 플레이트 홈 71: rock stopper 72: plate groove

73 : 간섭 홀부 74 : 홀딩 홈 73: interference hole portion 74: holding groove

75 : 록 스프링 77 : 록 바75: Rock Spring 77: Rock Bar

80 : 스토퍼 플레이트 82 : 탄성 부재 80: stopper plate 82: elastic member

90 : 액츄에이터 91 :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90: actuator 91: solenoid actuator

92 : 솔레노이드부 93 : 록킹 핀 92 solenoid part 93 locking pin

95 : 리턴 스프링 95: return spring

본 발명은 자동차의 키박스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통신에 의해 제어되는 MSCL(Mechatronic Steering Column Lock)에 운전자의 의지에 반하여 무단으로 스티어링 컬럼이 구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lock device provided in a key box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unauthorized steering column from being constrained against a driver's intention to a Mechantronic Steering Column Lock (MSCL) controlled by electronic communication. A steering lock device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using a key.

도 1은 일반적인 스티어링 록 장치가 구비된 키 박스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스티어링 록 작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키박스의 외관도이다.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key box equipped with a general steering lock device, Figure 2 is an external view of the key box made to enable the steering lock operation.

통상 자동차의 시동 스위치 장치는, 도 1을 참고하면, 키 박스 하우징(1) 내에 고정된 로터 케이스(3)와, 상기 로터 케이스(3) 내에 설치되고 자동차 키가 삽입되어 록 플레이트가 정렬될 때 회전되는 로터(5)와, 상기 로터(5)의 끝단에 결합되어 시동 스위치(8) 회로가 변경되도록 로터(5)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캠 샤프트(7)로 구성된다. A start switch device of a typical vehicle, referring to FIG. 1, when the lock plate is aligned with the rotor case 3 fixed in the key box housing 1 and installed in the rotor case 3 and the car key is inserted. Rotor 5 is rotated and the cam shaft 7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otor 5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5 so that the circuit of the start switch 8 is changed.

상기 시동 스위치 장치는 시동 키가 키 박스 하우징(1)에서 탈거되어 있을 때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함으로써 조향 작동이 불가능하게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스티어링 록 장치가 구비된다.The start switch device is provided with a steering lock device which prevents theft of the vehicle by making the steering operation impossible by restraining the steering column when the start key is removed from the key box housing 1.

이와 같은 스티어링 록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로터(5) 내에는 시동 키가 삽입될 때 이동되는 슬라이드 피스(11)가 구비되고, 상기 키 박스 하우징(1) 내에는 상기 로터(5)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피스(11)가 이동될 때 직선 이동되는 플레이트(13)와, 상기 플레이트(13)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하는 록킹 레버(15) 및 리턴 스프링(16)이 구비된다.In order to implement such a steering lock device, a slide piece 11 is provided in the rotor 5 to be moved when the ignition key is inserted, and in the key box housing 1, an inner side of the rotor 5 is provided. Is connected to the outside in the plate 13 which is linearly moved when the slide piece 11 is moved, the locking lever 15 and the return spring 16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late 13 is provided.

참고로, 도 1에서 참조 번호 18은 상기 록킹 레버(15)의 작동에 따라 키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키감지 스위치를 나타낸다.For reference, reference numeral 18 in FIG. 1 denotes a key detecting switch detecting whether a key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lever 15.

특히, 상기 키 박스 하우징(1)의 중간 부분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컬럼 록부(20)가 구비되는 데, 이 컬럼 록부(20) 내에는 록 스토퍼(21)와 이 록 스토퍼(21)에 연결된 록 바(23)로 이루어진 컬럼 록 기구가 구비된다.In particular, the middle portion of the key box housing (1) is provided with a column lock portion 20, as shown in Figure 2, in the column lock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lock stopper 21 and the lock stopper 21 A column lock mechanism consisting of a lock bar 23 is provided.

상기 록 스토퍼(21)는 상기 캠 샤프트(7) 및 상기 록킹 레버(15)에 연동되어 상기 록 바(23)와 함께 직선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을 구속하거나 해제하게 된다.The lock stopper 21 is interlocked with the cam shaft 7 and the locking lever 15 to restrain or release a steering column (not shown) while linearly moving with the lock bar 23.

상기와 같은 스티어링 록 장치는 운전자가 상기 로터(5) 내에 시동 키를 삽입하게 되면, 슬라이드 피스(11)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플레이트(13)로 연결된 록킹 레버(15)가 회전한다.In the steering lock devic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er inserts the ignition key into the rotor 5, the slide piece 11 moves downward, and the locking lever 15 connected to the plate 13 rotates.

이후, 상기 시동키를 ACC/ ON/ START 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로터(5)와 함께 캠 샤프트(7)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록 스토퍼(21)를 이동시킴으로써 록 바(23)도 함께 이동되어 스티어링의 컬럼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Thereafter, when the starter key is rotated to the ACC / ON / START position, the lock bar 23 is also moved by moving the lock stopper 21 while the cam shaft 7 simultaneously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or 5. The steering column is unlocked.

반대로, 시동키를 시동 스위치 ON 위치에서 ACC, LOCK 위치를 거쳐 시동키를 탈거하게 되면, 록 바(23)가 돌출되면서 스티어링 컬럼을 록킹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ignition key is removed from the ignition switch ON position via the ACC and LOCK positions, the lock bar 23 protrudes to lock the steering colum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스티어링 록 장치는, 상기와 같이 시동 키 삽입 여부에 따라 기구적인 메카니즘으로 스티어링 컬럼의 잠금 및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자 통신 시동 장치인 스마트 키 시스템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eering lock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smart key system, which is an electronic communication starting device, because the steering column locking and relea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a mechanical mechanism according to whether the ignition key is inserted as described above. .

특히, 스마트 키 시스템의 MSCL을 적용할 경우에 자동 변속기 차량에는 변속 레버와 연계된 키 인터 록(KEY INTER LOCK) 장치가 무단으로 스티어링 컬럼을 록킹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나, 수동 변속기 차량의 경우에는 키 인터 록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무단 컬럼 록킹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MSCL of the smart key system is applied,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includes a function that prevents an unauthorized key locking device connected to the shift lever from locking the steering column. In the case of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since the key interlock device is not provided,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stepless column locking phenomen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MSCL에 전자 통신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여 시동 스위치 잠금 및 해제 기능과, 스티어링 록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동 스위치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지고, 수동 변속용 차량에 무단 컬럼 록 방지 기능을 부여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 solenoid actuator controlled by electronic communication in the MSCL, so that the start switch locking and releasing function and the steering lock function can be realized so as to realiz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tart switch de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ual shift vehicle steering lock device using an electronic key that can simplify the operation of the manual shift vehicle and provide an endless column lock prevention function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는, 내부에 록 홈이 형성된 키 박스 하우징과; 상기 키 박스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시동 키 또는 시동 노브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캠 샤프트와;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되어 직선 이동되면서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하거나 해제하고, 상기 록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플레이트 홈이 형성된 컬럼 록 기구와; 상기 컬럼 록 기구의 플레이트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키 박스 하우징의 록 홈에 걸리거나 이탈되는 스토퍼 플레이트 및 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키 박스 하우징에 설치되어 전자 통신에 의해 상기 록 홈에 걸린 스토퍼 플레이트를 해제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using an electronic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key box housing having a lock groove formed therein; A cam shaft provided in the key box housing and rotat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tart key or a start knob; A column lock mechanism that restrains or releases a steering column while linearly moving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cam shaft, and a plate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 groove; A stopper plate that is engaged with or detached from the lock groove of the key box housing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late groove of the column lock mechanism, and an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thereto; And an actuator installed in the key box housing to release the stopper plate caught in the lock groove by electronic communication.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키 박스 하우징의 외측에 장착되어, 외부 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력과 리턴 스프링의 상대 작용에 의해 상기 키 박스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록킹 핀이 직선 이동되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로 구성된다.The actuator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key box housing, and is composed of a solenoid actuator that is operated while the locking pin protruding into the inside of the key box housing is linearly moved by a relative action of a magnetic force generated by an external signal and a return spring. do.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는 스마트 통신 또는 이모 통신에 의해 ID 조합이 승인되면, 상기 록 홈으로부터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를 해제하도록 ON 작동되고, 스티어링 컬럼 록 작동이 이루어질 조건이 되면,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가 록 홈에 걸리도록 OFF 작동되게 구성된다.The solenoid actuator is activated to release the stopper plate from the lock groove when ID combination is approved by smart communication or emo communication, and when the condition is to be made for the steering column lock operation, the stopper plate is caught in the lock groove. OFF is configured to operate.

상기 컬럼 록 기구는 시동 스위치가 ACC에서 LOCK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컬럼 록 기구가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하지 않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록킹 핀에 걸리는 홀딩 홈이 형성된다.The column lock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holding groove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pin of the solenoid actuator so that the column lock mechanism does not restrain the steering column while the start switch is switched from ACC to LOC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는, 공지의 전자 통신을 이용한 시동 스위치 장치의 작동과 연동되어 이루어진다. Prior to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al shift vehicle 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tart switch device using a known electronic communication.

전자 통신을 이용한 시동 스위치 장치는, 크게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는 스마트 통신 방법과 전자 시동키를 이용하는 이모 통신 방법으로 시동 기능 및 스티어링 록 기능이 가능해진다.The start switch device using electronic communication is largely enabled by a smart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smart card and an emo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 electronic start key.

스마트 카드를 이용할 경우에, 운전자가 스마트 카드를 소지한 상태에서 운 전석에 탑승한 후에 시동 스위치 장치의 앞쪽에 구비된 시동 노브를 누르게 되면, 스마트 ECU와 스마트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ID 조합이 승인된다. 이 때 시동 노브의 회전이 가능해지므로, 시동 노브를 이용한 시동 스위치 장치의 작동이 가능해진다.In the case of using a smart card, if the driver presses the start knob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start switch device after boarding the driver's seat with the smart card, the ID combination is approved by smart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ECU. Since the start knob can be rotated at this time, the start switch device can be operated using the start knob.

전자 시동키를 이용할 경우에, 운전자가 전자 시동키를 키 박스 하우징의 키 로터에 삽입시키게 되면, 전자 시동키 내에 구비된 칩과 이모통신부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스마트 ECU와도 이모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ID 조합이 승인된다. 이 때 상기 전자 시동키를 회전시키면, 키 로터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전자 시동키를 이용한 시동 스위치 장치의 작동이 가능해진다.When using the electronic ignition key, when the driver inserts the electronic ignition key into the key rotor of the key box hous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p provided in the electronic ignition key and the emo communication unit is performed and the emo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ECU is performed. The ID combination is approved. At this time, when the electronic start key is rotated, the rotation of the key rotor is possible, so that operation of the start switch device using the electronic start key is enabled.

이하, 상기와 같은 전자 통신을 이용한 시동 스위치 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록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steering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tart switch device using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가 도시된 주요부 절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cutaway showing a steering lock device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using an electronic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는, 상기한 시동 스위치 장치가 구비되고 내부에 록 홈(51)이 형성된 키 박스 하우징(50)과, 상기 키 박스 하우징(50) 내에 구비되어 전자 시동 키 또는 시동 노브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캠 샤프트(60)와, 상기 캠 샤프트(60)의 회전과 연동되어 직선 이동되면서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을 구속하거나 해제하고, 상기 록 홈(51)과 대응되는 위치에 플레이트 홈(72)이 형성된 컬럼 록 기구(70)와, 상기 컬럼 록 기구(70)의 플레이트 홈(7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키 박스 하우징(50)의 록 홈(51)에 걸리거나 이탈되는 스토퍼 플레이트(80)와, 상기 스 토퍼 플레이트(8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82)와, 상기 키 박스 하우징(50)에 설치되어 상기 록 홈(51)에 걸린 스토퍼 플레이트(80)를 해제하는 액츄에이터(90)로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the manual shift vehicle 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box housing 50 having the start switch device and having a lock groove 51 formed therein, and the key box. The cam shaft 60 is provided in the housing 50 and rotates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start key or the start knob, and the steering column (not shown) is restrained or released while being linearly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shaft 60. And the key box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plate lock 7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 groove 51 and the plate lock 72 is inserted into the plate groove 72 of the column lock mechanism 70. A stopper plate 80 that is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lock groove 51 of the 50, an elastic member 82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topper plate 80, and the key box housing 50 A stopper flap caught in the lock groove 51 It is composed of the actuator 90 for releasing the agent (80).

상기 키 박스 하우징(50)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캠 샤프트(60)의 앞쪽 부분에 시동 노브 및 전자 시동키가 삽입되는 시동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되고, 뒤쪽에는 상기 시동키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LOCK/ ACC/ ON /START의 4단계의 스위치 작동이 이루어지는 시동 스위치부(55)가 구비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key box housing 50 is provided with a starting operation part (not shown) in which a starting knob and an electronic starting key are inserted into a front portion of the cam shaft 60, and a rear side of the starting key operating par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re is provided a start switch unit 55 in which the switch operation of the four steps of LOCK / ACC / ON / START is made.

특히, 상기 시동 조작부와 시동 스위치부(55) 사이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시동 스위치 작동에 따라 스티어링 록 및 해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티어링 록부(56)가 구비된다.In particular, the steering lock unit 56 is connected between the start operation unit and the start switch unit 55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o that the steering lock and release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art switch operation.

상기 캠 샤프트(60)는 상기 시동 조작부에서 전자 시동키가 삽입되는 로터(미도시) 측과 연결되어 전자 시동키나 시동 노브를 회전시킬 경우에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시동 스위치부(55)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cam shaft 60 is connected to the rotor (not shown) side in which the electronic start key is inserted in the start operation unit, and transmits the operation force to the start switch unit 55 while rotating together when rotating the electronic start key or the start knob. To function.

이와 같은 캠 샤프트(60)는 상기 컬럼 록 기구(70)에도 조작력을 전달하게 되는 바, 상기 컬럼 록 기구(70)와 간섭이 이루어지는 간섭 캠(6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cam shaft 60 transmits an operation force to the column lock mechanism 70, and the cam shaft 60 is formed by protruding an interference cam 62 that interferes with the column lock mechanism 70.

상기 컬럼 록 기구(70)는 상기 캠 샤프트(60)와의 간섭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록 스토퍼(71)와, 상기 키 박스 하우징(50) 내에 지지되어 상기 록 스토퍼(7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 스프링(75)과, 상기 록 스토퍼(71)의 끝단에서 스티어링 컬럼 방향으로 연결되어 컬럼을 직접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록 바(77)로 구성된다.The column lock mechanism 70 is a lock stopper 71 which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interference with the cam shaft 60, and a lock which is supported in the key box housing 50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lock stopper 71. It consists of a spring 75 and a lock bar 77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steering column at the end of the lock stopper 71 to directly restrain or release the column.

상기 록 스토퍼(71)는 상기 캠 샤프트(60)가 관통되어 캠 샤프트(60)의 회전과 연동되어 캠 샤프트의 간섭 캠(62)과 간섭이 이루어지는 캠부(미도시)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캠 샤프트(60)에 대하여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간섭 홀부(7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캠 샤프트(60)와 록 스토퍼(71)의 연동 구조는 통상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am stop 60 has a cam portion (not shown) through which the cam shaft 60 penetrates and interlocks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shaft 60 to interfere with the interference cam 62 of the cam shaft. An interference hole portion 73 is formed to allow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60. Since the interlocking structure of the cam shaft 60 and the lock stopper 71 is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특히 상기 록 스토퍼(71)에는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80)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홈(72)이 형성되고, 도면상 그 하측에는 후술할 홀딩 홈(74)이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plate stop 72 is formed in the lock stopper 71 so that the stopper plate 80 is inserted, and a holding groove 74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below the drawing stop.

다음, 상기 액츄에이터(90)는, 상기한 스마트 카드 또는 전자 시동키에 의해 상기 캠 샤프트(60)가 회전할 때 스마트 통신 또는 이모 통신 여부에 따라 상기 컬럼 록 기구(70)의 록 스토퍼(7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Next, the actuator 90 is a lock stopper 71 of the column lock mechanism 70 depending on whether smart communication or emo communication is performed when the cam shaft 60 is rotated by the smart card or the electronic starting key. It is configured to limit the movement of.

이와 같은 상기 액츄에이터(90)는 상기 키 박스 하우징(50)의 외측에 장착되어, 외부 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력과 리턴 스프링(95)의 상대 작용에 의해 상기 키 박스 하우징(50)의 내측으로 돌출된 록킹 핀(93)이 직선 이동되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로 이루어진다.The actuator 90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key box housing 50 and protrudes inside the key box housing 50 by the relative action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an external signal and the return spring 95. Locking pin 93 is composed of a solenoid actuator 91 is operated while moving linearly.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는 차량의 구비된 제어 유닛(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자기력이 발생되면서 구동력을 생성하는 솔레노이드부(92)와, 상기 솔레노이드부(92)에서 상기 키 박스 하우징(50)의 핀 홀(52)을 통해 상기 록 스토퍼(72) 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는 록킹 핀(93)과, 상기 핀 홀(52) 내에 지지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부(92)의 구동력 발생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록킹 핀(9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95)으로 구성된다.The solenoid actuator 91 is a solenoid portion 92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while generating a magnetic force in accordance with a signa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vehicle, and the key box housing 50 in the solenoid portion 92 The locking pin 93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lock stopper 72 through the pin hole 52 of the lock pin, and is supported in the pin hole 52 so as to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portion 92 is generated. It consists of a return spring 95 which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pin 93.

이와 같은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는 상기한 스마트 통신 또는 이모 통신에 의해 ID 조합이 승인되면, 상기 록 홈(51)으로부터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80)가 해제되도록 ON 작동되고, 일정 조건에서 ID 조합 승인이 해제되면,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80)가 록 홈(51)에 걸리도록 OFF 작동되게 구성된다.The solenoid actuator 91 is turned on to release the stopper plate 80 from the lock groove 51 when the ID combination is approved by the smart communication or the aunt communication, and the ID combination is approved under certain conditions. When it is released, the stopper plate 80 is configured to be OFF to engage the lock groove 51.

다음,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80)는 상기 록 홈(51)과 플레이트 홈(72)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대략 사각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홈(72)에 구비된 탄성 부재(82)에 의해 상기 록 홈(5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설치된다.Next, the stopper plate 80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51 and the plate groove 72 at the same time, and is provided by the elastic member 82 provided in the plate groove 72. It is installed to receive an elastic force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lock groove (51).

상기 플레이트 홈(72)의 측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82)가 위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82)의 끝단이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80)의 측면에는 상기 공간부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 부재(82)가 걸리는 돌기부(80a)가 형성된다.A side portion of the plate groove 72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82 is positioned, and a support portion at which an end of the elastic member 82 is supported is formed, and at the side surface of the stopper plate 80, the space is formed. Protruding portion 80a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ide and to engage the elastic member 82.

한편, 상기 록 스토퍼(71)에는 시동 스위치가 ACC에서 LOCK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컬럼 록 기구(70)가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하지 않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의 록킹 핀(93)에 걸리는 홀딩 홈(74)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ck stopper 71 has a holding groove that is caught by the locking pin 93 of the solenoid actuator 91 so that the column lock mechanism 70 does not restrain the steering column while the start switch is switched from ACC to LOCK. 74 is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의 동작을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manual shift vehicle 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1.

시동 스위치 장치의 작동은 시동 노브나 전자 시동키를 이용하게 되는데, 두 가지 방법 모두 결국은 키 로터를 회전시켜 스위치 회로를 변경하게 된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시동 노브를 회전시켜 시동 스위치를 작동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tart switch device is accomplished by using a start knob or an electronic start key, both of which eventually turn the key rotor to change the switch circuit.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a method of operating the start switch by rotating the start knob.

도 4는 시동 노브 LOCK 위치 상태도이다.4 is a state diagram of the start knob lock position.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고 시동 노브나 시동 키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동 스위치는 LOCK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캠 샤프트(60)가 LOCK 회전 위치에 있고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가 OFF 위치에 있으므로, 스토퍼 플레이트(80)가 탄성 부재(82)에 의해 록 홈(51)에 삽입된 상태로 있게 되고, 아울러 록 스토퍼(71) 및 록 바(77)가 록 스프링(75)의 탄성력을 받아 스티어링 컬럼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스티어링 컬럼은 상기 록 바(77)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스티어링 록 상태가 된다.The start switch is in the LOCK position when the driver is in the vehicle and the start knob or start key is not inserted. At this time, since the cam shaft 60 is in the LOCK rotational position and the solenoid actuator 91 is in the OFF position, the stopper plate 80 is inserted into the lock groove 51 by the elastic member 82, and The lock stopper 71 and the lock bar 77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teering colum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 spring 75, so that the steering column is in a steering lock state in which rotation is restricted by the lock bar 77.

도 5는 시동 노브 LOCK 위치에서 시동 노브 누름 상태도이다.5 is a state diagram of pressing the start knob in the start knob LOCK position.

상기와 같은 스티어링 록 상태에서 운전자가 탑승하여 시동 노브를 누르게 되면, 스마트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ID 조합이 승인되고, 이때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가 ON 작동되는 한편, 시동 노브 록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When the driver rides in the steering lock state as described above and presses the start knob, smart communication is performed and the ID combination is approved. At this time, the solenoid actuator 91 is turned ON and releases the start knob lock state.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가 ON 작동됨에 따라 록킹 핀(93)이 돌출되면서 스토퍼 플레이트(80)를 누르게 되고, 이 스토퍼 플레이트(80)는 플레이트 홈(72)의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록 스토퍼(71) 및 록 바(77)의 구속이 해제된다.Here, as the solenoid actuator 91 is turned on, the locking pin 93 protrudes and presses the stopper plate 80, and the stopper plate 80 enters the inner side of the plate groove 72 to lock the stopper 71. And restraint of the lock bar 77 is released.

하지만, 상기 록 스프링(75)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되고 있으므로, 상기 록 바(77)는 계속해서 스티어링 컬럼 록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elastic force is provided by the lock spring 75, the lock bar 77 continues to maintain the steering column lock state.

도 6은 시동 노브 ACC 위치 상태도이다.6 is a state diagram of the start knob ACC position.

상기와 같은 LOCK 위치에서 시동 노브를 ACC 위치로 회전시키면, 캠 샤프트(60)가 회전하면서 록 스토퍼(71) 및 록 바(77)를 도면에서 상측으로 이동시켜 스티어링 록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는 계속해서 ON 작동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When the start knob is rotated to the ACC position in the LOCK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ck stopper 71 and the lock bar 77 are moved upward in the drawing to release the steering lock state while the cam shaft 60 rotates. At this time, the solenoid actuator 91 continues to maintain ON operation.

따라서 시동 노브가 ACC에 위치하게 되면, 차량의 핸들 작동이 자유롭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tart knob is located in the ACC,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freely operated.

도 7은 시동 노브 ON 위치 상태도이고, 도 8은 시동 노브 START 위치 상태도이다.Fig. 7 is a state diagram of the start knob ON position, and Fig. 8 is a state diagram of the start knob START position.

상기 시동 노브를 ACC 위치에서 ON이나 START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캠 샤프트(60)는 ON이나 START 위치로 회전하게 되나, 록 스토퍼(71) 및 록 바(77)는 상기한 ACC 상태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스티어링 록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start knob is rotated from the ACC position to the ON or START position, the cam shaft 60 rotates to the ON or START position, but the lock stopper 71 and the lock bar 77 adjust the position of the ACC state described above. The steering lock release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는 ON 작동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OFF 상태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olenoid actuator 91 may be maintained in the ON operating state or switched to the OFF state.

도 9는 시동 노브를 ON에서 ACC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도이다.9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start knob is rotated from the ON position to the ACC position.

시동 노브를 ON 위치에서 ACC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캠 샤프트(60)도 ACC 위치로 회전하게 되나, 록 스토퍼(71) 및 록 바(77)는 스티어링 록 해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When the start knob is rotated from the ON position to the ACC position, the cam shaft 60 also rotates to the ACC position as described above, but the lock stopper 71 and the lock bar 77 maintain the steering lock release state. .

특히,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는 ON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OFF 상태에서는 ON 상태로 전환된다.In particular, the solenoid actuator 91 is kept in the ON state, or is switched to the ON state in the OFF state.

도 10은 시동 노브를 ACC에서 LOCK로 회전시킨 상태도이다.10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start knob is rotated from ACC to LOCK.

상기한 바와 같이 시동 노브가 ACC 위치에서 다시 LOCK 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캠 샤프트(60)가 LOCK 위치로 회전하여 록 스토퍼(71) 및 록 바(77)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고, 이때 록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록 스토퍼(71) 및 록 바(77)가 도면상 하측으로 이동하려 하나,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가 ON 작동 상태에 있으므로 록킹 핀(93)이 돌출된 상태에서 록 스토퍼(71)의 홀딩 홈(74)에 삽입되어 록 스토퍼(71) 및 록 바(77)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rt knob rotates from the ACC position to the LOCK position again, the cam shaft 60 rotates to the LOCK position to release the lock stopper 71 and the lock bar 77 from restraining the lock spring. The lock stopper 71 and the lock bar 77 try to move downward in the drawing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75. However, since the solenoid actuator 91 is in the ON operation state, the lock pin 93 protrudes It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groove 74 of the stopper 71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lock stopper 71 and the lock bar 77.

따라서,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은 시동 전 상태에서는 스티어링 록 상태가 유지되나, 도 10에서와 같이 시동 노브가 ACC 이상의 위치에서 LOCK 위치로 다시 전환할 때는 스티어링 록 해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운전자가 원하지 않게 스티어링 록 상태로 전환되는 무단 컬럼 록킹 현상이 방지된다.Accordingly, the steering lock state is maintained in the pre-start state as shown in FIGS. 4 and 5, but as shown in FIG. 10, the steering lock release state is maintained when the start knob is switched back to the LOCK position from an ACC or higher position. Unauthorized column locking, which leads to an unwanted steering lock state, is prevented.

도 11은 시동 노브 LOCK 위치에서 컬럼 록 상태도이다.11 is a column lock state diagram at the start knob LOCK position.

운전자가 도어를 열거나, 스마트 키가 차량 외부로 벗어나거나, 전자 시동키를 키 박스 하우징(50)에서 뽑아 내거나, 등등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할 의사가 없고 스티어링 록 작동이 이루어질 조건이 발생되면, 전자 통신에 의한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If the driver opens the door, the smart key is out of the vehicle, the electronic ignition key is pulled out of the key box housing 50, the driver is not willing to drive the vehicle and a condition occurs where steering lock operation will occur, It outputs a signal to the solenoid actuator by communication.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1)가 OFF 작동되면서 록킹 핀(93)이 홀딩 홈(74)에서 이탈되어, 상기 록 스토퍼(71) 및 록 바(77)는 록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상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록 바(77)도 동시에 하강하여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함에 따라 스티어링 록 상태로 전환되어 차량의 핸들 작동이 제한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80)는 록 홈(51)에 걸려 있게 되므로 시동 노브도 잠금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the locking pin 93 is released from the holding groove 74 while the solenoid actuator 91 is turned off, so that the lock stopper 71 and the lock bar 77 are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 spring 75. As the lower side is lowered, the lock bar 77 is also lowered at the same time to constrain the steering column is switched to the steering lock state to limit the steering wheel opera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since the stopper plate 80 is locked to the lock groove 51, the start knob is also locked.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는, 전자 통신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어 시동 스위치 잠금 및 해제 기능과, LOCK 상태에서 운전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록 바가 돌출되어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조가 간단하고 시스템 작동 구조의 신뢰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무단 컬럼 록 방지 기능을 부여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anual shift vehicle 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the electronic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olenoid actuator controlled by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has a start switch lock and release function, and the driver's will in the LOCK state. It is designed to prevent the locking bar from protruding and restrain the steering column irrespective of the structure, so the structure of the whole system is simple, and the reli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system operation structure can be increased.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stability.

Claims (4)

내부에 록 홈이 형성된 키 박스 하우징과;A key box housing having a lock groove formed therein; 상기 키 박스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시동 키 또는 시동 노브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캠 샤프트와;A cam shaft provided in the key box housing and rotat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tart key or a start knob;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과 연동되어 직선 이동되면서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하거나 해제하고, 상기 록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플레이트 홈이 형성된 컬럼 록 기구와;A column lock mechanism that restrains or releases a steering column while linearly moving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cam shaft, and a plate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 groove; 상기 컬럼 록 기구의 플레이트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키 박스 하우징의 록 홈에 걸리거나 이탈되는 스토퍼 플레이트 및 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와;A stopper plate that is engaged with or detached from the lock groove of the key box housing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late groove of the column lock mechanism, and an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thereto; 상기 키 박스 하우징에 설치되어 전자 통신에 의해 상기 록 홈에 걸린 스토퍼 플레이트를 해제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And an actuator installed in the key box housing, the actuator releasing the stopper plate caught in the lock groove by electronic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키 박스 하우징의 외측에 장착되어, 외부 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력과 리턴 스프링의 상대 작용에 의해 상기 키 박스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된 록킹 핀이 직선 이동되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The actuator is a solenoid actuator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key box housing and operated while the locking pin protruding into the key box housing is linearly moved by a relative action of a magnetic force generated by an external signal and a return spring. Steering lock device for a manual transmission vehicle using an electronic key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는 스마트 통신 또는 이모 통신에 의해 ID 조합이 승인되면, 상기 록 홈으로부터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를 해제하도록 ON 작동되고, The solenoid actuator is ON to release the stopper plate from the lock groove when the ID combination is approved by smart communication or emo communication, 스티어링 컬럼 록 작동이 이루어질 조건이 되면,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가 록 홈에 걸리도록 OFF 작동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The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 manual shift vehicle using an electronic key, wherein the stopper plate is configured to be OFF when the steering column lock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컬럼 록 기구는 시동 스위치가 ACC에서 LOCK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컬럼 록 기구가 스티어링 컬럼을 구속하지 않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록킹 핀에 걸리는 홀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를 사용하는 수동 변속 차량용 스티어링 록 장치.The column lock mechanism is a manual shift using an electronic key, wherein a holding groove is formed on the locking pin of the solenoid actuator so that the column lock mechanism does not restrain the steering column while the start switch is switched from ACC to LOCK. Car steering lock device.
KR1020050020786A 2005-03-12 2005-03-12 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electronic key for manual transmission KR100591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786A KR100591304B1 (en) 2005-03-12 2005-03-12 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electronic key for manual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786A KR100591304B1 (en) 2005-03-12 2005-03-12 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electronic key for manual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304B1 true KR100591304B1 (en) 2006-06-20

Family

ID=3718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786A KR100591304B1 (en) 2005-03-12 2005-03-12 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electronic key for manual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3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52B1 (en) * 2008-12-04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eering Column Lock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52B1 (en) * 2008-12-04 2011-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eering Column Lock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033B1 (en) Apparatus for restricting activation of engine starting system
JP4980853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KR100686997B1 (en) Electric steering lock apparatus
JP3996380B2 (en) Shift lock device
US8408031B2 (en) Ignition switch operation restricting device
KR20090056837A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US6508090B1 (en) Vehicle shift lever device
KR101305674B1 (en) Ignition Control type Auto Lever Device
US5379871A (en) Shift lever apparatus
JP3921043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KR100622495B1 (en) steering column lock for a personal id-card system
JP2001018675A (en) Shift lever device
KR100591304B1 (en) Steering lock apparatus using electronic key for manual transmission
KR100658046B1 (en) Ignition switch apparatus using electronic key and its control method
KR100925933B1 (en) Key interlock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in vehicle
US20040025549A1 (en) Ignition lock for a motor vehicle
KR20140093207A (en) Anti-theft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and associated steering column
JP2011025899A (en) Shift lever device
AU2005288752B2 (en) Ignition key switch mechanism
JP5072485B2 (en) Steering lock device
JP5007195B2 (en) Ignition operation device
JP2002087098A (en) Shift lever device
JP2009132299A (en) Steering lock device
JP2008247129A (en) Steering lock device
JP4044340B2 (en) 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