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774B1 - 파장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파장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774B1
KR100590774B1 KR1020040015594A KR20040015594A KR100590774B1 KR 100590774 B1 KR100590774 B1 KR 100590774B1 KR 1020040015594 A KR1020040015594 A KR 1020040015594A KR 20040015594 A KR20040015594 A KR 20040015594A KR 100590774 B1 KR100590774 B1 KR 100590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optical signal
failure
transmitted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322A (ko
Inventor
방준학
박재동
전경규
김병휘
이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5006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WG(Arrayed Wavelength Grating)를 이용한 WDM-PON(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Passive Optical Network) 망에서의 점대점(point to point)간 1+1 링크 보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용 링크(working link)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그 보호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개시하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 장치는 운용 링크(working link)를 통하여 OLT로부터 가입자 측으로 전송되는 다파장 광신호를 수신단측으로 전달되는 광신호와 예비 링크(protection link)를 통해 상기 OLT 측으로 역전송될 광신호로 분기하는 제1 광 커플러; 상기 역전송될 광신호를 상기 예비 링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운용 링크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예비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다파장 광신호를 상기 수신단측으로 전달하는 제2 광 커플러; 상기 역전송 광신호의 감지 여부로 운용 링크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Photo Detecter(PD); 및 상기 PD에 의해 장애가 발생이 판별된 경우, 상기 다파장 광신호의 전송 경로를 상기 운용 링크에서 상기 예비 링크로 절체(switching)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Description

파장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ink protection in WDM-PON}
도 1은 기존의 링크 보호 장치의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개시하는 선로 보호 절체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제시된 광 커플러 모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방법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AWG(Arrayed Wavelength Grating)를 이용한 WDM-PON(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Passive Optical Network) 망에서의 점대점(point to point)간 1+1 링크 보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용 링크(working link)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그 보호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링크 보호 장치의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WDM-PON 상에서 장애가 발생한 운용 링크(working link)를 보호 하기 위해 별도의 예비 링크(protection link)를 구비하는데, 운용 링크(working link)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WDM-PON의 수신단인 ODN(Optical Distribute Network)에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회로와 장애가 발생한 링크를 예비 링크(protection link)로 절체(switching)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가 구비된다.
중앙 기지국(Central Office)으로서 기능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l)에서 송출되는 다파장(λ1, λ2, ···, λn)의 여러 광신호(다파장 광신호)들은 파장 다중화기(Wavelength MUX(WMUX))에 의해 다중화되고, 운용 링크(working link)를 통해 가입자 측의 ODN으로 전송된다. ODN에 전송된 다파장(λ1, λ2, ···, λn)의 여러 광신호들은 (Wavelength DMUX(WDMX))에 의해 다중화되어 가입자에게 전송된다.
만일, 운용 링크(광섬유 선로)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ODN에 내장된 PD(Photo Detector)에 의해 LOS(Loss of Signal)가 감지되고, 예비 링크(protection link) 상의 스위치(switch)가 on되면서 예비 링크를 통해 광신호가 전송된다. 이 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입자 측인 ODN에는 광채널의 장애 감시 및 보호 절체를 위해 PD, 스위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등이 필요한데, 장애 감시 및 보호 절체를 위한 기존 방식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PD, 스위치 및 회로 등은 통상 능동 소자로 구현이 되기 때문에 감시 제어의 용이성 및 광전송 시스템의 간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WDM-PON에서 운용 링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한 운용 링크를 보호하기 위해, ODN에서 능동소자를 이용함이 없이 1+1 보호 절체가 가능하게 하여 WDM-PON 광가입자 망을 보다 신뢰성 있게 구축할 수 있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개시하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 장치는 운용 링크(working link)를 통하여 OLT로부터 가입자 측으로 전송되는 다파장 광신호를 수신단측으로 전달되는 광신호와 예비 링크(protection link)를 통해 상기 OLT 측으로 역전송될 광신호로 분기하는 제1 광 커플러; 상기 역전송될 광신호를 상기 예비 링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운용 링크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예비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다파장 광신호를 상기 수신단측으로 전달하는 제2 광 커플러; 상기 역전송 광신호의 감지 여부로 운용 링크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Photo Detecter(PD); 및 상기 PD에 의해 장애가 발생이 판별된 경우, 상기 다파장 광신호의 전송 경로를 상기 운용 링크에서 상기 예비 링크로 절체(switching)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개시하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 방법은 (a)운용 링크(working link)를 통하여 OLT로부터 가입자 측으로 전송되는 다파장 광신호를 수신단측으로 전달되는 광신호와 예비 링크(protection link)를 통해 상기 OLT 측으로 역전송될 광신호로 분기하는 단계; (b)상기 역전송될 광신호를 상기 예비 링크로 전달하는 단계; 및 (c)상기 역전송 광신호의 감지 여부로 운용 링크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d)상기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다파장 광신호의 전송 경로를 상기 운용 링크에서 상기 예비 링크로 절체(switching)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상기 일부 광신호의 감지와 상기 예비 링크의 절체는 상기 OLT 상에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이 개시하는 선로 보호 절체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방법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이 개시하는 선로 보호 절체 장치는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PD, switch 등과 같은 링크의 감시 및 보호 절체를 위한 회로가 기존과는 달리 중앙 기지국인 OLT 측에 구비되어 있다. OLT 에서의 다파장(λ1, λ2, ···, λn )의 여러 광신호(다파장 광신호)는 파장 다중화기(WMUX)에 의해 다중화 되고, 운용 링크(working link)를 통해 가입자 측으로 전송된다. 가입자 측으로 전송된 다파장 광신호 중 일부 광신호는 ODN에 위치한 광 커플러 모듈(optical coupler module)에 의해 예비 링크(protection link)를 통하여 OLT 측으로 역전송이 되며(S1), 이를 PD에서 감지를 하여 광링크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2).
장애 발생이 없는 경우에는, 운용 링크(working link)를 통해 다파장 광신호가 전송이 되며(S3), 이 때, PD(Photo Detector)는 전송 광신호가 있음을 감지하고 switch를 off 상태로 유지시킨다.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PD는 전송 광신호가 없음을 감지하여 switch를 on시켜(광신호의 전송 경로를 절체시켜)(S4) 예비 링크를 통해 광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위에서 언급한 기존 방식과 본 발명의 차이의 핵심은 기존에는 운용 링크 상에서 광신호를 감지하지만, 본 발명은 예비 링크(protection link) 상에서 다파장 광신호를 감지한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예비 링크(protection link) 상에서 광신호를 감지하므로 중앙 기지국인 OLT 측에서 광 링크의 장애 감시 및 보호 절체가 가능하게 되며 이는 감시 제어의 용이성 및 광전송 시스템의 간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져올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제시된 광 커플러 모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광 링크의 장애 감시 및 보호 절체의 구현을 위해,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은 광 커플러와 같은 수동 소자들의 구성이 필요하다.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광 커플러 모듈(optical coupler module)은 광 커플러(optical coupler, 31,32,33) 세 개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광 커플러(31)는 운용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다파장 광신호(a)를 수신단측으로 전달되는 광신호(a1)및 예비 링크를 통해 OLT측으로 역전송시키는 광신호(a2)로 분기시킨다. 광신호를 OLT로 역전송 시키는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OLT에 구비된 PD가 전송 광신호를 감지하여 광링크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2 광 커플러(32)는 OLT측으로 역전송시키는 광신호(a2)를 예비 링크로 전달하거나, 운용 링크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예비 링크를 통해 수신단쪽으로 광신호(b)를 전달한다.
제3 광 커플러(33)는 운용 링크를 통하건 예비 링크를 통하건 수신단쪽으로 전송되는 광신호(a,b)의 수신단 광신호(a1,b1)를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이 때, 제1 내지 제3 광 커플러에는 'X' 단자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광 커플러로 통상 2×2 커플러를 사용하는데 커플러내의 미사용 포트(port)를 단절(termination)시킴을 의미한다. 미사용 포트를 단절을 시키지 아니하면 전송되어오는 광신호의 반사(reflection)이 발생하여, PON망 자체의 오동작의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정상 동작시에, 운용 링크를 통해 다파장 광신호가 가입자 측으로 전송이 되며, 일부의 광신호는 예비 링크를 통해 ONT측으로 역전송시켜 장애 발생시에도, 예비 링크를 통해 다파장 광신호가 가입자 측으로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WDM-PON에서 광 링크의 장애 발생시에 장애가 발생한 광 링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ODN에 광신호의 장애 감시 및 보호 절체를 위하여 PD, switch와 같은 능동 소자를 사용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optical coupler와 같은 수동 소자만을 이용하여 보호 절체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감시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시스템을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운용 링크(working link)를 통하여 OLT로부터 가입자 측으로 전송되는 다파장 광신호를 수신단측으로 전달되는 광신호와 예비 링크(protection link)를 통해 상기 OLT 측으로 역전송될 광신호로 분기하는 제1 광 커플러;
    상기 역전송될 광신호를 상기 예비 링크로 전달하거나, 상기 운용 링크의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예비 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다파장 광신호를 상기 수신단측으로 전달하는 제2 광 커플러;
    상기 역전송 광신호의 감지 여부로 운용 링크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Photo Detecter(PD); 및
    상기 PD에 의해 장애가 발생이 판별된 경우, 상기 다파장 광신호의 전송 경로를 상기 운용 링크에서 상기 예비 링크로 절체(switching)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PD와 스위치는 상기 OLT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 장치.
  2. 삭제
  3. 삭제
  4. (a)운용 링크(working link)를 통하여 OLT로부터 가입자 측으로 전송되는 다파장 광신호를 수신단측으로 전달되는 광신호와 예비 링크(protection link)를 통해 상기 OLT 측으로 역전송될 광신호로 분기하는 단계;
    (b)상기 역전송될 광신호를 상기 예비 링크로 전달하는 단계; 및
    (c)상기 역전송 광신호의 감지 여부로 운용 링크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d)상기 장애가 발생한 경우 상기 다파장 광신호의 전송 경로를 상기 운용 링크에서 상기 예비 링크로 절체(switching)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와 (d)단계는 상기 OLT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 방법.
  5. 삭제
KR1020040015594A 2003-12-18 2004-03-08 파장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장치 및 그 방법 KR100590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106 2003-12-18
KR20030093106 2003-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322A KR20050062322A (ko) 2005-06-23
KR100590774B1 true KR100590774B1 (ko) 2006-06-19

Family

ID=3725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594A KR100590774B1 (ko) 2003-12-18 2004-03-08 파장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7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597B (zh) * 2018-12-14 2021-06-04 武汉光迅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路由选择方法和装置
CN110380810B (zh) * 2019-07-31 2024-03-22 广州芯泰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半有源wdm波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430A (ja) 1997-10-08 1999-04-23 Fujitsu Ltd 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障害監視方法
KR20040082737A (ko) * 2003-03-20 2004-09-30 주식회사 케이티 루프백 광파워 모니터링을 이용한 광선로 자동 절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430A (ja) 1997-10-08 1999-04-23 Fujitsu Ltd 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光加入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障害監視方法
KR20040082737A (ko) * 2003-03-20 2004-09-30 주식회사 케이티 루프백 광파워 모니터링을 이용한 광선로 자동 절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322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578B1 (en) 1:N protection in an optical terminal
KR100971676B1 (ko) 수동형 광 가입자 망에서 장애 검출 방법 및 검출 장치, 및그 검출 장치를 구비한 수동형 광 가입자 망
KR100618130B1 (ko)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의 광선로 장애위치 검출 장치
EP0786878B1 (en)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928033B1 (ko) 양방향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
US86117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extended passive optical network
US8615169B2 (en) PON system and redundancy method
EP1496634A2 (en) Self-heal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US20060029390A1 (en) Optical distribution network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A2318046A1 (en) Self-healing optical network
CA23180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 spare channel among two or more optical ring networks
JP2005198297A (ja) 波長分割多重方式の自己修復受動型光加入者網
JP2007173943A (ja) 光海底伝送システム
KR101552490B1 (ko) 예비 포트에서 예비 간선 라인의 수신 광 감도 측정 가능한 포트 이중화 광 회선 종단장치(olt), 수동형 광 네트워크(pon)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비 간선 라인의 안정성 판단 방법
US20050276603A1 (en) Self-monitoring passive optical network
US6898376B1 (en) Optical ring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7016609B2 (en) Receiver transponder for protected networks
US20050094998A1 (en) Protection architecture for photonic switch using tunable optical filter
KR100590774B1 (ko) 파장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의 링크 보호장치 및 그 방법
WO1999023851A1 (en) Optical protection switching system
US7359637B2 (en) Self-healing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573992B1 (ko) 광 선로 절단 감지 및 자동 절체 방법 및 장치
CA2387750C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protection
US7283742B2 (en) Optical signal judging system and optical signal judging method
KR100707244B1 (ko) 파장 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의 보호 복구 장치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