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0557B1 - Character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frequency-tone, having micom-controller - Google Patents

Character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frequency-tone, having micom-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0557B1
KR100590557B1 KR1020040077736A KR20040077736A KR100590557B1 KR 100590557 B1 KR100590557 B1 KR 100590557B1 KR 1020040077736 A KR1020040077736 A KR 1020040077736A KR 20040077736 A KR20040077736 A KR 20040077736A KR 100590557 B1 KR100590557 B1 KR 10059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tmf
character
memory
character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8859A (en
Inventor
신동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0557B1/en
Publication of KR2006002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8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0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 통신 전화기를 개시한다. 이 전화기의 마이컴 제어부는 문자 통신 모드인가 전화 통화 모드인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를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통신 모드 판별부와,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숫자/문자키 보턴을 조작한 결과를 문자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 데이타를 메모리 및 표시부로 각각 출력하는 문자 데이타 생성부 및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 데이타에 상응하는 DTMF를 생성하여 스피치 네트워크로 출력하는 DTMF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xt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a frequency tone having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of this telephone determines whether the communication mode is a text communication mode or a telephone call mode, and outputs the determined result as a control signal, and a character of the result of operating the numeric / character key buttons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Character data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data, and output the converted character data to the memory and display unit, and DTMF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DTMF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output to the speech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Description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Character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frequency-tone, having micom-controller}Character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frequency-tone, having micom-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xt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a frequency tone having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숫자/문자키보턴을 보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numeric / character key button shown in FIG. 1.

도 3은 문자통신에서 전송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ransmission mode in a text communication.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이컴 제어부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shown in FIG. 1.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정류부, 11 : 주파수톤 검출부10: rectifier, 11: frequency tone detector

12 : 스피치네트워크, 13 : 송수화기12: speech network, 13: handset

14 : 마이컴제어부, 15 : 숫자/문자키보턴14: microcomputer control unit, 15: numeric / character key button

16 : 표시부, 17 : 메모리16: display unit, 17: memory

18 : 링거, 19 : 스피커18: ringer, 19: speaker

80 : 통신 모드 판별부 82 : 문자 데이타 생성부80: communic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82: character data generation unit

84 : DTMF 생성부 86 : 문자 데이타 변환부84: DTMF generation unit 86: character data conversion unit

본 발명은 양방향 문자통신 전화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 톤을 이용한 문자 통신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way text communication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xt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a frequency tone having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사용자간의 음성을 전달하여 의사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생활의 편리함이나 특수한 목적을 위해 보조적인 기능들이 추가된 다양한 전화기가 개발되고 있다. 보조기능이 추가된 전화기 중에서 문자통신 전화기는 상대방이 송신한 문자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각이 다소 장애가 있는 사람도 편리하게 의사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In general, a telephone performs a function of exchanging pseudo information by transmitting voice between users. In addition to these basic functions, various telephones have been developed to which auxiliary functions are added for convenience or special purpose of life. Among the phones with the auxiliary function, the text communication phone can receive and display texts sent by the other party and display them on the display, so that not only can the visual effect be displayed, but also those with a hearing impairment can exchange information easily. have.

이러한 종래의 문자통신 전화기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화기 전면판에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판과는 별도로 전화기 전면판 한부분에 한글 자음, 모음에 대한 버튼과 송신, 수신에 관련된 버튼을 갖춘 문자판을 구비하여 컴퓨터의 키보드로 문자를 입력하듯이 송신하고자 하는 문자의 해당 자음과 모음의 버튼을 눌러서 문자를 송신하였다. 또한, 전화기 내부에 장착시킨 모뎀을 이용하여 문자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였다. 따라서, 모뎀과 문자판을 별도로 장착에 함에 따른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text communication phone has a dial on the front panel of a telephone for entering a phone number, and a dial with buttons related to Korean consonants, vowels, and buttons related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n one part of the front panel of the telephone separately from the number panel for dialing. Just as you type a character on the keyboard of your computer, you send a letter by pressing the button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of the letter you want to send. In addition, by using a modem mounted inside the phone, data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was transmitted and receiv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increases due to the separate mounting of the modem and the dial.

또한 종래의 다른 종류의 문자 통신 전화기는 문자 데이터를 전화기 내부에 내장시킨 모뎀을 이용하여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은 종래의 문자 통신 전화기와 동일하지만,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판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전화기 숫자판의 버튼 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모뎀을 장착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숫자판을 연속하여 눌러 가며 해당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선택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문자 입력 방법이 매우 복잡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모뎀을 사용하여 문자통신을 함으로써 음성통화를 하면서 동시에 문자통신을 할 수 없었다.In addition, other conventional text communication telephones transmit and receive text data using a modem embedded inside the telephone, but the same as a conventional text communication telephone. It is improved to input characters using. However, there is still a problem to be equipped with a modem, and by using the method of select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characters by successively pressing the number plate, the character input method is very complicated, which caused inconvenience. Also, by using a modem, text communication was not possibl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문자입력용 버튼과 모뎀이 필요없고 저렴하며 문자입력이 간편한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 톤을 이용한 문자 통신 전화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xt communication phone using a frequency tone having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that does not need a separate button for inputting text and a modem, and is inexpensive and easy to input tex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 통신 전화기는 전화선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신DTMF를 검출하는 주파수톤 검출부와, 전기적 음성 신호를 가청 음성 신호로 가청 음성 신호를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송수화기와, 송신 또는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송수화기와 접속시키며 송신DTMF를 유입하여 상기 전화선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치 네트워크와, 송신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숫자/문자키보턴; 상기 숫자/문자키보턴의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문자데이터와 수신된 DTMF의 문자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DTMF 문자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숫자/문자키보턴으로 입력된 문자데이터에 상응하는 DTMF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치네트워크로 출력하며, 상기 메모리부와 표시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제어부를 포함하고,A text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a frequency tone having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requency ton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eception DTMF flowing from a telephone line, and an electrical audio signal to an audible voice signal to electrical A handset f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to a voice signal, a speech network for connecting a transmitted or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handset, introducing a transmission DTMF and outputting the telephone line, and a numeric / character key button for inputting a character to be transmitted;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haracter data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number / character key button and the character data of the received DTMF,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TMF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a character input with the number / character key button It generates a DTMF corresponding to the data and outputs to the speech network, and includes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mory unit and the display unit,

상기 마이컴 제어부는 문자 통신 모드인가 전화 통화 모드인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를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통신 모드 판별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숫자/문자키보턴를 조작한 결과를 상기 문자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문자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표시부로 각각 출력하는 문자 데이타 생성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문자 데이타에 상응하는 상기 DTMF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로 출력하는 DTMF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ext communication mode or the telephone call mode, and the communic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determined result as a control signal, and the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numeric / character key button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 character A character data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data into the data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character data to the memory and the display unit, and a DTMF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DTMF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outputting the DTMF to the speech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숫자/문자키보턴의 한글 자음은 이중구조를 이용하여 보턴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ngul consonants of the number / letter key button is characterized in that assigned to the button using a dual structure.

또한, 상기 숫자/문자키보턴은 한글자음 7개와 이중구조용 보턴 1개와 모음에 3개의 보턴이 할당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umber / letter key button is characterized in that seven Korean consonants, one dual structure button and three buttons are assigned to the vowel.

또한, 상기 숫자/문자키보턴의 3개 보턴에 할당된 모음은 'ㅣ','ㅡ','.'이며 상기 자음으로 할당된 보턴과 조합되어 문자를 입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owels assigned to the three buttons of the number / character key button are 'ㅣ', 'ㅡ', '.' And are combined with the buttons assigned to the consonants to input character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 톤을 이용한 문자 통신 전화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Hereinafter, a text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a frequency tone having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의 블럭도로서, 정류부(10), 주파수 톤 검출부(11), 스피치 네트워크(12), 송수화기(13), 마이컴 제어부(14), 숫자/문자 키 보턴(15), 표시부(16), 메모리(17), 링거(18) 및 스피커(19)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ext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a frequency tone having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rectifier 10, a frequency tone detector 11, a speech network 12, a handset 13, and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14 ), Numeric / character key buttons 15, display section 16, memory 17, ringer 18, and speaker 19.

도 1에서 문자 통신 전화기의 정류부(10)는 외부 전화선에서 유입되는 48V전 압을 로직 전원으로 낮추는 역할을 하고, 주파수 톤 검출부(11)는 전화선으로부터 유입된 주파수톤을 검출하며, 송수화기(13)는 음성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링거(18)는 전화선으로부터 유입된 링 신호를 구동시키고, 스피커(19)는 드라이브된 링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피치 네트워크(12)는 톤 신호와 송수화기(13)와 전화선간의 송신 및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고, 숫자/문자키버튼(15)은 전화번호와 문자를 입력한다. 이 때, 표시부(16)는 수신된 문자와 송신할 문자를 디스플레이하고, 메모리부(17)는 전송되는 문자의 DTMF를 저장한다. 마이컴제어부(14)는 숫자/문자 키버튼(15)을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DTMF을 생성하며, 유입된 전송되는 문자의 DTMF를 인식하여 메모리(17)에 저장되어 있는 각 톤에 맞는 한글 자모에 따라 메모리(17)와 유입된 표시부(16)를 제어하여 문자를 디스플레이한다.In FIG. 1, the rectifier 10 of the text communication phone lowers the 48V voltage flowing from the external telephone line to the logic power, and the frequency tone detector 11 detects the frequency tone introduced from the telephone line, and the handset 13 Serves to transmit and receive voice signals. At this time, the ringer 18 drives the ring signal introduced from the telephone line, and the speaker 19 serves to output the driven ring signal. Also, the speech network 12 serves to connect the tone signal and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handset 13 and the telephone line, and the numeric / character key button 15 inputs a telephone number and a character.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6 displays the received character and the character to be transmitted, and the memory unit 17 stores the DTMF of the transmitted character.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14 generates a DTMF according to the data input through the numeric / character key button 15, recognizes the DTMF of the transmitted and transmitted characters, and matches the Hangul alphabet for each tone stored in the memory 17. According to the control, the memory 17 and the introduced display unit 16 are controlled to display characters.

도 1의 구성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외부 전화선을 통하여 유입되는 48V전압을 로직 전원으로 변환시켜 각 부에 공급하는 정류부(10)를 통하여 유입된 수신DTMF는 주파수톤 검출부(11)에 유입된다. 주파수톤 검출부(11)는 DTMF를 검출하여 마이컴 제어부(14)로 출력한다. 마이컴 제어부(14)는 각 DTMF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하고 메모리(17)에 저장한다. 한편, 문자 데이터를 상대편으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숫자/문자키보턴(15)을 눌러서 문장을 완성 후 숫자/문자키보턴(15)에서 # 보턴을 소정의 횟수 이상 눌러서 수행한다. 먼저 # 보턴을 소정의 횟수 이상 누른 다음 전송 모드로 선택한 후에 문자에 해당하는 보턴을 누르는 대로 즉시 전송할 수 있다. 마이컴 제어부(14)에서 문자 데이터는 DTMF로 변환되어 스피치네트워크(12)를 통하여 외부 전화라인에 전송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Figure 1, the received DTMF introduced through the rectifier 10 for converting the 48V voltage flowing through the external telephone line to the logic power supply to each unit flows into the frequency tone detector (11). The frequency tone detector 11 detects the DTMF and outputs the DTMF to the microcomputer controller 14.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14 display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each DTMF on the display unit 16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7.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ransmitting the character data to the other side by pressing the number / character key button (15) to complete the sentence, the number / character key button (15) by pressing the # button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times. First, press # button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n select the transmission mode, and then immediately send it by press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letter. In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14, the text data is converted into DTMF and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lephone line through the speech network 12.

전송방법은 각 숫자 보턴마다 자기의 DTMF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보턴에 의해 조합된 각 문자에 해당되는 DTMF를 마이컴제어부(14)에서 발생시켜 전송한다. 이때 DTMF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주파수 톤(tone) 발생기를 구성하여 동작시킬 수도 있다.In the transmission method, since the DTMF is assigned to each numeric button,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14 generates and transmits a DTMF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combined by the button. In this case, a separate frequency tone generator may be configured and operated without using DTMF.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숫자/문자키보턴을 보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numeric / character key button shown in FIG. 1.

본 발명의 문자 통신 전화기의 숫자/문자 키보턴(15)을 이용한 한글 조합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한글의 모든 자음은 14개(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 ㅍ,ㅎ)의 자음으로 표현이 가능하므로 14개의 보턴이 필요한데 이를 이중구조용 보턴 즉, 컴퓨터 자판의 쉬프트키와 같은 용도로 1개의 보턴을 사용하여 1개의 보턴에 2개씩의 자음을 할당하게 되면 자음 보턴 7개와 이중 구조용 보턴 1개만 있으면 모든 자음을 할당할 수 있다. 즉, 8개의 보턴을 가지고 자음을 모두 표현된다.The Hangul combination using the digit / character keyboard 15 of the text communication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All Korean consonants can be represented by 14 consonants (B, B, B, D, K, K, K, K, K, K, K, K, K, K), so 14 buttons are required. If two consonants are assigned to one button using one button for the same purpose as a structural button, that is, a shift key of a computer keyboard, only seven consonant buttons and one double rescue button can be assigned. That is, all eight consonants are represented.

또한, 한글의 모음은 ㅏ,ㅑ,ㅓ,ㅕ,ㅗ,ㅛ,ㅜ,ㅠ,ㅡ, ㅣ 10개로 표현이 가능하다. 이 때, 모음은 "ㅣ","ㅡ" 및 "."에 의해 표현이 가능하므로 모음은 3개의 보턴에 할당된다. 그러므로, 11개의 보턴으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한글을 구성 할 수 있다.In addition, Korean vowels can be expressed as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ㅡ, ㅡ, 10. At this time, the vowel can be expressed by "|", "-" and ".", So the vowel is assigned to three buttons. Therefore, the Korean alphabet can be composed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with 11 buttons.

문자 통신 모드의 시작을 알리는 기능과 문자 메시지 전송 시작을 알리는 기능이 추가되면 되는데 문자통신모드 시작 보턴은 상기 11개의 보턴중에서 하나를 중복 사용하여 수 초이상 계속 눌렀을 경우에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문자 메세지 전송 시작 보턴은 1개의 보턴에 할당된다. 이 때, 시작 보턴을 누르는 패턴에 따라 현재의 상태가 한 글자의 끝인지 전송시작인지를 구분하도록 한다. 즉, 예를 들어, 시작 보턴을 1회 누르면 현재가 한 글자의 마침이라는 것이고 2회 또는 그 이상 정해진 만큼 연속하여 누르면 전송 시작으로 설정되어 마이컴 제어부(14)가 보턴 입력을 확인한다.The function of notifying the start of the text communication mode and the function of notifying the start of the text message transmission may be added. The transmission start button is assigned to one button.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pressing the start button to distinguish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the end of one character or start transmission.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start button is pressed once, the present is the end of one letter, and if the button is pressed twice or more consecutive times,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14 confirms the button input.

도 2에 도시된 숫자와 자음과 모음이 할당된 보턴에 맞추어 한글을 조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ㄱ,ㄴ,ㄷ,ㄹ,ㅁ,ㅂ,ㅅ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각각 숫자 보턴 1, 2, 3, 4, 5, 6, 7 을 누르고 ㅇ,ㅈ,ㅊ,ㅋ,ㅌ,ㅍ,ㅎ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각각 보턴 *를 누른후에 숫자 보턴 1, 2, 3, 4, 5, 6, 7 을 누른다. 모음 ‘ㅏ’를 만들기 위해서는 버튼 8(ㅣ)과 버튼 0(·)을 차례대로 누르고,‘ㅓ’를 만들기 위해서는 버튼0(·)과 8(ㅣ)을 차례대로 누르고 ‘ㅗ’를 만들기 위해서는 버튼0(·)과 9(ㅡ)를 차례대로 누른다. 만약 ㅘ’이면 버튼 0(·), 9(ㅡ), 8(ㅣ), 0(·)을 차례로 누른다. 이 때, 한 글자에 대한 조합이 끝나면 보턴 #를 한번 눌러서 한 글자의 끝을 알리고 원하는 문장이 완성되면 보턴 #을 연속하여 수차례 누름으로써 문자전송이 시작됨을 알린다.When combining the Hangul according to the button assigned the numbers, consonants and vowels shown in Figure 2 as follows. Press the number buttons 1, 2, 3, 4, 5, 6 and 7 to select a, b, ct, rt, rt, rt, s and select ㅇ, ㅈ, ㅋ, ㅋ, ㅍ, ㅎ To do this press the button * and then press the number buttons 1, 2, 3, 4, 5, 6 and 7. Press button 8 (ㅣ) and button 0 (·) in order to make a collection 'ㅏ', press buttons 0 (·) and 8 (ㅣ) in order to make 'ㅓ' and press button to make 'ㅗ'. Press 0 (·) and 9 (ㅡ) in order. If ㅘ ', press button 0 (·), 9 (ㅡ), 8 (ㅣ), 0 (·) in order. At this time, when the combination of a letter is finished, press the button # once to indicate the end of a letter, and when the desired sentence is completed, press the button # several times in succession to indicate that the character transmission begin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통신에서 전송 모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ransmission mode in a tex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문자 통신 모드인가를 확인한다(제41 단계). 문자 통신 모드가 아니면 전화 통신 모드를 수행한다(제42 단계). 그러나, 제제41 단계에서 문자 통신 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면, 송신측에서는 숫자/문자키보 턴(15)을 눌러 문자를 입력한다(제44 단계).Referring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flowchart of FIG. 3, it is checked whether the text communication mode is in operation 41. If not in the text communication mode, the phone communication mode is performed (step 42). However, if it is confirmed in the text communication mode in step 41, the transmitting side presses the number / character key 15 to input text (step 44).

제44 단계후에, 마이컴 제어부(14)는 입력된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다(제45 단계). 제45 단계후에,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된 표시부(16)에 송신하고자 하는 문자를 표시하고 메모리(17)에 저장한다(제46 단계). 또한, 제46 단계후에, 메모리(17)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DTMF로 변환시켜 전송한다(제47 단계). 한편,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DTMF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표시부(16)에 문자를 표시하고 메모리(17)에 저장한다(제48 내지 제51 단계들).After step 44,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14 converts the input data into text data (step 45). After the forty-fifth step, for example, the character to be transmitt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 of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stored in the memory 17 (step 46). In addition, after the forty sixth step,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memory 17 is converted into DTMF and transmitted (step 47). 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side converts the received DTMF into text data and then displays the text on the display unit 16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7 (48th to 51st steps).

이하, 도 1에 도시된 마이컴 제어부(14)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14A)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14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14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마이컴 제어부(14)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4A)의 블럭도로서, 통신 모드 판별부(80), 문자 데이타 생성부(82), DTMF 생성부(84) 및 문자 데이타 변환부(86)로 구성된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14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14 shown in FIG. 1, which includes a communication mode determining unit 80, a text data generating unit 82, and a DTMF generating unit 84. As shown in FIG. And a character data conversion unit 86.

도 4에 도시된 마이컴 제어부(14A)의 통신 모드 판별부(80)는 문자 통신 모드인가 전화 통화 모드인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를 제어 신호(C)로서 문자 데이타 생성부(82) 및 문자 데이타 변환부(86)로 각각 출력한다. 이를 위해, 숫자/문자 키 보턴(15)는 문자 통신 모드를 원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조작된 결과를 문자 통신 요구 신호로서 통신 모드 판별부(80)로 출력한다. 이 때, 통신 모드 판별부(80)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숫자/문자 키 보턴(15)으로부터 문자 통신 요구 신호가 입력될 때 문자 통신 모드인 것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결과를 제어 신호로서 출력한다.The communic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80 of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14A shown in FIG. 4 determines whether the communication mode is a text communication mode or a telephone call mode, and the character data generation unit 82 and the text are used as the control signal C. Output to the data converters 86, respectively. To this end, the numeric / character key button 15 is operated by a user who wants a text communication mode, and outputs the result of the operation to the communic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80 as a text communication request signal.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e determining unit 80 determines that the text communication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number / character key button 15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1, and determines that the text communication mode is in the text communication mode, and outputs the determined result as a control signal.

문자 데이타 생성부(82)는 통신 모드 판별부(80)로부터 입력한 제어 신호를 통해 문자 통신 모드인 것으로 인식되면, 숫자/문자키보턴(15)으로부터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한 숫자/문자키보턴을 조작한 결과를 문자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 데이타를 메모리(17) 및 표시부(16)로 출력단자 OUT1 및 OUT2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When the character data generation unit 82 recognizes that the character communication mode is the character communication mode through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mmunic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80, the number / character key input from the number / character key button 15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2. The result of operating the button is converted into character data, and the converted character data are output to the memory 17 and the display unit 16 through the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respectively.

DTMF 생성부(84)는 메모리(17)에 저장된 문자 데이타를 입력단자 IN3을 통해 입력하고, 입력한 문자 데이타에 상응하는 DTMF를 생성하며, 생성된 DTMF를 스피치 네트워크(12)로 출력단자 OUT3을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DTMF는 스피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The DTMF generating unit 84 inputs the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memory 17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3, generates a DTMF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data, and sends the generated DTMF to the speech network 12. Output through Thus, DTMF can be transmitted over a speech network.

이 때, 마이컴 제어부(14A)는 문자 데이타 변환부(86)를 더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문자 데이타 변환부(86)는 제어 신호(C)를 통해 문자 통신 모드인 것으로 인식되면, 주파수 톤 검출부(11)로부터 입력단자 IN4를 통해 입력한 수신 DTMF를 문자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 데이타를 출력단자 OUT4 및 OUT5를 통해 표시부(16) 및 메모리(17)로 각각 출력한다.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14A may further provide a character data conversion unit 86. In this case,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text data converter 86 is in the text communication mode through the control signal C, the text data converter 86 converts the received DTMF input from the frequency tone detector 11 through the input terminal IN4 into text data and converts the text data. The outputted character data are outputted to the display section 16 and the memory 17 via output terminals OUT4 and OUT5,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한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는, 전화번호판에 의해 조합되는 각 DTMF를 모음과 자음에 대응시켜 송수신함으로써 모뎀이 별도로 필요없고 음성통신 중에 문자송수신이 가능하다. A text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a frequency tone having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nd receive text messages during voice communication without requiring a modem separately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each DTMF combined by a telephone plate in correspondence with vowels and consonants.

Claims (2)

전화선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신DTMF를 검출하는 주파수톤 검출부;A frequency tone detector for detecting a reception DTMF flowing from a telephone line; 전기적 음성신호를 가청 음성신호로 가청 음성신호를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시키는 송수화기;A handset for converting an electrical voice signal into an audible voice signal and converting the audible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송신 또는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송수화기와 접속시키며 송신DTMF를 유입하여 상기 전화선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치네트워크;A speech network for connecting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or received with the handset and introducing a transmission DTMF to the telephone line; 송신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각각 2개의 자음이 할당된 7개의 보턴과 상기 보턴과 조합하여 자음을 선택하는 이중구조용 보턴 1개와 모음을 조합하기 위해 할당된 3개의 보턴을 갖는 숫자/문자키보턴;7 buttons each assigned two consonants to input the character to be transmitted, one double structure button to select the consonant in combination with the button, and a numeric / character key with three buttons assigned to combine the vowel ; 상기 숫자/문자키보턴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문자데이터와 수신된 DTMF의 문자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haracter data generat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number / character key button and the character data of the received DTMF;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DTMF 문자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TMF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상기 숫자/문자키보턴으로 입력된 문자데이터에 상응하는 DTMF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치네트워크로 출력하며, 상기 메모리부와 표시부를 제어하는 마이컴 제어부를 포함하고,It generates a DTMF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ata input by the number / character key button to output to the speech network, and includes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emory unit and the display unit, 상기 마이컴 제어부는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문자 통신 모드인가 전화 통화 모드인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를 제어 신호로서 출력하는 통신 모드 판별부;A communic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mmunication mode is a text communication mode or a telephone call, and outputting the determined result as a control signal;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숫자/문자 키보턴을 조작한 결과를 상기 문자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문자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표시부로 각각 출력하는 문자 데이타 생성부; 및A character data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a result of operating the number / character key button into the character data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character data to the memory and the display unit, respectively; And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문자 데이타에 상응하는 상기 DTMF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치 네트워크로 출력하는 DTMF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톤을 이용한 문자 통신 전화기.And a DTMF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DTMF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outputting the DTMF to the speech networ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주파수 톤 검출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수신 DTMF를 상기 문자 데이타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문자 데이타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메모리로 각각 출력하는 문자 데이타 변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컴 제어부를 갖는 주파수 톤을 이용한 문자통신 전화기.And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converting the received DTMF input from the frequency tone detector into the text data,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text data to the display section and the memory, respectively. Text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a frequency tone having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KR1020040077736A 2004-09-30 2004-09-30 Character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frequency-tone, having micom-controller KR100590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736A KR100590557B1 (en) 2004-09-30 2004-09-30 Character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frequency-tone, having micom-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736A KR100590557B1 (en) 2004-09-30 2004-09-30 Character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frequency-tone, having micom-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859A KR20060028859A (en) 2006-04-04
KR100590557B1 true KR100590557B1 (en) 2006-06-19

Family

ID=3713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736A KR100590557B1 (en) 2004-09-30 2004-09-30 Character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frequency-tone, having micom-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055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859A (en) 200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967B1 (en) Korean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number keys
KR100590557B1 (en) Character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frequency-tone, having micom-controller
WO200209811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275773B1 (en) Character communication telephone using frequency tone
KR199800142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angul code to a telephone dial
KR20090062632A (en) Mobile phone for displaying chinese tone
KR100253074B1 (en) Telephone hanving a function of automatic local code dialing by inputting local name
KR100243900B1 (en) Character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JP4750986B2 (en) Japanese input device, Japanese input method, and program
KR100226473B1 (en) Telephone memory
KR20080098153A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a code conversion function
JPH1117825A (en) Telephone system
JPH04253427A (en) Selective call radio receiver with display function
KR100598064B1 (en) Method for short message service using speed key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2933544B2 (en) Common input method for pager data
JPH05130177A (en) Telephone set for deaf-mute
KR20080060856A (en) Short dialing control method
JP2002082760A (en)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00015049A (en) Character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hanaman code
KR19980067883A (en) Hangul Character Input Device of Telephone Terminal
KR19990079296A (en) How to print numeric information during a call
KR20040090581A (en) The Apparatus and Method to Input/Output Braille
JP200523652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17924A (en) Keyboard having a capability of a telephone
KR19990080355A (en) Text communication system of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