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883B1 -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883B1
KR100588883B1 KR1020040031450A KR20040031450A KR100588883B1 KR 100588883 B1 KR100588883 B1 KR 100588883B1 KR 1020040031450 A KR1020040031450 A KR 1020040031450A KR 20040031450 A KR20040031450 A KR 20040031450A KR 100588883 B1 KR100588883 B1 KR 100588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i
module
ior
proces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6270A (ko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3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88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6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데이터 방송 컨텐트가 방송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패킷 식별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DSI 섹션이 도착하면 루트 디렉토리의 IOR을 해석을 한 후 최초의 다운로드 작업을 시작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DII 또는 DDB 섹션이 도착하면 해당 섹션에 대한 파싱 및 캐싱을 수행한 후, 해당 섹션의 부재로 인해 중단되었던 다운로드 작업이 있는지 확인하여 해당하는 다운로드 작업이 있을 경우 이를 계속 진행하고 해당하는 다운로드 작업이 없을 경우 다음 섹션의 처리를 대기하는 단계와, IOR이 추출되면 해당 IOR를 파싱하여 이전의 데이터 수신과정에 의해 캐싱된 정보를 조회한 후 그 조회 결과에 따라 해당 DII 및 해당 모듈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거나 추후 처리를 위한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해당 DII나 모듈을 필요할 때마다 매번 모니터링하지 않고 캐시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경우에 데이터의 수신 속도가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OPERATING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도,
도 2는 오브젝트 캐러셀 정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규격의 데이터 전송에서 오브젝트 캐러셀(Object Carousel)의 수신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디지털 방송은 고화질, 고음질 서비스뿐만 아니라 데이터 방송으로 인해 보다 나은 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데이터 방송은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의 전달 매체를 통하여 오디오/비디오뿐만 아니라 수신측에서 실행 및 동작시킬 수 있는 데이터를 방송하는 서비스이다. 이때 오디오나 비디오는 드라이버를 통하여 바로 화면에 보여지지만 데이터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메모리에 일단 저장된 다음, 그 후 사용자의 적절한 요청이 있을 때 화면에 보여지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방송신호의 수신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튜너 모듈(11)은 안테나를 통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디먹스(12)는 튜너 모듈(11)에서 수신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부터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디먹스(12)에서 분리된 비디오 신호는 디코더(14)를 거쳐 프레임 버퍼(15)로 전송되며, 오디오 신호는 디코더(14)를 거쳐 스피커(16)를 통해 송출되고, 데이터는 로컬 캐시(17)에 저장된다. 여기서 C/A부(13)는 사용자의 지불 상태에 대한 인증확인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지불 여부에 따라 방송신호의 표시를 결정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는 북미에서 지상파와 케이블TV의 콘텐츠 호환성을 고려해 미국의 DTV 표준화 기구(ATSC)가 정한 규격으로서, 데이터 전송은 오브젝트 캐러셀(Object Carousel) 방식을 이용한다. 오브젝트 캐러셀은 방송 서버에 있는 일련의 오브젝트(객체)들을 클라이언트로 반복적으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한다.
오브젝트 캐러셀내 오브젝트의 데이터나 속성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메시지내에 전송하게 되는데 이것을 BIOP(Broadcast Inter-ORB Protocol) 메시지라고 부르며, 이와 같은 BIOP 메시지에는 서비스 게이트웨이(Service Gateway), 디렉토리(Directory), 파일(File), 스트림 메시지(Stream Message) 등이 있다.
오브젝트 캐러셀내의 오브젝트(서비스 게이트웨이, 디렉토리, 파일 및 스트림 메시지 등)들은 기본적으로 디렉토리 구조를 가진다. 즉 각 오브젝트는 자신의 부모 노드에 의해서만 판별될 수 있다. 그리고, 부모 노드는 자신의 디렉토리에 속하는 오브젝트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오브젝트가 하나의 모듈이 되고, 하나의 모듈은 소정 단위마다 블록화되며, 각각의 블록은 헤더를 부여하여 DDB(Download Data Block)라고 불리는 형식으로 변환된다. 아울러 수신측에서 모듈을 수신할 때 필요한 모듈의 크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DII(Download Info Indication)라고 불리는 제어 메시지와 수신측에서 데이터 서비스의 루트 디렉토리의 소재를 알리기 위한 정보를 가진 DSI(Download Server Initiate)라고 불리는 제어 메시지가 작성된다. 즉 DSI 및 DII는 수신측에서 수신 데이터로부터 모듈을 취득할 때 필요하게 되는 정보로서, DSI는 주로 캐러셀(모듈)의 식별자, 캐러셀 전체에 관련되는 정보(캐러셀이 1회전하는 시간, 캐러셀 회전의 타임아웃치) 등의 정보와 함께 데이터 서비스의 루트 디렉토리(서비스 게이트웨이)의 소재를 알기 위한 정보도 가지며, DII는 캐러셀에 포함되는 모듈에 대응하는 정보, 즉 모듈의 아이디, 트랜스포트 상에서의 위치(association_tag), 사이즈, 버전, 그 모듈의 타임아웃치 등을 갖는다.
이들 DDB, DII, DSI의 3종류의 메시지는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송출되어,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캐러셀이라고 불리는 환상 구조로 전송되고, 수신측에서 아무 때나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각 오브젝트들은 상호 오브젝트 레퍼런스(Interoperable Object Reference; IOR)를 통해 외부(서버)에서 얻어 질 수 있다. 오브젝트 캐러셀내의 오브젝트들은 디렉토리를 순회하면서 자신보다 아래의 오브젝트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디렉토리 BIOP 메시지는 자신의 디렉토리에 속하는 오브젝트의 IOR 리스트를 가지고 있다. IOR에는 오브젝트 자신이 속한 모듈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므로 우선 모듈을 구분하고 IOR을 만드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모든 오브젝트의 BIOP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IOR에는 해당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모듈에 대한 식별정보(module_id)와 그 모듈을 포함하는 DII의 트랜잭선 식별정보(transaction_id) 및 해당 DII를 찾을 수 있는 엘리멘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의 패킷 식별정보(packet_id)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해당 DII의 패킷 식별정보에서 해당 트랜잭션 식별정보를 갖는 섹션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이 섹션을 받은 후 분석하여 해당 모듈 식별정보에 대한 패킷 식별정보를 찾아 그 패킷 식별정보를 모니터링하여야 결국 해당 모듈을 받을 수 있다. 이 모듈안에는 IOR에서 링크하고자 하는 오브젝트가 들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오브젝트 캐러셀을 진행할 경우에 오브젝트가 디렉토리일 때에는 이와 동일한 과정, 즉 모니터링, 처리, 모니터링, 처리의 과정이 매 서브 디렉토리마다 필요하게 되며, 이로서 장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DSI, DII, DDB를 포함하는 모든 스트림에 대하여 섹션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도착하는 DSI, DII DDB를 모두 캐싱하면서, 새로 생성된 캐시들을 가능한 경우 그 직후에 이용하여, 중단되었던 다운로드 과정(루트디렉토리 오브젝트 및 디렉토리들을 구성하며 오브젝트를 저장하는 과정)을 계속 진행해 가도록 하여, 데이터의 수신 속도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은, DSI, DII, DDB의 메시지가 오브젝트 캐러셀 방식에 의해 주기적으로 반복 송출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으로서,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데이터 방송 컨텐트가 방송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패킷 식별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DSI 섹션이 도착하면 루트 디렉토리의 IOR을 해석을 한 후 최초의 다운로드 작업을 시작하는 단계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DII 또는 DDB 섹션이 도착하면 해당 섹션에 대한 파싱 및 캐싱을 수행한 후, 해당 섹션의 부재로 인해 중단되었던 다운로드 작업이 있는지 확인하여 해당하는 다운로드 작업이 있을 경우 이를 계속 진행하고 해당하는 다운로드 작업이 없을 경우 다음 섹션의 처리를 대기하는 단계와, IOR이 추출되면 해당 IOR를 파싱하여 이전의 데이터 수신과정에 의해 캐싱된 정보를 조회한 후 그 조회 결과에 따라 해당 DII 및 해당 모듈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거나 추후 처리를 위한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은 도 3a 및 도 3b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데이터 방송 컨텐트가 방송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패킷 식별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01∼S303)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DSI 섹션이 도착하면 루트 디렉토리의 IOR을 해석을 한 후 최초의 다운로드 작업을 시작하는 단계(S304∼S305)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DII 또는 DDB 섹션이 도착하면 해당 섹션에 대한 파싱 및 캐싱을 수행한 후, 해당 섹션의 부재로 인해 중단되었던 다운로드 작업이 있는지 확인한 후 해당하는 다운로드 작업이 있을 경우 이를 계속 진행하고 해당하는 다운로드 작업이 없을 경우 다음 섹션의 처리를 대기하는 단계(S306, S331∼S333)(S307, S341∼S343)와, IOR이 추출되면 해당 IOR를 파싱하여 해당 모듈의 각종 식별정보를 알아내는 단계(S311)와, 추출된 DII가 이전의 데이터 수신과정에 의해 캐싱되어 있는 가를 조회하여 해당 DII가 존재하면 해당 정보를 이용해 해당 DII를 처리하거나 해당 DII가 존재하지 않으면 추후 처리를 위한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S312∼S315)와, 해당 DII의 모듈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의 데이터 수신과정에 의해 해당 모듈이 캐싱되어 있는가를 조회하여 해당 모듈이 존재하면 모듈에서 오브젝트 키를 이용하여 해당 오브젝트를 추출하거나 해당 모듈이 존재하지 않으면 추후 처리를 위한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S316∼S319)와, 추출된 BIOP 오브젝트를 열고 해석하여 파일 등의 오브젝트일 경우에는 모듈 식별정보와 압축여부 등의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모듈을 처리 하고 다음 섹션의 처리를 대기하거나 디렉토리일 경우에는 파싱한 후 해당 링크들의 이름 관련한 처리를 하고 IOR을 얻어서 각각의 IOR에 대한 처리를 하는 단계(S320∼S32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수신 과정을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추출한다(S301∼S302).
여기서, PMT를 참조하여 데이터 방송 컨텐트가 방송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패킷 식별정보 및 관련 기술자(Descriptor)를 얻을 수 있으며, 해당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패킷 식별정보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S303).
다음으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DSI, DII, DDB 섹션이 도착하면서 핸들러가 호출된다. 핸들러에서는 도착한 섹션을 저장하고, DSI가 도착할 경우 루트 디렉토리의 IOR을 해석을 한 후 최초의 다운로드 작업이 시작된다(S304∼S305).
그리고, DII 또는 DDB가 도착한 경우에는, 해당 섹션의 부재로 인해 중단되었던 다운로드 작업이 있는지 확인한 후, 해당 다운로드 작업이 있을 경우 이를 계속 진행하고, 없을 경우에는 다음 섹션의 처리를 대기한다. 즉 DII가 도착한 경우에는 DII 파싱 및 DII 캐시에 저장한 후 DII 추후 처리 플래그를 검색하여 이후 설 명될 단계 S314에서 생성된 플래그가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트랜잭션 식별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이후 설명될 단계 S315를 수행하고, 해당 트랜잭션 식별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단계 S304를 수행하여 다음 섹션을 처리한다(S306, S331∼S333). DDB가 도착한 경우에는 DDB 파싱 및 모듈 캐시에 저장한 후 DDB 추후 처리 플래그를 검색하여 이후 설명될 단계 S318에서 생성된 플래그가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모듈 식별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이후 설명될 단계 S319를 수행하고, 해당 트랜잭션 식별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단계 S304를 수행하여 다음 섹션을 처리한다(S307, S341∼S343).
단계 S305에서 IOR이 추출되면 해당 IOR를 파싱하여 해당 모듈의 캐러셀 식별정보, 해당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키, 해당 모듈의 식별자, 캐러셀 식별정보, 모듈에 대한 DII의 패킷 식별정보, 트랜잭션 식별정보를 알아낸다(S311).
그리고, 로컬 캐시(DII 캐시)에 이전의 데이터 수신과정에 의해 해당 DII가 캐싱되어 있는 가를 조회하며(S312), 로컬 캐시에 해당 DII가 존재하면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DII를 처리하고(S313, S315), 로컬 캐시에 해당 DII가 존재하지 않으면 추후 처리, 즉 나중에 해당 DII를 수신하였을 경우의 처리를 위한 플래그를 설정한다(S314). 이때 해당 DII의 처리시에는 로컬 캐시를 조회하여 해당 트랜잭션 식별정보를 갖는 DII를 찾은 후, 해당 모듈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식별정보와 관련 기술자 정보(모듈 압축여부 등)를 얻는다.
이후, 로컬 캐시(모듈 캐시)에 이전의 데이터 수신과정에 의해 해당 모듈이 캐싱되어 있는가를 조회하며(S316), 로컬 캐시에 해당 모듈이 존재하면 모듈에서 오브젝트 키를 이용하여 해당 오브젝트를 추출하고(S317, S319), 로컬 캐시에 해당 모듈이 존재하지 않으면 추후 처리, 즉 나중에 해당 모듈을 수신하였을 경우의 처리를 위한 플래그를 설정한다(S318).
그리고, 추출된 BIOP 오브젝트를 열고 해석하여 파일 등의 오브젝트일 경우에는 모듈 식별정보와 압축여부 등의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모듈을 처리한 후 단계 S304를 수행하여 다음 섹션의 처리를 대기하며(S320∼S322), 디렉토리일 경우에는 파싱한 후 해당 링크들의 이름 관련한 처리를 하고, IOR을 얻어서 각각의 IOR에 대한 처리를 한 후 단계 S311을 재수행 한다(S321, S311).
앞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II 및 모듈 블록들이 포함되어 있는 모든 스트림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한 후 모두 캐싱하여 밀려있던 IOR 처리 과정을 틈틈이 수행함으로써 해당 DII나 모듈을 필요할 때마다 매번 모니터링하지 않고 캐시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경우에 데이터의 수신 속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DSI, DII, DDB의 메시지가 오브젝트 캐러셀 방식에 의해 주기적으로 반복 송출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으로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데이터 방송 컨텐트가 방송되는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패킷 식별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DSI 섹션이 도착하면 루트 디렉토리의 IOR을 해석을 한 후 최초의 다운로드 작업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DII 또는 DDB 섹션이 도착하면 해당 섹션에 대한 파싱 및 캐싱을 수행한 후, 해당 섹션의 부재로 인해 중단되었던 다운로드 작업이 있는지 확인하여 해당하는 상기 다운로드 작업이 있을 경우 이를 계속 진행하고, 해당하는 상기 다운로드 작업이 없을 경우 다음 섹션의 처리를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IOR이 추출되면 해당 IOR를 파싱하여 이전의 데이터 수신과정에 의해 캐싱된 정보를 조회한 후 그 조회 결과에 따라 해당 DII 및 해당 모듈을 순차적으로 처리하거나 추후 처리를 위한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한 후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PMT를 참조하여 데이터 방송 컨텐트가 방송되는 상기 엘리멘 터리 스트림의 패킷 식별정보 및 관련 기술자를 얻고, 해당 엘리멘터리 스트림의 패킷 식별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R 추출 및 처리단계는, 상기 IOR이 추출되면 해당 IOR를 파싱하여 해당 모듈의 관련 정보를 알아내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DII가 이전의 데이터 수신과정에 의해 캐싱되어 있는 가를 조회하여 해당 DII가 존재하면 해당 정보를 이용해 상기 해당 DII를 처리하거나 상기 해당 DII가 존재하지 않으면 추후 처리를 위한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DII의 모듈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의 데이터 수신과정에 의해 해당 모듈이 캐싱되어 있는가를 조회하여 상기 해당 모듈이 존재하면 모듈에서 해당 오브젝트를 추출하거나 해당 모듈이 존재하지 않으면 추후 처리를 위한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BIOP 오브젝트를 열고 해석하여 오브젝트일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모듈을 처리하거나 디렉토리일 경우에는 파싱한 후 상기 IOR을 얻어서 각각의 상기 IOR에 대한 처리를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DII 섹션이 도착한 경우에는 DII 파싱 및 DII 캐시에 저장한 후 DII 추후 처리 플래그를 검색하여 상기 추후 처리를 위한 DII 플래그가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트랜잭션 식별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해당 DII를 처리하고 해당 트랜잭션 식별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다음 섹션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DDB 섹션이 도착한 경우에는 DDB 파싱 및 모듈 캐시에 저장한 후 DDB 추후 처리 플래그를 검색하여 상기 추후 처리를 위한 DDB 플래그가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모듈 식별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해당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해당 트랜잭션 식별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다음 섹션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KR1020040031450A 2004-05-04 2004-05-04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KR100588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450A KR100588883B1 (ko) 2004-05-04 2004-05-04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450A KR100588883B1 (ko) 2004-05-04 2004-05-04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270A KR20050106270A (ko) 2005-11-09
KR100588883B1 true KR100588883B1 (ko) 2006-06-12

Family

ID=3728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450A KR100588883B1 (ko) 2004-05-04 2004-05-04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500B1 (ko) * 2006-05-17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41317B1 (ko) 2006-07-14 200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젼의 시스템 구동과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285668B1 (ko) * 2006-11-27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Ota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방법 및 이를 위한방송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270A (ko) 2005-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6593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37580B1 (ko) 전송 방법, 전송 시스템 및 수신 장치
JP6082946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9386344B2 (en) Method of transmitting digital services over a network and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EP277570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70251277A1 (en) Method of processing non-real time service and broadcast receiver
US20110055887A1 (en) Tunneling and Signaling of Content in Legacy Formats
US7590111B1 (en) Transmission of a multiplex signal comprising a carousel having a plurality of modules
US8302131B2 (en) Method of processing non-real time service and broadcast receiver
CN1750637A (zh) 独立于传输标准的广播元数据格式
US78409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func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KR20170086133A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US200800469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ransmission of esg data in dvb-h system
KR100810359B1 (ko) Dvb―h 시스템에서 통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05109867A1 (fr) Procede d'extraction de donnees d'informations de service
US20180205473A1 (en)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0700244B1 (ko) 파일 전송 방식을 통한 교통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58888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운용방법
EP1430397B1 (en) Control of an interactive application in a data stream
KR101367102B1 (ko) 방송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하이브리드 tv
US200600023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searching broadcasting stream
KR101358501B1 (ko) 데이터 방송 수신기 및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게더링방법
US200901934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in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KR100827156B1 (ko) 방송 화면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dvb―h 시스템
US91728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at received broadcasting signals from different input ports are the same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