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755B1 -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755B1
KR100588755B1 KR1020040069711A KR20040069711A KR100588755B1 KR 100588755 B1 KR100588755 B1 KR 100588755B1 KR 1020040069711 A KR1020040069711 A KR 1020040069711A KR 20040069711 A KR20040069711 A KR 20040069711A KR 100588755 B1 KR100588755 B1 KR 100588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rame data
time division
organic light
active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972A (ko
Inventor
임대호
임재형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7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분의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에서 동영상 데이터가 들어오는 도중에도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손상 없이 AMOLED 패널에 공급함으로써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시분할 제어용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서 프레임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오드 프레임 데이터로 구분하여 3개 저장부 중 2개 저장부에 데이터 저장 주파수로 각각 동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븐 프레임 데이터 혹은 오드 프레임 데이터가 데이터 출력 주파수로 상기 2개 저장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출력 주파수는 상기 데이터 저장 주파수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AMOLED, 패널, 시분할제어, 저장순서

Description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및 방법{DATA PROCESSING CIRCUIT FOR DRIVING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PANEL IN A FASHION OF TIME DIVISION CONTRO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AMOLED 구조도,
도 2는 2 필드 시분할 제어를 위한 AMOLED 패널 구조도,
도 3은 도 1의 AMOLED 패널 구조와 도 2의 AMOLED 패널 구조에서의 패널의 크기를 비교한 도면,
도 4는 시분할 제어되는 AMOLED 패널의 스위치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인 단위 데이터 표출 개략도,
도 6은 도 5의 방식으로 1 프레임 데이터가 패널에 표출되는 과정,
도 7은 2 필드 시분할 제어 방식에 따른 프레임 형성 과정,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가 메모리를 이용한 연속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과정,
도 9는 도 8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 방식을 적용한 전체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 및 출력 순서의 적절한 제어를 통한 연속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과정,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제어 방식을 적용한 전체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911: 데이터 선택부 913: 저장영역 선택부
915: 제1 저장부 917: 제2 저장부
919: 제3 저장부 921: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
923: 제1 래치 925: 제2 래치
927: 패널 929: 그레이 스케일 전압 발생기
931: 어드레스 카운터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 Matrix Organic LED) 패널 구동용 집적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현재 텔레비젼에서 자동차 계기판, 랩탑 컴퓨터 또는 손목 시계에 이르기까지 생활 모든 면에 널리 퍼져 있다. 현재, 음극선관(CRT)은 10 내지 40 인치의 대각선 디스플레이 크기 내에 디스플레이 응용에 지배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CRT는 무게, 엄격성의 결여, 비용 및 높은 구동 전압에 대한 요구를 포함한 많은 문제점을 갖는다.
최근, 수동-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능동-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AMLCD)가 랩탑 컴퓨터에서의 사용으로 인해 중간 정도로 우세하게 디스플레이 응용에 사용된다. 작은 화소 크기와 큰 투사형 디스플레이를 위해, 상기 AMLCD 는 점차적으로 중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AMLCD의 주요 단점은 실제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무게를 증가시키는 배면광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배면 조명이 오프 상태에서도 화소에 계속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단결정 실리콘 기술에 기초한 디포머블 미러 디스플레이(Deformable-Mirror Display : DMD)가 다른 접근방법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에 있어서, 미세-기계 가공(micro-machined) 미러 구조물은 논리1 또는 논리0이 해당 셀 내에 기입되는지의 여부에 의존하여 반사 또는 분사 모드로 방향이 설정된다. DMD 디스플레이는 반사 모드에서 동작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광학 기술은 매우 복잡하며, 투과형(transmissive) 또는 방사형(emissive) 디스플레이 만큼 조밀하거나 또는 효율적이지 않다. 부가적으로 유사하게 AMLCD, DMD 디스플레이는 외부 광원을 요구하기 때문에, 자기-방사형 디스플레이보다 다소 효율적이다.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도 역시 많은 응용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FED는 CRT와 관련된 많은 문제점, 특히 100볼트 이상의 음극 전압을 요구하고, 박막 트랜지스터(FET)가 낮은 누설 전류를 갖는다는 해당 요구들을 가진다. FED는 낮은 전압 인광 물질의 감소된 효율 및 높은 전압의 제어 전압 사용에 기인한 상대적으로 낮은 전반적인 발광 효율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의 다른 타입, 즉 능동 매트릭스 발광 다이오드(AMOLED) 디스플레이는 발광 물질을 통해 전류를 전달함으로써 발광한다. 즉,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OLED 양단의 전압 크기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소자이고,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ED) 구동은 OLED를 구동하는 PMOS의 게이트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OLED 양단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그런데, 도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AMOLED 구조에서는 각 RGB OLED 서브픽셀마다 1개씩의 구동 트랜지스터 특성 보상회로가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OLED 패널의 개구율이 커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고해상도의 패널 구조를 구현하기가 어렵다.
이와 같이 해상도가 낮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2 필드 시분할 제어(Time Division Control)를 위한 AMOLED 패널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시분할 제어 방식의 AMOLED는 한 개의 구동트랜지스터 특성 보상회로를 이용해서 여러 개의 OLED 셀을 제어하므로 OLED 패널의 개구율이 좋아져서 전체적으로 고해상도의 패널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는, 2개의 서브픽셀이 1개의 구동트랜지스터 특성 보상회로를 공유한다.
그러나, 이 경우 2개의 데이터가 입력되므로 도 1과 같은 AMOLED 구조에 적용되는 기존의 구동 IC는 사용할 수 없고, 시분할 제어 방식에 적합한 새로운 구동 IC가 제시되어야 한다.
도 3은 도 1의 AMOLED 패널 구조와 도 2의 AMOLED 패널 구조에서의 패널의 크기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시분할 제어되는 AMOLED 패널의 스위칭 양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S1 내지 SN은 구동 IC에서 패널로 공급되는 출력이다.
도 5는 도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인 단위 데이터 표출 개략도이다.
입력되는 RGB 데이터가 구동 IC(510) 내에서 감마 보정 등을 거쳐 AMOLED 패널(520)에 라인 단위로 표출되며, 이 경우 입력 프레임 주파수와 출력 프레임 주파수가 같다.
도 6은 도 5의 방식으로 1 프레임 데이터가 패널에 표출되는 과정이다.
RGB 데이터가 라인단위로 AMOLED 패널(520)에 표출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즉, 기존의 구동 IC(510)는 들어오는 DATA를 구동 IC 내 메모리에 라인 단위로 저장하고, 라인 단위로 독출하여 AMOLED 패널(520)에 공급한다.
도 7은 2 필드 시분할 제어 방식에 따른 프레임 형성 과정이다.
제안되고 있는 2 필드 시분할 제어 방식에서는 입력되는 1 화면 상당의 프레임 데이터(이하, '1 프레임 데이터'라 함)를 둘로 분할하여 각각의 1/2 프레임 데이터를 AMOLED 패널로 출력한다. 즉, 연속적인 동영상 데이터가 구동 IC로 입력될 경우 입력되는 1 프레임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에 저장한 후 저장된 1 프레임 데이터를 다시 이븐 필드(even field)와 오드 필드(odd field)로 나누어 출력한다. 따 라서, 출력 데이터의 프레임 주파수는 입력 데이터의 프레임 주파수의 2배가 되어야 한다. 즉, 1 라인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시간에 2 라인의 데이터가 동시에 패널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구동 IC의 라인 단위 구동 방식으로는 구동 IC 내부의 메모리에서 이븐 필드 데이터나 오드 필드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는 경우 출력되지 않는 내부 메모리의 저장 영역으로 입력 데이터가 들어오게 되어 메모리 내에서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분의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에서 동영상 데이터가 들어오는 도중에도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손상 없이 AMOLED 패널에 공급함으로써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순서와 출력되는 데이터의 순서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에서 동영상 데이터가 들어오는 도중에도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손상 없이 AMOLED 패널에 공급함으로써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시분할 제어용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서 프레임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오드 프레임 데이터로 구분하여 3개 저장부 중 2개 저장부에 데이터 저장 주파수로 각각 동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븐 프레임 데이터 혹은 오드 프레임 데이터가 데이터 출력 주파수로 상기 2개 저장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출력 주파수는 상기 데이터 저장 주파수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시분할 제어용 데이터 처리 방법은,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서 프레임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제1 프레임 데이터를 제1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제1 오드 프레임 데이터로 구분하여 제1 및 제2 저장부에 동시에 데이터 저장 주파수로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프레임 중 전반 프레임 동안 제1 이븐 프레임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주파수로 상기 제1 저장부로부터 출력하고, 상기 제1 저장부의 빈 영역에 제2 이븐 프레임 데이터를, 제3 저장부에 제2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되는 데이터 출력 주파수는 상기 데이터 저장 주파수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시분할 제어용 데이터 처리 방법은, 제2 프레임 중 후반 프레임 동안 제1 오드 프레임 데이터가 상기 제2 저장부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제2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제2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3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제3 프레임 중 전반 프레임 동안 상기 제2 이븐 프레임 데이터가 상기 제1 저장부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제1 저장부의 빈 영역에 제3 이븐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제2 저장부에 제3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3 프레임 중 후반 프레임 동안 상기 제2 오드 프레임 데이터가 상기 제3 저장부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제3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제3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제3 발명에 따른 시분할 제어용 데이터 처리 회로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라인 및 도트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신호와 제1 내지 제3 선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어드레스 카운터; 입력되는 적녹청 데이터를 이븐 필드 데이터와 오드 필드 데이터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선택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이븐 필드 데이터와 오드 필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선택부; 상기 데이터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이븐 필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부; 상기 제2 선택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오드 필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저장영역 선택부; 및 상기 저장영역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오드 필드 데이터를 교번하여 저장하기 위한 제2 및 제3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저장부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제어되어 해당 어드레스를 위해 저장된 적녹청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제3 발명에 따른 시분할 제어용 데이터 처리 회로는, 상기 제3 선택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저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 상기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다가 순서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제1 래치; 및 상기 제1 래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로 출력하기 위한 제2 래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제4 발명에 따른 시분할 제어용 데이터 처리 방법은,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오드 프레임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각각 복수의 서브 이븐 데이터와 서브 오드 데이터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이븐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서브 오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직후 프레임 데이터 내 복수의 서브 이븐 데이터 중 일부와 복수의 서브 오드 데이터 중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5 발명에 따른 시분할 제어용 데이터 처리 방법은,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1_1 내지 1_4 프레임 동안 제1_1 내지 1_4 이븐 프레임 데이터 - 상기 제1_1 내지 1_4 이븐 프레임 데이터는 제1 이븐 프레임 데이터를 분할할 것임 - 를 제1 저장부에, 제1_1 내지 1_4 오드 프레임 데이터 - 상기 제1_1 내지 1_4 오드 프레임 데이터는 제1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분할한 것임 - 를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제2_1 프레임 동안 제1_1 및 제1_2 이븐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제1 저장부 내 제1 및 제2 서브 블럭으로부터 출력하고, 제2_1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제2_1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블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6 발명에 따른 시분할 제어용 데이터 처리 회로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라인 및 도트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신호와 제1 및 제2 선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어드레스 카운터; 입력되는 적녹청 데이터를 이븐 필드 데이터와 오드 필드 데이터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선택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이븐 필드 데이터와 오드 필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선택부; 상기 이븐 필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부; 및 상기 오드 필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제어되어 해당 어드레스를 위해 저장된 적녹청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의 제6 발명에 따른 시분할 제어용 데이터 처리 회로는, 상기 제2 선택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 상기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다가 순서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제1 래치; 및 상기 제1 래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 기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로 출력하기 위한 제2 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는 하나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는 각기 다른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추가 메모리를 이용한 연속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과정을 도시한다.
도 8(A)는 제1 프레임 데이터가 제1 및 제2 메모리(M1, M2)에 저장되고 있음 을 개시하고 있다. 이 때에는 제1 프레임 데이터를 형성하는 제1 이븐 프레임 데이터(ev1)와 제1 오드 프레임 데이터(od1)가 제1 및 제2 메모리(M1, M2)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출력단으로 출력되지 않는다.
도 8(B)는 제2 프레임 중 전반 프레임 동안 제1 이븐 프레임 데이터(ev1)가 제1 메모리(M1)로부터 출력되고 있음을 도시한다. 아울러, 제1 메모리(M1)의 빈 영역에 제2 프레임 데이터의 제2 이븐 프레임 데이터(ev2)가 저장되고 있다. 이 때에는 제1 오드 프레임 데이터(od1)는 제2 메모리(M2)로부터 아직 출력되지 않고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입력되는 제2 프레임 데이터의 제2 오드 프레임 데이터(od2)는 여분의 메모리인 제3 메모리(M3)에 저장된다.
도 8(C)는 제2 프레임 중 후반 프레임 동안 제1 오드 프레임 데이터(od1)가 제2 메모리(M2)로부터 출력되고 있음을 도시한다. 이 때에는, 도 8(B)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이븐 프레임 데이터(ev2)와 제2 오드 프레임 데이터(od2)가 제1 및 제3 메모리(M1, M3)에 계속해서 저장된다.
도 8(D)는 제3 프레임 중 전반 프레임 동안 제2 이븐 프레임 데이터(ev2)가 제1 메모리(M1)로부터 출력되고 있음을 도시한다. 아울러, 제1 메모리(M1)의 빈 영역에 제3 프레임 데이터의 제3 이븐 프레임 데이터(ev3)가 저장된다. 이 때에는 제2 오드 프레임 데이터(od2)는 제3 메모리(M3)로부터 아직 출력되지 않고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입력되는 제3 프레임 데이터의 데이터 중 제3 오드 프레임 데이터(od3)는 제2 메모리(M2)에 저장된다.
도 8(E)는 제3 프레임 중 후반 프레임 동안 제2 오드 프레임 데이터(od2)가 제3 메모리(M3)로부터 출력되고 있음을 도시한다. 이 때에는, 도 8(D)에서와 마찬가지로, 제3 이븐 프레임 데이터(ev3)와 제3 오드 프레임 데이터(od3)가 제1 및 제2 메모리(M1, M2)에 계속해서 저장된다.
프레임 데이터의 입출력을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하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RGB동영상 데이터를 2 필드 시분할 제어 구조를 적용한 AMOLED 패널에 표출하더라도 내부 메모리에서 데이터의 손실 없이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프레임 데이터 처리 방식을 적용한 전체 블럭도이다.
데이터 선택부(911, ev_od_sel)에 각각 n 비트의 RGB 데이터가 입력된다. 여기서, 각각 n비트로 된 RGB 데이터가 AMOLED 패널(927)의 1 도트(dot)를 형성한다. 데이터 선택부(911)는 입력되는 RGB 데이터를 이븐 필드 데이터와 오드 필드 데이터로 구분하고, 어드레스 카운터(931)로부터 출력되는 제1 선택신호(sel1)에 제어되어 이븐 필드 데이터를 제1 저장부(915, memory1)로 출력하며, 오드 필드 데이터를 저장영역 선택부(913)로 출력한다. 제1 저장부(915)는 1/2 프레임(M*(L/2)*nbit)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영역 선택부(913, memory2_memory3_sel)는 제2 선택신호(sel2)에 따라 오드 필드 데이터를 제2 저장부(917, memory2) 혹은 제3 저장부(919, memory3)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2 저장부(917) 및 제3 저장부(919) 또한, 각각 1/2 프레임(M*(L/2)*nbit)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당연하다.
각 메모리는 어드레스 카운터(931)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라인 및 도트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신호(address)에 제어받아 해당 어드레스를 위해 저장된 RGB 데이터를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921)로 출력한다.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921)는 어드레스 카운터(931)로부터 출력되는 제3 선택신호(sel3)에 제어되어 제1 내지 제3 저장부(915, 917, 919)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제1 래치(923)로 출력한다.
제1 래치(923)는 1/2 라인의 데이터((L/2)*nbit)를 일시 저장하다가 순서에 따라 제2 래치(925)로 출력한다.
제2 래치(925)는 1/2 라인의 데이터((L/2)*nbit)를 그레이 스케일 전압 발생기(929)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2 필드 시분할 제어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의 AMOLED 패널(927)에 공급한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 및 출력 순서의 적절한 제어를 통한 연속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 과정을 도시한다.
도 10(A)는 제1_1 내지 1_4 프레임 동안 제1_1 내지 1_4 이븐 프레임 데이터(ev1_1 ~ ev1_4)가 제1 저장 영역(M1)에, 제1_1 내지 1_4 오드 프레임 데이터(od1_1 ~ od1_4)가 제2 저장 영역(M2)에 저장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때에는 제1_1 내지 1_4 이븐 프레임 데이터(ev1_1 ~ ev1_4) 혹은 제1_1 내지 1_4 오드 프레임 데이터(od1_1 ~ od1_4)가 각 저장 영역을 완전히 채우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 및 제2 저장 영역(M1, M2)으로부터 프레임 데이터의 출력은 없다.
여기서, 본 발명이 여기에 기재되는 관점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저장 영역(M1)과 제2 저장 영역(M2)은 하나의 메모리를 내부적으로 제1 및 제2 저장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이 여기에 기재되는 관점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저장 영역(M1)과 제2 저장 영역(M2)가 각기 다른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저장 영역은 다시
Figure 112004039701660-pat00001
개의 서브 블럭으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n=2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B)는 제2_1 프레임 동안 제1_1 및 제1_2 이븐 프레임 데이터(ev1_1, ev1_2)가 제1 저장 영역(M1) 내 제1 및 제2 서브 블럭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제1_1 및 제1_2 이븐 프레임 데이터(ev1_1, ev1_2)가 제1 저장 영역으로부터 출력된 후 빈 저장 공간(제1 저장 영역 내 제1 및 제2 서브 블럭)에는 제2_1 이븐 프레임 데이터(ev2_1)와 제2_1 오드 프레임 데이터(od2_1)가 저장된다.
도 10(C)는 제2_2 프레임 동안 제1_3 및 제1_4 이븐 프레임 데이터(ev1_3, ev1_4)가 제1 저장 영역(M1) 내 제3 및 제4 서브 블럭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제1_3 및 제1_4 이븐 프레임 데이터(ev1_3, ev1_4)가 제1 저장 영역으로부터 출력된 후 빈 저장 공간(제1 저장 영역 내 제3 및 제4 서브 블럭)에는 제2_2 이븐 프레임 데이터(ev2_2)와 제2_2 오드 프레임 데이터(od2_2)가 저장된다.
도 10(D)는 제2_3 프레임 동안 제1_1 및 제1_2 오드 프레임 데이터(od1_1, od1_2)가 제2 저장 영역(M2) 내 제1 및 제2 서브 블럭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개시 하고 있다. 제1_1 및 제1_2 오드 프레임 데이터(od1_1, od1_2)가 제2 저장 영역으로부터 출력된 후 빈 저장 공간(제2 저장 영역 내 제1 및 제2 서브 블럭)에는 제2_3 이븐 프레임 데이터(ev2_3)와 제2_3 오드 프레임 데이터(od2_3)가 저장된다.
도 10(E)는 제2-4 프레임 동안 제1_3 및 제1_4 오드 프레임 데이터(od1_3, od1_4)가 제2 저장 영역(M2) 내 제3 및 제4 서브 블럭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제1_3 및 제1_4 오드 프레임 데이터(od1_3, od1_4)가 제2 저장 영역으로부터 출력된 후 빈 저장 공간(제2 저장 영역 내 제3 및 제4 서브 블럭)에는 제2_4 이븐 프레임 데이터(ev2_4)와 제2_4 오드 프레임 데이터(od2_4)가 저장된다.
도 10(F) 내지 도 10(M)은 상기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메모리 입,출력에 대한 스위칭을 반복하면서 프레임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과정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메모리는, n=2일 경우, 제2 프레임에 대해서는 2 서브 프레임마다 1회, 제3 프레임에 대해서는 1 서브 프레임마다 1회, 그리고 제4 프레임에서는 1/2 서브 프레임마다 1회의 스위칭을 하게 된다. 이 때, 도 10(M)에서의 저장 순서는 도 10(A)의 그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르면 메모리에 저장 및 출력되는 데이터의 순서를 적절히 제어하여 여분의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데이터의 손실 없이 연속되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각 메모리 내 메모리블럭이 4개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기재되는 관점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메모리의 용량이 큰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메모리를 제어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제어 방식을 적용한 전체 블럭도이다.
RGB 데이터 선택부(1110, ev_od_sel)에 각각 n비트의 RGB 데이터가 입력된다. 여기서, 각각 n비트로 된 RGB 데이터는 AMOLED 패널(1060)의 1 도트(dot)를 형성한다. 데이터 선택부(1010)는 어드레스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제1 선택신호(sel1)에 제어되어 n비트 RGB데이터를 이븐 필드 데이터와 오드 필드 데이터로 구분한다.
데이터 선택부(1110)로부터 출력되는 이븐 필드 데이터는 제1 저장부(1121, memory1)에 입력되고, 오드 필드 데이터는 제2 저장부(1123, memory2)로 저장된다.
제1 및 제2 저장부(1021, 1023)에 저장된 데이터는 어드레스 카운터(1070)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라인 및 도트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신호(address)에 제어되어 해당 어드레스를 위해 저장된 RGB 데이터를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1130)로 출력한다.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1130)는 인가되는 제2 선택신호(sel2)에 제어되어 제1 혹은 제2 저장부(1121, 123)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제1 래치(1140)로 출력한다.
제1 래치(1140)는 1/2 라인의 데이터((L/2)*nbit)를 일시 저장하다가 순서에 따라 제2 래치(1150)로 출력한다.
제2 래치(1150)는 1/2 라인의 데이터((L/2)*nbit)를 그레이 스케일 전압 발생기(118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2 필드 시분할 제어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의 AMOLED 패널(1160)에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외부에서 동영상 데이터가 들어오는 도중에도 시분할 제어 구조를 갖는 AMOLED 패널에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손상 없이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서 프레임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오드 프레임 데이터로 구분하여 3개 저장부 중 2개 저장부에 데이터 저장 주파수로 각각 동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븐 프레임 데이터 혹은 오드 프레임 데이터가 데이터 출력 주파수로 상기 2개 저장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출력 주파수는 상기 데이터 저장 주파수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2.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서 프레임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제1 프레임 데이터를 제1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제1 오드 프레임 데이터로 구분하여 제1 및 제2 저장부에 동시에 데이터 저장 주파수로 저장하는 단계; 및
    제2 프레임 중 전반 프레임 동안 제1 이븐 프레임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 주 파수로 상기 제1 저장부로부터 출력하고, 상기 제1 저장부의 빈 영역에 제2 이븐 프레임 데이터를, 제3 저장부에 제2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되는 데이터 출력 주파수는 상기 데이터 저장 주파수의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2 프레임 중 후반 프레임 동안 제1 오드 프레임 데이터가 상기 제2 저장부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제2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제2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3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제3 프레임 중 전반 프레임 동안 상기 제2 이븐 프레임 데이터가 상기 제1 저장부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제1 저장부의 빈 영역에 제3 이븐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제2 저장부에 제3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3 프레임 중 후반 프레임 동안 상기 제2 오드 프레임 데이터가 상기 제3 저장부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제3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제3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4.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라인 및 도트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신호와 제1 내지 제3 선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어드레스 카운터;
    입력되는 적녹청 데이터를 이븐 필드 데이터와 오드 필드 데이터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선택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이븐 필드 데이터와 오드 필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선택부;
    상기 데이터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이븐 필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부;
    상기 제2 선택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오드 필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저장영역 선택부; 및
    상기 저장영역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오드 필드 데이터를 교번하여 저장하기 위한 제2 및 제3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저장부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제어되어 해당 어드레스를 위해 저장된 적녹청 데이터를 출력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선택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저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
    상기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다가 순서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제1 래치; 및
    상기 제1 래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로 출력하기 위한 제2 래치
    를 더 포함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6.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오드 프레임 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각각 복수의 서브 이븐 데이터와 서브 오드 데이터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이븐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서브 오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도중에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직후 프레임 데이터 내 복수의 서브 이븐 데이터 중 일부와 복수의 서브 오드 데이터 중 일부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7.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1_1 내지 1_4 프레임 동안 제1_1 내지 1_4 이븐 프레임 데이터 - 상기 제1_1 내지 1_4 이븐 프레임 데이터는 제1 이븐 프레임 데이터를 분할할 것임 - 를 제1 저장부에, 제1_1 내지 1_4 오드 프레임 데이터 - 상기 제1_1 내지 1_4 오드 프레임 데이터는 제1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분할한 것임 - 를 제2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제2_1 프레임 동안 제1_1 및 제1_2 이븐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제1 저장부 내 제1 및 제2 서브 블럭으로부터 출력하고, 제2_1 이븐 프레임 데이터와 제2_1 오드 프레임 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블럭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는 하나의 메모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는 각기 다른 메모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10.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집적회로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라인 및 도트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신호와 제1 및 제2 선택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어드레스 카운터;
    입력되는 적녹청 데이터를 이븐 필드 데이터와 오드 필드 데이터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선택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이븐 필드 데이터와 오드 필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선택부;
    상기 이븐 필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저장부; 및
    상기 오드 필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제어되어 해당 어드레스를 위해 저장된 적녹청 데이터를 출력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택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
    상기 데이터 시퀀스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다가 순서에 따라 출력하기 위한 제1 래치; 및
    상기 제1 래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로 출력하기 위한 제2 래치
    를 더 포함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는 하나의 메모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저장부는 각기 다른 메모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KR1020040069711A 2004-09-01 2004-09-01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및 방법 KR10058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711A KR100588755B1 (ko) 2004-09-01 2004-09-01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711A KR100588755B1 (ko) 2004-09-01 2004-09-01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972A KR20060020972A (ko) 2006-03-07
KR100588755B1 true KR100588755B1 (ko) 2006-06-12

Family

ID=3712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711A KR100588755B1 (ko) 2004-09-01 2004-09-01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2423B2 (en) 2020-11-19 2022-11-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54B1 (ko) 2007-08-20 2008-01-02 주식회사 티엘아이 능동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믹싱형 픽셀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2423B2 (en) 2020-11-19 2022-11-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972A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717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with reduced driving frequenc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50844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pixel circuit
JP2005099712A (ja) 表示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表示装置
US20070229413A1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for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701208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US8605080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80316232A1 (en) Method of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2008005530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416161B2 (en) Emissive display device driven in subfield mode and having precharge circuit
US20080007573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employing same
US7508363B2 (en) Data driver circuit for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thereof
US1128245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866992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0021143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1354325B1 (ko)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060202632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80252567A1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US2021026483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9021923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2287664A (ja) 表示パネルとその駆動方法
KR20210083946A (ko)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836431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588755B1 (ko)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시분할 제어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회로 및 방법
JP2008170978A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4004708A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