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485B1 - 타정타입 천장판 현수금구 - Google Patents

타정타입 천장판 현수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485B1
KR100588485B1 KR1020030034088A KR20030034088A KR100588485B1 KR 100588485 B1 KR100588485 B1 KR 100588485B1 KR 1020030034088 A KR1020030034088 A KR 1020030034088A KR 20030034088 A KR20030034088 A KR 20030034088A KR 100588485 B1 KR100588485 B1 KR 100588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ing
fixing member
ceiling plate
head portion
righ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575A (ko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 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 창
Priority to KR102003003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485B1/ko
Publication of KR2004010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03Glass or glassy material
    • B01D39/2017Glass or glassy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슬라브면에 밀착,압타되어 유동성이 감소하며, 안정감있는 나사맞춤 연결구조를 가지며, 간단한 금형을 통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며,모든 금구에 적용되는 수평조절부재를 그대로 혼용가능하게 한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에 관한 것으로,
타정공(112)을 형성한 타정부(110),이 타정부(110)에서 직각으로 꺾여져 수직방향 나선부(120)를 형성하여 천정 슬라브에 타정부(110)가 타정기로서 고정되는 고정부재(100);및 상기 고정부재(100)에 나사로 맞추어져 높이가 조절되도록 나사공(212)을 형성한 ㄱ자형의 헤드부(210)와, 이 헤드부(210)에서 직각으로 꺾여지고 그 양연부를 따라 톱니(222)를 형성하여 찬넬부재를 현수고정하기 위한 스템(220)으로 이루어진 수평조절부재(200)를 포함한다.
천장판,현수금구,

Description

타정타입 천장판 현수금구{Strike type suspension fixture}
도 1a는 종래 타정기로서 슬라브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에 수평조절부재(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도 1b 역시 종래 타정기로서 슬라브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와 수평조절부재(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1실시예에 따르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1실시예에 따르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와 수평조절부재와의 결합예와, 현수금구의 고정부재 발췌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1실시예에 따르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의 설치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2실시예에 따르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2실시예에 따르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와 수평조절부재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2실시예에 따르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의 설치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30:고정부재, 110,134:타정부, 112,131:타정공, 120,135:나선부,
200:수평조절부재, 210:헤드부, 212:나선부, 220:스템, 222:톱니.
본 발명은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브에 고정금구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슬라브면에 타정기로서 고정부재를 고정한 뒤 이 고정부재에 수평조절부재를 나사맞춤으로 연결하여 찬넬부재의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하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인서트부재 없이 천정슬라브가 시공된 경우에 수평조절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타정기를 통한 고정금구가 알려져 있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종래 타정기로서 슬라브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에 수평조절부재(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고정부재는 금속판체 타입을 이루되 일측은 슬라브면에 밀착고정되나 일측은 단차를 이루면서 삽입로를 통하여 수평조절부재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한 걸림공을 이룬다. 그러나 이와같은 타정타입의 고정금구는 단차를 가짐이 필수적이어서 이 부분에 현수된 수평조절부재가 찬넬부재 연결시공중 회동되어 헤드부분이 이탈되거나,찬넬부재,천장판등을 현수지지하더라도 단차부분에서의 진동으로 인하여 전체 천장판의 유동을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전체 찬넬부재, 천장판등의 중량을 버티기에는 버팀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슬라브면에 타정고정되더라도 상당한 강도로 밀착고정되어 유동을 방지하고,수평조절부재의 이탈위험성을 개선하며, 비교적 간단하고 강도가 보강된 재질로 이루어지며, 헤드부분에 나사맞춤용 나사공을 갖는 다목적의 수평조절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 타정용 고정부재가 필요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 타정용 천장판 현수지지수단에 사용되는 고정부재를 개선하여 강도 보강이 가능한 합성수지이며, 슬라브 매입용 고정금구에 사용되는 수평조절부재와도 적용가능한 연결구조를 가지며, 특히 슬라브면에 밀착고정되어 고정후 유동성이 현저히 개선되고, 현수고정력이 나사맞춤으로 크게 향상되는 슬라브면 타정용 고정금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는 타정공을 형성한 타정부,이 타정부에서 직각으로 꺾여져 수직방향 나선부를 형성하여 천정 슬라브에 타정부가 타정기로서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나사로 맞추어져 높이가 조절되도록 나사공을 형성한 ㄱ자형의 헤드부와, 이 헤드부에서 직각으로 꺾여지고 그 양연부를 따라 톱니를 형성하여 찬넬부재를 현수고정하기 위한 스템으로 이루어진 수평조절부재를 포함하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로서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타정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의 상기 고정부재는 합성수지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1실시예에 따르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1실시예에 따르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와 수평조절부재와의 결합예와, 현수금구의 고정부재 발췌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는 크게 고정부재(100)와 수평조절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천정 슬라브에 타정기로서 압타고정되도록 타정공(112)을 형성한 타정부(110)와,이 타정부(110)에서 직각으로 꺾여져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주면을 따라 나사를 형성한 나선부(120)를 형성한다.
상기 수평조절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나사로 맞추어져 높이가 조절되도록 나사공(212)을 형성한 ㄱ자형의 헤드부(210)와, 이 헤드부(210)에서 직각으로 꺾여지고 그 양연부를 따라 톱니(222)를 형성하여 찬넬부재를 현수고정하기 위한 스템(220)으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의 설치단면도를 나타내며,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는 고정부재(100)의 타정공(110)에 소정의 타정기구로서 고정핀(a)을 압타하여 고정부재(100)를 천정 슬라브면에 고압타,고정시킨 뒤 그 수직 연장된 나선부(120)에 수평조절부재(200)의 헤드부(210)에 형성된 나사공(212)을 대응시켜 나사맞춤시켜 그 높이를 조정하여 놓고 스템(220)을 찬넬부재(b)에 형성된 걸림구멍(c)등에 삽지시켜 90도 회전시켜 걸리도록 하여 찬넬부재(b)를 지지하는 것이다.
첨부 도면중 도 5는 본 발명 2실시예에 따르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2실시예에 따르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와 수평조절부재와의 결합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2실시예의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는 크게 고정부재(130)와 수평조절부재(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천정 슬라브에 타정기로서 압타고정되도록 타정공(131)을 형성한 상부(134)와, 이 상부(134)에서 단차를 갖고 낮아지는 하부(133)로 이루어진 타정부(130)와,이 타정부(130)의 하부(133)중간부에서 헤드부(132)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133)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나사를 형성한 나선부(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조절부재(200)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나사로 맞추어져 높이가 조절되도록 나사공(212)을 형성한 ㄱ자형의 헤드부(210)와, 이 헤드부(210)에서 직각으로 꺾여지고 그 양연부를 따라 톱니(222)를 형성하여 찬넬부재를 현수고정하기 위한 스템(220)으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7은 본 발명 2실시예에 따르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의 설치단면도이다.
본 발명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의 설치단면도를 나타내며,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는 고정부재(130)의 타정공(131)에 소정의 타정기구로서 고정핀(a)을 압타하여 고정부재(130)를 천정 슬라브면에 압타,고정시킨 뒤 그 수직 연장된 나선부(135)에 수평조절부재(200)의 나사공(212)을 나사맞춤한 뒤 그 높이를 조정하며, 이 수평조절부재(200)에 형성된 스템(220)을 찬넬부재(b)에 형성된 걸림구멍(c)등에 삽지시킨 뒤 90도 회전시켜 걸리도록 하여 찬넬부재(b)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는 슬라브면에 밀착,압타되어 종래와 같이 단차를 가짐으로 인해 유동을 일으키는 일이 전혀 없으며, 수평조절부재를 사용하기 위한 체착면에서 나사맞춤으로 견고하게 반복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종래 단지 금속편의 일면 개구로를 따라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한 뒤 걸리게 하는 경우에 비하여 훨씬 안정감이 있게 나사맞춤연결되는 장점이 있고,합성수지로 제작하므로 비교적 간단한 금형을 통하여 동시에 대량생산이 가능한 등의 잇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는 슬라브 매입형의 현수금구와 함께 사용되는 ㄱ형 수평조절부재를 그대로 혼용할 수 있어 일일이 금구에 따라 수평조절부재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종래 금구들에 비하여 혼용면에서 유리한 잇점도 있다.

Claims (3)

  1. 삭제
  2. 타정공을 형성한 타정부와,이 타정부에서 수직방향 나선부를 형성하여 ㄱ형 으로 이루어져 천정 슬라브에 타정기로서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나사로 맞추어져 높이가 조절되도록 나사공을 형성한 ㄱ자형의 헤드부와, 이 헤드부에서 직각으로 꺾여지고 그 양연부를 따라 톱니를 형성한 스템으로 이루어진 수평조절부재로 이루어진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타정공(131)을 형성한 판상의 상부(134)와, 이 상부(134)에서 단차를 갖고 낮아지며, 수평조절부재(200)의 헤드부(21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그 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나선부(135)를 갖는 하부(1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정 타입 천장판 현수금구.
  3. 삭제
KR1020030034088A 2003-05-28 2003-05-28 타정타입 천장판 현수금구 KR100588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088A KR100588485B1 (ko) 2003-05-28 2003-05-28 타정타입 천장판 현수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088A KR100588485B1 (ko) 2003-05-28 2003-05-28 타정타입 천장판 현수금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661U Division KR200325592Y1 (ko) 2003-05-28 2003-05-28 타정타입 천장판 현수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575A KR20040102575A (ko) 2004-12-08
KR100588485B1 true KR100588485B1 (ko) 2006-06-14

Family

ID=3737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088A KR100588485B1 (ko) 2003-05-28 2003-05-28 타정타입 천장판 현수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4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575A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996B1 (ko) 데크재(deck材)의 고정 장치
CN211172571U (zh) 一种单元式幕墙的三维调节装置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CN209468960U (zh) 一种防静电高架地板
KR20060118886A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JP2019027132A (ja) 横架材設置方法
KR100588485B1 (ko) 타정타입 천장판 현수금구
KR200325592Y1 (ko) 타정타입 천장판 현수금구
CN210459728U (zh) 一种可拼接的天花板结构
KR200423791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CN210597779U (zh) 一种幕墙用的固定锁具
KR200388929Y1 (ko) 벽면부착 간판 시공용 브라켓
KR200446319Y1 (ko) 창호설치용 브라켓 결합구조
KR101544599B1 (ko) 레일 구조를 이용한 끼움 설치식 볼트
CN206314957U (zh) 一种能够将背面为平板状的物体悬挂于墙壁上的挂件
CN110685395A (zh) 装配式陶板幕墙结构及其安装方法
KR200378378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RU199525U1 (ru) Монтаж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амы
KR200381607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196201Y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
JP3214170U (ja) 落下防止装置
KR200389550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Z51196A3 (en) Supporting anchor for elevation slabs
CN209648196U (zh) 一种圆柱箱用l型夹具
KR101548101B1 (ko) 창호의 설치작업이 용이한 고정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