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873B1 - 전자장치내부에적어도1개의메모리카드를적재하거나이전자장치로부터적어도1개의메모리카드를배출시키기위한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내부에적어도1개의메모리카드를적재하거나이전자장치로부터적어도1개의메모리카드를배출시키기위한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873B1
KR100586873B1 KR1019980035648A KR19980035648A KR100586873B1 KR 100586873 B1 KR100586873 B1 KR 100586873B1 KR 1019980035648 A KR1019980035648 A KR 1019980035648A KR 19980035648 A KR19980035648 A KR 19980035648A KR 100586873 B1 KR100586873 B1 KR 100586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transfer
intermediate position
driv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391A (ko
Inventor
스테판 뮐러
호르스트 럼프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1999002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 내부에 적어도 1개의 메모리 카드(1)를 적재하거나 이 전자장치로부터 적어도 1개의 메모리 카드를 배출시키며, 배출위치와 중간위치 사이에서 상기 메모리 카드(1)를 이송하는 제 1 이송기구(4)와, 중간위치와 재생위치 사이에서 메모리 카드(1)를 이송하는 제 2 이송기구(5)와, 상기 2개의 이송기구(4, 5)를 구동하는 구동부(7)를 구비한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적재장치를 간단하면서도 작은 장착공간을 갖도록 실현하기 위해, 상기 중간위치와 재생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메모리 카드(1)의 이송을 위해, 상기 제 2 이송기구(5)가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9, 14)를 사용하여 상기 구동부(7)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내부에 적어도 1개의 메모리 카드를 적재하거나 이 전자장치로부터 적어도 1개의 메모리 카드를 배출시키기 위한 적재장치
본 발명은, 전자장치 내부에 적어도 1개의 메모리 카드를 적재하거나 이 전자장치로부터 적어도 1개의 메모리 카드를 배출시키며, 배출위치와 중간위치 사이에서 메모리 카드를 이송하는 제 1 이송기구와, 중간위치와 재생위치 사이에서 메모리 카드를 이송하는 제 2 이송기구와, 상기 2개의 이송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적재장치에 대해서는 JP 05046816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적재장치는 제 1 이송기구로서 2개의 로울러를 구비하는데, 이들 로울러는 구동축에 장착되며, 메모리 카드의 표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카드를 배출위치로부터 중간위치로 헐겁게 이송한다. 이때, 배출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전자장치로부터 수동으로 메모리 카드를 제거할 수 있는 위치로 정의한다. 또한, 중간위치는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 앞의 약간 떨어진 위치에 놓이는데, 이때 커넥터 부재는 메모리 카드는 커넥터 부재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 카드가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와 접촉하며, 그 결과,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 정보가 전자장치에 의해 판독되거나 전자장치에 의해 정보를 메모리 카드 내부에 기록할 수 있는 위치를 재생위치로 칭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 1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구동축을 구동하는 전동기이다. 제 1 이송기구는 메모리 카드를 비교적 고속으로 그리고 비교적 작은 견인력으로 반송한다. 또한, 제 2 이송기구는 감속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톱니를 갖는 선회축 레버이다. 이때, 감속기어는 톱니휠 동력전달장치로 구성된다. 2개의 안내핀을 사용하여, 상기 선회축 레버는 메모리 카드를 상당한 힘으로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안내핀은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구동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상당한 장착공간과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수의 부품과 작은 장착공간으로 실현될 수 있는, 서두에서 규정한 형태의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는, 상기 중간위치와 재생위치 사이에서의 메모리 카드의 이송을 위해, 상기 제 2 이송기구가 리드 스크류(lead screw) 동력전달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는, 리드 스크류와, 이 리드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리드 스크류 너트의 조합을 구비한 동력전달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는 회전운동을 병진운동으로, 또는 역으로 병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는, 장착공간의 상당한 감소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 카드를 배출위치와 중간위치 사이에서 이송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는 제 1 이송기구를 직접 또는 동력전달장치를 거쳐 구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비교적 높은 속도와 비교적 작은 견인력으로 달성된다. 그러나, 중간위치에서부터는, 메모리 카드를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 내부에 밀어넣어 만족할만한 접촉을 이루기 위해서는 큰 견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이송기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는, 메모리 카드를 큰 힘으로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 내부에 밀어넣기 위해 필요한 감속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은, 부피가 큰 톱니휠 동력전달장치를 필요없게 하여, 적재장치의 장착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청구항 제 1항에 기재된 적재장치의 일 실시예는, 이송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때, 구동축은 메모리 카드의 적재면 위나 아래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동축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구동 로울러를 갖는데, 이 구동 로울러는 고무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위치와 중간위치 사이에서 메모리 카드를 이송하는 동안, 상기 구동 로울러는 예를 들어 구동축에 헐겁게 또는 꼭 끼이게 연결됨으로써, 구동 로울러가 구동축과 함께 회전한다. 이에 따라, 구동 로울러는 메모리 카드의 상면 또는 저면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는 구동 로울러에 의한 마찰로 인해 배출위치로부터 중간위치로 움직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는 구동축에 배치된다. 그 결과, 여하한 형태로든지 존재하는 구동축이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로서 사용되므로, 부가적인 장착공간과 부품이 절약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구성은 청구항 제 4항에 기재된 특징부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청구항 제 4항에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체결 레버로 구성될 수 있는 체결기구를 사용하여 관련된 이송기구가 구동된다. 중간위치의 영역에서는, 메모리 카드의 적재 중에 체결기구가 구동 로울러로부터 분리되는데, 즉 상기 로울러는 더 이상 구동축에 헐겁게 또는 꼭 끼이게 연결되지 않으므로, 구동축으로부터 구동 로울러로 어떠한 힘도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축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체결 너트가 상기 나사산과 맞물림으로써,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가 구성되고, 이와 같은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구동부로부터 제 2 이송기구로 구동력이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메모리 카드가 배출될 때에는, 상기 체결 너트가 중간위치의 영역에서 나사산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구동 로울러가 배출위치에 있는 구동축에 헐겁게 또는 꼭 끼이게 연결됨으로써, 제 1 이송기구는 중간위치에서부터 메모리 카드의 배출과정 동안 제 2 이송기구로부터 이송기능을 떠맡는다.
상기 구동 로울러와 나사산이 동일한 구동축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체결기구를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이송기구 모두를 구동하는데 체결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제 5항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간위치로부터 재생위치로 메모리 카드를 이송하는 동안, 이송 슬라이더가 메모리 카드에 꼭 끼이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확실한 체결은, 이송 슬라이더와 메모리 카드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상당한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의 체결 너트의 직선 운동이 체결 레버에 의해 이송 슬라이더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제 6항에 따라, 상기 이송 슬라이더는 후방 정지 모서리와 전방 정지 모서리를 갖는다. 중간위치로부터 재생위치로 메모리 카드를 이송하는 동안, 상기 후방 정지 모서리는 메모리 카드의 후방 모서리에 힘으로 가하여, 메모리 카드가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메모리 카드의 배출 중에는, 상기 전방 정치 모서리가 메모리 카드의 전방 모서리에 힘을 가하여,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로부터 메모리 카드가 벗어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적재 및 배출과정 중에 메모리 카드와 이송 슬라이더 사이에 확실한 체결을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적재 및 배출과정 동안 재생위치와 중간위치 사이에서 메모리 카드의 미끄러짐이 없는 메모리 카드의 이송을 확보한다.
상기 이송 슬라이더의 한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구성과 달리, 청구항 제 7항에 기재된 것과 같은 특징부를 갖는 이송 슬라이더의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구성은, 전체 이송 슬라이더 대신에 이송 슬라이더의 일부 만이 선회하기 때문에, 더 작은 장착공간, 특히 더 작은 장착 높이를 필요로 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선회되어야 하는 이송 슬라이더의 후방 부분을 이 이송 슬라이더의 전방 부분보다 길이가 짧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선회 운동에 필요한 힘을 최소화한다.
메모리 카드를 적재하는 동안, 후방 정지 모서리를 갖는 후방 부분이 먼저 메모리 카드로부터 멀어지도록 하향으로 선회하므로, 후방 정치 모서리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메모리 카드를 제 1 이송기구를 사용하여 전자장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그 후, 중간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후방 정지 모서리를 갖는 후방 부분이 메모리 카드를 향해 상향으로 선회하여, 상기 후방 부분의 후방 정지 모서리가 메모리 카드의 후방 모서리 뒤에 연결되어 중간위치에서부터 메모리 카드의 후방 모서리에 힘을 가함으로써, 메모리 카드가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 내부에 삽입된다. 역으로, 메모리 카드를 배출할 때에는, 중간위치에 도착한 이후에 후방 정지 모서리를 갖는 이송 슬라이더의 후방 부분이 하향으로 선회하여, 그후 메모리 카드가 제 1 이송기구를 사용하여 배출위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 8항에 기재된 특징부에 따르면, 상기 구동 로울러는 구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은, 중간위치와 재생위치 사이에서 메모리 카드를 이송하는 동안, 구동 로울러가 메모리 카드에 대해 어떠한 구동력도 가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 로울러는 자유롭게 회전하여, 구동 로울러와 메모리 카드 사이의 마찰로 인해 이송 슬라이더와 메모리 카드의 이동 속도에 따라 천천히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간위치와 재생위치 사이에서 메모리 카드를 이송하는 동안 구동축의 비교적 고속으로 구동 로울러가 회전시켜, 메모리 카드와 구동 로울러 사이의 미끄러짐과 이에 따른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로울러의 구동력은, 배출위치와 중간위치 사이에서만 마찰 또는 발톱 체결(claw coupling)을 사용하여 구동 로울러로 전달된다.
이하,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메모리 카드(1)용 전자장치의 적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메모리 카드로는, 예를 들어, PCMCIA 표준을 따르는 메모리 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1)는, 미도시된 복수의 커넥터 접점을 갖는 커넥터 부재(2)와, 전방 모서리(1a) 및 후방 모서리(1b)를 갖는다. 메모리 카드와 접속하도록 하기 위해, 미도시된 전자장치는 메모리 카드(1)의 커넥터 부재(2)와 맞물릴 수 있는 커넥터 부재(3)를 구비한다.
메모리 카드(1)를 적재 및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이송기구는, 제 1 이송기구로서 구동 로울러(4)를 구비하고, 제 2 이송기구로서 이송 슬라이더(5)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 로울러(4)는, 동력전달장치(8)를 통해 모터(7)에 의해 2가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는 구동축(6) 상에 장착된다.
상기 메모리 카드는 적재 방향 y로 적재된다. 또한, 구동축(6)은 이 적재 방향 y에 직교하는 x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적재 방향 y와 x 방향은 적재면 x-y를 구성한다. z 방향은 이와 같은 적재면 x-y에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2는 메모리 카드(1)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거하거나 메모리 카드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삽입할 수 있는 배출위치에 메모리 카드(1)가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 적재장치의 평면도이다. 상기 구동 로울러(4)는 구동축(6)과 동심을 갖고 구동 로울러(4)와 구동축(6)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여, 구동 로울러(4)가 구동축(6)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로울러(4)에 인접하여, 상기 구동축(6)은, 예를 들어 카드의 직선운동에 대해 10배의 감속비를 얻을 수 있도록 작은 피치를 갖는 나사산(9)을 구비한다. 또한, 적재장치의 샤시판(11) 상에 있는 선회축(10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체결 레버(10)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 레버(10)는 L자 형태를 갖고, 제 1 아암(10a)과 제 2 아암(10b)을 구비한다. 이때, 체결 레버(10)의 제 1 아암(10a)은 길이방향의 슬롯(12)을 갖고, 체결 레버(10)의 제 2 아암(10b)은 안내 슬롯(13)을 갖는다.
내부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 너트(14)는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6) 상에 장착된다. 이때, 체결 너트(14)는 상기 체결 레버(10)의 길이방향의 슬롯(12)에 맞물리는 둥근 체결 핀(15)을 구비한다. 체결 레버(10)가 선회하면, 상기 체결 너트(14)는 구동축(6)의 종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체결 너트(14)가 체결 레버(10)의 길이방향의 슬롯(12) 내부에서 체결 핀(15)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체결 레버(10)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 상기 체결 너트(14)는 나사산(9)과 맞물려,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는 나사산의 피치에 대응하는 큰 감속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체결 레버(10)가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면, 체결 너트(14)가 구동 로울러(4)에 맞닿는다. 그 결과, 구동 로울러(4)가 구동축(6)의 정지 모서리(16)에 맞닿아, 정지 모서리(16)와 구동 로울러(4) 사이 및 구동 로울러(4)와 체결 너트(14) 사이에 마찰 결합을 형성한다.
상기 이송 슬라이더(5)는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며 후방 부분(17)과 전방 부분(18)을 구비한다. 이때, 후방 부분(17)은 회전축(1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전방 부분에 장착된다. 상기 후방 부분(17)은 후방 정지 모서리(17a)를 갖고, 전방 부분(18)은 2개의 전방 정지 모서리(18a)를 갖는다.
상기 이송 슬라이더(5)는, x-z 평면에서 연장되고, 체결 레버의 안내 슬롯(13) 내부에서 안내되는 일 측면과, 샤시판(11) 내부에서 y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방향의 슬롯 내부에서 안내되는 타 측면을 갖는 상승 안내부(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전방 부분은 미도시된 안내수단에 의해 적재면 x-y에서 안내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전방 부분(18)은 회전축(1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전방 부분(18)에 장착된다. 이때, 적재면 x-y에 대한 회전각은 도 2에는 보이지 않는 안내부재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체결 레버(10)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스프링(22)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도 2에 도시된 배출위치에서, 상기 체결 레버(10)는 스프링(22)에 의해 구동 로울러(4)를 향해 힘이 가해진다. 그 결과, 체결 레버(10)의 길이방향의 슬롯 내부에서 안내되는 체결 너트(14) 또한 구동 로울러(4)에 맞닿아, 구동 로울러(4)가 정지 모서리(16)를 누르도록 함으로써, 구동 로울러(4)와 구동축(6)이 마찰식으로 체결된다. 메모리 카드(1)를 적재하기 위해, 모터에 전원을 켜고, 구동축(6)과 함께 구동축(6)과 마찰식으로 체결된 구동 로울러(4)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구동 로울러(4)는 메모리 카드(1)의 표면에 압력을 가하여,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메모리 카드(1)가 구동 로울러(4)에 의해 적재 방향 y로 헐겁게 움직이도록 한다. 이때, 이송 속도는 예를 들어 약 30mm/s의 범위를 갖고, 구동 로울러(4)에 의해 메모리 카드(1)에 가해지는 힘은 예를 들어 약 3N의 범위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동 로울러(4)에 의해 구동된 메모리 카드(1)는, 메모리 카드(1)의 전방 모서리(1a)가 이송 슬라이더(5)의 전방 정지 모서리(18a)에 도착할 때까지 장치 내부로 더 움직인다. 그 후, 이송 슬라이더가 메모리 카드(1)에 의해 y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송 슬라이더(5)의 안내부(20)가 체결 레버(10)의 안내 슬롯(13)을 누름으로써, 상기 체결 레버(10)가 스프링(22)에 의해 가해진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 너트(14)는 구동 로울러(4)로부터 이탈하여, 구동 로울러(4)와 구동축(6) 사이의 마찰 연결이 제거된다. 거의 이와 동시에, 체결 너트(14)가 구동축(6)의 나사산(9)과 맞물림으로써,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가 활성화된다.
도 3은 상기 체결 너트(14)가 구동축(6)의 나사산(9)과 막 맞물린 상태가 되는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체결 너트(14)가 구동축(6)의 나사산(9)과 맞물리는 순간에, 상기 체결 레버(10)가 이송 슬라이더(5)의 후속된 이송을 떠맡게 되어, 체결 레버(10)가 체결 너트(14)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체결 레버(10)의 안내 슬롯(13)이 이송 슬라이더(5)의 안내부(20)를 누르게 된다. 상기 나사산(9)과 체결 너트(14)에 의해 형성된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의 큰 감속비로 인해, 체결 레버(10)는 이송 슬라이더(5)를 예를 들어 30N의 상당한 힘으로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3)를 향해 밀게 된다. 메모리 카드(1)를 이송하기 위해, 이송 슬라이더(5)의 후방 부분(17)이 메모리 카드(1)를 향해 선회함으로써, 후방 정지 모서리(17a)가 메모리 카드의 후방 모서리(1b) 뒤에 맞물린다. 그 후, 이송 슬라이더(5)의 후방 정지 모서리(17a)가 메모리 카드(1)를 상당한 힘으로 도 4에 도시된 재생위치로 밀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 슬라이더(5)는, 이송 슬라이더(5)와 메모리 카드(1) 사이에 어떠한 미끄러짐도 발생하지 않도록, 후방 정지 모서리(17a)를 사용하여 메모리 카드(1)를 꼭 끼우면서 움직인다.
도 4에 도시된 재생위치에서는,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3)와 메모리 카드(1)의 커넥터 부재(2)가 서로 접속됨으로써,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 정보를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판독하거나, 역으로, 전자장치가 정보를 메모리 카드(1) 내부에 기록할 수 있다.
이하,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여 제 1 및 제 2 이송기구 사이의 상호작용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이송 슬라이더와 메모리 카드의 서로 다른 위치를 각각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a는 배출위치에 있는 이송 슬라이더(5)와 메모리 카드(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후방 정지 모서리(17a)를 갖는 이송 슬라이더(5)의 후방 부분이 메모리 카드(1) 아래에서 하향으로 선회하여, 메모리 카드(1)가 구동 로울러(4)에 의해 적재 방향 y로 전자장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송 슬라이더(5)의 후방 부분(17)은, 안내부재(25) 내부에서 안내되는 안내핀(2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안내부재(25)는 샤시판(11)에 고정된다. 이 안내부재는 제 1 수평부(25a)와 경사부(25b) 및 제 2 수평부(25c)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배출위치에서는, 안내핀(24)이 수평부(25a)의 출발점에 놓인다.
도 5a에 도시된 배출위치에서 시작하여, 메모리 카드(1)의 전방 모서리(1a)가 이송 슬라이더(5)의 전방 정지 모서리(18a)에 닿을 때까지 상기 메모리 카드(1)는 구동 로울러(4)에 의해 적재 방향 y로 움직인다. 이에 따라, 제 2 이송기구로의 전환이 개시된다. 초기에는 구동 로울러(4)에 의해 여전히 구동되는 메모리 카드(1)는 이송 슬라이더(5)의 전방 정지 모서리(18a)에 힘을 가하여, 이 슬라이더를 y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 결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 같이, 구동 로울러(4)가 분리되고, 체결 너트(14)가 구동축(6)의 나사산(9)과 맞물리게 된다.
도 3과 대응하는 도 5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이송 슬라이더(5)의 후방 부분(17)의 안내핀(24)이 제 1 수평부(25a)의 일단에 놓인다. 이러한 위치로의 이송 슬라이더(5)의 이송은 구동 로울러(4)에 의해 구동되는 메모리 카드(1)에 의해 달성된다. 도 5b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구동 로울러(4)가 막 분리되고, 체결 너트(14)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사산(9)과 맞물리기 시작한다.
도 5b에 도시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이송 슬라이더(5)는 체결 레버(10)에 의해 상당한 힘으로 적재 방향 y로 움직임으로써, 안내핀(24)이 안내부재(25)의 경사부(25b)에서 들어올려진다. 이에 따라, 후방 부분(17)의 후방 정지 모서리(17a)가 메모리 카드(1)의 후방 모서리(1b) 뒤에 맞물린다. 중간위치로 불리는 이 위치를 도 5c에 나타내었다.
도 5c에 도시된 중간위치에서는, 메모리 카드(1)와 이송 슬라이더(5) 사이에 확신한 체결이 존재하여, 메모리 카드가 이송 슬라이더(5)에 의해 상당한 힘으로 도 5d에 도시된 재생위치로 밀릴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재생위치는 도 4에 해당한다. 재생위치에서, 안내핀(24)은 제 2 수평부(25c)의 일단에 놓이고, 메모리 카드(1)의 커넥터 부재(2)는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3)와 접속된다.
상기 메모리 카드(1)는 정확히 역순으로 배출되는데, 즉 도 5d에 도시된 재생위치에서 시작하여 이송 슬라이더(5)가 체결 레버(10)에 의해 적재 방향 y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이송 슬라이더(5)의 전방 정지 모서리(18a)가 메모리 카드(1)의 전방 모서리(1a)에 대해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카드(1)는 처음에는 도 5c에 도시된 위치를 취하게 된다. 그 후, 이송 슬라이더(5)의 후방 부분(17)이 하향으로 멀어지도록 선회하여, 체결 너트(14)가 나사산(9)으로부터 이탈되어 구동 로울러(4)를 누르게 된다. 그 결과, 구동 로울러(4)가 다시 메모리 카드(1)의 이송기능을 떠맡아, 메모리 카드를 도 5a에 도시된 배출위치로 움직인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에 있어서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부피가 큰 톱니휠 동력전달장치가 필요없으므로, 적재장치의 장착공간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카드와 구동 로울러 사이의 미끄러짐과 이에 따른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메모리 카드와 접촉하도록 하는 커넥터 부재와, 제 1 이송기구로서 설치된 구동 로울러와, 제 2 이송기구로서 설치된 이송 슬라이더를 구비한 전자장치 내부에 메모리 카드를 적재하거나 이 전자장치로부터 메모리 카드를 배출하는 적재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 카드를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배출위치에 있는 메모리 카드가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적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메모리 카드가 제 1 이송기구에 의해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로 움직이고, 제 1 이송기구의 구동 로울러가 분리되며, 이송 슬라이더를 구동하기 위해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가 막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적재장치의 또 다른 평면도,
도 4는 메모리 카드의 커넥터 부재가 전자장치의 커넥터 부재와 맞물려, 전자장치와 메모리 카드 사이에 정보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위치에 있는 적재장치의 평면도,
도 5a는 이송 슬라이더의 후방 부분이 메모리 카드 아래에서 하향으로 선회하는 배출위치에 있는 이송 슬라이더와 메모리 카드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
도 5b는 도 5a와 유사한 도면으로, 메모리 카드가 이송 슬라이더의 전방 정지 모서리에 도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c는 도 5a 및 도 5b와 유사한 도면으로, 이송 슬라이더의 후방 부분이 위로 선회하고, 이송 슬라이더의 후방 정지 모서리가 메모리 카드의 후방 모서리에 힘을 가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
도 5d는 도 5a 내지 도 5c와 유사한 도면으로, 적재장치가 재생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메모리 카드 2 : 커넥터 부재
3 : 커넥터 부재 4 : 구동 로울러
5 : 이송 슬라이더 6 : 구동축
7 : 모터 8 : 동력전달장치
9 : 나사산 10 : 체결 레버
11 : 샤시판 14 : 체결 너트
15 : 체결 핀 16 : 정지 모서리
17 : 후방 부분 17a : 후방 정지 모서리
18 : 전방 부분 18a : 전방 정지 모서리

Claims (9)

  1. 전자장치내부에 적어도 1개의 메모리 카드(1)를 적재하거나 이 전자장치로부터 적어도 1개의 메모리 카드를 배출시키는 적재장치로서,
    배출위치와 중간위치 사이에서 메모리카드(1)를 이송하는 제 1이송기구(4)와,
    중간위치와 재생위치 사이에서 메모리카드(1)를 이송하는 제 2이송기구(5)와,
    상기 제 1이송기구(4) 및 제2 이송기구(5)를 구동하는 구동부(7)를 구비하는 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위치와 중간위치사이에서 상기 메모 리카드(1)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 1 이송기구(4)가 상기 구동부(7)에 연결된 구동 로울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중간위치와 재생위치 사이에서 상기 메모리 카드(1)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 2 이송기구(5)가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9,14)의 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부(7)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로울러와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9,14)가 상기 구동부(7)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6)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기구는 적어도 1개의 구동 로울러(4)를 갖는 구동축(6)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로울러(4)는 상기 배출위치와 중간위치 사이에서 메모리 카드(1)를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배출위치와 중간위치 사이에서 메모리 카드(1)를 이송하는 동안 상기 구동 로울러(4)는 메모리 카드(1)에 헐겁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9, 14)는 상기 구동축(6)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6)은 나사산(9)을 구비하고, 체결 너트(14)가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6)상에 장착되며, 상기 메모리 카드(1)의 위치에 의존하여, 상기 구동 로울러(4)를 구동축(6)에 헐겁게 또는 꼭 끼이게 체결하거나, 상기 체결 너트(14)와 나사산(9)이 상기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9, 14)를 구성하도록 상기 체결 너트(14)가 나사산(9)과 맞물리게 하는 체결기구(1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기구는 체결 레버(10)가 상기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9, 14)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이송 슬라이더(5)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 슬라이더(5)는 상기 구동부(7)에 의해 상기 중간위치와 재생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9, 14)와 상기 체결 레버(10)를 사용하여 상기 이송 슬라이더(5)가 상기 메모리 카드(1)에 꼭 끼이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슬라이더(5)는, 중간위치로부터 재생위치로 상기 메모리 카드(1)를 이송하기 위한 후방 정지 모서리(17a)와, 재생위치로부터 중간위치로 상기 메모리 카드(1)를 이송하기 위한 전방 정지 모서리(18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슬라이더(5)는 전방 부분(18)과 후방 부분(17)의 2개의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후방 부분(17)은 선회가능하게 상기 전방 부분(18)에 장착되며, 상기 후방 부분(17)은 후방 정지 모서리(17a)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부분(18)은 전방 정지 모서리(18a)를 구비하며, 상기 후방 정지 모서리(17a)를 갖는 후방 부분(17)은 적재 방향으로 이송 슬라이더(5)를 이동하는 동안에는 안내부재(25)에 의해 상기 메모리 카드(1)를 향해 선회가능하고 상기 적재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이송 슬라이더(5)를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1)로부터 멀어지도록 선회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로울러(4)는 상기 구동축(6)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 로울러(4)는 배출위치와 중간위치 사이에서 상기 메모리 카드(1)를 이송하기 위해 마찰 체결 또는 발톱 체결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축(6)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장치.
  9. 메모리 카드(1)에 기억된 정보를 판독 및/또는 메모리 카드(1)에 정보를 기록하는 전자장치로서, 상기 메모리 카드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3)와,
    배출위치와 중간위치 사이에서 상기 메모리 카드(1)를 이송하는 제 1 이송기구(4), 중간위치와 재생위치 사이에서 상기 메모리 카드(1)를 이송하는 제 2 이송기구(5), 및 상기 2개의 이송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부(7)를 구비한 메모리 카드(1)용 적재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위치와 재생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메모리 카드(1)의 이송을 위해, 상기 제 2 이송기구(5)가 리드 스크류 동력전달장치(9, 14)에 의해 상기 구동부(7)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19980035648A 1997-09-02 1998-08-31 전자장치내부에적어도1개의메모리카드를적재하거나이전자장치로부터적어도1개의메모리카드를배출시키기위한적재장치 KR100586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9738227.4 1997-09-02
DE19738227A DE19738227A1 (de) 1997-09-02 1997-09-02 Lademechanismus zum Be- und/oder Entladen eines elektronischen Gerätes mit wenigstens einer Speicherkar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391A KR19990029391A (ko) 1999-04-26
KR100586873B1 true KR100586873B1 (ko) 2006-09-20

Family

ID=784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648A KR100586873B1 (ko) 1997-09-02 1998-08-31 전자장치내부에적어도1개의메모리카드를적재하거나이전자장치로부터적어도1개의메모리카드를배출시키기위한적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82899B1 (ko)
EP (1) EP0901091B1 (ko)
JP (1) JPH11134441A (ko)
KR (1) KR100586873B1 (ko)
CN (1) CN1158629C (ko)
DE (2) DE19738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5928B1 (en) * 1997-03-13 2002-06-18 The Whitaker Corporation PC card connector
DE60127468T2 (de) * 2000-01-24 2008-01-31 Nidec Sankyo Corp. Manueller Chipkartenleser
US20020131201A1 (en) * 2001-01-31 2002-09-19 Dataplay, Inc. Mechanism and method for limiting ejection of data cartridge from a disk drive
US6829120B2 (en) * 2001-01-31 2004-12-07 Dphi Acquisitions, Inc. Data cartridge load/unload mechanism for disk drive
US6735154B2 (en) 2001-01-31 2004-05-11 Dphi Acquisitions, In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cartridge readiness to load in a data storage system
JP2003031307A (ja) * 2001-07-05 2003-01-31 Molex Inc カードコネクタ
US20030043095A1 (en) * 2001-08-31 2003-03-06 Kia Silverbrook Scanning electronic book
JP4218546B2 (ja) * 2003-05-28 2009-0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メモリカード着脱機構付き装置
DE102008061718A1 (de) * 2008-12-12 2010-06-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arteneinzugsvorrichtung
CN105826758A (zh) * 2015-08-31 2016-08-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卡托自动弹出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3537A (en) * 1986-01-16 1990-06-12 Csk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n optical memory card for data transfer therewith
US5150352A (en) * 1988-09-27 1992-09-22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emergency conveying device for moving a carriage member to an ejecting por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803A (en) * 1977-01-28 1978-08-29 Xerox Corporation Magnetic head assembly adjustable relative to roll, pitch and azimuth
CA1204509A (en) * 1982-07-22 1986-05-13 Kentaro Shishido Data reading device for data processing apparatus
JP2542359B2 (ja) * 1985-05-22 1996-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JPS62179084A (ja) * 1986-01-31 1987-08-06 Tokyo Tatsuno Co Ltd 板状記憶媒体の読取り・書込み装置
US4839509A (en) * 1987-06-19 1989-06-13 Diesel Kiki Co., Ltd. Connector device for connecting IC card to reading and/or writing apparatus
US5146069A (en) * 1988-09-19 1992-09-08 Fuji Photo Film Co., Ltd.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a memory cartridge using a sliding member
AT394462B (de) * 1990-06-01 1992-04-10 Philips Nv Abtasteinrichtung fuer eine chipkarte
US5332890A (en) * 1991-08-08 1994-07-26 Olympus Optical Co., Ltd. Hybrid card and its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642260B2 (ja) 1991-08-09 1997-08-20 株式会社ティアールディ カード装着装置
US5434404A (en) * 1991-10-11 1995-07-18 Verifone, Inc. Linear scanner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data card
JPH08171616A (ja) * 1994-12-19 1996-07-02 Shinei Diecast Kogyo Kk カード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3537A (en) * 1986-01-16 1990-06-12 Csk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n optical memory card for data transfer therewith
US5150352A (en) * 1988-09-27 1992-09-22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emergency conveying device for moving a carriage member to an ejecting 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34441A (ja) 1999-05-21
DE19738227A1 (de) 1999-03-04
DE59812438D1 (de) 2005-02-03
EP0901091A3 (de) 2001-05-16
CN1158629C (zh) 2004-07-21
KR19990029391A (ko) 1999-04-26
CN1211016A (zh) 1999-03-17
US6182899B1 (en) 2001-02-06
EP0901091B1 (de) 2004-12-29
EP0901091A2 (de) 199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6393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KR100586873B1 (ko) 전자장치내부에적어도1개의메모리카드를적재하거나이전자장치로부터적어도1개의메모리카드를배출시키기위한적재장치
US7937720B2 (en) Disk carrying device and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H0570225B2 (ko)
KR950008090B1 (ko) 미니디스크 플레이어 구동장치
JP2732221B2 (ja)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ー
US6219324B1 (en) Disk carrier with levers holding and carrying a disk in horizontal direction
JP3792513B2 (ja) ディスク装置
JPH0226308B2 (ko)
JPS59191167A (ja) カセツト移送装置
US6643249B2 (en) Disc ejecting apparatus
KR0147576B1 (ko) 카세트 로딩장치
KR100293328B1 (ko) 디스크 재생장치
US6707781B2 (en) Disc changer comprising mechanism to prevent unfavorable noise
KR100383475B1 (ko) 광 디스크 카트리지용 이송 기구
KR910002032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구동 모터를 이용한 구동장치
JP3496419B2 (ja) 印字機能を有した磁気読み取り装置
JP2002117602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搬送機構
US4665452A (en) Cassette ejector for video cassette recorder
KR950013938B1 (ko) 미니디스크 플레이어 구동장치
KR100524779B1 (ko) 광디스크 로딩장치
KR20000055547A (ko) 브이씨알 데크의 양방향 공회전 동력 전달 장치
KR900000044Y1 (ko) 디스크의 로딩장치
JP295901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636430A (ja) ディスク装置のカートリッジ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