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6530B1 - 컴퓨터 전화 통합을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전화 통합을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6530B1
KR100586530B1 KR1020050018473A KR20050018473A KR100586530B1 KR 100586530 B1 KR100586530 B1 KR 100586530B1 KR 1020050018473 A KR1020050018473 A KR 1020050018473A KR 20050018473 A KR20050018473 A KR 20050018473A KR 100586530 B1 KR100586530 B1 KR 100586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ti
terminal
mcu
conference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191A (ko
Inventor
김철교
김영준
우창우
임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라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라이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라이콤
Priority to KR102005001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530B1/ko
Publication of KR20050030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CTI의 음성안내에 따라 MCU에 다자간 회의공간을 마련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 단말기를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는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은 개설자 단말기에서 CTI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CTI 서버의 음성안내에 따라 명령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명령어로 부터 회의공간 개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CTI 서버의 음성안내에 따라 참석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참석자의 초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은 별도의 응용프로그램 없이 CTI의 음성안내에 따라 MCU에 다자간 회의공간을 마련함으로써, IP-Phone, 영상 전화기, 하드웨어 단말기, Voip-Phone, 동영상 핸드폰 등의 H.323 표준 프로토콜이나 SIP을 사용하여 다자간 비디오와 오디오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장비와 MCU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상회의, MCU, CTI

Description

컴퓨터 전화 통합을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Method for multipoint videoconference establishment using computer telephony intergration}
도 1은 종래의 MCU 장치를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MCU 장치를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개설자 단말기 110 : CTI 서버
120 : MCU 컨트롤 키워드 130 : MCU 서버
140 : 인증/운영 서버 150 : 사용자 인증부
160 : 참석자 단말기
본 발명은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CTI의 음성안내에 따라 MCU에 다자간 회의공간을 마련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 단말기를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는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회의 시스템은 화상회의에 참여하고자 하는 각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간에 영상과 음성을 이용한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하는데, 최근에는 공중망이나 패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PC 또는 독립적인 하드웨어를 구비한 단말기를 통해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통신을 지원한다. 이때 각 단말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MCU(Multipoint Control Unit)나 음성 데이터 릴레이(Relay) 서버 등을 이용한다.
도 1은 종래의 MCU 장치를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U(10)는 회의그룹 내의 단말기(20)들과 연동되어 다 자간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혼합하여 재분배하고, 각 단말기(20)간의 정보를 H.323 프로토콜을 통해서 용량 교환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MCU(10)는 회의에 참석하거나 퇴실한 결과를 각각의 단말기(20)에 보내 현재의 상태를 수정하며 새로운 참가 단말기에는 고유의 식별자(ID)를 부여하게 된다. 각 단말기(20)들은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압축ㆍ복원하여 송수신하고, 마이크, 스피커, 비디오 카메라, 모니터 등의 입출력 장치를 통해 다자간의 화상회의를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모든 회의그룹 내에 있는 모든 단말기들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가 MCU로 전송되기 때문에 상기 MCU에서 많은 대역폭과 높은 컴퓨팅 전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일시에 많은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 일시적인 병목현상이 발생하며, 데이터의 전달 지연으로 인해 실시간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MCU 장치를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H.323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표준 화상회의 시스템은 다자간 회의를 진행하기 위해 MCU 서버를 사용한다.
상기 화상회의 시스템은 개설자 컴퓨터(30)에서 MCU 응용프로그램(35)을 실행한 후, 인터넷을 통해 인증/운영 서버(40)에 접속한다. 상기 인증/운영 서버(40)에서는 사용자 인증부(45)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을 거쳐 운영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이후, MCU 서버(50)에서 다자간 접속공간을 개설하면, 참석자 단말기(55)와 개설자 단말기(60)를 초대하여 다자간 화상회의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말기에서 MCU에 접속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특정 다자간 회의공간의 지정 번호로 접속하거나 상기 MCU가 제공하는 웹 또는 클라 이언트 서버(Client Server) 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서만 가능했다.
이는 단순한 화상회의 장비인 영상 전화기나 자체 MCU 프로그램을 소유하고 있지 못한 단말기에서 다자간 화상회의를 하기 위해서 컴퓨터상의 별도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H.323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별도의 응용프로그램 없이 CTI의 음성안내에 따라 MCU에 다자간 회의공간을 마련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 단말기를 자동으로 호출할 수 있는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개설자 단말기에서 CTI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CTI 서버의 음성안내에 따라 명령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명령어로 부터 회의공간 개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CTI 서버의 음성안내에 따라 참석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참석자의 초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 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설자 단말기에서 CTI 서버로 접속하여 진행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진행하지 않을 경우에 종료되고, 진행할 경우에 개설자 단말기의 음성안내를 받는다(S110). 상기 음성안내는 저장된 명령어를 이용한다.
상기 음성안내에 따라 숫자버튼을 눌러 회의공간 개설 여부를 판단한다(S120). 만약, 회의공간을 개설하지 않는다거나 숫자버튼을 잘못 누를 경우 또는 일정 시간이 초과되면 음성안내를 받는다(S130). 다시 음성안내를 받아 회의공간을 재개설할 지 여부를 물어보는데, 이때 회의공간을 재개설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되고, 재개설할 경우에는 회의공간 개설에 따른 음성안내를 듣는다(S150).
그러나 상기 S120 단계에서 회의공간을 개설할 경우 바로 회의공간 개설에 따른 음성안내를 듣는다(S150). 이때, CTI 서버는 입력받은 숫자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텔넷(Telnet) 명령을 사용하여 MCU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텔넷 명령을 받은 MCU 서버는 다자간 회의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이후, 개설자 단말기에서 참석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하여 호출신호를 보낸다(S160). 만약, 참석자 단말기 번호를 잘못 입력했거나 아직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다시 음성안내를 받아(S150) 참석자 번호를 다시 입력하고(S160), 참석자 단말기 번호 입력을 완료하면 참석자의 초대 여부를 판단한다(S170). 만약, 참석자가 초대되지 않았거나 무응답일 경우에 다시 음성안내를 하여(S180) 참석자의 재초대 여부를 판단한다(S190). 만약, 참석자가 재초대에도 응하지 않거나 초대되지 않을 경우에는 종료되고, 재초대에 응하면 다시 음성안내를 하여(S150) 상기 S150 단계부터 S170 단계를 반복한다. 참석자가 초대될 경우에는 개설된 회의공간에 개설자와 참석자가 모여 음성안내에 따라 행동하면 된다(S20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상회의 시스템은 크게 CTI 서버(110), MCU 서버(130), 인증/운영 서버(140)로 구성되어 있다.
CTI 서버(110)는 개설자 단말기(100)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때 진행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CTI 서버(110)는 MCU 컨트롤 키워드(120)상의 명령어로부터 개설자가 입력한 숫자를 상기 MCU 컨트롤 키워드(120)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텔넷 명령을 사용하여 MCU 서버(130)로 전송한다.
상기 텔넷 명령을 받은 MCU 서버는 인증/운영 서버(140)의 사용자 인증부(150)에서 사용자 인증을 받고 다자간 회의공간을 마련한다. 이후, PC 단말기, 하드웨어 단말기, IP-Phone,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Phone, 일반 전화기 등의 참석자 단말기(160)에 호출 신호를 보내 접속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설자 단말기(200)에서 CTI 서버(210)로 접속하면, 상기 CTI 서버(210)는 음성안내를 하고, 개설자는 음성안내에 따라 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개설자가 입력한 번호를 MCU 컨트롤 키워드(12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는 표 1과 같다.
다이얼 명령어
1 Create Room
2 Invite User
3 H.323 Video Type
예를 들면, 음성안내에서 회의공간을 만들려면 '1번', 참석자를 초대할려면 '2번'을 입력하라 하면, 개설자는 상기 음성안내에 맞춰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상기 표 1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MCU 컨트롤 키워드(120)는 컨트롤 키워드 관리 프로그램(260)에 의해 다양한 MCU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후, 상기 개설자에 의해 입력된 숫자는 텔넷 프로그램(250)을 사용해 텔넷 명령을 MCU 서버(230)에 전송하고, 다자간 회의공간을 만든다. 이후, PC 단말기, 하드웨어 단말기, IP-Phone, SIP Phone, 일반 전화기 등의 참석자 단말기(240)에 호출 신호를 보내 자동으로 호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은 별도의 응용프로그램 없이 CTI의 음성안내에 따라 MCU에 다자간 회의공간을 마련함으로써, IP-Phone, 영상 전화기, 하드웨어 단말기, Voip-Phone, 동영상 핸드폰 등의 H.323 표 준 프로토콜이나 SIP을 사용하여 다자간 비디오와 오디오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장비와 MCU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에 있어서,
    (a) 인터넷에 연결된 개설자 단말기가 CTI 서버로 접속되는 단계;
    (b) 회의공간의 개설을 위한 명령어를 입력받기 위하여 상기 CTI 서버가 개설자 단말기로 안내 음성을 전달하는 단계;
    (c) 인가되는 회의공간 개설 여부 신호를 상기 CTI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판단 단계에서 회의 공간 개설이 선택되면 상기 CTI 서버는 텔넷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텔넷 명령을 MCU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e) 참석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받기 위하여 상기 CTI 서버가 개설자 단말기로 안내음성을 전달하는 단계; 및
    (f) 상기 입력된 참석자 단말기 번호에 해당하는 참석자의 초대를 확인하는 초대 확인 신호를 CTI 서버가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CTI를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명령어는 MCU 컨트롤 키워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50018473A 2005-03-05 2005-03-05 컴퓨터 전화 통합을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 KR10058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73A KR100586530B1 (ko) 2005-03-05 2005-03-05 컴퓨터 전화 통합을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73A KR100586530B1 (ko) 2005-03-05 2005-03-05 컴퓨터 전화 통합을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191A KR20050030191A (ko) 2005-03-29
KR100586530B1 true KR100586530B1 (ko) 2006-06-07

Family

ID=3738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473A KR100586530B1 (ko) 2005-03-05 2005-03-05 컴퓨터 전화 통합을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5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191A (ko) 2005-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5619B1 (en) Anonymous voice communication using on-line controls
US68316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conference initiation
KR100373323B1 (ko) 영상회의 시스템에서의 다자간 영상회의 방법
US80004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rty collaboration enhancement
CA2888180C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030158900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eleconferencing
US7653013B1 (en) Conferencing systems with enhanced capabilities
US77689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half duplex and full duplex conferencing
WO2015131709A1 (zh) 一种电视会议中与会者私聊的方法及装置
WO2013067692A1 (zh) 一种多会议系统互通的方法及系统
CN111246150A (zh) 视频会议的控制方法、系统、服务器和可读存储介质
CN114553841B (zh) 一种基于云服务的通讯方法及系统
TW2003010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dio bridge
US200502764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bgroup conversation during a teleconference
CN113949596B (zh) 一种设备连接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100586530B1 (ko) 컴퓨터 전화 통합을 이용한 다자간 화상회의 개설 방법
Cisco Using the IP/VC 3540 MCU
US20100299736A1 (en) Automated session admission
JP2006345103A (ja) メディア会議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100598351B1 (ko) 이기종 망간의 다자간 회의 장치
CN113872778B (zh) 一种设备连接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100463876B1 (ko) 화상회의 제어 방법
KR20030021222A (ko) 에스아이피를 이용한 화상회의 제어 시스템
JP2007067535A (ja) 電子会議における参加制御方法
KR20010059723A (ko) 멀티미디어 화상회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화상회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