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737B1 -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737B1
KR100585737B1 KR1020030070863A KR20030070863A KR100585737B1 KR 100585737 B1 KR100585737 B1 KR 100585737B1 KR 1020030070863 A KR1020030070863 A KR 1020030070863A KR 20030070863 A KR20030070863 A KR 20030070863A KR 100585737 B1 KR100585737 B1 KR 10058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mobile phone
slide
locking
h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033A (ko
Inventor
정윤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7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배터리 커버의 상단부에 한 쌍의 후크가 구비되고, 휴대폰 본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양쪽 후크가 걸리는 한 쌍의 걸림부가 중간 하측부에 형성되고 파지부가 상면 중간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걸림판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휴대폰 본체의 안내홈과 슬라이드 걸림판의 일단부 사이에는 슬라이드 걸림판을 로크방향으로 탄력지지하기 위한 압축스프링과 같은 탄력 지지수단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휴대폰 본체에 구비된 슬라이드 걸림판의 양쪽 걸림부가 스프링에 일측으로 탄력 지지되어 배터리 커버의 양쪽 후크에 걸리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휴대폰이 떨어져 충격력이 가하여 지는 경우에도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충격력이 가하여지지 않는 한 배터리 커버의 로킹 상태가 무단히 해제됨이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으며, 더욱이,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를 분리할 때에 손가락 하나로 슬라이드 걸림판의 파지부를 한 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드 걸림판과 배터리 커버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커버를 간편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를 포함한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여 사용상 편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BATTERY COVER LOCKING APPARATUS FOR POTABLE PHON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의 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휴대폰의 로킹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휴대폰의 로킹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내지 도 9는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종래 휴대폰을 장식판과 배터리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보인 평면도.
도 5는 종래 휴대폰을 배터리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보인 평면도.
도 6 내지 도 9는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0은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폰 본체 102 : 안내홈
103 : 지지돌기 120 : 배터리 커버
122 : 후크 122a : 제1 경사면
122b : 제2 경사면 300 : 슬라이드 걸림판
301 : 걸림부 301a : 만곡면
302 : 파지부 303 : 지지돌기
304 : 경사턱 400 : 탄력 지지수단
410 : 스프링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본체에 배터리 커버가 안정하게 로크되고, 분리 시킬 때에 간편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휴대폰의 로킹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휴대폰의 로킹부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100)에 배터리(110)와 배터리 커버(120)가 결합되고, 휴대폰 본체(100)의 상측부에는 배터리 커버(120)를 잠그기 위한 로킹부(130)가 구비되어 있으며, 로킹부(130) 외측으로 데코 플레이트(140)가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부(130)는 휴대폰 본체(100)의 상측 중 간부에 형성된 축지부(101)에 로커(131)가 축(131a)으로 소정 간격만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커(131)의 하측으로 로커(131)를 상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스프링(132)이 결합되어 있으며, 로커(131)에는 걸림간(131b)이 형성되어 배터리 커버(120)의 걸림간(120a)을 걸어 로킹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는 휴대폰 본체(100)에 배터리 커버(120)가 결합되면 배터리 커버(120)의 걸림간(120a)이 휴대폰 본체(100)에 설치된 로커(131)의 걸림간(131b)에 걸려 로킹되며, 배터리 커버(1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로커(131)를 눌러 로커(131)의 걸림간(131b)과 배터리 커버(120)의 걸림간(120a)의 로킹을 해제한 후 배터리 커버(120)를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는 단말기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떨어지면 위치 에너지가 충격 에너지로 변경되면서 도 3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충격이 가하여짐에 따라 로커(131)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32)이 압축되어 갭(gap)이 생기면서 로커(131)의 걸림간(131b)과 배터리 커버(120)의 걸림간(120a)이 이탈되어 배터리 커버(120)가 무단히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인은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를 개발하여 대한민국 출원번 호 10-2003-18528호(명칭: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로 선출원한 바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선출원한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도 4에는 종래 휴대폰을 장식판과 배터리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보인 평면도, 도 5에는 종래 휴대폰을 배터리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보인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6 내지 도 9에는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10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배터리 커버(120)의 상단부에 한 쌍의 후크(121)가 구비되고, 휴대폰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1)가 걸리는 걸림부(151)를 갖는 한 쌍의 가동 걸림판(150)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양쪽 가동 걸림판(150) 사이에는 양쪽 가동 걸림판(150)을 폭방향 외측으로 확개시키기 위한 탄성 확개수단(200)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양쪽 가동 걸림판(150)의 걸림부(151)는 외측부가 만곡면(151a)으로 형성되고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1)는 내측부가 경사면(121a)으로 형성되어 있어, 배터리 커버(120) 결합 시 후크(121)의 내측 경사면(121a)과 걸림부(151)의 만곡면(151a)에 의해 양쪽 가동 걸림판(150)이 폭방향 내측으로 오므라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 확개수단(200)은 휴대폰 본체(100)의 상측 중간부에 형성된 지지부(101)와 상기 양쪽 가동 걸림판(150) 사이에 스프링(160)이 삽입되어 양쪽 가동 걸림판(150)을 폭방향 외측으로 탄력 지지하여 상기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1)가 양쪽 가동 걸림판(150)에 긴밀하게 걸려 로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쪽 가동 걸림판(150)은 베이스(150a)의 중간부에 파지부(150b)가 돌출 형성되고, 하측 중간부에 돌출형성된 돌출부(150c)에 걸림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1)의 외측부에는 경사면(121b)이 형성되고, 상기 양쪽 가동 걸림판(150)의 단부에는 돌출턱(150d)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양쪽 가동 걸림판(150)이 오므라지는 때에 상기 양쪽 가동 걸림판(150)의 돌출턱(150d)과 양쪽 후크(121)의 외측 경사면(121b)에 의해 배터리 커버(120)가 분리방향으로 밀려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170은 휴대폰 본체(100)에 배터리 커버(120) 위로 내측의 로크부를 가리기 위하여 결합되는 장식판을 보인 것이고, 171은 장식판(170)에 내측의 가동 걸림판(150)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통공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선출원한 종래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9는 휴대폰 본체(100)에 배터리 커버(120)가 결합되고,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1)가 휴대폰 본체(100)에 설치된 양쪽 가동 걸림판(150)에 걸려 로킹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는 이와 같이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1)가 휴대폰 본체(100)의 양쪽 가동 걸림판(150)에 의해 로킹되므로 휴대폰이 떨어져 받게 되는 충격력 등의 외력이 가하여 지는 경우에도 무단히 분리되지 않고 로킹 상태가 먼저 설명한 기존 장치에 비하여 보다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휴대폰 본체(100)에 배터리 커버(120)가 결합되어 로킹된 도 7 및 도 9의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120)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데코 플레이트(180)의 개구부(181)로 노출된 누름버튼(160)을 누르게 되면 누름버튼(16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누름버튼(160)의 양측 경사면(161)에 의해 양쪽 가동 걸림판(150)의 경사면(151)이 좌우 양외측으로 밀리면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양쪽 가동 걸림판(150)이 좌우 양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1)가 양쪽 가동 걸림판(150)으로부터 로킹이 해제되어 배터리 커버(12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는 휴대폰 본체(100)에 구비된 양쪽 가동 걸림판(150)이 좌우 양쪽의 스프링(170)에 의해 폭방향 내측으로 탄력 지지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휴대폰이 떨어져 도 9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충격력이 가하여 지는 경우에도 배터리 커버(120)의 로킹 상태가 무단히 해제됨이 없이 안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인이 선출원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를 분리할 때에 두 손가락을 집게 모양으로 해서 배터리 커버를 로크시키기 위한 가동 걸림판을 잡아 다녀야 하고, 가동 걸림판의 파지부를 수평으로 잡아 다녀야 하므로 분리할 때 손가락의 자세가 불안정하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휴대폰 본체에 배터리 커버가 안정하게 로크되고, 분리 시킬 때에 간편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는 휴대폰 본체에 구비된 배터리 수용실에 배터리가 삽입되고, 배터리 커버가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가 로크 및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에 있어서, 휴대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의 상단부에 한 쌍의 후크가 구비되고, 휴대폰 본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양쪽 후크가 걸리는 한 쌍의 걸림부가 중간 하측부에 형성되고 파지부가 상면 중간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걸림판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휴대폰 본체의 안내홈과 슬라이드 걸림판의 일단부 사이에는 슬라이드 걸림판을 로크방향으로 탄력지지하기 위한 압축스프링과 같은 탄력 지지수단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의 걸림부는 외측부가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배터리 커버의 양쪽 후크는 일측부가 제1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커버 결합 시 후크의 제1 경사면과 걸림부의 만곡면에 의해 슬라이드 걸림판이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의 양쪽 후크의 타측부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에는 하측 중간부에 한 쌍의 경사턱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이 일측으로 이동하는 때에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의 경사턱과 양쪽 후크의 제2 경사면에 의해 배터리 커버가 분리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10에는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11 내지 도 14에는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본체(100)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배터리 커버(120)의 상단부에 한 쌍의 후크(122)가 구비되고, 휴대폰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102)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2)가 걸리는 한 쌍의 걸림부(301)를 갖는 슬라이드 걸림판(300)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휴대폰 본체(100)의 안내홈(102)과 슬라이드 걸림판(300)의 일단부 사이에는 슬라이드 걸림판(300)을 로크방향으로 탄력지지하기 위한 탄력 지지수단(400)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300)의 걸림부(301)는 외측부가 만곡면(301a)으로 형성되고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2)는 일측부가 제1 경사면(122a)으로 형성되어 있어, 배터리 커버(120) 결합 시 후크(122)의 내측 경사면(122a)과 걸림부(301)의 만곡면(301a)에 의해 슬라이드 걸림판(300)이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력 지지수단(400)은 휴대폰 본체(100)의 안내홈(102)과 슬라이드 걸 림판(300)의 일단부에 사이에 스프링(410)이 삽입되고 양단부가 지지돌기(103),(303)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300)을 로크방향으로 탄력 지지하여 상기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2)가 슬라이드 걸림판(300)에 긴밀하게 걸려 로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300)은 중간부에 파지부(302)가 돌출 형성되고, 하측 중간부에 한 쌍의 걸림부(3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2)의 타측부에는 제2 경사면(122b)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300)에는 하측 중간부에 한 쌍의 경사턱(30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300)이 일측으로 이동하는 때에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300)의 경사턱(304)과 양쪽 후크(122)의 제2 경사면(122b)에 의해 배터리 커버(120)가 분리방향으로 밀려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4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폰에도 휴대폰 본체(100)에 배터리 커버(120)의 위로 장식판(170)(도 4 참조)이 결합되며, 이 장식판에는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300)이 노출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도 10은 휴대폰 본체(100)에 배터리 커버(120)가 결합되고,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2)가 휴대폰 본체(100)의 안내홈(102)에 설치된 슬라이드 걸림판(300)의 양쪽 걸림부(301)에 걸려 로킹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는 이와 같이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2)가 슬라이드 걸림판(300)의 양쪽 걸림부(301)에 의해 로킹되므로 휴대폰이 떨어져 받게 되는 충격력 등의 외력이 가하여 지는 경우에도 무단히 분리되지 않고 로킹 상태가 먼저 설명한 기존 장치에 비하여 보다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휴대폰 본체(100)에 배터리 커버(120)가 결합되어 로킹된 도 10의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120)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걸림판(300)의 파지부(302)를 밀어 슬라이드 걸림판(300)을 일측으로, 도 11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걸림판(300)의 양쪽 걸림부(301)에서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2)가 분리되어 배터리 커버(120)의 로킹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로킹이 해제되면서 슬라이드 걸림판(300)의 경사턱(304)이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2)의 제2 경사면(122b)을 밀어 도 12와 같이 배터리 커버(120)가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휴대폰 본체(100)와 분리되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휴대폰 본체(100)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 커버(120)를 휴대폰 본체(100)로부터 분리해 내면 슬라이드 걸림판(300)은 스프링(410)의 복원탄력에 의해 도 10의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도 12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120)를 휴대폰 본체(100)에서 들어내고, 배터리를 교환한 후, 배터리 커버(120)를 다시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폰 본체(100)에 배터리 커버(120)를 도 13과 같이 올려 놓고, 도시한 화살표의 방향 위로 밀어 올리면 배터리 커버(120)의 양쪽 후크(122)에 형성된 제1 경사면(122a)이 슬라이드 걸림판(300)의 양쪽 걸림부(301)를 밀어 슬라이드 걸림판(300)을 도 14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배터리 커버(120)가 도 10과 같이 완전히 결합되면 슬라이드 걸림판(300)의 걸림부(301)가 스프링(410)의 복원탄 력에 의해 배터리 커버(120)의 후크(122)를 안정하게 로크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는 휴대폰 본체에 구비된 슬라이드 걸림판의 양쪽 걸림부가 스프링에 일측으로 탄력 지지되어 배터리 커버의 양쪽 후크에 걸리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휴대폰이 떨어져 충격력이 가하여 지는 경우에도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충격력이 가하여지지 않는 한 배터리 커버의 로킹 상태가 무단히 해제됨이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으며, 더욱이,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를 분리할 때에 손가락 하나로 슬라이드 걸림판의 파지부를 한 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드 걸림판과 배터리 커버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커버를 간편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를 포함한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여 사용상 편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폰 본체에 구비된 배터리 수용실에 배터리가 삽입되고, 배터리 커버가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가 로크 및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단부에 한 쌍의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휴대폰 본체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양쪽 후크가 걸리는 한 쌍의 걸림부가 중간 하측부에 형성되고 파지부가 상면 중간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걸림판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휴대폰 본체의 안내홈과 슬라이드 걸림판의 일단부 사이에는 슬라이드 걸림판을 로크방향으로 탄력지지하기 위한 탄력 지지수단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의 걸림부는 외측부가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배터리 커버의 양쪽 후크는 일측부가 제1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커버 결합 시 후크의 제1 경사면과 걸림부의 만곡면에 의해 슬라이드 걸림판이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지지수단은 휴대폰 본체의 안내홈과 슬라이드 걸림판의 일단부에 사이에 스프링이 삽입되고 양단부가 지지돌기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을 로크방향으로 탄력 지지하여 상기 배터리 커버의 양쪽 후크가 슬라이드 걸림판에 긴밀하게 걸려 로킹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의 양쪽 후크의 타측부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에는 하측 중간부에 한 쌍의 경사턱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이 일측으로 이동하는 때에 상기 슬라이드 걸림판의 경사턱과 양쪽 후크의 제2 경사면에 의해 배터리 커버가 분리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KR1020030070863A 2003-10-11 2003-10-11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KR10058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63A KR100585737B1 (ko) 2003-10-11 2003-10-11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863A KR100585737B1 (ko) 2003-10-11 2003-10-11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33A KR20050035033A (ko) 2005-04-15
KR100585737B1 true KR100585737B1 (ko) 2006-06-30

Family

ID=3723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863A KR100585737B1 (ko) 2003-10-11 2003-10-11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7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033A (ko) 200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438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KR20042690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US20070048599A1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20050093304A1 (en) Locking device with releasable latching means
US8320122B2 (en)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GB2343482A (en) Resettable numerical lock
US4291207A (en) Removable push-to-unlock actuator for locking pivoted-subactuator self-enclosed electric switch
US20020158096A1 (en) Retaining base for hanging electronic device
CN1398765A (zh) 盒上的活动盖的锁闭/解锁装置
KR100585737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KR100504823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KR100664242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KR100722879B1 (ko) 이동단말기의 자석식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US3310970A (en) Luggage locks
CN114080356A (zh) 具有可闩锁的盖的容器
KR1005873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덮개 록킹장치
KR100540923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KR100531852B1 (ko)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JP6036325B2 (ja) 蓋の開閉構造、及び電子機器
KR102121790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0661570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102408701B1 (ko) 도어잠금장치의 고정장치
TWM555155U (zh) 按壓式之鎖扣裝置
KR1006526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20041744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