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453B1 - 다기능 자동 수문 - Google Patents

다기능 자동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453B1
KR100585453B1 KR1020030102186A KR20030102186A KR100585453B1 KR 100585453 B1 KR100585453 B1 KR 100585453B1 KR 1020030102186 A KR1020030102186 A KR 1020030102186A KR 20030102186 A KR20030102186 A KR 20030102186A KR 100585453 B1 KR100585453 B1 KR 10058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water
bracket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1206A (ko
Inventor
기인서
Original Assignee
기인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인서 filed Critical 기인서
Priority to KR102003010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453B1/ko
Publication of KR2005007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다기능 자동수문은 내/외측 수위에 따라 암거의 선단에 힌지연결 된 수문이 자동 회동되어 지수 및 배수를 하는 것으로, 상기 암거의 배수로 선단 상부에 일정길이를 가지고 돌출된 지지부를 가지는 수문고정 브라켓과, 상기 수문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연장부와, 상기 제 1연장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 2연장부를 구비하여 수문이 자중에 의해 일정각도 회동 되도록 하는 수문연결브라켓을 구비한다.
이러한 다기능 자동 수문은 수문의 재질을 무겁고 견고한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여도 미소한 수압 차에 의해 수문의 회동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며, 필요시 저수가 가능하고, 내측 침수시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다.
자동, 수문, 다기능, 배수시간, 제2수문, 자중, 무게중심

Description

다기능 자동 수문{A MULTI-FUNCTIONAL AUTO FLOODG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 수문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 수문의 자중에 의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 수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 수문의 결합구조를 나타내 보인 요부평면도,
도 3c는 자동수문 결합구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 수문의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수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수문의 동작예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암거 20 : 수문고정 브라켓
21 : 수문유동홈 22 : 유동조절볼트
30 : 수문연결 브라켓 40 : 수문
41 : 배수구 42 : 제2수문
50 : 수문고정홀 60 : 고정핀
70 : 제어회동바 80 : 회동바지지대
81 : 부력구
본 발명은 자동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의 재질을 자중이 무겁고 견고한 금속재질을 사용하더라도 수문의 개폐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지며, 필요시 수문의 회동을 제어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수할 수 있도록 하고, 배수시간을 줄여 상류 측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는 다기능 자동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수문은 박스형 암거형태로 구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단부에 수문를 고정하여 회전할 수 있는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암거의 선단부 벽면에 "L"형태의 문틀을 콘크리트에 매설하여 이 문틀면에 수문측에 부착된 지수고무가 밀착되도록 하여 내측 수위가 높을 때에는 수압으로 인해 배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측 수위가 높을 때에는 외측 수압에 의해 수문을 문틀에 밀착시켜 지수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문은 가벼운 재질로 제작하기 위하여 F.R.P 석면섬유를 사용하였으나, F.R.P석면섬유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사용을 꺼리고 있다. 바다에 인접한 해안가는 해측의 수압이 크고 파도가 일어서 자중이 무겁고 견고한 금속재질로 하여 제작되고 있는데, 이 경우 자중이 무거워 내측에 수압이 어느 정도 발생되어야 만이 열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문은 내측의 수압이 어느정도 발생되면 수문은 회동되어 배수하게 되므로 유사시 저수해야 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저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외측 수위가 내측 수위보다 낮아지는 시점에서 수문이 회동되어 수문의 하단에서부터 물이 서서히 배수되어 내측 침수시 신속하게 배수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문의 재질을 자중이 무겁고 견고한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여도 미소한 수압 차에 의해 수문의 회동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며, 필요시 저수가 가능하고, 내측 침수시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자동수문을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자동 수문은 내/외측 수위에 따라 암거의 선단에 힌지연결된 수문이 자동회동되어 지수 및 배수를 하는 것으로,
상기 암거의 배수로 선단 상부에 일정길이를 가지고 돌출된 지지부를 가지는 수문고정 브라켓과,
상기 수문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연장부와, 상기 제 1연장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 2연장부를 구비하여 수문이 자중에 의해 일정각도 회동되도록 하는 수문연결브라켓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문고정 브라켓 및 수문연결 브라켓의 일직선상에 관통된 수문고정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문이 자중에 의해 회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수문 고정홀에 끼워지는 고정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문 상에 일정 넓이 관통된 배수구가 형성되며 이 배수구를 수압에 의해 개폐하는 제2수문과, 상기 제2수문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2수문 회동제어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문고정 브라켓상에는 상기 수문연결 브라켓의 선단이 직선 유동되도록 횡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고 관통된 수문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문고정 브라켓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문연결 브라켓의 직선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볼트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수문 회동제어수단은 상기 제2수문의 양측에 위치하며 일측이 절곡된 절곡부위가 상기 수문의 상면에 힌지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바지지대와, 상기 회동바지지대의 선단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수문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어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지지대를 부력에 의해 회동시키도록 일단에 설치되는 부력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자동 수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 수문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 수문의 자중에 의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a는 수문고정 브라켓에 연결브라켓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자동 수문은 암거(10)의 배수로 선단 상부에 일정길이를 가지고 돌출된 수문고정 브라켓(20)과, 수문(4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 고정브라켓(20)에 핀(33)에 의해 힌지 연결되는 수문연결브라켓(30)을 구비한다.
상기 수문 고정브라켓(20)은 상기 암거(1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0a)와, 상기 베이스부(20a)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20b)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수문고정 브라켓(20)에 연결되는 수문연결 브라켓(30)은 상기 수문(40)으로부터 상방으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연장부(31)와, 상기 제 1연장부(31)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 즉, 상기 지지부(22)와 실질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연장부(32)를 구비한다.
한편, 도 3a 및 도 3에는 상기 수문연결 브라켓(30)의 제 2연장부(32)와 상기 수문고정 브라켓(20)의 지지부(20b)에는 일직선으로 관통되는 수문고정홀(5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암거(10)의 개구부를 차폐시 상기 수문고정홀(50)들에 고정핀(60)을 삽입함으로써 수문연결 브라켓(30)을 상기 수문고정브라켓(20)에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수문고정 브라켓(20)의 지지부(20b)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관통된 일정길이의 수문유동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수문연결 브라켓(30)이 상기 수문유동홈(21)상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수문고정 브라켓(20)의 지지부(20b)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유동조절볼트(22)를 구비하여 상기 수문연결 브라켓(30)이 상기 수문유동홈(21)상에서의 유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수문(40)의 상부에는 일정 넓이를 가지는 배수구(41)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구(41)를 개폐하는 제2수문(42)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2수문(42)은 상기 수문(40)에 힌지 결합된다.
한편, 도 5 및 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40)의 전면에는 상기 제2수문(42)의 회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2수문(42)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수문(42)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어 회동바(7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회동바(70)의 양단에는 "ㄴ"자형의 회동바지지대(80)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회동바(70)의 양단은 상기 회동바지지대(80)의 일단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동바지지대(80)의 타단은 소정 부력을 가진 부력구(81)를 구비하도록 하며, 상기 회동바지지대(80)는 그 굴곡부위가 상기 수문(40)의 전면에서 회동되도록 힌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내측의 수위가 외측위 수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수문(40)은 회동되어 내측의 물을 배수하게 된다.
상기 수문(40)은 암거(10)의 선단상부에 일정길이 돌출된 수문고정브라켓(20)의 지지부(20b)에 "ㄱ"자형의 수문연결브라켓(30) 즉, 제2연장부(32)의 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외측의 수압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자중에 의해 일정각도 회동되게 되므로 배수로가 열리게 된다. 즉, 도 3c에 도시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b)의 단부에 제 2연장부(32)의 단부가 연결된 힌지연결부위는 수문(40)의 무게 중심보다 전면 즉, 수문이 열리는 전면 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수문의 무게 중심은 제 2연장부(32)의 힌지 연결부위 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수문이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상기 수문(40)이 자중에 의해 열리게 된다.
따라서, 내측의 수위로 인해 일정수압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물을 용이하게 배수할 수가 있으며, 수문의 재질을 자중이 무겁고 견고한 금속재로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외측의 수위가 높을 경우, 외측의 수압에 의해 상기 수문(40)은 회동되어 배수로를 차폐하여 내측으로의 물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필요 시 물을 수문의 내측에 저수하고자 할 경우, 상기 수문고정 브라켓(20)과 수문연결 브라켓(30)의 수문고정홀(50)에 고정핀(60)을 삽입하여 상기 수문고정 브라켓(20) 및 수문연결 브라켓(30)을 고정시킴으로써, 수문(40)이 배수로를 차폐한 채로 고정된다.
따라서, 내측 수압이 작용하더라도 수문이 차폐된 채로 고정되어 내측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할 수가 있다.
그리고 내측이 침수될 경우, 배수로 내에는 물이 가득차게 되는데, 상기 수문(40)은 회동되어 배수로를 개구하여 배수시킴과 아울러, 수문(40)의 상면에 구비된 제2수문에도 배수로내에 가득찬 물에 의해 수압을 받아 회동되어 개구된다.
따라서, 배수로 내의 물을 수문의 하단 이외에 수문의 상면 제2수문(42)의 의해 배수구를 통해서도 배수시킴으로써, 빠른시간내에 내측의 물을 배수할 수가 있다.
외측의 수위가 내측의 수위보다 높아 수문이 배수로를 차폐하게 될 경우, 외측의 수위가 제2수문(42)까지 도달하게 되면, 회동바지지대(80)의 부력구(81)에 의해 회동바 지지대(80)는 회동하게 되며, 상기 회동바지지대(80)의 회동으로 상기 제2수문(42)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구비된 제어회동바(70)는 상기 제2수문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2수문(42)이 파도에 의해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배수로의 선단에서 물이 배수 또는 유입될 때,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등의 상기 배수로의 선단에 적층되어 퇴적물이 형성되는데, 이럴 경우 수문고정 브라켓(20)상의 유동조절볼트(22)를 동작시켜 수문유동홈(21) 상에서 상기 수문연결 브라켓(30)이 유동되도록 하여 수문(40)과 배수로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퇴적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하여 적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문(40)이 유동됨으로써, 퇴적물을 간섭하여 배출시켜 퇴적물에 의해 수문이 회동되지 못하는 일이 발생되지 않아 수문의 제기능을 다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문의 재질을 금속재질로 하여 보다 견고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수문의 연결시 무게중심을 이동시킴으로써, 내/외측의 미소한 수압 차에 의해서도 수문이 쉽게 회동되게 함으로써,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필요시 저수가 가능하고, 내측 침수시 신속하게 배수시켜 침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문과 배수로의 선단 사이에 적층되는 퇴적물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가 있어 퇴적물을 제거해야 하는 별도의 퇴적물 제거작업과 준설의 필요성을 없애 관리 및 유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내/외측 수위에 따라 암거의 선단에 힌지연결된 수문이 자동회동되어 지수 및 배수를 하는 자동 수문에 있어서,
    상기 암거의 배수로 선단 상부에 일정길이를 가지고 돌출된 지지부를 가지는 수문고정 브라켓과,
    상기 수문이 자중에 의해 일정각도 회동되도록 상기 수문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연장부와, 상기 제 1연장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 2연장부을 가진 수문연결브라켓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자동 수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고정 브라켓의 지지부와 수문연결 브라켓에 각각 수문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문이 자중에 의해 회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수문고정홀들에 결합되는 고정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자동 수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상에 일정 넓이를 가지고 관통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수압에 의해 개폐하는 제2수문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자동 수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고정 브라켓의 지지부에 상기 수문연결 브라켓의 선단이 직선유동되도록 횡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고 관통된 수문유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문고정 브라켓의 지지부 선단에 상기 수문연결 브라켓의 직선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볼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자동 수문.
  5. 삭제
KR1020030102186A 2003-12-31 2003-12-31 다기능 자동 수문 KR10058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2186A KR100585453B1 (ko) 2003-12-31 2003-12-31 다기능 자동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2186A KR100585453B1 (ko) 2003-12-31 2003-12-31 다기능 자동 수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975U Division KR200346737Y1 (ko) 2003-12-31 2003-12-31 다기능 자동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206A KR20050071206A (ko) 2005-07-07
KR100585453B1 true KR100585453B1 (ko) 2006-06-07

Family

ID=3726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2186A KR100585453B1 (ko) 2003-12-31 2003-12-31 다기능 자동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50B1 (ko) 2006-05-08 2007-03-23 (주)동림산업 자동문비의 개폐장치
KR101577977B1 (ko) 2015-04-14 2015-12-16 주식회사 수경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535A1 (ko) * 2012-08-01 2014-02-06 지앤지 주식회사 다기능 생태 하천
KR102004364B1 (ko) * 2017-06-14 2019-07-29 주식회사호도스이노텍 외측의 수위변화에 따라 개폐시점이 변하는 모멘트 자동수문을 이용한 해안가 수중어도
CN109723042A (zh) * 2019-03-14 2019-05-07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排水箱涵防回淤设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550B1 (ko) 2006-05-08 2007-03-23 (주)동림산업 자동문비의 개폐장치
KR101577977B1 (ko) 2015-04-14 2015-12-16 주식회사 수경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206A (ko)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453B1 (ko) 다기능 자동 수문
KR200346737Y1 (ko) 다기능 자동 수문
KR101773826B1 (ko) 수문의 저층수 배수장치
KR200246774Y1 (ko) 수문 개폐장치
JP3074672B2 (ja) 排砂流路の二段ゲート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100514954B1 (ko) 하향식 가동보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KR200178138Y1 (ko) 수압 자동 수문
KR200446309Y1 (ko) 유압식 수문장치
KR101428633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KR200404202Y1 (ko) 여울형 자동수문
KR20170081378A (ko)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KR100279191B1 (ko) 수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수문
KR100640150B1 (ko) 하천 수중보 및 댐용 하향식 수문의 덮개
KR20037742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자동개폐식 하천 배수문
KR20010109059A (ko) 자동수문
KR100608336B1 (ko)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JP2005171691A (ja) ピアレス型ゲート
KR200153478Y1 (ko) 자동수문
KR100288778B1 (ko) 수문
KR101133928B1 (ko) 수문 개폐 장치
KR20050097099A (ko) 슬라이드형 수문
JP2001065720A (ja) 逆流防止用ゲート
KR200217658Y1 (ko) 자동보 수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