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392B1 -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392B1
KR100584392B1 KR1020040098563A KR20040098563A KR100584392B1 KR 100584392 B1 KR100584392 B1 KR 100584392B1 KR 1020040098563 A KR1020040098563 A KR 1020040098563A KR 20040098563 A KR20040098563 A KR 20040098563A KR 100584392 B1 KR100584392 B1 KR 100584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amera
mobile communication
image
communication terminal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우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카메라와 범용직렬버스(USB) 2.0인터페이스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상태를 확인하였다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카메라와의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게 이미지의 축소화상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를 받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저장된 모든 이미지의 메타데이터에서 축소화상 정보를 발췌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에 표시된 축소화상 정보를 확인하여, 전송받길 원하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이미지의 크기를 수정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받은 이미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임베디드파일링시스템(EFS)에 저장하는 과정을 통하여 카메라 모듈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단말기에서도 간편하게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USB 1.0, USB 2.0, OTG, 메타데이터, 축소화상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OF DIGITAL CAMERA AND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도 1은 일반적인 이동단말기에서 디지털카메라의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와 디지털카메라의 직접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와 디지털 카메라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와 디지털카메라간의 이미지데이터의 이동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와 디지털카메라간의 이미지데이터의 이동 절차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카메라를 이동통신 단말기와 직접 연결하여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이나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여러 가지 부가기능들이 제공되었다. 예를 들어, 배경화면 설정, 발신자 번호표시와 함께 발신자의 사진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이미지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송할 수 있는 멀티메일 전송 등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기위해서는 이미지데이타가 필요하게 되며, 상기 이미지데이터는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직접 촬영한 이미지데이터를 이용하거나 카메라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컴퓨터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미지데이터를 전송받았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컴퓨터(PC)로부터 이미지데이터를 수신받는 절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하 "단말기"로 칭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카메라의 이미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카메라(150)의 이미지를 단말기(100)로 옮기기 위해서는 PC(120)와 디지털 카메라(150)가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칭함)케이블이나 데이터케이블로 연결되어 이미지를 PC(120)로 다운로드 한 다음, USB케이블이나 데이터케이블로 연결된 단말기(100)와 PC(120)를 PC 링크와 같은 PC용 단말기 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C(120)에서 단말기(100)로 이미지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디지털카메라와 PC 또는 단말기와 PC를 연결하는 USB케이블(110, 130)은 USB 1.0 인터페이스로서 반드시 호스트로 동작하는 PC(120)가 있어야 된다는 단점이 있다. 호스트-주변기기(Host-Peripheral) 개념으로 성립되는 USB 기술은 중심 역할을 하는 PC(120)가 없다면 단말기(100)는 디지털 카메라(150)의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단말기는 대부분 지원되는 화소수나, 광학 줌, 혹은 카메라 수동기능의 한계로 인해 디지털 카메라에 비해 화질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카메라가 장착되지 않은 단말기는 컴퓨터에 저장된 이미지로부터 전송받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를 PC에 연결하여 이미지 데이터 전송 후, 다시 단말기를 PC에 연결하여 수신받기 때문에 번거로우며,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이미지데이터 를 전송을 받을시엔 전송이나 다운시 용량에 따른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USB 2.0의 OTG 기능을 이용하여 PC 없이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데이터를 휴대폰으로 직접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폰의 연결 후 상기 디지털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축소화상을 통해 이미지와 크기를 선택한 후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카메라와 범용직렬버스(USB) 2.0인터페이스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상태를 확인하였다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카메라와의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게 이미지의 축소화상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를 받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저장된 모든 이미지의 메타데이터에서 축소화상 정보를 발췌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에 표시된 축소화상 정보를 확인하여, 전송받길 원하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이미지의 크기를 수정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받은 이미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임베디드파일링시스템(EFS)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확장 메모리부와, 상기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의 메타데이터에서 축소화상 정보를 얻어내는 데 사용되는 축소화상 처리부와, 이미지에 대한 크기 수정을 하게 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카메라가 USB 2.0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USB연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카메라간에 USB 2.0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USB연결부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이미지데이터를 USB 2.0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읽어 들이는 역할을 수행하는 USB OTG 핵심부와, 상기 읽어온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되는 임베디드 파일 시스템(EFS)부와,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EFS내에 저장하거나 메모리상으로 읽어오는 카메라 이미지 제어부와, 디지털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동통 신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고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제어하는 UI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USB 주변장치 간에 데이터 이동을 가능하게 해 주는 USB 2.0의 OTG(On-The-Go) 기능을 이용하여 PC 없이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를 휴대폰으로 다이렉트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전송할 사진 선택을 위해 축소화상(thumbnail)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USB 2.0의 OTG 기술이란, 기존 USB 1.0은 반드시 호스트-주변기기(host-device) 형태의 연결이 필요하여 PC와 MP3간의 연결, PC와 디지털 카메라의 연결로 USB 컨트롤러가 내장된 PC가 있어야만 USB 상호간에 연결성을 보장하였으나, USB OTG 기능을 내장한 주변기기에 호스트로써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여 주변기기끼리의 연결과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상기 USB OTG 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USB 주변기기만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USB 인터페이스를 좀더 많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게 된 것이다. 이미 단말기에 장착되는 퀄첨 6250칩에서도 USB OTG 기능을 위한 블럭이 포함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지털카메라의 직접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카메라(150)와 단말기(100)는 USB 2.0 인터페이스(130)를 연결하였으며, 상기 단말기(100)가 호스트역할로서 전송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150)로부터 이미지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디지털 카메라의 장점은 이미지에 메타데이터(Meta Data)를 담을 수 있다는 것이다. 메타데이터는 촬영정보라 할 수 있으며, 촬영한 카메라의 종류, 감도, 노출정보, 촬영일시 등 각종 촬영순간의 정보를 이미지와 함께 기록하여 이미지 파일 내부의 일정 부분에 저장하므로 나중에 이미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한 키워드 방식의 검색기능과 함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이미지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파일포맷을 교환 이미지 파일형식(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라고 한다. 즉, 화상데이터와 함께 촬영날짜 등의 텍스트 정보와 축소화상(Thumb nail)정보가 함께 기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이미지파일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축소화상을 추출하여 사용자 선택에 사용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카메라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은 단말기(300)와 디지털 카메라(350)로 이루어져 있으며, USB 연결부(305, 355)를 통해 연결된 USB케이블(330)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디지털 카메라(350)에서 축소화상(Thumbnail) 처리부(365)는 확장 메모리(Extended Memory)(37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의 메타데이터에서 축소화상 정보를 얻어내는 데 사용된다. 이미지 처리부(360)는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에 대한 리사이즈(resize)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기(300)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미지는 큰 이미지가 필요 없으며, 용량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이미지 처리를 통해 작은 사이즈로 처리된다. 물론 단순히 저장을 위한 전송에는 이미지처리를 하지 않는다.
상기 단말기(300)의 USB OTG Core(310)의 경우 상기 디지털 카메라(350)에 저장된 이미지데이터를 USB케이블(330)을 통해 상기 단말기(300)로 읽어 들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메라 이미지 제어부(315)의 경우 읽어 온 이미지데이터를 단말기(300)의 임베디드 파일시스템(Embedded File System, 이하 "EFS"라 칭함)(125)내에 저장하거나 메모리상으로 읽어 온다. 여기서 EFS란, 단말기의 하드웨어내에 있는 펌웨어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파일시스템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라 칭함) 제어부(320)는 디지털카메라(350)에서 먼저 전송되는 축소화상 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나타내고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UI 화면을 제어한다
그러면, 디지털 카메라에서 찍은 사진을 단말기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는 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과 디지털카메라간의 이미지이동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기(400)는 디지털카메라(450)가 OTG 기능이 있는 USB 2.0 인터페이스(470)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연결되었다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450)에 있는 USB 2.0의 OTG기능을 통해, 상기 단말기(400)는 USB 호스트 기능으로 호스트가 되어,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는 준비상태로 진입한다.
410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450)는 단말기로 축소화상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450)에서 촬영하여 저장된 이미지(예:JPEG)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형태의 메타데이터를 지원하며 카메라 제조사, 노출 정보, 축소화상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메타데이터의 각종 정보에서 축소화상 정보를 읽어 내어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것이다.
420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400)에 표시된 축소화상 정보에서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고 사진의 크기를 결정하여 디지털 카메라(450)에 전송한다. 430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4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을 리사이즈(resize)하여, 상기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상기 저장된 정보는 휴대폰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며, 이메일이나 멀티메일(MMS)의 형태로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디지털카메라간의 이미지이동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510단계에서 단말기(500)는 디지털카메라(505)와 USB 2.0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상태를 확인하여, 연결되었다면, 51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500)는 디지털 카메라(505)와의 이미지 송수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52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500)는 축소화상 정보를 상기 디지털 카메라(505)에게 요청한다. 상기 요청 메시지를 받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505)는 525단계에서 저장된 모든 이미지의 메타데이터에서 축소화상 정보를 발췌하여, 530단계에서 상기 발췌한 축소화상 정보를 상기 단말기(500)에게 전송한다.
535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500)의 표시부를 통해 전송받은 축소화상 정보를 확인하여, 540단계에서 상기 표시된 이미지중 전송받길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이미지를 사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적절한 크기를 입력한다. 54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500)는 선택한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카메라(505)에게 전송한다. 550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505)는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이미지를 리사이즈하여 555단계에서 상기 리사이즈된 이미지를 단말기(500)에게 전송한다. 560단계에서 상기 전송 받은 이미지를 단말기(500)의 EFS에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를 휴대폰으로 직접 읽어올 수 있으므로, 현재 카메라 모듈이 부착된 단말기가 제공해 주지 못하는 선명한 화질의 이미지를 단말기의 배경 이미지로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읽어온 디지털 카메라 이미지를 단말기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멀티메일의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단말기에서도 간편하게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카메라와 범용직렬버스(USB) 2.0인터페이스로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상태를 확인하였다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카메라와의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게 이미지의 축소화상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를 받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저장된 모든 이미지의 메타데이터에서 축소화상 정보를 발췌하여, 상기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에 표시된 축소화상 정보를 확인하여, 전송받길 원하는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이미지의 크기를 수정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받은 이미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임베디드파일링시스템(EFS)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카메라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USB OTG(On-THE-GO)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야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확장 메모리부와,
    상기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의 메타데이터에서 축소화상 정보를 얻어내는 데 사용되는 축소화상 처리부와,
    이미지에 대한 크기 수정을 하게 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카메라가 USB 2.0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USB연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카메라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USB OTG(On-THE-GO) 기능을 위한 블럭이 포함되어 있어야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카메라간에 USB 2.0 인터페이스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USB연결부와,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저장된 이미지데이터를 USB 2.0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읽어 들이는 역할을 수행하는 USB OTG 핵심부와,
    상기 읽어온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되는 임베디드 파일 시스템(EFS)부와,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EFS내에 저장하거나 메모리상으로 읽어오는 카메라 이미지 제어부와,
    디지털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고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제어하는 UI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카메라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USB OTG(On-THE-GO) 기능을 위한 블럭이 포함되어 있어야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40098563A 2004-11-29 2004-11-29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0584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563A KR100584392B1 (ko) 2004-11-29 2004-11-29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563A KR100584392B1 (ko) 2004-11-29 2004-11-29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4392B1 true KR100584392B1 (ko) 2006-05-26

Family

ID=3718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563A KR100584392B1 (ko) 2004-11-29 2004-11-29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39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0197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057033A1 (en) Image capture device
EP4002829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loud server
JP2010067060A (ja) メモリカードおよびメモリカードの制御方法
US1164713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09212743A (ja) 電子機器、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984456A (zh) 移动终端和移动终端拍照的控制方法
JPWO2004102931A1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移動体通信端末を用いたコード画像の読み取り方法
WO2022237287A1 (zh) 一种图像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JP2010528508A (ja) 通信装置及び画像送信方法
JP2011077654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12455B2 (en) Image management device
JPWO2008016113A1 (ja) 外部記憶装置およびカメラ
US7797470B2 (en) Method of storing pictur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0584392B1 (ko) 디지털 카메라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JP430703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4072345B2 (ja) ファイル記録制御装置、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ファイル管理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CN114449134A (zh) 一种拍摄方法和终端设备
JP2010147716A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4500819B (zh) 拍摄方法、拍摄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726997B (zh) 图像存储及读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200999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とそれらの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4213487A (ja) カード型装置
JP2001112021A (ja) 撮像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及び撮像部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1175406A (ja) ファイル共有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ファイル共有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