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327B1 -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327B1
KR100583327B1 KR1020030046800A KR20030046800A KR100583327B1 KR 100583327 B1 KR100583327 B1 KR 100583327B1 KR 1020030046800 A KR1020030046800 A KR 1020030046800A KR 20030046800 A KR20030046800 A KR 20030046800A KR 100583327 B1 KR100583327 B1 KR 10058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offset
camera
mobile communica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6834A (ko
Inventor
범재룡
박성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주식회사 텔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주식회사 텔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웨이
Priority to KR102003004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3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해서 RF 채널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에 따르면 특정의 영역에 위치하는 카메라 내장장치에 대해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자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목욕탕이나 연구소 등과 같은 특정의 장소에서 몰래 카메라로 인한 사생활 침해나 영업비밀 침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휴대폰, 카메라 모듈,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 PN 오프셋

Description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RF Control Signal Transmitting Device for Camera Built-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과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가 사용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과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가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과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가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과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가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상태 다이어그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상태 다이어그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어신호 송신장치
120 :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130 : 이동통신 기지국
본 발명은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해서 RF 채널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폰이나 디지탈 캠코더 등과 같이 디지탈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은 향후 일반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이러한 카메라 내장장치를 사용한 사생활 침해 및 기밀보호 문제는 점차로 사회적인 이슈가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특정의 영역, 예컨대 목욕탕, 수영장, 화장실, 박물관, 연구소 등에 위치하는 카메라 내장장치에 대해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요망된다.
이에, 본 발명은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해서 RF 채널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해서 알에프 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소정의 안전모드로 절환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는 현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되는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PN 오프셋("PN 오프셋 0")을 검출하고, 상기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는 상기 PN 오프셋 0과는 상이한 복수 개의 PN 오프셋("PN 오프셋 1 ~ PN 오프셋 N")을 선택하여 상기 제어신호로서 상기 PN 오프셋 1 내지 PN 오프셋 N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알에프 신호를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출력파워로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즉 카메라폰(120)과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110)가 사용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메라폰(120)은 카메라 모듈을 내장한 휴대폰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장치(110)는 특정의 영역, 예컨대 목욕탕, 수영장, 화장실, 박물관, 연구소 등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폰(120)을 제어하여 내장된 카메라 모듈만 소위 안전모드로 설정하고자 한다. 이 때, "안전모드"란 카메라폰(120)의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을 임의로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동작모드로서, 예컨대 카메라폰(120)의 전체동작이 중단되거나 혹은 카메라폰(120)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만 오프로 되거나 하 는 등의 동작모드를 의미한다.
도시된 카메라폰(120)은 기본적으로 셀룰러/PCS/GSM/PHS 등의 특정의 이동통신 규격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이기 때문에 외부의 기지국(130)과 이동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제어신호 송신장치(110)를 소망하는 위치에 부착하여 카메라폰(120)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제어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송신장치(110)는 제어신호로서 이동통신 규격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예컨대 셀룰러의 경우 869 ~ 894 ㎒이고 PCS의 경우 1840 ~ 1870 ㎒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알에프 신호(RF signal)를 송신하는데, 이는 카메라폰(120)은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이들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 따라서 별도의 하드웨어 변경이 수반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신호 송신장치(110)는 동작모드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파일럿 채널 상에서 소정의 예약 PN 오프셋을 사용하거나 혹은 특별히 작성된 단문메세지(SMS)를 반복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이 때, 모드제어를 확실하게 하고 카메라폰(120)의 상태변화를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제어신호는 반복적으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예약 PN 오프셋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로밍 등의 목적을 위해 파일럿 채널을 사용하는데, 이 파일럿 채널 상에서는 각각의 기지국이 나름대로의 PN (Psedo-random Number) 오프셋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의 PN 오프셋을 카메라 내장 휴대폰(120)의 카메라 모듈 제어를 위 하여 예약하여 둘 것을 가정하고 있으며, 제어신호 송신장치(110)는 상기 예약된 PN 오프셋에 따라 알에프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알에프 신호를 수신하는 카메라폰(120)은 상기 수신된 신호의 PN 오프셋을 검출함으로써 현재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에 대해서 제어명령이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다 복잡한 형태의 모드제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필요한 만큼의 PN 오프셋을 예약하여 사용한다.
이어서, 단문메세지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현재 사용상의 편이성으로 인해 SMS (Short Message Service)라고도 불리는 단문메세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제어신호 송신장치(110)는 특정한 포맷의 단문메세지를 반복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카메라폰(120)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안전모드로 설정한다. 단문메세지의 메세지 바디(message body)에는 텍스트 데이터만 포함되고 이진포맷의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동작모드 제어신호로서 사용되는 단문메세지는 메세지 바디 내에 이진포맷 데이터를 설정함으로써 통상적인 단문메세지가 아닌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 제어신호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단문메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식은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에러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이진포맷 데이터는 특정한 값을 갖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문메세지가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드 제어신호일 경우에 상기 메세지 바디는 상기 이진포맷의 모드제어 명령어 외에 다른 부가정보, 예컨대 본 제어신호를 발송하고 있는 제어신호 송신장치(110)의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 안 내정보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폰(120)의 동작모드 제어가 이루어졌을 경우에 카메라폰(12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카메라폰(120)이 어떠한 상태에 있는지 인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부가정보를 광고/홍보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신호 송신장치(110)는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방사하므로 출력파워를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적합한 것인지가 문제인데, 적용하고자 하는 영역의 범위가 천차만별이므로 관리자가 출력파워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설정수단을 송신장치(110)가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정수단으로는 외부에 다이얼 장치를 구비하거나 혹은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컴퓨터를 통해 프로그램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생각할 수 있다.
전술한 바, PN 오프셋을 활용하는 방식과 단문메세지를 활용하는 방식을 비교하면, 양자가 장단점을 나름대로 가지고 있다. 즉, PN 오프셋을 활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카메라폰(120)이 단말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하지않는다면 기지국(130)이 아닌 제어신호 송신장치(110)에 대해서 통신을 시도할 것이므로 정상적인 통화가 불가능하고, 따라서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는 장단점이 있다. 한편, 단문메세지를 활용하는 방식은 단문메세지를 임의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단말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받고자 하지 않을 때 이를 유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즉 카메라폰(220)과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210)가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어신호 송신장치(210)가 소정의 예약 PN 오프셋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제어신호 송신장치(210) 속하는 셀(cell)을 담당하는 이동통신 기지국(230)에서 사용하고 있는 PN 오프셋(이하 "PN 오프셋 0")을 검출하고, 이와는 상이한 PN 오프셋을 복수 개 선택하여 제어신호의 생성에 사용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2에서는 실시예로서 두 개의 PN 오프셋, 즉 PN 오프셋 A와 PN 오프셋 B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는데, 본 발명의 범위는 보다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PN 오프셋을 사용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만, 송신장치(210)가 사용하는 PN 오프셋과 기지국(230)이 사용하는 PN 오프셋을 카메라폰(220)이 구분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송신장치(210)는 동작모드 제어신호를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출력파워를 갖도록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동일한 출력파워를 갖도록 송신한다. 이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폰(220)은 자신에게 전달된 3개의 신호, 즉 PN 오프셋 0에 대응된 신호와 PN 오프셋 A 및 PN 오프셋 B에 대응된 신호 중에서 기지국(23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와 송신장치(21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송신장치(210)가 출력파워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송신장치(210)와 카메라폰(220)은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므로 기지국(230)이 전송하는 신호에 대한 수신파워는 송신장치(210)와 카메라폰(220)이 사실상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신호 송신장치(210)는 먼저 기지국(23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파워를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확연히 구별되는 출력파워로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정의 임계치는 세 개 이상의 셀이 우연히 공유하게 되는 영역에서 통상적으로 얻게되는 수신파워와는 확실히 구별할 수 있는 레벨로 선정되어야 하며,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내용을 구현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어신호 송신장치(110, 210)는 자신이 송신하는 제어신호와 기지국(130, 230)이 송신하는 통상의 신호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송신장치(110, 210)가 기지국(130, 230)으로부터 전송되는 통상의 이동통신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시점, 즉 휴지 시점을 판단하여 상기 휴지 시점에 동작모드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즉 카메라폰(320)과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310)가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송신장치(310)가 복수 개의 이동통신 규격, 예컨대 셀룰러/PCS 등을 동시에 지원하도록 구현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사업자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이동통신 규격에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따라서 카메라폰(320)도 서로 상이한 규격의 제품이 혼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환경을 고려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송신장치(310)는 지원하고자 하는 복수 개의 이동통신 규격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개의 서브송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서브송신모듈은 각각 대응하는 이동통신 규격에 기초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송신장치(110, 210)의 동작을 수행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사업자 별로 독립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므로 예약 PN 오프셋으로 사용가능한 오프셋 값이 사업자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 서브송신모듈 별로 서로 상이한 PN 오프셋을 선택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즉 카메라폰(420)과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410)가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메라폰(420)은 무선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칩(430)을 내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의 송신장치(410:1, 410:2)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 제1 통신장치(410:1)가 통신 칩(430)과 통신하여 카메라폰(420)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안전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역으로 제2 통신장치(410:2)가 통신 칩(430)과 통신하여 카메라폰(420)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정상모드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양방향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송신장치가 아니라 일종의 통신장치(410:1, 410:2)로 표시하였다.
도 5는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상태 다이어그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은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로서 정상모드(510)와 안전모드(520)와 외부표시모드(530)를 갖는다. 먼저, 정상모드(510)는 통상적인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로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대로 카메라 모듈이 동작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안전모드(5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명령을 입력받더라도 상기 동작명령에 따른 시스템 동작의 수행을 거부하는 모드를 의미하며, 외부표시모드(53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한 동작명령을 입력받은 경우에 상기 동작명령에 따른 특정의 시스템 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동작사실을 외부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플래시나 사운드와 같은 일종의 시청각적인 방식으로 표현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는 동작모드를 의미한다.
다만, 상기 안전모드(520)나 외부표시모드(530)의 경우, 사용자가 휴대폰의 동작방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상에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내용은 임의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송신장치의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 안내정보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클레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은 통상적으로는 정상모드(510)로 동작하며, 제어신호 송신장치가 전송하는 동작모드 제어신호를 유효하게 수신하게 되면 안전모드(520)로 설정된다. 이 때, "유효수신"이라 함은 복수 회 연속으로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는 것과 같이 동작에러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마련된 소정의 요건 을 만족한 경우를 나타낸다. 안전모드(520)에서 사용자가 강제로 모드전환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휴대폰은 외부표시모드(530)로 진행하는데, 이는 역시 사용자의 클레임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다만, 소정의 시간동안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일종의 "타임아웃" 이벤트로 간주하여 다시 안전모드(520)로 되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안전모드(510) 및 외부표시모드(530)에서 일정시간 동안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휴대폰의 동작모드는 자동적으로 정상모드(51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상태 다이어그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로서 정상모드(610)와 완전안전모드(620)와 외부표시모드(630)를 갖는데, 상기 완전안전모드(620)에서의 휴대폰 동작은 도 5에서 안전모드(520)에 대해서 전술하였던 바와 동일하다. 다만,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완전안전모드(620)에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사용자가 강제적으로 외부표시모드(630)로 절환시킬 수 없으며, 이는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절대로 허용하지 않고자 할 때 적용한다. 대신, 외부표시모드(630)는 정상모드(610)에서 바로 전환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모드 제어신호가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로 구분되는데, 제1 제어신호는 휴대폰의 동작모드를 전술한 완전안전모드(620)로 설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제어신호이고, 제2 제어신호는 휴대폰의 동작모드를 전술한 외부표시모드(630)로 설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제어신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 송신장치는 외부로부터 선택입력을 받아 제1 제어신호를 송신할 것인지 아니면 제2 제어신호를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 제어신호용 송신장치와 제2 제어신호용 송신장치를 별도의 제품으로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에 따르면 특정의 영역에 위치하는 카메라 내장장치에 대해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자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목욕탕이나 연구소 등과 같은 특정의 장소에서 몰래 카메라로 인한 사생활 침해나 영업비밀 침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해서 RF 신호를 통해 상기 휴대폰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모드를 안전모드로 절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로서,
    상기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는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현재 사용하는 PN 오프셋("PN 오프셋 0")을 검출하고,
    상기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는 상기 PN 오프셋 0과는 상이한 하나이상의 PN 오프셋을 선택하여 상기 제어신호로서 상기 PN 오프셋에 대응되는 하나이상의 RF 신호를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출력파워로 반복적으로 송신하는 특징을 갖는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는 상기 PN 오프셋 0의 검출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하나이상의 PN 오프셋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는 하나이상의 이동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서브송신모듈을 하나이상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브송신모듈은 각각 대응되는 이동통신 규격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이 사용하는 PN 오프셋("PN 오프셋 0")을 검출하고,
    상기 서브송신모듈은 상기 PN 오프셋 0과는 상이한 하나이상의 PN 오프셋을 선택하여 상기 제어신호로서 상기 PN 오프셋에 대응되는 하나이상의 RF 신호를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출력파워로 반복적으로 송신하며,
    상기 서브송신모듈은 상기 대응되는 이동통신 기지국로부터의 이동통신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휴지 시점에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30046800A 2003-07-10 2003-07-10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 KR100583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800A KR100583327B1 (ko) 2003-07-10 2003-07-10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800A KR100583327B1 (ko) 2003-07-10 2003-07-10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834A KR20050006834A (ko) 2005-01-17
KR100583327B1 true KR100583327B1 (ko) 2006-05-24

Family

ID=3722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800A KR100583327B1 (ko) 2003-07-10 2003-07-10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3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834A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4972B (zh) 带宽部分的切换触发方法及装置、信息配置方法及装置
US11956809B2 (en) Resource determining methods and apparatuses
EP3651529B1 (en)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11297675B2 (en) Implementation method, devic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discontinuous reception
US7190947B2 (en) Priority E911 call back during access class restrictions
CN108496395B (zh) 寻呼同步指示方法及装置、寻呼同步方法及装置和基站
KR100605937B1 (ko)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그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EP3836602B1 (en) Cel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703505B1 (ko)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
US87807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drain while camped o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140112907A (ko) 근거리통신 연결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11937296B2 (en)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2007070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623891B2 (en) Camera-equippe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cture-taking function of the same
EP4380240A1 (en) Energy-saving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169101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100583327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에 대한 알에프 제어신호 송신장치
CN109451832B (zh) 无线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706350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EP3386239B1 (en) Switching threshold value sett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EP42508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aging reason, and storage medium
US202203380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d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idc detection
GB2472463A (en) A femtocell access point is disabled when inactive for a time longer than the determined time between location or routing area update requests
KR101042758B1 (ko) 이동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201889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i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