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296B1 -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296B1
KR100583296B1 KR1019990011127A KR19990011127A KR100583296B1 KR 100583296 B1 KR100583296 B1 KR 100583296B1 KR 1019990011127 A KR1019990011127 A KR 1019990011127A KR 19990011127 A KR19990011127 A KR 19990011127A KR 100583296 B1 KR100583296 B1 KR 10058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heat exchange
exchange medium
compresso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793A (ko
Inventor
김용호
오광헌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1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29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60H1/32281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comprising a single secondary circuit, e.g. at evaporator or condens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 냉각장치의 열교환매체와 공기조화장치의 열교환매체를 공용화함과 아울러 냉각장치의 유로와 공기조화장치의 유로를 일부 공용화하여 엔진 냉각작용 또는 냉,난방작용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엔진(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매체를 압송하는 펌프(201)와; 열교환매체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211)와; 상기 압축기의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엔진배출라인(203)과; 상기 압축기 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방열하는 실외열교환기(221)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방열을 위한 냉각팬(231)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이어 설치되어 실외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기액분리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241)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에 이어 설치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51)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솔레노이드 밸브와의 사이의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엔진에 연결된 엔진복귀라인에 설치되는 엔진용 팽창밸브(207)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이어 설치되는 증발기용 팽창밸브(261)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용 팽창밸브에 이어 설치되어 열교환에 의하여 실내의 냉방을 행함과 아울러 압축기 복귀라인에 의하여 압축기와 연결되는 증발기(2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COMBINED ENGINE COOL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및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및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및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 엔진 냉각장치 및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300, 400 : 엔진, 201, 301, 401 : 펌프,
205, 307, 408, 409 : 엔진복귀라인,
207, 309 : 엔진용 팽창밸브, 211, 411 : 압축기,
221, 321, 421 : 실외열교환기, 231, 331, 431 : 냉각팬,
241, 341, 441 : 리시버 드라이어,
251, 351, 451 : 솔레노이드 밸브,
261, 361, 461 : 증발기용 팽창밸브,
271, 371, 471 : 증발기, 404 : 열교환매체 분배기
406 : 삼방향밸브, 407 : 압력조절밸브
본 발명은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 냉각장치의 열교환매체와 공기조화장치의 열교환매체를 공용화함과 아울러 냉각장치의 유로와 공기조화장치의 유로를 일부 공용화하여 엔진 냉각작용 또는 냉,난방작용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냉각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엔진룸의 여유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의 연소열에 의하여 실린더, 피스톤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 냉각 시스템이 구성된다.
엔진 냉각 시스템은 공랭식과 수냉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수냉식 엔진 냉각 시스템이 적용된다. 이러한 수냉식 엔진 냉각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류수 및 부동액의 혼합용액을 냉각수로 사용하며, 엔진(100)에 내장된 워터펌프(101)를 이용하여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워터 재킷으로 냉각수를 순환시켜 열교환에 의하여 엔진(100)을 냉각시키고, 열교환된 고온의 냉각수를 엔진(100)의 일측에 설치된 냉각수 분배기(103)를 거쳐 일부를 라디에이터(105)로 공급하여 냉각수의 열을 방열시킨 다음 냉각된 냉각수를 다시 엔진(100)으로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라디에이터(105)에 의한 냉각수의 방열은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105)의 배면에 설치되는 냉각팬(107)의 강제송풍에 의하여 수행된다.
한편, 공기조화장치는 엔진(10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110)에 의하여 압축된 냉매가 라디에이터(105)의 전방에 설치되는 응축기(109)로 유입되어 응축기용 냉각팬(111)의 강제송풍에 의하여 열교환된 다음 리시버 드라이어(113), 팽창팰브(115) 및 증발기(117)를 차례로 거쳐 다시 압축기(110)로 유입됨으로써 증발기(117)에서의 열교환에 의하여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는 장치와;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장치를 포함하는 장치이다. 난방장치는 엔진(100)으로부터 배출되어 냉각수 분배기(103)를 거치는 냉각수의 나머지 일부를 히터코어(119)를 경유시킴으로써 냉각수를 열교환시킨 다음 다시 엔진(100)으로 복귀됨으로써 실내의 난방작용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엔진 냉각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엔진(100)의 최대 부하에 대응하여 엔진(100)의 신속한 방열을 위해 라디에이터(105)의 크기는 크게 설계되어야만 하고, 이 때문에 라디에이터(105), 응축기(109) 및 냉각팬들(107,111)의 설치를 위한 엔진룸의 내부공간이 크게 확보되어야 하므로 이는 엔진룸의 레이아웃에 대한 자유도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엔진 냉각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조원가가 높은 요인이 된다. 또한, 열교환매체로 엔진 냉각장치용 냉각수와 공기조화장치용 냉매를 별도로 사용함으로써 비용은 더욱 증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 냉각장치의 열교환매체와 공기조화장치의 열교환매체를 공용화함과 아울러 냉각장치의 유로와 공기조화장치의 유로를 일부 공용화하여 엔진 냉각작용 또는 냉,난방작용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냉각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엔진룸의 여유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는, 엔진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매체를 엔진 내부 및 엔진 밖으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엔진의 일측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엔진배출라인과; 상기 압축기의 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방열하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전면 또는 배면에 설치되는 냉각팬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이어 설치되어 실외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기액분리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에 이어 설치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솔레노이드 밸브와의 사이의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엔진에 연결되는 엔진복귀라인에 설치되는 엔진용 팽창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이어 설치되는 증발기용 팽창밸브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용 팽창밸브에 이어 설치되어 열교환에 의하여 실내의 냉방을 행함과 아울러 압축기 복귀라인에 의하여 압축기와 연결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는, 엔진밖으로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한 엔진배출라인과; 상기 엔진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를 방열하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전면 또는 배면쪽에 설치되는 냉각팬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이어 설치되어 실외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기액분리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에 이어 설치되어 리시버 드라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압송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이어 설치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펌프의 배출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엔진에 연결되는 엔진복귀라인에 설치되는 엔진용 팽창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이어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시 열교환매체를 공급받는 증발기용 팽창밸브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용 팽창밸브에 이어 설치되고 엔진배출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는, 엔진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매체를 엔진 내부 및 엔진 밖으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엔진의 일측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엔진배출라인과; 상기 압축기의 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방열하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전면 또는 배면에 설치되는 냉각팬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이어 설치되어 실외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기액분리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에 이어 설치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솔레노이드 밸브와의 사이의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엔진과 연결되는 제1엔진복귀라인에 설치되는 압력조절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이어 설치되는 증발기용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기용 팽창밸브에 이어 설치되어 열교환에 의하여 실내의 냉방을 행함과 아울러 압축기와 연결되는 증발기와; 상기 엔진배출라인에 설치되는 열교환매체 분배기와; 상기 열교환매체 분배기와 연결됨과 아울러 팽창밸브와 증발기와의 사이의 라인에 연결되는 삼방향밸브와;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압축기 복귀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엔진에 연결되는 제2엔진복귀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 냉각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조부호 200은 엔진으로서, 내부에 열교환매체를 압송하기 위한 펌프(201)가 내장되고, 엔진(200)의 일측에는 엔진(200)의 동력을 풀리를 통하여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2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엔진(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는 엔진배출라인(203)을 통하여 압축기 배출라인(213)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압축기(211)는 압축기 배출라인(213)을 통하여 실외열교환기(221)와 연결되어 있으며, 실외열교환기(221)의 전면 또는 배면에는 냉각팬(231)이 설치된다. 따라서, 엔진(20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와 압축기(211)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는 실외열교환기(221)로 유입되어 냉각팬(231)의 강제송풍에 의하여 방열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21)에서 열교환된 열교환매체는 리시버 드라이어(241)로 공급되어 기액분리된다.
한편, 참조부호 251는 리시버 드라이어(241)에 이어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밸브(251)로서, 리시버 드라이어(241)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1)와 리시버 드라이어(241)를 연결하는 라인(243) 도중에는 이 라인(243)으로부터 분기되어 엔진(200)으로 연결되는 엔진복귀라인(205)이 설치되고 이 엔진복귀라인(205)중에 엔진용 팽창밸브(207)가 설치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251)의 폐쇄시에는 리시버 드라이어(241)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교환매체가 엔진용 팽창밸브(207)를 거쳐 엔진(200)으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1)에 이어 증발기용 팽창밸브(261) 및 증발기(271)가 차례로 설치되고, 이 증발기(271)는 압축기 복귀라인(215)을 통하여 압축기(211)와 연결된다. 따라서, 실내를 냉방하기 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51)를 개방함과 아울러 압축기(211)의 전자클러치를 작동하여 압축기(211)를 구동할 경우에는 리시버 드라이어(241)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의 일부는 엔진용 팽창밸브(207)를 거쳐 엔진(200)으로 복귀함과 동시에 열교환매체의 나머지 일부는 솔레노이드 밸브(251), 증발기용 팽창밸브(261) 및 증발기(271)를 거쳐 압축기 복귀라인(215)을 통하여 압축기(211)로 복귀된다. 열교환매체가 증발기(271)를 거치 는 과정에서 열교환매체의 열교환에 의하여 실내가 냉방된다.
즉, 실시예 1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는 엔진(200)의 구동중에는 펌프(201)의 구동에 의하여 엔진냉각라인을 열교환매체는 항상 순환하므로 엔진(200)의 냉각이 이루어지고, 솔레노이드 개방 및 압축기(211) 구동시에만 열교환매체가 냉방라인을 순환함으로써 실내의 냉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 따르면, 열교환매체를 압송하기 위한 펌프(301)가 엔진(300)에 내장되어 있지 않고 엔진(3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압축기의 사용이 배제된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르면, 엔진(300)으로부터 열교환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엔진배출라인(303)이 실외열교환기(321)와 연결되고, 이 실외열교환기(321)의 전면 또는 배면에는 냉각팬(331)이 설치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321)에 이어 실외열교환기(321)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기액분리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341)가 설치되고, 이 리시버 드라이어(341)에 이어 리시버 드라이어(341)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압송하는 펌프(301)가 설치된다. 또한, 펌프(301)의 배출라인(305)은 솔레노이드 밸브(351)와 연결됨으로써 펌프(301)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 배출라인(305) 도중에는 엔진(300)과 연결되는 엔진복귀라인(307)이 분기되어 있 고, 이 엔진복귀라인(307) 도중에는 엔진용 팽창밸브(309)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351) 폐쇄시에는 엔진(30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가 실외열교환기(321), 리시버 드라이어(341), 펌프(301) 및 팽창밸브를 거쳐 엔진(300)으로 복귀된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351)에 이어 증발기용 팽창밸브(361) 및 증발기(371)가 차례로 설치됨으로써 솔레노이드 밸브(351) 개방시 솔레노이드 밸브(351)로부터 증발기(371)쪽으로 열교환매체가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371)는 증발기 배출라인(373)을 통하여 실외열교환기(321)와 연결된다.
따라서, 실시예 2에 따르면, 엔진(300)구동중에는 펌프(301)는 항상 구동되고, 이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밸브(351) 폐쇄시에는 엔진(300)의 냉각작용만 수행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351) 개방시에는 엔진(300)의 냉각작용 및 실내의 냉방작용이 수행된다.
<실시예 3>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엔진용 팽창밸브 대신 압력조절밸브(407)가 사용되고, 엔진배출라인(403)에 열교환매체 분배기(404)가 더 설치되며, 이 열교환매체 분배기(404)는 연결라인(405)을 통하여 삼방향밸브(406)와 연결되며, 삼방향밸브(406)는 증발기용 팽창밸브(461)와 증발기(471) 사이의 라인(473)에 연결되어 있으며, 압축기(411)와 증발기(471) 사이의 압축기 복귀라인(415)으로부터 엔진(400)과 연결되는 제2엔진복귀라인(408)이 더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이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즉, 열교환매체 분배기(404)는 냉각팬(431)에 의하여 방열이 이루어지는 실외열교환기(421)와 연결된 압축기 배출라인(413)으로 연결됨으로써 펌프(401)에 의하여 엔진(40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의 일부는 분배기(404)를 거쳐 압축기(411)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와 함께 실외열교환기(421)로 유입된다.
그리고, 실외열교환기(421)는 리시버 드라이어(441)과 연결되어 있고 이 리시버 드라이어(441)에 이어 리시버 드라이어(441)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451)가 연결된다. 솔레노이드 밸브(451)와 리시버 드라이어(441)를 연결하는 연결라인(443)중에는 엔진(400)과 연결되는 제1엔진복귀라인(409)가 분기되고, 이 제1엔진복귀라인(409)중에는 엔진용 팽창밸브(407)가 설치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451)에 이어 증발기용 팽창밸브(461) 및 증발기(471)가 차례로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3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 1에서의 엔진 냉각작용 및 실내 냉방작용 이외에 실내 난방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실내 난방시에는 삼방향밸브(406)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삼방향 밸브(406)가 개방되면 엔진(40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의 일부가 열교환매체 분배기(404), 삼방향밸브(406) 및 증발기(471)를 거쳐 일부는 압축기 복귀라인(415)을 통하여 압축기(411)로 공급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는 제2엔진복귀라인(408)을 통하여 엔진(400)으로 복귀됨으로써 열교환매체가 증발기(471)의 찬공기와 열교환되어 난방이 이루어진다. 또한 엔진(40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의 나머지 일부는 실외열교환기(421), 리시버 드라이어(441) 및 압력조절밸브(407)를 거쳐 엔진(400)으로 복귀되므로 엔진(400)의 냉각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451)의 개방시에는 압축기(411)의 구동에 의하여 압축기(411)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가 실외열교환기(421)로 공급됨과 아울러 엔진(400)에 내장된 펌프(401)의 구동에 의하여 엔진(400)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도 열교환매체 분배기(404)를 거쳐 실외열교환기(421)로 공급되어 실외열교환기(421)에서 열교환된 후 리시버 드라이어(441)를 통과한다. 리시버 드라이어(441)를 통과한 열교환매체의 일부는 압력조절밸브를 거쳐 엔진(400)으로 복귀됨으로써 엔진(400)의 냉각작용이 수행되고, 리시버 드라이어(441)를 통과한 열교환매체의 나머지 일부는 솔레노이드 밸브(451)를 통하여 팽창밸브 및 증발기(471)를 거쳐 압축기(411)로 다시 복귀됨으로써 실내의 냉방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엔진 냉각장치의 열교환매체와 공기조화장치의 열교환매체를 공용화함과 아울러 냉각장치의 유로와 공기조화장치의 유로를 일부 공용함으로써 엔진 냉각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설치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엔진 냉각장치와 공기조화장치를 겸용으로 구성함으로써 구성요소가 줄어들어 엔진룸에 설치시 설치공간이 줄어 들어 엔진룸의 여유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엔진룸의 레이아웃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열교환매체를 공용화함으로써 종래 사용했던 환경오염물질인 부동액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Claims (3)

  1. 엔진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매체를 엔진 내부 및 엔진 밖으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엔진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교환매체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엔진배출라인과;
    상기 압축기의 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방열하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전면 또는 배면에 설치되는 냉각팬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이어 설치되어 실외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기액분리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에 이어 설치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솔레노이드 밸브와의 사이의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엔진에 연결된 엔진복귀라인에 설치되는 엔진용 팽창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이어 설치되는 증발기용 팽창밸브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용 팽창밸브에 이어 설치되어 열교환에 의하여 실내의 냉방을 행함과 아울러 압축기 복귀라인에 의하여 압축기와 연결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
  2. 엔진 밖으로 열교환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엔진배출라인과;
    상기 엔진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열교환매체를 방열하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전면 또는 배면쪽에 설치되는 냉각팬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이어 설치되어 실외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기액분리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에 이어 설치되어 리시버 드라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압송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이어 설치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펌프의 배출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엔진에 연결되는 엔진복귀라인에 설치되는 엔진용 팽창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이어 설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시 열교환매체를 공급받는 증발기용 팽창밸브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용 팽창밸브에 이어 설치되어 엔진배출라인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
  3. 엔진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교환매체를 엔진 내부 및 엔진 밖으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엔진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교환매체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배출라인에 연결되는 엔진배출라인과;
    상기 압축기의 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방열하는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전면 또는 배면에 설치되는 냉각팬과;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이어 설치되어 실외열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교환매체를 기액분리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에 이어 설치되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솔레노이드 밸브와의 사이의 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엔진에 연결되는 제1엔진복귀라인에 설치되는 압력조절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이어 설치되는 팽창밸브와;
    상기 증발기용 팽창밸브에 이어 설치되어 열교환에 의하여 실내의 냉방을 행함과 아울러 압축기와 연결되는 증발기와;
    상기 엔진배출라인에 설치되는 열교환매체 분배기와;
    상기 열교환매체 분배기와 연결됨과 아울러 팽창밸브와 증발기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에 연결되는 삼방향밸브와; 그리고,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압축기 복귀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엔진에 연결되는 제2엔진복귀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
KR1019990011127A 1999-03-31 1999-03-31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 KR100583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127A KR100583296B1 (ko) 1999-03-31 1999-03-31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127A KR100583296B1 (ko) 1999-03-31 1999-03-31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793A KR20000061793A (ko) 2000-10-25
KR100583296B1 true KR100583296B1 (ko) 2006-05-24

Family

ID=1957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127A KR100583296B1 (ko) 1999-03-31 1999-03-31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7042A (zh) * 2016-12-30 2017-05-10 中原工学院 一种同步复合双循环型新能源汽车空调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368B1 (ko) * 2001-09-11 2004-04-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냉각 및 공기 조화 겸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7042A (zh) * 2016-12-30 2017-05-10 中原工学院 一种同步复合双循环型新能源汽车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793A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01552B (zh) 用于车辆的热泵系统
JP4505510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JP2009184493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2352866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冷却装置
JP2009190687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H02185821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CN107499086A (zh) 车辆热管理系统和车辆
KR102207199B1 (ko) 냉각코어로서 반도체를 사용하는 차량의 공조장치
JP2009190579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60940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700032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0012949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5053325A (ja) 車両用空調装置
CN112455214B (zh) 散热装置及汽车散热系统
KR101952115B1 (ko)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 및 드라이브 부품 냉각 시스템 그리고 상기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576259B1 (ko)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KR102651941B1 (ko)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KR100583296B1 (ko) 엔진 냉각장치 겸용 공기조화장치
KR20210079741A (ko)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102473096B1 (ko)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JP451106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572613B1 (ko) 전기자동차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210096420A (ko)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102622339B1 (ko)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CN217455587U (zh) 热管理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