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987B1 -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987B1
KR100582987B1 KR1020050113046A KR20050113046A KR100582987B1 KR 100582987 B1 KR100582987 B1 KR 100582987B1 KR 1020050113046 A KR1020050113046 A KR 1020050113046A KR 20050113046 A KR20050113046 A KR 20050113046A KR 100582987 B1 KR100582987 B1 KR 10058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lor
picture
pixel
psychothera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이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주 filed Critical 이창주
Priority to KR102005011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픽셀의 위치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색채 비율을 제어부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픽셀에 대하여 선택된 색채 비율에 따라 색채를 지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색을 선택하고 그림 또는 문양을 만드는 과정에서 집중력과 성취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심리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심리치료, 색채, 지정, 픽셀, 디스플레이, RGB

Description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Apparatus for color design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psychical cure service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색채 지정 장치의 일실시예 외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색채 지정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구동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예시도,
도 5는 도 4의 DB의 일실시예 상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실시예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RGB 비율 입력부 220 : 픽셀 지정부
230 : 제어부 240 : 인터페이스부
25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리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도안을 색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색채 지정 장치와, 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치료를 가능하도록 하는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복잡 다단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은 직장인, 학생, 주부 등의 직업을 막론하고 스트레스로 인하여 건강이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심리적 안정을 찾기 위한 특별한 방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심리치료를 받고자 하는 경우, 직접 병원 등의 시설을 찾아가서 상담자 등과의 상담 등을 통하여 해결해야 했으므로, 많은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픽셀 단위의 색채를 지정하여 이를 통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도록 하기 위한 색채 지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색채 지정 장치를 이용하여 완성한 그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고, 해당 그림의 경향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적합한 상담 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색채 지정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신의 심리 상태에 대한 설문을 작성하여 이를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 심리 상태에 적합한 치료 그림을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픽셀의 위치를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픽셀 지정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색채 비율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비율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픽셀에 대하여 선택된 색채 비율에 따라 색채를 지정 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 및 발광 소자를 하나의 픽셀 단위로 하는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픽셀의 색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색채 지정 장치가 제공되며,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모든 픽셀의 색채를 지정하여 완성한 그림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색채 비율을 지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픽셀의 색채 비율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구동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 프로그램은 픽셀을 지정하고, 해당 픽셀의 색채 비율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색채 비율은, 적녹청(RGB)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광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도 있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에 의해 작성한 그림을 사용자가 웹서버로 전송하여, 이를 상기 웹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전송한 그림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참조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한 심리상태에 따라, 저장된 상담자료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채 지정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심리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미리 작성된 설문자료에 대하여 사용자가 응답하는 단계; 상기 설문사항을 토대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심리상태에 따라, 심리치료를 위한 그 림을 상기 장치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채 지정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의해 작성한 그림을 사용자가 웹서버로 전송하여, 이를 상기 웹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전송한 그림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참조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한 심리상태에 따라, 저장된 상담자료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심리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미리 작성된 설문자료에 대하여 사용자가 응답하는 단계; 상기 설문사항을 토대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심리상태에 따라, 심리치료를 위한 그림을 상기 장치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종래 색채를 이용한 심리치료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색채는 인간의 희로애락의 감정에서 오는 다양한 심리상태를 대변해 주는 마 음의 표현이다. 묘화자들은 특히 주위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색을 결정하는데, 이때 그림 속에 나타나는 색채는 현재 상태에 놓여 있는 묘화자의 강한 정서와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색채를 통하여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무의식의 억압된 감정이 표출되기도 한다(Birren Faber 저, 김화중 역, 색채심리, 1985년, 동국출판사).
덴마크의 Nils Finsen은 1903년에 결핵과 가시적광에 관한 연구로 노벨상을 수상하였고, Robert Gerard는 1958년 그의 박사논문을 통해 색채광선의 종류에 따른 생리적 심리학적 효과의 차이에 대해 매우 명료하게 설명하고 있다(박은숙, Color Therapy의 임상적 적용과 효과, 2003년, 가정의학회지)
종래의 색채 치료(color therapy) 방법은 대부분 종이에 그림을 그리거나 종이에 그려진 그림의 감상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종래의 광 치료(light therapy) 장치는 특정한 파장(또는 색상)의 램프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단순히 불빛을 쬐거나 바라보게 되어 있는 것 외에 다른 기능이 없어, 단순한 효과만을 기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색채심리상담은 오프라인에서 작품을 보면서 이루어지며, 이를 온라인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종이 또는 천에 그림을 그리고 촬영하여 디지털이미지로 변환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피상담자가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작성한 그림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담을 하는 경우도 있겠으나, 이 또한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색채 지정 장치의 일실시예 외관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색채 지정 장치는, 하우징(160)의 일면에 구성되는 디스플레이(110), 방향키(120), 적녹청(red, green, blue; 이하, 간단히 'RGB'라 함) 비율 조정 버튼(130), 비율 표시창(140) 및 연결 디바이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스플레이(110)는 RGB의 3색 발광 다이오드(light emmitting diode; 이하, 간단히 'LED'라 함) 등의 발광 소자를 하나의 픽셀(pixel) 단위로 하는 픽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발광 소자는 LED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기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간단히 'OLED'라 함) 등 이와 같은 기능의 소자를 말한다 할 수 있다. 사용자는 RGB 비율 조정 버튼(130)으로 해당 픽셀의 RGB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색채를 연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RGB 비율 조정 버튼(130)으로 픽셀의 RGB를 조정할 경우, 비율 표시창(140)에는 해당 픽셀의 RGB의 비율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방향키(120)를 이용하여 현재 색채를 나타내는 픽셀에서 다른 픽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픽셀을 이동하는 기능을 가지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방향키(120)만을 제시하였으나, 터 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을 이용하여 픽셀을 지정할 수도 있으며, 기타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디바이스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색채 지정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RGB 비율 조정부(130)를 사용하여 픽셀의 색채를 각각 지정할 수 있으며, 또는 연결부(150)를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연결하여, 구동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동하여 이를 이용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색채 지정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색채 지정 장치는, RGB 비율 입력부 (210), 픽셀 지정부(220), 제어부(230), 인터페이스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GB 비율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RGB 비율을 제어부 (230)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사용자는 도 1의 RGB 비율 조정 버튼(130)을 이용하여 해당 픽셀의 RGB 비율을 선택할 수 있다.
픽셀 지정부(220)는 디스플레이(11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픽셀을 지정하여 제어부(230)에 알리는 기능을 담당한다. 사용자는 도 1의 방향키(120)를 이용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0)에서 원하는 픽셀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픽셀에 대하여 RGB 비율에 따라 색채를 지정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디스플레이부(250)는 해당 픽셀에 대하여 제어부(230)가 지정한 색채로 표시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240)는 사용자가 모든 픽셀의 색채를 지정하여 완성한 그림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거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색채 지정 장치에서가 아닌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색채를 지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픽셀의 RGB 비율을 제어부(230)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제어부(230)는 위 경우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구동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 나타나는 구동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310) 및 색채 지정창(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는 화살표(A) 등으로 픽셀을 지정하고, 색채 지정창(color pallet)(320)에서 해당 픽셀의 색채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B가 가리키는 부분은 색채 선택부이며, C는 채도 선택부이며, D부분은 현재 선택된 색채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B 내지 D 창을 통하여 자신이 색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색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전 픽셀에 대하여 색채를 지정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4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색채 지정 장치를 통하여 전 픽셀에 대하여 색채를 지정하여 하나의 그림을 완성한 경우에, 이를 사용자 단말로도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심리치료 상담에 쓰일 그림을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본 발명의 색채 지정 장치로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 해서는 추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색채 지정 장치(410), 사용자 단말(420), 웹서버(430)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 이하, 'DB'라 함)(4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사용자는 색채 지정 장치(410)를 이용하여 완성한 그림을 사용자 단말(420)을 통하여 웹서버(430)에 전송할 수 있다. 웹서버(430)는 심리치료를 위한 웹사이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운영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색채 지정 장치(410)에서 완성한 그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면 웹서버(430)는 이를 DB(440)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웹서버(430)는 DB(440)에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색채 지정 장치(410)로 색을 지정할 수 있도록, 윤곽이 그려진 그림을 저장하고, 이를 웹사이트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430)는 사용자가 전송한 그림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상담 내용을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따라 심리치료용 그림을 사용자의 단말(4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DB의 일실시예 상세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DB는 윤곽 그림 저장부(510), 사용자별 자료 저장부(520), 심리상태 자료 저장부(530), 심리치료 자료 저장부(540), 심리치 료 그림 저장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윤곽 그림 저장부(510)는 웹서버(430)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게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다운로드하여 색채 지정 장치(410) 또는 사용자 단말(420)을 이용하여 색채 지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림을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별 자료 저장부(520)는 사용자가 색채 지정 장치(410)를 통해 작성한 그림을 수신하고, 이를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그림을 통하여 사용자의 색채 심리를 분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심리 분석 자료 결과를 저장하여, 추후 또 다른 분석에 이용할 수도 있다.
심리상태 자료 저장부(530)는, 사용자가 전송한 그림 또는 사용자의 설문 내용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색을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사용하여 작성한 그림을 전송한 경우에, 이 때의 사용자의 심리는 불안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웹서버(430)는 분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체적인 예를 심리상태 자료 저장부(530)는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심리치료 자료 저장부(540)는 사용자가 전송한 그림에 대하여 웹서버(430)가 이를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심리치료에 사용할 상담 자료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 심리상태에 따른 상담 자료를 저장한다. 또한, 심리치료 자료 저장부(540)는 사용자가 자신의 심리상태를 알릴 수 있는 설문자료 형태의 심리치료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웹서버(430)는 이를 웹사이트에 게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심리치료 그림 저장부(550)는 사용자가 전송한 자료를 이용하여, 심리치료를 위한 그림을 전송할 수 있도록, 각 심리상태에 따른 그림 자료를 저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대하여 도 6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자.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실시예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색채 지정 장치(410)를 이용하여 작성한 그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한다(S601). 웹서버(430)는 이에 대하여 DB(440)의 심리상태 자료 저장부(530)에 저장된 자료를 참조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한다. 또한, 사용자별 그림 저장부(520)에 저장된 사용자의 심리치료 히스토리(history)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할 수도 있다(S603).
이와 같이 분석한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따라, 심리치료 자료 저장부(540)에 저장된 심리치료 자료를 사용자 단말(420)에 전송할 수 있다(S605). 사용자는 자신의 심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607).
이후, 웹서버(430)는 심리치료 자료를 사용자별 자료 저장부(520)에 저장하고(S609), 웹사이트에 해당 상담 내용을 게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실시예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웹서버(430)가 자신의 웹사이트에 게시하고 있는, 심리치료 자료 저장부(540)의 설문자료를 사용자가 열람하고, 이에 대하여 설문사항을 체크하여 웹서버(430)로 전송할 수 있다(S701).
이후 웹서버(430)는 설문사항을 토대로 하여, 심리상태 자료 저장부(530)에 저장된 자료를 참조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한다. 또한, 사용자별 그림 저장부(520)에 저장된 사용자의 심리치료 히스토리(history)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할 수도 있다(S703).
이와 같이 분석한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따라, 심리치료 자료 저장부(540)에 저장된 심리치료 자료를 사용자 단말(42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색채 지정 장치(410)의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심리치료 그림 저장부(550)에 저장된, 심리치료를 위한 그림을 사용자 단말(420)에 전송할 수도 있다(S705). 사용자는 자신의 심리상태를 확인하고(S707), 웹서버(430)로부터 전송받은 그림을 색채 지정 장치(410)에 표시하고, 이를 심리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S709). 다만, 색채 지정 장치(410)는 별도의 저장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웹서버(430)로부터 받은 그림을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는 논외로 한다. 이를 본 발명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웹서버(430)는 심리치료 자료를 사용자별 자료 저장부(520)에 저장하고(S711), 웹사이트에 해당 상담 내용을 게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좋아하는 색 또는 그날의 기분에 적합한 색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색으로 임의의 그림이나 문양을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색을 선택하고 그림 또는 문양을 만드는 과정에서 집중력과 성취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렇게 사용자가 색을 지정하여 작성한 그림을 심리치료에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심리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픽셀의 위치를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픽셀 지정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 색채 비율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비율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픽셀에 대하여 선택된 색채 비율에 따라 색채를 지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 및
    발광 소자를 하나의 픽셀 단위로 하는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픽셀의 색채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색채 지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모든 픽셀의 색채를 지정하여 완성한 그림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색채 지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색채 비율을 지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픽셀의 색채 비율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색채 지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구동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 프로그램은 픽셀을 지정하고, 해당 픽셀의 색채를 선택하도록 하는 색채 지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채 비율은, 적녹청(RGB) 비율인 색채 지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인 색채 지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인 색채 지정 장치.
  8. 제1항의 장치에 의해 작성한 그림을 사용자가 웹서버로 전송하여, 이를 상기 웹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전송한 그림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참조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한 심리상태에 따라, 저장된 상담자료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색채 지정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9. 심리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미리 작성된 설문자료에 대하여 사용자가 응답하는 단계;
    상기 설문사항을 토대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심리상태에 따라, 심리치료를 위한 그림을 제1항의 장치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색채 지정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0.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항의 장치에 의해 작성한 그림을 사용자가 웹서버로 전송하여, 이를 상기 웹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전송한 그림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참조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한 심리상태에 따라, 저장된 상담자료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1.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심리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미리 작성된 설문자료에 대하여 사용자가 응답하는 단계;
    상기 설문사항을 토대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심리상태에 따라, 심리치료를 위한 그림을 제1항의 장치로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50113046A 2005-11-24 2005-11-24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KR100582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046A KR100582987B1 (ko) 2005-11-24 2005-11-24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046A KR100582987B1 (ko) 2005-11-24 2005-11-24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987B1 true KR100582987B1 (ko) 2006-05-23

Family

ID=3718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046A KR100582987B1 (ko) 2005-11-24 2005-11-24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98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55B1 (ko) 2006-09-07 2008-01-07 브랜드업 (주) 유아용 색채 교육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WO2009072680A1 (en) * 2007-12-03 2009-06-11 Brandup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lor education of toddler
KR100935013B1 (ko) * 2008-01-29 2010-01-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치료의 문양 색칠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0050767A2 (ko) * 2008-10-30 2010-05-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치료 컴퓨터 시스템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1000492B1 (ko) * 2008-01-29 2010-1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치료의 문양 색칠 분석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장치,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349157B1 (ko) * 2012-09-05 2014-01-2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Led 광선을 이용한 피부 치료 시스템 및 방법
WO2014115990A1 (ko) 2013-01-24 2014-07-31 Jeong Jiyoung 그룹 내 구성원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524753B1 (ko) * 2013-08-05 2015-06-01 윤소라 미술을 이용한 심리 치료 방법 및 시스템
WO2015080328A1 (ko) * 2013-11-27 2015-06-04 손경순 색채도형 심리 진단장치 및 방법
KR20200106404A (ko) 2019-03-04 2020-09-14 이경연 컬러링 워크 북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47A (ko) * 2001-01-13 2001-04-06 황경수 심리검사를 활용한 고객 맞춤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89071A (ko) * 2001-05-23 2002-11-29 주식회사 우노 커뮤니케이션즈 컬러포유
KR20030073811A (ko) * 2002-03-13 2003-09-19 이원희 심리상태 체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방법
KR20040042363A (ko) * 2002-11-14 2004-05-20 김진기 음악예제를 통한 EQ Test 프로그램 시스템 및 그 진행 방법
KR20050030695A (ko) * 2003-09-25 2005-03-31 주식회사 이모시스텍 심리 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3283A (ko) * 2004-03-18 2005-09-23 브이엘씨주식회사 심리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47A (ko) * 2001-01-13 2001-04-06 황경수 심리검사를 활용한 고객 맞춤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89071A (ko) * 2001-05-23 2002-11-29 주식회사 우노 커뮤니케이션즈 컬러포유
KR20030073811A (ko) * 2002-03-13 2003-09-19 이원희 심리상태 체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방법
KR20040042363A (ko) * 2002-11-14 2004-05-20 김진기 음악예제를 통한 EQ Test 프로그램 시스템 및 그 진행 방법
KR20050030695A (ko) * 2003-09-25 2005-03-31 주식회사 이모시스텍 심리 치료를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3283A (ko) * 2004-03-18 2005-09-23 브이엘씨주식회사 심리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55B1 (ko) 2006-09-07 2008-01-07 브랜드업 (주) 유아용 색채 교육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WO2009072680A1 (en) * 2007-12-03 2009-06-11 Brandup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lor education of toddler
KR101000492B1 (ko) * 2008-01-29 2010-12-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치료의 문양 색칠 분석에 따른 심리 증상 진단 장치,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35013B1 (ko) * 2008-01-29 2010-01-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치료의 문양 색칠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180086B1 (ko) * 2008-10-30 2012-09-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치료 컴퓨터 시스템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WO2010050767A3 (ko) * 2008-10-30 2010-08-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치료 컴퓨터 시스템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WO2010050767A2 (ko) * 2008-10-30 2010-05-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치료 컴퓨터 시스템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US8942443B2 (en) 2008-10-30 2015-01-27 Korea University Industrial & Academic Collaboration Foundation Computer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art therapy
KR101349157B1 (ko) * 2012-09-05 2014-01-2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Led 광선을 이용한 피부 치료 시스템 및 방법
WO2014115990A1 (ko) 2013-01-24 2014-07-31 Jeong Jiyoung 그룹 내 구성원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10089340B2 (en) 2013-01-24 2018-10-02 D2 Emotion Co., Ltd. Group member managem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KR101524753B1 (ko) * 2013-08-05 2015-06-01 윤소라 미술을 이용한 심리 치료 방법 및 시스템
WO2015080328A1 (ko) * 2013-11-27 2015-06-04 손경순 색채도형 심리 진단장치 및 방법
KR20200106404A (ko) 2019-03-04 2020-09-14 이경연 컬러링 워크 북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987B1 (ko) 색채 지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심리치료 서비스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Botrel et al. Brain painting V2: evaluation of P300-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for creative expression by an end-user following the user-centered design
KR102359471B1 (ko) Vr 환경에서의 개인 또는 그룹 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Bailenson et al. The effect of interactivity on learning physical actions in virtual reality
US20160155352A1 (en) Virtual counseling practice
US20170042439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s for brainwave-based technologies
Yu et al. Effect of AR-based online wearable guides on university students’ situational interest and learning performance
US110270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daptive and interactive healing environment
US20140330576A1 (en) Mobile Platform Designed For Hosting Brain Rehabilitation Therapy And Cognitive Enhancement Sessions
CN101595486A (zh) 交互式患者论坛
CN101657845A (zh) 为医疗患者呈现个人经历的装置和方法
Azer Twelve tips for creating trigger images for problem-based learning cases
AT510364A2 (de) Interaktives trainingssystem zur rehabilitation von physiologisch beeinträchtigten patienten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esselben
Durrant et al. Design to suppor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al needs classroom
Mattson et al. Creating and sharing digital ABA instructional activities: A practical tutorial
Dong et al. Assess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map colour for colour impairments using an eye-tracking approach
Brand et al. Using MRI art, poetry, photography and patient narratives to bridge clinical and human experiences of stroke recovery
Kauffman The last word: How to move from good to great coaching by drawing on the full range of what you know
US20200013311A1 (en) Alternative perspective experiential learning system
US108722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ntext based information
Starling et al. Child and adolescent telepsychiatry in New South Wales: moving beyond clinical consultation
Dayang et al. VReST: An image-based virtual reality stress therapy web application
Young et al. Effective use of storyboarding as a co-design method to enhance power assisted exercise equipment for people with stroke
KR102446138B1 (ko) 의료인을 위한 상호작용적 의사소통 교육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651040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교육 운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