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707B1 - 폐플라스틱 파쇄기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707B1
KR100582707B1 KR20030032622A KR20030032622A KR100582707B1 KR 100582707 B1 KR100582707 B1 KR 100582707B1 KR 20030032622 A KR20030032622 A KR 20030032622A KR 20030032622 A KR20030032622 A KR 20030032622A KR 100582707 B1 KR100582707 B1 KR 10058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edding
drum
drive
pulley
waste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3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323A (ko
Inventor
김제곤
신대균
Original Assignee
바이오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3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70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파쇄기몸체(1)와, 상기 파쇄기몸체(1)의 일측에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파쇄드럼(10), 제2파쇄드럼(20)과, 상기 제1파쇄드럼(10)과 제2파쇄드럼(20)의 외주면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파쇄날(12), 제2파쇄날(22), 상기 제1파쇄드럼(10)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제1구동풀리(30), 상기 제2파쇄드럼(20)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제2구동풀리(40), 상기 제1구동풀리(30)와 제2구동풀리(40)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50,55) 및, 상기 구동벨트(50,55)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0)로 구성되어, 이물질에 의해 회전이 정지되지 않게 하고, 구동방식을 벨트로 하여 이물질의 혼입에 의해서도 회전이 정지되지 않게 하며, 파쇄날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폐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파쇄기, 폐플라스틱, 고체연료, 풀리, 벨트

Description

폐플라스틱 파쇄기{ A crusher for a used plastic }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고체연료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파쇄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파쇄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파쇄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쇄드럼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파쇄기몸체 2 : 폐플라스틱 투입구
3 : 가이드바 10 : 제1파쇄드럼
11 : 구동축 12 : 제1파쇄날
20 : 제2파쇄드럼 21 : 구동축
22 : 제2파쇄날 30 : 제1구동풀리
40 : 제2구동풀리 50 : 제1구동벨트
55 : 제2구동벨트 60 : 구동모터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고체연료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플라스틱을 파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연료를 RDF(Refuse Derived Fuel)라 하는데, 특히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고체연료를 제조함으로써 석유나 석탄에너지의 일부를 대체해 나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고체연료 제조장치는 폐플라스틱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기(100)와, 파쇄된 폐플라스틱을 용융시키는 용융기(200)와, 용융된 폐플라스틱을 압출성형시키는 성형기(300) 및, 성형된 폐플라스틱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기(400)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폐플라스틱 파쇄기(100)는, 목재나 톱밥을 파쇄하는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여 플라스틱을 파쇄하는 데에는 적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열온도를 필요 이상으로 높여야 플라스틱을 용융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시간은 물론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폐플라스틱 파쇄기(100)는 1쌍의 파쇄드럼의 구동축들이 기어로 연동되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므로 이물질이 투입될 경우 회전이 정지되고 그로 인해 구동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어 왔다.
그리고, 종래 파쇄기의 파쇄날은 파쇄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구동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다수개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연동하는 다른 파쇄기의 파쇄날과 서로 교차될 수 있고 그로 인해 파쇄날이 쉽게 손상되거나 파쇄드럼 사이의 간 격을 소정거리 이상으로 좁히지 못하여 폐플라스틱을 제대로 분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쇄드럼의 회전이 이물질에 의해 정지되지 않게 하고 파쇄날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폐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폐플라스틱 파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쇄기몸체와, 상기 파쇄기몸체의 일측에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파쇄드럼, 제2파쇄드럼과, 상기 제1파쇄드럼과 제2파쇄드럼의 외주면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파쇄날, 제2파쇄날, 상기 제1파쇄드럼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제1구동풀리, 상기 제2파쇄드럼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제2구동풀리, 상기 제1구동풀리와 제2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 및, 상기 구동벨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파쇄기는, 파쇄기몸체(1)와, 상기 파쇄기몸체(1)의 일측에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파쇄드럼(10), 제2파쇄드럼(20)과, 상기 제1파쇄드럼(10)과 제2파쇄드럼(20)의 외주면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파쇄날(12), 제2파쇄날(22), 상기 제1파쇄드럼(10)의 구동축에 설치되 는 제1구동풀리(30), 상기 제2파쇄드럼(20)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제2구동풀리(40), 상기 제1구동풀리(30)와 제2구동풀리(40)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50,55) 및, 상기 구동벨트(50,55)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쇄기몸체(1)는 일측에 폐플라스틱 투입구(2)를 구비하고 일측에 제1파쇄드럼(10)과 제2파쇄드럼(20)이 각각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폐플라스틱을 제1파쇄드럼(10)과 제2파쇄드럼(20)의 사이로 안내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바(3)가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파쇄드럼(10)과 제2파쇄드럼(20)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구비되어 폐플라스틱을 통과시키게 된다.
즉, 폐플라스틱은 컨베이어(C)에 의해 상기 파쇄기몸체(1)의 폐플라스틱 투입구(2)로 이송된 후 상기 제1파쇄드럼(10)과 제2파쇄드럼(20)의 사이로 낙하하여 파쇄된다.
상기 제1파쇄드럼(1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제1파쇄날(12)이 구동축(11)에 대하여 나선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파쇄날(22)은 상기 제2파쇄드럼(20)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파쇄날(12)과 상기 제2파쇄날(22)은 헬리컬기어와 같이 1조를 이루도록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파쇄날(22)은 구동축(21)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파쇄날(12)들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제1파쇄드럼(10)과 제2파쇄드럼(20)의 회전시 서로 부딪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파쇄드럼(10)과 제2파쇄드럼(20)과의 사이 간격을 상기 제1파쇄날(12)이 상기 제1파쇄드럼(10)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만큼 좁히더라도 제1파쇄날(12)과 제2파쇄날(22)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됨으로써 폐플라스틱이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폭넓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쇄날(12)과 제2파쇄날(22)은 물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파쇄드럼(10)의 구동축(11) 양단에 1쌍의 제1구동풀리(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파쇄드럼(20)의 구동축(21) 일단에 제2구동풀리(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구동풀리(30)는 구동모터(60)에 구동벨트(50,55)로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제1파쇄드럼(10)을 회전시키게 되고, 제2구동풀리(40)를 연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구동풀리(30)와 제2구동풀리(40)는 직경의 크기가 달라 시간당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파쇄드럼(10)과 제2파쇄드럼(20)의 사이에 이물질이 혼입되어 끼워지더라도 서로 다른 회전에 의해 일측에 지지력이 발생함으로써 이물질을 회전하면서 파쇄시키거나 통과시켜 구동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파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벨트(50,55)는 상기 제1구동풀리(30)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벨트(50)와, 상기 제2구동풀리(40)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벨트(5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구동벨트(50)는 제1구동풀리(30)와 구동모터(60)를 연동하고, 제2구 동벨트(55)는 제1구동풀리(30)와 제2구동풀리(40)를 연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구동벨트(55)는 구동모터(60)에 직접 연결되어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른 구동모터를 별도로 구비하여 제2구동벨트(55)와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벨트(55)를 상기 구동모터(60)에 직접 연결하여 구동시킬 경우 제1구동풀리(30)와 제2구동풀리(40)의 직경 차이에 의해 제1파쇄드럼(10)과 제2파쇄드럼(20)의 시간당 회전수(rpm)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벨트(55)를 별도의 구동모터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경우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달리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1파쇄드럼(10)과 제2파쇄드럼(20)의 시간당 회전수(rpm)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파쇄기에 의하면, 두 파쇄드럼의 시간당 회전수를 다르게 하여 두 파쇄드럼의 사이에 혼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회전이 정지되지 않게 하고, 구동방식을 벨트로 하여 이물질의 혼입에 의해서도 회전이 정지되지 않게 하며, 두 파쇄드럼의 파쇄날들이 서로 교차되지 않게 함으로써 파쇄날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폐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축회전하는 제1파쇄드럼(10), 제2파쇄드럼(20)과;
    상기 제1파쇄드럼(10)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파쇄날(12)과;
    상기 제2파쇄드럼(20)의 외주면에 나선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파쇄날(12)들과 서로 어긋나게 구비되는 제2파쇄날(22) 및;
    상기 제1파쇄드럼(10)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제1구동풀리(30);
    상기 제2파쇄드럼(20)의 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풀리(30)와 시간당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2구동풀리(40);
    상기 제1구동풀리(30)와 제2구동풀리(40)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50,55);
    상기 구동벨트(50,55)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파쇄기.
  2. 삭제
  3. 삭제
KR20030032622A 2003-05-22 2003-05-22 폐플라스틱 파쇄기 KR10058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2622A KR100582707B1 (ko) 2003-05-22 2003-05-22 폐플라스틱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2622A KR100582707B1 (ko) 2003-05-22 2003-05-22 폐플라스틱 파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802U Division KR200409548Y1 (ko) 2005-11-30 2005-11-30 폐플라스틱 파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323A KR20040100323A (ko) 2004-12-02
KR100582707B1 true KR100582707B1 (ko) 2006-05-25

Family

ID=3737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2622A KR100582707B1 (ko) 2003-05-22 2003-05-22 폐플라스틱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70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374A (ko) 2014-10-01 2016-04-11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160040854A (ko) 2014-10-06 2016-04-15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160043333A (ko) 2014-10-13 2016-04-21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170018855A (ko) 2017-01-11 2017-02-20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170018856A (ko) 2017-01-11 2017-02-20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용 파쇄기
KR20170018857A (ko) 2017-01-11 2017-02-20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용 성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6913A (zh) * 2014-12-03 2015-04-22 刘从祥 废弃塑料瓶粉碎机压料机构
CN107433699A (zh) * 2017-08-10 2017-12-05 三明华盈塑胶有限公司 一种塑料破碎机
CN112192789A (zh) * 2020-10-10 2021-01-08 界首市荣发再生资源有限公司 一种用于塑料瓶片的回收加工工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5342U (ko) * 1987-07-31 1989-02-13
KR930004129U (ko) * 1991-08-06 1993-03-20 유금범 수산물 양식용 원줄의 인양장치
KR19980019166U (ko) * 1998-04-09 1998-07-06 조선덕 모래제조장치용 마사분쇄기
JPH10249593A (ja) * 1997-03-12 1998-09-22 Asahi Sangyo Kk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減容装置
KR19980067976U (ko) * 1997-05-30 1998-12-05 이상진 파쇄장치
KR0140024Y1 (ko) * 1996-04-19 1999-04-15 정규수 폐 석고보드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5342U (ko) * 1987-07-31 1989-02-13
KR930004129U (ko) * 1991-08-06 1993-03-20 유금범 수산물 양식용 원줄의 인양장치
KR0140024Y1 (ko) * 1996-04-19 1999-04-15 정규수 폐 석고보드 파쇄장치
JPH10249593A (ja) * 1997-03-12 1998-09-22 Asahi Sangyo Kk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減容装置
KR19980067976U (ko) * 1997-05-30 1998-12-05 이상진 파쇄장치
KR19980019166U (ko) * 1998-04-09 1998-07-06 조선덕 모래제조장치용 마사분쇄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374A (ko) 2014-10-01 2016-04-11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160040854A (ko) 2014-10-06 2016-04-15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160043333A (ko) 2014-10-13 2016-04-21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170018855A (ko) 2017-01-11 2017-02-20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20170018856A (ko) 2017-01-11 2017-02-20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용 파쇄기
KR20170018857A (ko) 2017-01-11 2017-02-20 주식회사 호성에코팩토리 쓰레기 처리 시스템용 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323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707B1 (ko) 폐플라스틱 파쇄기
US5526991A (en) Apparatus for plasticizing thermoplastic synthetic plastics material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JPH0523608A (ja) 2軸破砕機
KR101871953B1 (ko) 산업, 건축 및 생활 폐기물용 파쇄기
US8910891B2 (en) Comminution of waste and other materials
KR100584918B1 (ko) 플라스틱 폐기물용 파쇄기
KR200409548Y1 (ko) 폐플라스틱 파쇄기
CA1178937A (en) Runner chopper
US5127588A (en) Tire chipper
KR100686324B1 (ko) 4축 파쇄장치
US4921176A (en) Apparatus for crushing things
JP2000051726A (ja) 1軸破砕機
KR20060058224A (ko) 뿌리 파쇄장치
JPH07155630A (ja) 二軸破砕機
KR200375858Y1 (ko) 뿌리 파쇄장치
KR100469677B1 (ko) 임목폐기물 파쇄장치
CN205288607U (zh) 葛根削片机
KR200177963Y1 (ko) 분쇄·파쇄겸용이 가능한 톱밥제조기
KR101812685B1 (ko) 해섬기
CN217552859U (zh) 一种塑胶料高效回收粉碎装置
KR200183292Y1 (ko) 초목파쇄기
KR20110047385A (ko) 폐합성수지의 이송 절단장치
JP4590232B2 (ja) 脱水ケーキ粉砕機
JP3200545B2 (ja) 一軸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