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0044B1 - A steering wheel with variable diameter - Google Patents

A steering wheel with variable diam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0044B1
KR100580044B1 KR1020030077326A KR20030077326A KR100580044B1 KR 100580044 B1 KR100580044 B1 KR 100580044B1 KR 1020030077326 A KR1020030077326 A KR 1020030077326A KR 20030077326 A KR20030077326 A KR 20030077326A KR 100580044 B1 KR100580044 B1 KR 100580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rim
spoke
hub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42397A (en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044B1/en
Publication of KR2005004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서, 외측의 림(2), 중앙 부분의 허브(3), 림(2)과 허브(3)를 연결하는 스포크(4)로 구성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어 스티어링 휠의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며 양단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되 단부측에 구비된 걸림단(24)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 1 림(20),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림(20)의 단부내측으로 설치되되 제 1 림(20)의 걸림단에 걸려 길이 가변량이 한정될 수 있도록 'T' 형태의 후크(34)가 구비된 제 2 림(30), 허브(15)에 연결되되 허브(15)와 연결되는 반대편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스포크(40), 상기 제 1 스포크(40)의 단부에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제 1 림(20)과 연결되는 제 2 스포크(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 적은 힘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스티어링 휠의 지름이 확장되도록 하여 스티어링 휠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comprising a rim 2 on the outside, a hub 3 on the center portion, and a spoke 4 connecting the rim 2 and the hub 3 to a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first rims 20 are formed in an arc shap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overall shape of the steering wheel, and a space is formed at both ends, and includes a locking end 24 provided at an end side. And a second rim 30 provided with a hook 34 having a 'T' shape to be installed inside the end of the first rim 20 but to be caught by the locking end of the first rim 20 so that a variable length is defined. The first spoke 40 is connected to the hub 15 but has a spac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connected to the hub 15, and is installed to have a variable length at an end of the first spoke 40. It comprises a second spoke 50 connected to the first rim 20, so that the steering wheel with a small force In case of operation,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wheel is expanded so that the steering wheel can be easily operated.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Description

지름이 가변되는 스티어링 휠{A steering wheel with variable diameter}A steering wheel with variable diameter}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steering wheel of a typical vehicl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름이 가변되는 스티어링 휠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of a steering wheel variable in dia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면.3A is a detail view of portion A of FIG. 2;

도 3b는 도 2의 B 부분의 상세도면. 3B is a detailed view of part B of FIG. 2;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스티어링 휠 20 : 제 1 림10: steering wheel 20: first rim

30 : 제 2 림 40 : 제 1 스포크30: second rim 40: first spoke

50 : 제 2 스포크50: second spok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운행 여부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지름을 조절할 수 있는 지름이 가변되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wheel whose diamet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whether a vehicle is driven or not.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운전자 가 조작하는 장치를 말한다. A steering wheel is a device that the driver manipulates to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통상적인 스티어링 휠(1)은 외측의 림(2), 중앙 부분의 허브(3), 림(2)과 허브(3)를 연결하는 스포크(4)로 구성되어 있으며, 허브(3) 또는 스포크(4)에는 경적(미도시)을 설치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steering wheel of a general vehicle, in which a conventional steering wheel 1 connects an outer rim 2, a hub 3 in a central part, and a rim 2 and a hub 3. It is composed of spokes (4), the hub (3) or spokes (4) is installed a horn (not shown).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작할 때, 핸들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의 림 일측에 보조 핸들을 부착하는 경우가 있었다. When manipula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implify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an auxiliary steering wheel was sometime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rim of the steering wheel.

보조 핸들을 사용하는 경우, 조향 조작을 가볍게 할 수 있으나 사고시 보조 핸들에 운전자가 충돌하는 경우 운전자가 심한 부상을 입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는 사양에 포함되었다. The use of an auxiliary handle makes it easier to steer, but it is included in specifications that are not recommended because the driver will be seriously injured if the driver collides with the auxiliary handl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한편 스티어링 휠의 지름을 증가시키면 조작력이 가벼워지게 되지만, 조향 정도가 적은 경우에는 스티어링 휠의 조작 정도를 크게 해야하고, 운전석의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게 되므로, 종래에는 스티어링 휠의 지름을 자동차의 성격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선택하여 자동차 제조시 고정되어 생산되므로,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대한 불편함은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wheel is increased, the operation force becomes lighter. However, when the steering degree is small, the steering wheel operation degree must be increased, and the driver's seat space is required. Since it is fixed and produc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car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convenience of the steering wheel operation is pres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운전 상황에 맞추어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의 지름을 가변시켜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조작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지름이 가변되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teering wheel is variable in diameter to obtain a driving force required by the driver by varying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wheel for manipula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situation It aims to provid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름이 가변되는 스티어링 휠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외측의 림(2), 중앙 부분의 허브(3), 림(2)과 허브(3)를 연결하는 스포크(4)로 구성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어 스티어링 휠의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며 양단부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제 1 림(20),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림(20)의 양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2 림(30), 허브(15)에 연결되되 허브(15)와 연결되는 반대편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스포크(40), 상기 제 1 스포크(40)의 단부에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제 1 림(20)과 연결되는 제 2 스포크(5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steering wheel having a variable dia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nects the outer rim 2, the hub 3 of the center portion, the rim 2 and the hub 3 In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composed of spokes (4),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overall shape of the steering wheel, a plurality of first rims 20, the arc is formed in the space inside the both ends The second spoke 30 is formed and is inserted and fixed to both ends of the first rim 20, the first spoke 40 is connected to the hub 15, the spac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connected to the hub 15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spoke 40 is installed so that the length is variable and the other end is shown that consists of the second spoke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rim (20).

상기 제 1 림(20)의 양단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되 단부측에 걸림단(24)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림(2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림(30)은 상기 걸림단(24)에 걸려 길이 가변량이 한정될 수 있도록 'T' 형태의 후크(34)가 형성되며, 걸림단(24)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ac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im 20, and a locking end 24 is installed at an end side thereof, and the second rim 30 installed at an end of the first rim 20 is the locking end 24. The hook 34 of the 'T' shape is formed so as to be limited to the variable length, it is preferably located inside the locking end (24).

상기 제 1 스포크(40)의 내측에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고정구(44)가 설치되고, 제 2 스포크(5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구(44)에 걸려 제 2 스포크(5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 톱니(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스포크(50)에는 제 2 리턴 스프링(56)이 연결되어 있어 고정구(44)가 고정 톱니(54)에서 해제되는 경우 제 2 스포크(50)를 원상 복귀시키도록 한다. A fastener 44 that rotates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poke 40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spoke 40, and one side of the second spoke 50 is caught by the fastener 44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spoke 50. The fixed tooth 54 is formed. In addition, a second return spring 56 is connected to the second spoke 50 so that the second spoke 5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astener 44 is released from the fixed tooth 54.

상기 고정구(44)는 푸시 버튼(42)의 조작에 의해 고정톱니(54)에 결속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푸시 버튼(42)의 하부에 맞닿는 누름단(44a)이 돌출형성되며, 누름단(44a)의 일측에는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1 리턴 스프링(46)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astener 44 has a pushed end 44a abutting against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button 42 so as to be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fixed teeth 54 by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42, and the pushed end 44a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eturn spring 46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one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스티어링 휠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작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anipula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using the steering wheel is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휠은 제 1 림 및 제 2 림(30), 제 1 스포크(40) 및 제 2 스포크(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림(20)은 스티어링 휠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고, 제 1 림(20)에 힘이 인가되어 서로 이격되는 경우에는 제 2 림(30)의 양단부가 제 1 림(20)의 양측단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계속적으로 제 1 림(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rim and a second rim 30, a first spoke 40 and a second spoke 50. At this time, the first rim 20 forms the overall shape of the steering wheel, an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rim 20 and both ends of the second rim 30 are spaced from each other, both sides of the first rim 20 However, it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support the first rim 20 while slidingly moving inside.

또한, 스티어링 휠(10)의 허브(15)에는 제 1 스포크(40)가 설치되어 있고 제 1 스포크(40)에는 제 2 스포크(50)가 연결되어 있어, 허브와 림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spoke 40 is installed in the hub 15 of the steering wheel 10 and the second spoke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spoke 40 so that the hub and the rim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be operated as follows.

스티어링 휠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작할 때 스티어링 휠을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을 조작하도록 한다.When it is necessary to finely adjust the steering wheel when opera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using the steering wheel,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as follows.

스티어링 휠의 지름이 큰경우에 스티어링 휠의 미세 조작이 용이해지므로, 스티어링 휠(10)을 구성하는 제 1 림(20)에 힘을 인가하여 서로 결속되어 있는 제 1 림(20)이 이격되도록 한다. When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wheel is large, fine manipulation of the steering wheel becomes easy, so that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rim 20 constituting the steering wheel 10 so that the first rims 20 which are bound to each oth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o.

이때 스티어링 휠(10)의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서로 결속되어 있어 단순히 힘을 인가하는 것만으로는 동작되지 않는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the steering wheel 10 is bound to each other, and simply by applying a force does not operate.

우선, 스티어링 휠(10)의 허브(15)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스포크(40)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스포크(50)를 조작하여 스포크의 길이가 신장되도록 한다. 이때,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푸시 버튼(42)을 누르면 푸시 버튼(42)의 하부는 누름단(44a)에 맞닿으면서 제 2 스포크(5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톱니(54)에 맞물려 있는 고정구(44)가 a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고정구(44)의 회전에 의해 고정구(44)의 단부는 고정 톱니(54)와 이격되어 제 2 스포크(5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다. First, the length of the spoke is extended by manipulating the second spoke 50 connected to the first spoke 40 connected to the hub 15 of the steering wheel 1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A, when the push button 42 is pressed, the fixed teeth 54 formed in the second spoke 50 while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button 42 abuts against the pressing end 44a. The fastener 44, which is engaged with the, rotates in the a direction. The end of the fastener 44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tooth 54 by the rotation of the fastener 44 so that the second spoke 50 is slidable.

제 2 스포크(50)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에서 제 1 림(20)에 힘을 인가하면 제 1 림(20)이 서로 이격되어 제 1 림(20)의 전체적인 지름이 확장되고, 이때 제 1 림(20)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림(30)이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스티어링 휠의 형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푸시 버튼(42)에 인가되는 힘을 제거하면 제 1 리턴 스프링(46)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구(44)는 고정 톱니(54)에 결속되어 스티어링 휠의 지름이 확장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rim 2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poke 50 is slidable, the first rim 2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expand the overall diameter of the first rim 20, where the first rim ( The second rims 30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20 maintain the shape of the steering wheel while slidingly moving, respectively, 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push button 42 is remove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46 is removed. By means of the fastener 44 is fixed to the fixed teeth 54 so that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wheel is expanded.

제 2 림(30)이 슬라이딩 이동할 때 제 2 림(3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34)가 제 1 림(20)의 걸림단(24)에 의해 이동량이 제한된다.When the second rim 30 slides, the hook 34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rim 30 is limited by the locking end 24 of the first rim 20.

적은 조작력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스티 어링 휠의 지름이 확장되도록 하지만, 스티어링 휠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경우에는 우선 푸시 버튼(42)을 조작하여 고정구(44)가 고정 톱니(54)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When the steering wheel is to be operated with a small operating force,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wheel is expanded as described above. However, when the steering wheel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 fixture 44 is fixed by operating the push button 42 first. To be disengaged from the tooth 54.

고정구(44)의 이탈에 의해 제 2 스포크(50)를 고정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제 2 리턴 스프링(56)에 의해 제 2 스포크(50)가 당겨져 제 1 스포크(40)의 내측으로 제 2 스포크(50)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force for fixing the second spoke 50 is removed by the detachment of the fastener 44, the second spoke 50 is pulled by the second return spring 56, so that the second spoke 50 is inward of the first spoke 40. 50 is slidingly moved.

이때 제 2 림(30)의 양단이 제 1 림(2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면 스티어링 휠의 전체 지름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At this time, if both ends of the second rim 30 is moved slidingly inward of the first rim 20, the entire diameter of the steering wheel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has been claim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It includes all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스티어링 휠을 적은 힘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을 경우 스티어링 휠의 지름이 가변되도록 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vehicle steering wheel with a small force,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wheel is variable to have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Claims (5)

외측의 림(2), 중앙 부분의 허브(3), 림(2)과 허브(3)를 연결하는 스포크(4)로 구성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어 스티어링 휠의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며 양단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되 단부측에 구비된 걸림단(24)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 1 림(20),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림(20)의 단부내측으로 설치되되 제 1 림(20)의 걸림단(24)에 걸려 길이 가변량이 한정될 수 있도록 'T' 형태의 후크(34)가 구비된 제 2 림(30), 허브(15)에 연결되되 허브(15)와 연결되는 반대편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 1 스포크(40), 상기 제 1 스포크(40)의 단부에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제 1 림(20)과 연결되는 제 2 스포크(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름이 가변되는 스티어링 휠.In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composed of an outer rim 2, a hub 3 in the center portion, and spokes 4 connecting the rim 2 and the hub 3, the steering wheel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teering wheel. A plurality of first rims 2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and have a space formed at both ends, and include a locking end 24 provided at an end side, and an end inside of the first rim 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im 30, the hub 15 is provided with a hook 34 of the 'T' shape so that the variable length can be limited to the hanging end 24 of the first rim 20 A first spoke 40 having a space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hub 15, the end of the first spoke 40 is installed to be variable in length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im 20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wheel is vari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poke (5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포크(40)에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고정구(44), 상기 고정구(44)의 일측단에 돌출 형성되는 누름단(44a),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누름단(44a)에 단부가 맞닿는 푸시 버튼(42), 상기 누름단(44a)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 1 리턴 스프링(4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름이 가변되는 스티어링 휠.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poke 40, the fixture 44 to rotate based on the axis of rotation, the pressing end (44a) protruding to one side end of the fixture 44, the pressing by the operator's operation A push wheel (42) having an end contacting the end (44a) and a first return spring (46) connected to the pressing end (44a) to apply an elastic force, wherein the diameter of the steering wheel is variable. 제 1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포크(50)에는 제 2 스포크(5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44)에 걸려 제 2 스포크(5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 톱니(54), 상기 제 2 스포크(5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 2 스포크(50)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제 2 리턴 스프링(5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름이 가변되는 스티어링 휠.The fixed teeth 54 of claim 1 or 4, wherein the second spokes 50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pokes 50 and are caught by the fasteners 44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spokes 50. ), A steering wheel having a variable diameter,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return spring (5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poke (50) to apply a tensile force to the second spoke (50).
KR1020030077326A 2003-11-03 2003-11-03 A steering wheel with variable diameter KR100580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26A KR100580044B1 (en) 2003-11-03 2003-11-03 A steering wheel with variable diam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326A KR100580044B1 (en) 2003-11-03 2003-11-03 A steering wheel with variable diame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397A KR20050042397A (en) 2005-05-09
KR100580044B1 true KR100580044B1 (en) 2006-05-12

Family

ID=3724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326A KR100580044B1 (en) 2003-11-03 2003-11-03 A steering wheel with variable diam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0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2204A1 (en) 2016-02-25 2017-08-31 Audi Ag Actuating device for manually actuating a vehicle function with a handle 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514B1 (en) * 2016-05-31 2021-1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adjusting grip feeling of steering wheel
DE102018200436A1 (en) * 2018-01-11 2019-07-1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teering wheel of a motor vehicle
DE102018215989A1 (en) * 2018-09-19 2020-03-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djustable steering wheel
CN109795541B (en) * 2018-12-17 2020-06-02 宁波卓尔汽车零部件有限公司 Telescopically controlled steering wheel
CN110171464B (en) * 2019-05-28 2020-05-19 杭州科技职业技术学院 Automobile steering wheel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2204A1 (en) 2016-02-25 2017-08-31 Audi Ag Actuating device for manually actuating a vehicle function with a handle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397A (en) 2005-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8905A (en) Device for operating a parking brake
JP4768721B2 (en) Car door mirror storage mechanism
US6279713B1 (en) Parking pawl assembly
US11230315B2 (en) Foldable steering wheel
KR100580044B1 (en) A steering wheel with variable diameter
US6644676B2 (en) Safety device for a front wheel of a vehicle for children
JP2002225661A (en) Mounting structure for air bag module
JP5205382B2 (en) Two-panel steering wheel back cover for improved safety performance
EP1190933A3 (en) Vehicle steering wheel
KR20050048097A (en) A steering wheel with variable diameter
US5421434A (en) Wheel assembly having clutch and brake mechanism
US5653132A (en) Steering wheel locking apparatus
JP3798603B2 (en) Remote controller for automotive electronic devices
JP2006044390A (en) Mounting structure of switch case
KR20100007083A (en) Assistance handle of steering wheel and clamp thereof
KR101271806B1 (en) steering wheel for automobile
WO2021147736A1 (en) Folding mechanism and foldable vehicle
KR101532218B1 (en) Sliding Prevention Apparatus for Car
US2266994A (en) Operating lever mechanism
KR200245991Y1 (en) a steering wheel of a car
KR200289716Y1 (en) Steering Wheel with jog dial switch
WO2024095619A1 (en) Tightening means for tire anti-slip device
JP5175051B2 (en) Fatigue recovery support for handles etc.
KR200300494Y1 (en) Button locking device of parking-lever for vehicles
KR200155011Y1 (en) A parking brake lever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