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699B1 -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699B1
KR100579699B1 KR1020050005562A KR20050005562A KR100579699B1 KR 100579699 B1 KR100579699 B1 KR 100579699B1 KR 1020050005562 A KR1020050005562 A KR 1020050005562A KR 20050005562 A KR20050005562 A KR 20050005562A KR 100579699 B1 KR100579699 B1 KR 10057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locat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sca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임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0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6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 A47G2400/064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for sea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6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 A47G2400/067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for pasta or noodl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대상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시스템은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고, 지피에스(GPS)의 위성국으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로케이터와, 상기 로케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스캔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위 이동 단말기와, 상기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상위 이동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스캔신호를 전달받음과 아울러 상기 로케이터로부터의 상기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상위 이동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로케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스캔신호의 전파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위 이동 단말기에서 대상의 위치 추적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하위 이동 단말기에서 대상의 위치 추적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시스템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 2 실시예의 로케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위 이동 단말기 3 : 하위 이동 단말기
5 : 로케이터 7 : 이동 통신 시스템
9 : 비상 연락 시스템 11, 31, 51 :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13, 33, 53, 73 : GPS 모듈 15, 55 : 이동 통신 모듈
17, 57 : 입력부 19, 59 : 표시장치
21, 37, 61 : 메모리 23, 35, 63 : 제어부
40 : 통신 반경 65 : 태그 리더
71 : 전원 75 : 로케이터 제어부
77 : RFID 태그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대상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관련 기술의 개발에 따라, 유/무선을 이용한 많은 통신 서비스가 이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유선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광 섬유의 개발과 관련 시스템의 개발로 광통신망이 구축되어, 실시간 글로벌 네트워크가 이루어졌다. 이 광통신망은 음성 및 영상의 동시 전송을 실현하여, 화상전화 및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무선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단지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던 서비스에서 발전하여, 현재는 음성 및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고속 이동중에도 제공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셀룰러 폰 시스템(Cellular Phone) 속칭 핸드폰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 40자 정도의 단 문 문자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 SMS)를 제공해왔다. 하지만, 최근 몇년 동안의 급속한 기술 발전은 실시간으로 동영상과 이에 부가되는 음성을 주고 받기에 이르렀다. 더욱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종래의 무전기와 무전기 사이의 불특정 다수에 대한 통신뿐만이 아니라, 현재의 이동통신 시스템과 같이 중계국 또는 위성국을 이용하여 지정된 다수와의 연결이 가능해졌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진보된 현재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대역을 시간적으로나 주파수대역별로 혹은 이 양자를 병합하는 방법에 의해 그 사용 효율이 증가하였다. 즉,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TDMA), 주파수 다중 분할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FDMA)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다중 접속 방식에 대한 기술 개발로 인해, 사용자들에게 이러한 접속 방식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저가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인해, 많은 사람들이 현재는 하나 이상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보편화로 인한 사용인구의 증가는 추가적인 기술 개발로 이어지고, 기술 개발에 따라 시스템들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가 많아지고 서비스의 품질 또한 향상되었다. 또한, 이동 통신과 다른 디지털 서비스의 접목을 시도하는 노력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노력들의 예로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휴대 오디오 시스템, 지리 정보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필두로 더욱 다양한 시스템과의 접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가능했던 이유는 사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요구와 함 게 이동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성능의 향상이 그 주된 요인이다.
이 중 지리 정보 시스템(Global Information System : GIS)은 전세계 위치 추적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 GPS)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이다. 이 지리 정보 시스템(GIS)을 이용하는 서비스 중 보편화 추세에 있는 것이 교통 정보, 도로 정보 및 개인 또는 특정 대상의 위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전세계 위치 추적 시스템(GPS)은 본래 군사용 목적으로 지구 궤도상에 쏴올린 위성국(Satellite)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전세계 위치 추적 시스템(GPS)은 군사용과 민간용으로 나뉘어지는데, 두 개 이상의 위성국이 송신하는 신호를 위치 추적 시스템의 단말기가 수신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를 이용하여 단말기가 위치하는 즉, 사용자가 위치하는 주변의 특정 정보와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지리 정보 시스템(GIS)이다.
이러한 전세계 위치 정보 시스템(GPS)과 지리 정보 시스템(GIS)은 그 편리성과 정보의 유용함 때문에 다방면에 활용이 모색되고 있다. 그 중에 가장 두드러진 것 중의 하나는 다수의 운전자와 여행자를 위한 도로 및 경로 정보 서비이고, 다른 하나는 자동차의 분실, 지인의 위치 확인을 위한 위치 확인 서비스이다.
전자와 후자의 차이는 전자는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고, 후자의 경우는 자신이 다른 대상을 찾는다는 것이다. 이 중 후자 즉, 대상의 위치를 확인하는 서비스는 자동차와 같은 고가의 물품에 대한 도난 대비와 어린 아이, 애완 동물의 위치 확인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특정 대상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가 국내 이동통신사 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중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GPS 모듈이 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확인을 하는 방법이다. 또한, 이 들을 병합하여 사용하는 GPS 원(One) 서비스의 제공으로 종래의 GPS 시스템의 단점과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는 새로운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특정 대상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는 최근 고가격의 차량 소유자와 어린 아이를 둔 부모, 애완견을 키우는 주인들에 의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어린 아이를 둔 부모의 경우는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아이의 위치, 현재 상태 등을 파악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부모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주로 GPS 모듈이 탑재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이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부모 또는 보호자가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와 아이가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필요하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초등하교나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를 둔 학부모가 직장 생활을 할 경우 아이를 항상 관찰할 수 없게된다. 이러한 부모 또는 보호자가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를 구입한다. 구입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보호자 또는 부모와 아이에게 각각 하나씩 제공된다. 그리고 서비스 가입시에 아이가 주로 다니는 경로에 대한 정보,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업체의 서버에 기록한다. 이를 통해, 아이가 해당 시간대에 해당 지역에 없을 경우 경찰서 또는 부모에게 이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아이가 급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단축번호를 제공하거나, 부모가 아이를 찾기 위해 아이의 단말기 위치를 탐색할 수 있는 권한이 주어 진다. 또한, 보호자가 아이에게 전화를 걸어 일정 시간이 지나도 아이가 전화를 받지 않으면, 자동으로 착신되어 단말기 주변의 소리로 아이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선 반드시 아이에게도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즉,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크기는 성인 사용자에게는 작을지 모르지만 아이에게는 조금 큰 것이 사실이다. 아울러,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통화 가능 지역을 확인하기 위해 인근의 기지국과 주기적으로 신호를 주고 받는다. 이로 인해, 배터리 소모가 많은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더욱이,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 대상에 대한 위치를 찾는 시스템의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 주변의 기지국들이 수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가 많아지면, 시스템이 다운(또는 정지)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아이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부모들이 아이들을 주로 잃어버리는 한적한 장소뿐만 아니라, 번화가, 놀이공원 또는 특정 행사와 같이 사람이 많은 곳인 점을 감안할 때,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운은 심각한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또한, 현재 생산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생산 단가와 서비스 이용료를 고려하면, 이 또한 다수의 사용자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앞에서 말한 방법 외의, 낮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용 가능한 특정 대상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이용 가능한 대상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시스템은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고, 지피에스(GPS)의 위성국으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로케이터와; 상기 로케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스캔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위 이동 단말기와; 상기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상위 이동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스캔신호를 전달받음과 아울러 상기 로케이터로부터의 상기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상위 이동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이동 단말기를 구비한다.
상기 로케이터를 탐색 및 관리하기 위한 비상 연락망을 더 구비하며, 상기 상위 및 하위 이동 단말기가 상기 비상 연락망에 연결되도록 무선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더 구비한다.
상기 로케이터는 상기 상위 또는 하위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위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지피에스(GPS) 모듈과;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지피에스 모듈로부터의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상위 및 하위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탐색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로케이터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로케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로케이터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과;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지피에스 모듈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이동 통신 모듈,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명령에 의해 상기 스캔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고유 식별정보 수신시 상기 식별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비쿼터스(Ubiqutous)를 포함한다.
상기 로케이터는 상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지피에스(GPS) 모듈과, 상기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로케이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고유식별 정보와 상기 로케이터의 위치정보가 기록되는 알에프아이디 태그(RFID Tag)를 구비한다.
상기 로케이터는 상기 지피에서 모듈,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캔신호는,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하위 이동 단말기의 로케이터 탐색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인보크(Invoke)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는 로케이터의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지피에스(GPS)의 위성국으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로케이터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로케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스캔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상위 이동 단말기로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상위 이동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스캔신호를 하위 이동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로케이터로부터의 상기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상위 이동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로케이터를 탐색 및 관기하리 위한 비상연락망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동 통신 채널을 이용해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스캔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는 인접한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로케이터 중 어느 하나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인접한 이동 단말기의 탐색 기능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는, 인접한 이동 단말기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탄색된 인접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새로운 인접 이동 단말기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접 이동 단말기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이동 단말기의 탐색에 의해 상기 로케이터의 탐색이 가능한 상기 인접 이동 단말기의 수를 증가시킨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효과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시스템은 상위 이동 단말기(1), 하위 이동 단말기(3), 로케이터(5), 이동 통신 시스템(7) 및 비상 연락 시스템(9)를 구비한다.
상위 이동 단말기(1)는 로케이터(5)와 한 쌍을 이루며, 로케이터(5)를 탐색하기 위한 스캔 신호를 발생한다. 상위 이동 단말기(1)가 발생하는 스캔 신호에는 다수의 하위 이동 단말기(3)의 스캔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인보크(Invoke : IV)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이 스캔신호에는 인보크 신호에 응답한 하위 이동 단말기(3)와의 통신 경로를 유지하기 위한 경로정보(Path : P)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이동 단말기(1)에는 탐색하고자 하는 로케이터(5)에 관한 식별정보(Identification : ID)가 저장된다. 이 식별정보는 하위 이동 단말기(3)들에게 공급되어 하위 이동 단말기(3)가 로케이터(5)를 탐색하는 정보로 제공된다. 이 상위 이동 단말기(1)는 이동 통신 시스템(7)과의 통신을 위한 이동 통신 모듈과 하위 이동 단말기(3) 및 로케이터(5)와 통신을 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탑재한 다. 여기서 이동 통신 시스템(7)은 CDMA, FDMA, TDMA를 포함하는 셀룰러 기반 이동 통신과 각종 무선 랜(Local Area Network : LAN)을 의미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비쿼터스(Ubiquitous)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별도의 서버 없이 하나의 단말기가 마스터(또는 호스트 또는 상위)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 마스터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가 슬레이브(또는 클라이언트 또는 하위)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형성하여 통상의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서버없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상위 이동 단말기(1)에 탑재된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 시스템(7)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위 이동 단말기(1)는 이 이동 통신 시스템(7)을 통해 로케이터(5) 탐색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상연락 시스템(9)에 연결된다. 한편, 상위 이동 단말기(1)는 하위 이동 단말기(3)들로부터 제공되는 단말 위치정보에 의해 로케이터(5)의 위치 또는 맵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GPS 모듈이 탑재된다. 이 상위 이동 단말기(1)는 하위 이동 단말기(3)들로부터의 단말 위치정보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채널이 형성된 단말기(3)들의 위치를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하위 이동 단말기(3)는 기본적으로 상위 이동 단말기(1)와 같이 이동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시 모듈이 탑재된다. 이 하위 이동 단말기(3)는 상위 이동 단말기(1)로부터의 스캔신호와 식별정보(ID)에 의해 로케이터(5)를 탐색한다. 또한, 이 하위 이동 단말기(3)는 인근의 다른 이동 단말기(3)의 스캔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캔신호를 발생하며, 상위 이동 단말기(1)로부터의 식별 정보를 전달한다. 즉, 하위 이동 단말기(3)는 상위 이동 단말기(1)와 상위와 하위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다른 이동 단말기(3)외 상하위 관계를 새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이동 단말기(1, 3)는 다른 이동 단말기(3)와 로케이터(5)의 위치가 파악될 때까지 상하위 관계를 생성해간다. 하나의 이동 단말기(1, 3)가 하위로 둘 수 있는 단말기의 수는 블루투스를 사용할 경우 7대, 지그비를 사용할 경우 약 100여대 정도가 가능하다. 또한, 이동 단말기(1, 3) 하나가 유지할 수 있는 통신 거리는 통신 방식에 따라 다른다. 블루투스를 이용할 경우는 10m 정도와 100m정도이 통신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 단말기(1, 3)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시간은 길어도 수초 내지 수십초 범위에 있기 때문에 로케이터(5)의 위치를 확인시 하위 이동 단말기(3)에 의해 통신 채널이 단절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각각의 하위 이동 단말기(3)는 각각의 상위 이동 단말기(1, 3)으로부터 스캔 신호가 공급되면, 상위 이동 단말기(1, 3)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이동 단말기(1, 3)는 위치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모듈을 구비한다.
로케이터(5)는 아이 또는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에 부착된다. 이를 위해 로케이터(5)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식별정보(ID)가 기록된다. 즉, 주위의 상위 이동 단말기(1) 또는 하위 이동 단말기(3)가 스캔 신호를 송신하면, 이에 응답하여 로케이터(5)의 근거리 통신 모듈이 로케이터(5)의 식별정보(ID)를 이동 단말기(1, 3)에 제공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7)은 이동 단말기들(1, 3)에 무선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이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이동 단말기들(1, 3)은 평소에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 이동 통신 시스템(7)은 이동 단말기(1, 3)로부터의 요청시에 로케이터(5)의 추적 및 관리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상 연락 시스템(9)과 이동 단말기들(1, 3)을 연결한다.
비상 연락 시스템(9)은 경찰서, 소방서, 미아센터, 분실물 센터 등으로서 로케이터(5)를 소지하는 대상에 따라 상이해진다. 이는 이동 단말기(1, 3)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로케이터(5)를 탐색, 유지 또는 관리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비상 연락 시스템(9)은 이동 통신 시스템(7)을 통해 이동 단말기(1, 3)들과 연결된다. 비상 연락 시스템(9)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 3)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 GPS 모듈(13), 이동 통신 모듈(15), 표시장치(19), 입력부(17), 메모리(21) 및 제어부(23)를 구비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은 제어부(23)의 제어하에 하위 이동 단말기(3) 또는 로케이터(5)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은 제어부(23)의 제어에 의해 하위 이동 단말기(3)의 스캔 기능을 활성하기 위한 스캔신호와 로케이터(5)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ID)를 형성된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하위 이동 단말기(3)에 제공한다. 또한, 하위 이동 단말기(3)로부터 제공되는 하위 이동 단말기(3)들의 경로정보, 위치정보 및 로케이터(5)의 탐색정보를 제어부(23)에 제공한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1, 3)이 로케이터(5)와 무 선 통신을 형성할 경우, 로케이터(5)의 근거리 통신 모듈(5)을 구동하기 위한 스캔신호를 로케이터(5)에 제공한다. 그리고, 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5)은 로케이터(5)로부터의 식별정보(ID)를 제어부(23)에 제공한다.
GPS 모듈(13)은 GPS로부터의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제어부(23)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GPS 모듈(13)은 제어부(23)와 접속되고 위치좌표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구비한다.
이동 통신 모듈(15)은 이동통신 시스템(7)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 3)의 요청시 이동통신 시스템(7)과의 사이에 형성된 통신채널을 경유하여 비상 연락 시스템(9)에 접속한다.
표시장치(19)는 제어부(23)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에 의해 상위 이동 단말기(1)를 기준으로 하위 이동 단말기(3) 및 로케이터(5)의 위치를 표시한다. 제어부(23)로부터 표시장치(19)로 제공되는 위치정보는 메모리(21)에 저장된 맵 정보에 맵핑된 지리정보이거나 이동 단말기(1, 3) 영역 즉, 거리와 방위에 따른 여역도일 수 있다.
입력부(17)는 사용자로부터 스캔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3)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17)는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구비한다. 또한, 입력부(17)는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명령과 이를 이용한 비상 연락 시스템(9)과의 통신 채널 명령이 입력된다.
메모리(21)는 로케이터(5)의 식별정보(ID)가 저장된다. 메모리(21)는 제어 부(23)로부터의 요청시 저장된 식별정보(ID)를 제어부(23)에 제공한다. 또한, 메모리(21)에는 위치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맵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메모리(21)에 맵 정보가 기록되는 경우, 제어부(23)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저장된 맵 정보를 제어부(23)에 제공한다.
제어부(23)는 입력부(17)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에 따라 스캔신호 또는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GPS 모듈(13)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좌표를 표시장치(19)에 제공하여 표시하게 한다. 여기서, 메모리(21)에 맵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3)는 맵 정보와 GPS 모듈(13)로부터의 위치좌표를 맵핑하여 만들어진 지리정보를 표시장치(19)에 제공한다. 아울러, 제어부(23)는 이동통신 모듈(15)로 하여금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에 스캔신호와 로케이터 식별정보(ID)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23)는 근거리 통신 모듈(11)로부터 제공되는 하위 이동 단말기(3)의 단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하여 하위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표시장치(19)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은 로케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로케이터(5)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1), GPS 모듈(33), 메모리(37) 및 제어부(35)를 구비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1)은 이동 단말기(1, 3)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1)은 인근의 이동 단말기(1, 3)로부터의 스캔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5)에 제공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1)은 제어부(35)로부터의 로케이터 식별정보(ID)를 통신 채널이 형성된 이동 단말기(1, 3)에 제공한다.
GPS 모듈(33)은 로케이터(5)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GPS로부터의 위치좌표를 수신하여 제어부(35)에 제공한다.
메모리(37)는 로케이터(5) 고유의 식별 정보(ID)가 저장되며, 제어부(23)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식별 정보(ID)를 제어부(23)에 제공한다.
제어부(35)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1)로부터 스캔신호를 제공받아 메모리(37)에 저장된 로케이터 식별정보를 요청한다. 메모리(37)로부터 식별정보(ID)가 제공되면 제어부(35)는 이 식별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31)로 하여금 통신채널이 형성된 이동 단말기(31)에 제공하도록 한다.
도 4는 스캔신호의 전파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위 이동 단말기(1)가 스캔신호를 송출한다. 도 4에 나타낸 반경(40)은 하나의 이동 단말기(1, 3)이 갖는 무선 통신 반경을 나타낸다. 상위 이동 단말기(1)가 송출한 스캔신호의 전파범위(40) 즉, 반경(40) 내에 하위 이동 단말기(3a)가 위치하면, 스캔신호에 의해 하위 이동 단말기(3a)의 스캔 기능이 구동된다. 스캔 기능이 구동된 하위 이동 단말기(3a)는 주변의 불특정 다수의 단말기를 향해 스캔신호를 송출한다. 이 하위 이동 단말기(3a)의 무선 통신 반경(40)에 다른 이동 단말기(3b)가 위치하면, 하위 이동 단말기(3a)로부터의 스캔신호에 의해 다른 이동 단말기(3b)의 스캔 기능이 구동된다. 즉, 하위 이동 단말기(3a)는 다른 이동 단말기(3b)에 대해 상위 이동 단말기(3a)가 되고 다른 이동 단말 기는 하위 이동 단말기(3b)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주변의 이동 단말기(3c 내지 3g)들 사이에 스캔 신호가 전파되어 이동 단말기들(1, 3)에 의한 통신 라인(P1)이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중에 세번째 하위 이동 단말기(3c)의 반경(40) 내에서와 같이 다수의 이동 단말기(3e, 3d)가 위치하면, 다섯번째 하위 이동 단말기(3e)의 방향으로 통신 라인이 분기(P2) 된다. 위의 방법으로 최상위 이동 단말기(1)의 스캔 신호에 의해 주변이 탐색된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통신 라인 즉, 스캔을 진행하는 중에 마지막 하위 이동 단말기(3g)의 통신 반경내에 로케이터(5)가 위치하게 된다. 최하위 이동 단말기(3g)는 반경내의 대상에게 스캔신호를 송출하고, 이 송출된 신호를 로케이터(5)가 수신한다. 스캔신호를 수신한 로케이터(5)는 이에 응답하여 로케이터(5)의 고유 식별정보(ID)를 최하위 이동 단말기(3g)에 제공한다.
로케이터(5)로부터 고유 식별정보(ID)를 제공받은 최하위 이동 단말기(3g)는 형성된 통신 채널의 역방향으로 즉, 최상위 이동 단말기(1)의 방향으로 로케이터(5)의 탐색결과를 전송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반경(40)은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크게 100m정도의 반경을 갖는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로케이터(5)의 위치가 수km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경우는 스캔신호에 의해 형성된 통신라인이 유지된다. 이 통신라인을 통해 로케이터(5)의 정보가 최상위 이동 단말기(1)에 제공된다. 아울러, 형성된 통신 채널을 해제하는 것은 통신 가능 범위 즉 통신 반경(40)을 벗어나거나 로케이터(5)의 발견에 따른 애크신호(Ack)를 전송함으로서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최상위 또는 최하위(1, 3g)의 사이에 있는 이동 단말기들(1, 3g)은 로케이터(5)의 위치가 확인 될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7)을 경유해 비상 연락 시스템(9)에 로케이터(5)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위 이동 단말기에서 대상의 위치 추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하위 이동 단말기에서 대상의 위치 추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위 이동 단말기(1)의 입력부(17)를 통해 로케이터(5)의 탐색 명령이 입력된다.(S01)
입력된 탐색 명령에 의해 상위 이동 단말기(1)의 제어부(23)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1)이 스캔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은 송출한 스캔신호에 응답하는 인접 하위 이동 단말기(3)가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인접한 이동 단말기(3)로부터의 응답이 없으며, 이동 단말기(3)로부터의 응답이 있을 때까지 통신 반경(40)내의 이동 단말기(3)를 탐색한다.(S02)
상위 이동 단말기(1)로부터의 스캔신호에 응답한 이동 단말기(3)는 스캔 기능을 구동하게 된다. 아울러, 응답한 하위 이동 단말기(3)로 부터의 리턴정보 즉, 위치정보와 하위 이동 단말기(3)의 통신 반경(40)내의 로케이터(5) 유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03)
상위 이동 단말기(1)는 수신한 리턴정보에 의해 상위 이동 단말기(1)와 하위 이동 단말기(3) 또는 로케이터(5)의 위치를 판단하여 표시장치(19)에 표시한다.(S04)
이와 함께 리턴정보에 로케이터(5)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로케이터(5)의 발견유무를 판단한다.(S05)
로케이터(5)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위 이동 단말기(1)는 현재의 통신 채널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인접 단말기를 검색하거나 스캔 기능을 유지한다. 즉 인접 단말기와 형성된 통신 채널을 유지한다.(S02, S03)
반면에 로케이터(5)가 발견되면, 스캔 기능을 종료함과 동시에 통신 채널 해제 신호를 형성된 통신 채널에 의해 접속된 하위 이동 단말기(3)에 제공하여 통신 채널을 해제한다.
한편 도 7과 같이 상위 이동 단말기(1)로부터 스캔신호를 수신한 하위 이동 단말기(3)는 자체의 스캔 기능을 구동시킨다.(S11, S12) 여기서, 하위 이동 단말기(3)에서 구동되는 스캔 기능은 상위 이동 단말기(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여기에 상위 이동 단말기(1)로 리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기능이 부가된다.
스캔 기능이 구동되면, 하위 이동 단말기(3)의 반경 내에 로케이터(5)가 위치하는지 확인하게 된다. 즉, 스캔신호를 전송하여 상위 이동 단말기(1)로부터 전달된 로케이터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로케이터(5)가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S13)
로케이터(5)가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하위 이동 단말기(3)는 통신 반경 내에 인접 단말기가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블루투스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하위 이동 단말기(3)가 유지할 수 있는 통신 채널 즉, 다른 하위 이동 단말기(3)의 수는 6대가 된다.(S14)
반면에 로케이터(5)가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면, 하위 이동 단말기(3)는 로케이터(5)로부터 수신된 로케이터(5)의 위치정보와 고유 식별정보(ID)를 리턴정보로 상위 이동 단말기(1)에 제공한다.(S13', S100)
한편, 하위 이동 단말기(3)는 통신 반경 내에 스캔신호에 응답하는 다른 하위 이동 단말기(3)가 없으면 계속 탐색하게 된다.(S14)
반면에, 무선 통신 반경 내에 다른 하위 이동 단말기(3)가 존재하면, 하위이동 단말기(3)는 다른 하위 이동 단말기(3)와 상위 이동 단말기(1)간의 통신 채널을 유지하면서 로케이터(5) 탐색 결과의 수신을 대기한다.(S15)
아울러, 새로이 통신채널을 형성한 다른 하위 이동 단말기(3)는 도 7과 같은 방법으로 로케이터를 탐색하여 직전에 형성된 하위 이동 단말기(3)에 제 2 리턴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최상위 이동 단말기(1) 또는 로케이터(5)를 발견한 단말기는 이동통신 시스템(7)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로케이터(5)의 위치가 확인되면, 통신 채널을 통해 로케이터(5)의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비상 연락 시스템(9)에 제공하여 비상 연락 시스템(9)와 병행하여 로케이터(5)의 위치 탐색하거나, 이와 관련된 다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앞에서 말한 로케이터(5)를 탐색하는 전반에 관련된 사항은 각 단말기(1, 3)의 메모리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 추적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서비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로케이터(5)를 어린아이에게 소지하도록 한 경우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와 같이 로케이터(5)를 소지한 아이와 함께 복잡한 유원지에 방문한다. 아이가 소지한 로케이터(5)는 종래의 휴대 전화를 이용한 대상 탐색 서비스와 달리 소형이기 때문에 시계, 앰블렘 등의 액세서리 형태로 아이 소지품 중 일부에 포함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이를 읽어버리는 일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부모는 도 7c와 같이 자신의 이동 단말기(1)를 통해 아이를 찾기 위한 탐색 서비스를 실행한다.
시간이 경과하면, 도 7d와 같이 앞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부모의 이동 단말기(1)의 표시장치(19)에는 부모의 위치와 아이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된다. 아울러, 도 7e와 같이 아이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비상 연락 시스템(9)에 제공되어 잃어버린 아이에 대한 보호를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상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은 작은 액세서리 등의 형태로 만들어진 로케이터를 대상에게 부착하고 이를 이동 단말기를 통해 탐색한다. 이와 함께 로케이터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위치의 확인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타인의 단말기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단말기가 많을 수록 이용 효율이 상승하는 즉, 추적 반경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대적인 거리 측정 방법이 아닌 GPS를 이용한 지정 좌표에 의해 산출 된 위치 정보를 이용함으로 인해 로케이터의 위치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지도와 같은 지리정보와의 조합도 용이해진다.
아울러, 로케이터를 발견한 이동 단말기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의해 비상 연락망과의 연계가 가능함으로 신속하고 다양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상의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한 구성은 기본적으로 도 1과 유사하다. 하지만, 제 1 실시예와 달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이하 "RFID"라 함) 태그(Tag)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단말기와 로케이터의 구성이 제 2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상의 위치 추적 시스템은 상위 이동 단말기(1), 하위 이동 단말기(3), 로케이터(5), 이동 통신 시스템(7) 및 비상 연락 시스템(9)을 구비한다.
상위 이동 단말기(1)는 로케이터(5)를 탐색하기 위해 인접한 하위 이동 단말기들(3)의 스캔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로케이터(5)에 내장된 RFID 태그의 식별 정보를 읽어오기 위한 태그 리더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위 이동 단말기(1)가 발생하는 스캔 신호에는 다수의 하위 이동 단말기(3) 의 스캔 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인보크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스캔신호에는 인보크 신호에 응답한 하위 이동 단말기(3)와의 통신 경로를 유지하기 위한 경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이동 단말기(1)는 탐색하고자 하는 로케이터(5)에 관한 식별 정보가 저장된다. 이 식별 정보는 하위 이동 단말기(3)들에게 공급되어 하위 이동 단말기(3)가 로케이터(5)를 탐색하는 정보로 제공된다.
하위 이동 단말기(3)는 상위 이동 단말기(3)와 동일한 장치 구성을 가지며, 상위 이동 단말기(3)로부터 제공받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로케이터(5)를 판별한다. 좀더 상세히 말하면, 하위 이동 단말기(3)와 상위 이동 단말기(1)간의 통신 채널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형성되지만, 이들이 로케이터(5)를 탐색하는 방법은 로케이터(5)에 실장된 RFID 태그와 이 태그에 기록된 식별정보를 RFID 리더를 통해 읽어옴으로써 로케이터(5)를 판별하게된다.
로케이터(5)는 아이 또는 애완동물과 같은 특정 대상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에게 부착된다. 이를 위해 로케이터(5)는 식별정보(ID)가 기록된 태그를 구비한다. 또한, 인접한 이동 단말기의 요청시 로케이터(5)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S 모듈이 실장된다. 여기서, 로케이터(5)에 실장되는 RFID 태그는 액티브형으로 지속적인 쓰기가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RFID는 전원 없이 기록된 정보를 유지하고 리더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기록된 정보를 제공하는 패시브(Passive)형과 전원을 가지고 기록된 정보의 지속적인 갱신이 가능한 액티브(Active)형이 있다. 본 발명의 로케이터(5)에 실장되는 태그는 액티브형으로 전원 (71)에 의해 로케이터 제어부(75)로부터의 위치정보가 추가로 기록된다. 그리고, 이 위치정보는 GPS 모듈(73)의 수신 주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이 로케이터(5)는 인접한 이동 단말기(3)로부터 스캔 신호가 공급되면, 이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인접한 이동 단말기(3)에 제공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7)과 비상 연락 시스템(9)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1, 3)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51), GPS 모듈(53), 이동통신 모듈(55), 입력부(57), 표시장치(59), 메모리(61), 제어부(63) 및 태그 리더(65)를 구비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51)은 제어부(63)의 제어하에 하위 이동 단말기(3) 또는 로케이터(5)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51)은 제어부(63)의 제어에 의해 하위 이동 단말기(3)의 스캔 기능을 활성하기 위한 스캔신호와 로케이터(5)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ID)를 형성된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하위 이동 단말기(3)에 제공한다. 또한, 하위 이동 단말기(3)로부터 제공되는 하위 이동 단말기(3)들의 경로정보, 위치정보 및 로케이터(5)의 탐색정보를 제어부(23)에 제공한다.
제어부(63)는 입력부(57)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에 따라 스캔신호 또는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GPS 모듈(53)로부터 수신되는 위치좌표를 표시장치(59)에 제공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63)는 이동통신 모듈(55)로 하여금 이동통신 시스템(7)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63)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51)에 스캔신호와 로케이터 식별정보(ID)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63)는 근거리 통신 모듈(51)로부터 제공되는 하위 이동 단말기(3)의 단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하위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표시장치(19)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아울러, 태그 리더(65)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1, 3)에 위치하는 로케이터(5)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읽도록 제어한다. 태그 리더(65)로부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위 이동 단말기(1, 3)로부터 제공받거나 메모리(61)에 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탐색 대상과 응답한 로케이터(5)의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태그리더(65)로부터 로케이터(5)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51)로 하여금 상위 이동 단말기(1)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도 9는 제 2 실시예의 로케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로케이터(5)는 GPS 모듈(73), 전원(71), RFID 태그(77) 및 로케이터 제어부(75)를 구비한다.
GPS 모듈(73) GPS 시스템으로부터의 위치 좌표를 제공받아 로케이터 제어부(75)에 제공한다.
전원(71)은 로케이터(5)의 동작전압을 공급하며, RFID 태그(77)의 기록을 갱신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로케이터(5)의 전원(71)은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의 배터리가 사용된다.
RFID 태그(77)는 로케이터(5)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와 제어부(75)에서 산출된 위치정보가 기록된다. 이를 위해 RFID 태그(77)는 액티브형 RFID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RFID 태그(77)는 인접한 이동 단말기(3)로부터의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태그(77)에 기록된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동 단말기(3)에 제공한다.
로케이터 제어부(75)는 GPS 모듈로부터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로케이터의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이 로케이터 제어부(75)는 산출된 위치정보를 RFID 태그(77)에 기록한다.
제 2 실시예에 의해 로케이터(5)의 위치를 탐색하는 방법은 이동 단말기(1, 3)의 태그 리더기를 이용하여 로케이터(5)의 RFID 태그에 기록된 로케이터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읽어오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의 탐색 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의해 로케이터(5)의 위치를 탐색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상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은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RFID 태그가 실장된 로케이터와 이를 탐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며, 이러한 스캔의 방법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로인해, 본 발명에 따른 대상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로케이터로 이용하는 경우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로케이터는 액세서리와 같이 소지가 편리하도록 제작이 가 능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로케이터는 활동 영역이 넓고 활발한 대상에 부착할 경우에도 분실의 우려가 적다.
아울러, 종래의 위치 추적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많이 있은 경우 탐색이 어려워지는데 반해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은 사람이 많아도 탐색에 어렴움이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은 타인의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하여 역할을 분담함으로 인해 탐색망이 확대되도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가 매우 적다. 따라서, 시스템의 부하 증가로 인해 탐색 서비스 외에 기타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시스템 다운의 현상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3)

  1.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되고, 지피에스(GPS)의 위성국으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로케이터와;
    상기 로케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스캔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위 이동 단말기와;
    상기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상위 이동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스캔신호를 전달받음과 아울러 상기 로케이터로부터의 상기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상위 이동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터를 탐색 및 관리하기 위한 비상 연락망을 더 구비하며,
    상기 상위 및 하위 이동 단말기가 상기 비상 연락망에 연결되도록 무선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터는
    상기 상위 또는 하위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위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지피에스(GPS) 모듈과,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지피에스 모듈로부터의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및 하위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탐색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로케이터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로케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로케이터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과,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지피에스 모듈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이동 통신 모듈,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명령에 의해 상기 스캔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고유 식별정보 수신시 상기 식별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5.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비쿼터스(Ubiqutou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터는
    상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지피에스(GPS) 모듈과,
    상기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로케이터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고유식별 정보와 상기 로케이터의 위치정보가 기록되는 알에프아이디 태그(RFID Tag)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터는
    상기 지피에서 모듈,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알에프아이디 태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신호는,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하위 이동 단말기의 로케이터 탐색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인보크(Invoke)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
  9. 로케이터의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지피에스(GPS)의 위성국으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로케이터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로케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스캔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위치정보를 상위 이동 단말기로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상위 이동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스캔신호를 하위 이동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로케이터로부터의 상기 고유 식별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상위 이동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터를 탐색 및 관기하리 위한 비상연락망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동 통신 채널을 이용해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스캔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는,
    인접한 이동 단말기 및 상기 로케이터 중 어느 하나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인접한 이동 단말기의 탐색 기능을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캔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는,
    인접한 이동 단말기를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탄색된 인접 이동 단말기에 의해 새로운 인접 이동 단말기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이동 단말기를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인접 이동 단말기의 탐색에 의해 상기 로케이터의 탐색이 가능한 상기 인접 이동 단말기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KR1020050005562A 2005-01-20 2005-01-20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057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562A KR100579699B1 (ko) 2005-01-20 2005-01-20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562A KR100579699B1 (ko) 2005-01-20 2005-01-20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9699B1 true KR100579699B1 (ko) 2006-05-15

Family

ID=3718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562A KR100579699B1 (ko) 2005-01-20 2005-01-20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96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922B1 (ko) 2005-07-25 2008-05-0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무선 주파수 식별 판독기를 이용한 구난 시스템 및 방법
KR100923294B1 (ko) * 2007-08-31 2009-10-23 이커스텍(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실시간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007608B1 (ko) 2008-07-21 2011-01-12 황영상 무선랜과 gps 및 rf 신호감지 기법을 이용한위치추적 솔루션
WO2015186966A1 (ko) * 2014-06-03 2015-12-10 (주) 코콤 개인 자동화용 id 키트 및 그 충전 유닛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922B1 (ko) 2005-07-25 2008-05-06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무선 주파수 식별 판독기를 이용한 구난 시스템 및 방법
KR100923294B1 (ko) * 2007-08-31 2009-10-23 이커스텍(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실시간 위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007608B1 (ko) 2008-07-21 2011-01-12 황영상 무선랜과 gps 및 rf 신호감지 기법을 이용한위치추적 솔루션
WO2015186966A1 (ko) * 2014-06-03 2015-12-10 (주) 코콤 개인 자동화용 id 키트 및 그 충전 유닛
KR20150139698A (ko) * 2014-06-03 2015-12-14 (주) 코콤 개인 자동화용 id 키트 및 그 충전 유닛
KR101682905B1 (ko) * 2014-06-03 2016-12-21 (주) 코콤 개인 자동화용 id 키트 및 그 충전 유닛
US10003950B2 (en) 2014-06-03 2018-06-19 Kocom Co., Ltd. ID kits for personal automation, and charging unit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2193B1 (en) Vehicle beacon and method of use
ES2672655T3 (es) Sistema para dejar y recuperar mensajes
US7027772B2 (en) Inter-vehicle message disse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CN101385382B (zh) 使用手持设备进行测向的系统和方法
US9491584B1 (en) Hospitality venue navigation, guide, and local based services applications utilizing RF beacons
US20170176209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location-oriented information
CN100371680C (zh) 提供导航系统中行进路线的设备、方法及系统
CN101911735A (zh) 用于用位置数据链接通信的器件和方法
CN102460075A (zh) 导航装置、导航系统及其操作方法
GB2376297A (en) Navigation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CN100468993C (zh) 数据传递装置及系统、服务器、数据传递方法和通信设备
JP2006211014A (ja) 捜索支援システム
CN101113906A (zh) 供车辆导航系统使用的路线匹配方法
CN104105178B (zh) 基于移动手机和低功耗无线通信技术的信息服务系统和方法
CN102435201A (zh) 一种基于移动位置服务的导航系统
KR100579699B1 (ko)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JP4620410B2 (ja) Rfタグを利用した位置情報システム
US20070162226A1 (en) Addressable GPS device
WO2024078257A1 (zh) 寻觅失踪对象的系统及其方法
JP3745676B2 (ja) 場所の属性を用いたナビゲーショ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CN104168298A (zh) 地图信息传递的方法及装置
CN202393393U (zh) 一种无线方式的区域交通指引系统
US201602491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H1120176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9065549A (ja) デジタル無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