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085B1 -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 - Google Patents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085B1
KR100578085B1 KR1020040071791A KR20040071791A KR100578085B1 KR 100578085 B1 KR100578085 B1 KR 100578085B1 KR 1020040071791 A KR1020040071791 A KR 1020040071791A KR 20040071791 A KR20040071791 A KR 20040071791A KR 100578085 B1 KR100578085 B1 KR 100578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area
recorded
fd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987A (ko
Inventor
조병림
박민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0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a) 사용자에 의해 읽기명령이 수행되는 단계; b) 포맷에 관한 비트맵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c) 포맷에 관한 비트맵 정보를 분석한 결과 데이터가 기록되어지지 않은 영역으로 판단된 경우 소정의 횟수 동안 상기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영역으로 판별된 영역에 대한 데이터 읽기를 반복적으로 시행하고 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 DVD, 재생, ECC, FDCB

Description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Playback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of Optical Writable Medium}
도 1은 ID영역과 사용자 정보 영역이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고 아울러 사용자 정보영역이 산과 골의 트랙으로 형성되어진 광디스크 및 그 단면도이다.
도 2는 광 디스크의 파일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포맷팅 디스크 제어블록(FDCB)의 각 값에 대한 정의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4는 정상적으로 기록되어진 광 기록 매체의 파일구조이다.
도 5는 비트맵 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광 기록 매체의 파일구조이다.
도 6은 비트맵 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광 기록 매체의 데이터 패딩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 매체의 데이터 패딩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기록 매체의 데이터 패딩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정상적이지 못한 동작으로 비트맵 갱신이 되지 않고 파일 시스템만 경신되어 있는 사용자 영역에 대한 재생을 원활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기록매체는 가능한 많은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경우 기존의 CD(Compact Disk)에 비해 트랙의 폭(Width)과 트랙간의 간격인 트랙피치(track pitch)등이 줄어들음으로써 보다 많은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광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서는 효과적인 트래킹을 포함한 정보의 기록과 재생이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트랙이 골(Groove)과 산(land)의 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이렇게 산과 골의 트랙을 가지는 광디스크에는 골의 트랙에만 정보가 기록되게 하는 광디스크와 산과 골의 트랙 모두에 정보가 기록되게 하는 광디스크가 있다. 산과 골의 트랙 모두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후자의 광디스크는 대개가 산과 골의 트랙이 최내주로부터 최외주까지 나선형의 형태로 나란하게 형성되어진 2 나선형 트랙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2 나선형 트랙구조를 가지는 광디스크에 있어서, 통상 산 또는 골의 트랙 중 어느 한쪽 트랙에 대하여 기록/재생(즉, 억세스 동작)이 수행된 이 후에 나머지 트랙 (골 또는 산의 트랙(2 또는 1))에 대하여 기록/재생이 수행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산과 골의 트랙이 1회전마다 교대로 배열되어진 하나 의 나선형 트랙구조를 가지는 광디스크도 존재한다.
또한, 광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의 트랙은 일정한 크기의 단위구간(이하" 섹터(Sector)" 라 함)으로 구분되어진 정보가 일정한 크기의 블록단위로 기록되게 한다. 섹터는 선두에 위치하는 ID영역과 이 ID영역에 연이여 위치하는 사용자정보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정보 영역은 " 기록 영역" 으로도 불리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ID영역에는 트랙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ID코드가 기록되게 된다.
도 1은 ID영역과 사용자 정보 영역이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고 아울러 사용자 정보영역이 산과 골의 트랙으로 형성되어진 광디스크를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의 디스크는 일본특허공개 평9-22182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크에는 산의 트랙(1)과 골의 트랙(2)이 지름방향에서 교번적으로 배열되게 된다. 이들 산과 골의 트랙들(1,2) 모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기록하는 사용자 정보 영역으로 사용된다. 또한 이들 산과 골의 트랙들(1,2)은 일정한 길이의 엠보스드 피트열들(3,4)과 함께 원주방향에 교번적으로 배열되게 된다. 일정한 길이의 엠보스드 피트열들(3,4)은 산과 골의 트랙(1,2)을 다수의 섹터로 나눔과 아울러 그들 섹터들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들 엠보스드 피트열들(3,4)이 점유하는 구간은 "ID영역" 이라 불린다. 엠보스드 피트열들(3,4)은 제1 피트열(3)와 제2 피트열(4)로 구성된다. 제1 피트열(3)은 산의 트랙(1)중심선에 대하여 상측에 형성되고, 제2 피트열(4)은 산의 트랙(1)중심선에 대하여 하측에 형성되게 된다. 통상, 제1 피트열(3)이 산의 트랙(1)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식 별코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 피트열(3)이 점유하는 구간은 산의 ID영역(LID)라 불린다. 마찬가지로, 제2 피트열(4)이 점유하는 구간은 제2 피트열(4)에 골의 트랙(2)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ID코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골의 ID(GID)으로 불린다. 또한, 산과 골의 트랙(1,2)각각의 양변은 도 1에서와 같은 직선으로 형성되기도 하고 또는 디스크의 회전속도 및 광빔의 트래킹을 지시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굽이치는 형태로 형성되기도 한다. 즉, 산과 골의 트랙(1,2)의 양변에는 워블링신호가 프리포맷되기도 한다. 이 워블링신호는 디스크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어드레스와 같은 특정정보가 주파수 변조된 반송파신호를 포함하기도 한다.
DVD+RW의 경우는 디스크 ID(identification) 영역을 도 2와 같이 디스크의 리드 인, 리드 아웃 영역에 갖고 있다. 상기 디스크 ID 영역의 경우, 16개의 ECC 블록(=256섹터)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ECC 블록은 디스크 제어 블록(DCB)이라 하여, 디스크의 정보 변화에 따른 제어 정보를 갖고 있다. 이러한 DCB는 일반적 목적의 General DCB, 포맷팅 관련한 정보를 갖고 있는 포맷팅 디스크 제어블록(FDCB) 두 종류가 있다.
이때, 각 DCB 블록의 첫 번째 물리적 섹터(1섹터=2048바이트)의 처음 4바이트 값은 콘텐트 디스크립터(content descriptor)로서, 그 값이 0x46444300이면 그 ECC 블록은 FDCB이다.
도 3은 상기 FDCB의 형식 테이블로서, 콘텐트 디스크립터가 0x46444300이다. 그리고, 첫 번째 물리적 섹터에는 FDCB 관련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고, 두 번째 물 리적 섹터부터 10번째 물리적 섹터에는 디스크의 포맷팅 정보가 비트맵 단위로 기록되어 있다.
DVD+RW의 경우 하나의 큰 Reserved영역처럼 구성되어 연속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고 이곳 저곳에 섬처럼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DVD+RW은 기록 영역과 미 기록 영역을 참조하여야 하는데 FDCB (Format to the formatting)의 포맷팅 비트맵 정보를 통하여 미 기록 영역과 기록영역을 분리하게 된다.
DVD 레코더의 경우 주소를 얻어내는 방법은 RF영역에서 얻는 방법과 워블정보에서 얻는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뉜다. 또 이와 같이 얻어진 영역에서 데이터를 얻어내는 방법은 기록되어진 RF영역에서 정보를 얻어낸다. 따라서, DVD+RW에서처럼 섬처럼 기록되어진 경우 기록되어진 영역에서는 데이터를 기록되어지지 않은 영역에서는 '0' 데이터를 패딩하여 주기 때문에 기록영역과 미 기록영역을 구별하는 것은 드라이브의 재생 입장에서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파일 시스템을 참조하여 읽기 명령을 내리게 되고 드라이버는 FDCB의 비트맵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영역과 미 기록영역을 분리한다. 하지만 기존 DVD 레코더에서 예기치 못한 문제로 인하여 사용자가 참조하는 파일 시스템만 정보가 갱신되고 드라이버가 참조하는 비트맵 정보는 갱신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와 드라이브 사이에서의 정보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ECC 블록이 비트맵에 갱신되어지지 않은 경우 디스크 전체를 재생하지 못하게 되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도 4는 기록되어진 DVD+RW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인 DVD 레코더의 비트맵정보와 파일 시스템의 정보는 다음과 같이 정보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비트맵 영역 : A-B, C-D, E-F (3가지 정보)
파일 시스템 : A-B, C-D, E-F (3가지 정보)
또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FDCB의 Last Written Address를 통하여 RF로서 주소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부분은 B 까지로 설정하고, 나머지 부분은 워블정보를 통하여 주소를 얻어 데이터를 얻어낸다.
하지만 도 5에서는 데이터가 비트맵에 갱신되기 전 사용자나 다른 외부의 영향으로 비트맵 정보를 갱신하지 못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비트맵 정보와 파일 시스템의 정보는 다음과 같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비트맵 영역 : A-B, C-D (2가지 정보)
파일 시스템 : A-B, C-D, E-F (3가지 정보)
도 5의 경우가 발생된 경우 도 6과 같이 파일 시스템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요청한 주소를 비트맵 정보를 기준으로 로더에서는 '0' 패딩하는 문제점이 발생한 다. 따라서, 정확한 데이터를 읽어내는 데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광 다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정상적이지 못한 동작으로 비트맵 갱신이 되어있지 않고 파일 시스템만 갱신되어 있는 영역을 원활하게 재생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은, a) 사용자가 파일 시스템 정보를 참조하여 읽기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b) 광 디스크가 광 기록 매체의 포맷팅에 관련한 정보를 갖고 있는 FDCB내의 비트맵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FDCB내의 비트맵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읽기명령을 수행한 영역에 대해서 데이터가 기록되어지지 않은 영역으로 판단된 경우 소정의 횟수 동안 상기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영역으로 판별된 영역에 대한 데이터 읽기를 반복적으로 시행하고, 데이터를 읽어내면 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b)는 b1) FDCB내의 비트맵 정보분석 결과 데이터가 기록되어져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c)는 c1) 소정의 횟수 동안 상기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영역으로 판별된 영역에 대한 데이터 읽기를 반복적으로 시행한 결과 데이터를 읽지 못하면 '0'데이터를 패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정의 횟수는 3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재생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는, 비트맵 정보에 데이터 기록 여부가 나타나 있지 않아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읽은 후 인코딩 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하게 비트맵 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디스크이다. 하지만 개선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도 6과는 다르게 ECC정보를 개발자가 지정한 수 만큼 읽어보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0' 패딩작업을 하여 데이터가 비트맵 정보에 갱신되어지지 않아도 어드레스를 추출하여 데이터를 읽어 낼 수 있게 한다.
그 자세한 과정은 도 8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재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601은 사용자에 의한 읽기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패치명령을 수행하면,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는 일반적인 공지의 수단인 광 디스크를 제어하여 상기 광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시작한다.
단계 602는 FDCB 비트맵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ECC블럭에 포함된 FDCB 비트맵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읽어드린 데이터가 실제 광 디스크의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주소를 체크한다.
단계 603은 상기 FDCB 비트맵 정보가 '1'로써 셋팅이 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과정으로써, 상기 FDCB 비트맵 정보가 '0'으로 셋팅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으로 판별하여 해당영역의 데이터를 읽어 들여서 디코딩한다(단계 603a).
단계 604는 상기 FDCB 비트맵 정보가 '1'로써 셋팅되어진 경우 기록되어지지 않은 영역으로 판별하는 과정이다.
단계 605는 기록되어지지 않았다고 판별된 지역의 데이터를 직접 읽어들이는 과정으로써, 비트맵 정보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드라이브 입장에서는 '0' 패딩을 하기 때문에 해당 영역의 데이터를 직접 읽어들여서 디코딩함으로써 실제 그 지역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과정은 소정의 횟수동안 반복적으로 행해진다. FDCB내의 비트맵 정보내에 기록영역에 대한 정보가 존재한다면 한번의 시도로써,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것이 가능하나 그렇지 않기 때문에 소정의 횟수동안 강제적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데이터 읽기를 수행한다, 상기 횟수는 당업자에게 맞춰 다양하게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광 디스크의 성능이 좋은 경우에는 1~2회의 시도로써 데이터의 읽기가 가능하겠지만, 광 디스크의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시도 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확실히 데이터를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3'회 동안 시도함으로써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606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과정으로써, 상기 단계 605에서 디코딩한 결과 실제 데이터가 검출이 되면, 비트맵 정보가 갱신오류임을 판단한다. 그러나 디코딩한 결과값에 아무런 데이터가 검출되지 아니하면 실제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므로 데이터 검출값을 '0'으로 패딩한다(단계 606a).
단계 607은 기록영역으로 판별한 후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과정으로써, 소정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별되면 실제 데이터를 읽어들여서 디코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의 영향으로 비트맵 정보가 파일 시스템의 내용과 다르게 저장되었다 하더라도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읽어 재생이 가능하다.

Claims (4)

  1. a) 사용자가 파일 시스템 정보를 참조하여 읽기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b) 광 디스크가 광 기록 매체의 포맷팅에 관련한 정보를 갖고 있는 포맷팅 디스크 제어블록(FDCB)내의 비트맵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c) 상기 포맷팅 디스크 제어블록(FDCB)내의 비트맵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읽기명령을 수행한 영역에 대해서 데이터가 기록되어지지 않은 영역으로 판단된 경우 소정의 횟수 동안 상기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영역으로 판별된 영역에 대한 데이터 읽기를 반복적으로 시행하고, 데이터를 읽어내면 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포맷팅 디스크 제어블록(FDCB)내의 비트맵 정보분석 결과 데이터가 기록되어져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소정의 횟수 동안 상기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영역으로 판별된 영역에 대한 데이터 읽기를 반복적으로 시행한 결과 데이터를 읽지 못하면 '0'데이터를 패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횟수는 3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
KR1020040071791A 2004-09-08 2004-09-08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 KR100578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791A KR100578085B1 (ko) 2004-09-08 2004-09-08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791A KR100578085B1 (ko) 2004-09-08 2004-09-08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987A KR20060022987A (ko) 2006-03-13
KR100578085B1 true KR100578085B1 (ko) 2006-05-10

Family

ID=3712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791A KR100578085B1 (ko) 2004-09-08 2004-09-08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0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588A (ko) * 1999-01-23 2000-08-16 구자홍 광 기록 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 포맷팅 방법
KR20010042757A (ko) * 1999-02-17 2001-05-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디지털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디지털 데이터기록/재생 장치
KR20010090972A (ko) * 2000-04-08 2001-10-22 윤종용 광 디스크의 결함 관리 영역 정보 확인 방법
JP2004157997A (ja) 2002-10-17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ァイル更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588A (ko) * 1999-01-23 2000-08-16 구자홍 광 기록 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 포맷팅 방법
KR20010042757A (ko) * 1999-02-17 2001-05-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디지털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디지털 데이터기록/재생 장치
KR20010090972A (ko) * 2000-04-08 2001-10-22 윤종용 광 디스크의 결함 관리 영역 정보 확인 방법
JP2004157997A (ja) 2002-10-17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ァイル更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987A (ko) 200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2217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с высокой плотностью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записи/считывания для него
US6628602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4686446B2 (ja) 光ディスクのフォーマット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RU2376658C2 (ru)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данных на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JP4870701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再生方法
EP2270783A2 (en) High-density optical disc and method for restricting playback of the high-density optical disc in optical disc apparatus
US20040076101A1 (en) High-density read-only optical disc, method for recording disc information (DI) on the high-density read-only optica disc,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the high-density read-only optical disc
US7065030B2 (en) Reproduction-only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KR100727919B1 (ko) 광정보 저장매체
KR100577222B1 (ko) 기록용량정보를가지는광기록매체및광기록매체의기록용량가변방법과이를이용한기록/재생방법
KR100578085B1 (ko) 광 기록 매체의 재생성능 개선방법
US20050041554A1 (en) Method of recording addresses onto high-density read-only recording medium, a high-density read-only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ddresses recorded by the method, and reproducing method of the high-density read-only recording medium
KR100577291B1 (ko) 기록용량 정보를 가지는 광기록 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기록 용량 가변 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KR100577274B1 (ko) 기록용량 정보를 가지는 광기록 매체 및 광 기록매체의기록 용량 가변 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KR100480738B1 (ko) 기록 용량 정보를 가지는 기록매체, 기록 용량 표시 방법,기록 용량 정보 기록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데이터기록 및/또는 재생 방법
JP2000113465A (ja) 光ディスク
KR100667507B1 (ko) 재기록 가능한 고밀도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KR100728046B1 (ko) 광정보 저장매체 재생방법
RU2408090C2 (ru)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 информацией для защиты от копир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носителя записи
WO2005050646A1 (en) Device for recording recordable media and method
KR20000018532A (ko) 기록 용량 정보를 가지는 광 기록매체 및 기록 용량 표시 방법및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KR20060132573A (ko) 기록매체의 제 1 및 제 2 층에 기록된 디지털 정보신호를재생하는 장치
KR20070097381A (ko)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의 재생 장치와, 그에 따른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
KR20040023387A (ko)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의 디스크 정보 기록방법과,그에 따른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
KR20070019097A (ko) 재기록 가능한 고밀도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