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073B1 - Traction dirv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Traction dirv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073B1
KR100578073B1 KR1020030087030A KR20030087030A KR100578073B1 KR 100578073 B1 KR100578073 B1 KR 100578073B1 KR 1020030087030 A KR1020030087030 A KR 1020030087030A KR 20030087030 A KR20030087030 A KR 20030087030A KR 100578073 B1 KR100578073 B1 KR 10057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ontact
driven
counte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53818A (en
Inventor
박노길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3008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073B1/en
Publication of KR2005005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8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5/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5/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5/04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 F16H15/06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 F16H15/32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has a curved friction surface formed as a surface of a body of revolution generated by a curve which is neither a circular arc centered on its axis of revolution nor a straight line
    • F16H15/36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has a curved friction surface formed as a surface of a body of revolution generated by a curve which is neither a circular arc centered on its axis of revolution nor a straight line with concave friction surface, e.g. a hollow toroi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일측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내구면을 구비하는 구동로터(100)와; 일측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내구면을 구비하는 종동로터(200); 그리고 상기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의 내구면과 각각 접촉하는 외구면을 구비하는 구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하여 마찰 전동이 수행되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카운터로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는 회전축을 일정 간격 회동시킴으로써, 각 접촉점과 각 축간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피봇점이 설치되는 있어서, 변속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iction transmissio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rotor (100) having an end surfac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one side; A driven rotor (200) having an end surfac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one side; And it is formed of a sphere having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e rotor and the driven rotor, respectively, and comprises a counter rotor 300 that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while friction transmi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act surface. By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a pivot point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is install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each contact point and each shaft, thereby adjusting the speed ratio.

무단변속, 내구면 외구면 접촉, 마찰전동, 카운터로터,구동로터, 종동로터Stepless speed change, Durable outer surface contact, Friction transmission, Counter rotor, Drive rotor, Driven rotor

Description

마찰 전동 무단 변속장치{Traction dirv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Friction-driv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raction dirv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도 1은 종래의 토로이달 CVT의 기본 개념을 보인 설명도.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basic concept of a conventional toroidal CVT.

도 2는 접촉부분의 힘의 해석관계를 보인 설명도.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analysis relationship of a force of a contact portion;

도 3은 내구면-외구면 접촉상태를 보인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inner surface-outer surface contact state;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개략도.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개략도.5 is a schematic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개략도.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구성예를 보인 예시 사시도.Figure 8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apply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개략도.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개략도.10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개략도.1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개략도.1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100a, 100b, 100c ..... 구동로터100, 100a, 100b, 100c ..... Drive rotor

200, 200a, 200b, 200c ..... 종동로터200, 200a, 200b, 200c ..... driven rotor

300, 300a, 300b, 300c ..... 카운터로터300, 300a, 300b, 300c ..... Counter Rotor

310, 310a, 310b, 310c ..... 회전축310, 310a, 310b, 310c ..... axis of rotation

320, 320a,320b, 320c ..... 피봇점320, 320a, 320b, 320c ..... pivot point

본 발명은 마찰 전동 무단 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와 카운터로터가 외구면-내구면 접촉을 이루도록 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iction-driv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a friction-driv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 which a drive rotor, a driven rotor, and a counter rotor mak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inner surface, so that power transmission can be most efficiently performed.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마찰을 이용한 무단 변속장치는 속도 조절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져서 주행 성능 및 승차감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력 전달 용량의 측면에서 따르는 제약 때문에, 실용화가 어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무단 변속장치의 동력 전달 용량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고, 일부는 상용화되고 있다. In general,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ing friction is known to have excellent advantages such as speed control and relatively simple structure, such as driving performance and ride comfort. However, due to the constraints in terms of power transmission capacity,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ut to practical use. Therefore, in recent years, various researches and developments have been made to expand the power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some of them have been commercialized.

이와 같은 마찰을 이용한 무단변속장치는, 풀리를 가변시키는 벨트 방식(various pulley-belt type)과 로터(마찰차)를 이용한 마찰전동방식(traction drive type)이 있다. The continuously variable speed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such friction includes a belt pulley (various pulley-belt type) and a traction drive type (rotor).

현재 상용화된 가변풀리-벨트 방식의 무단 변속장치는, 풀리의 한쪽면을 분리시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풀리를 가변시킴으로써 벨트의 회전반경이 변화 되고, 이에 따라서 속도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가변 풀리-벨트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풀리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소형 승용차의 변속장치로써 상용화된 바 있다. In th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variable pulley-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e one side of the pulley is configured to be movable to change the rotation radius of the belt by changing the pulley, and thus the speed is continuously changed. Such a variable pulley-belt type has the advantages of simple structure and easy position adjustment of the pulley. Recently, it has been commercialized as a transmission of a small passenger car.

그러나 이러한 가변풀리-벨트 방식의 변속장치는, 변속범위가 좁고 벨트를 특수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동력전달의 범위가 크게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However, such a variable pulley-belt type transmiss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peed range is narrow and the belt is specially manufactured, and the range of power transmission is greatly limited.

그리고 마찰 전동 방식의 무단변속장치의 하나로써 토로이달 무단변속장치(Toroidal CVT)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토로이달 CVT는, 토로이달면(toroidal furface)과 외구면(outer spherical surface)이 접촉하여 구성되는 CVT로써, 상술한 가변풀리-벨트방식의 CVT에 비하여 변속범위가 상대적으로 넓고 동력전달도 상당히 크기 때문에 중형 승용차에 사용되고 있다. Toroidal CVT is one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of friction transmission. The toroidal CVT is a CVT formed by contact between a toroidal furface and an outer spherical surface. The toroidal CVT has a relatively wide shift range and a considerable power transmission compared to the CVT of the variable pulley-belt type. Therefore, it is used in the medium passenger car.

도 1에 종래의 토로이달 마찰전동 무단변속기의 기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토로이달 방식의 무단변속기는, 구동로터(10)와 종동로터(20), 그리고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 사이를 중계하는 복수개의 카운터로터(12,14)를 포함한다. 1 shows a basic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oroidal friction transmissio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e toroid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cludes a drive rotor 10 and a driven rotor 20, and a plurality of counter rotors 12 and 14 relaying between the drive rotor and the driven rotor.

동력원에서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구동로터(12)의 회전력은, 마찰 전동에 의하여 상기 카운터로터(12,14)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로터(12,14)의 회전력은 동일하게 마찰전동에 의하여 상기 종동로터(18)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변속비율은, 각각의 접촉점과 축간거리에 의하여 정해지게 된다.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rotor 12 that rotates by power from a power source causes the counter rotors 12 and 14 to rotate by friction transmission. In addi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unter rotors 12 and 14 equally rotates the driven rotor 18 by friction transfer. At this time, the speed ratio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respective contact points and the shaft.

상기와 같은 입력 및 종동로터와 카운터로터의 접촉부분의 힘의 관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분을 이루고 있는 카운터로터(12)와 로터(10)는 트랙션오일(traction)(3)을 개재하여 접촉하고 있다. 이 때 마찰력은 접촉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직항력에 의하여 정의되는데, 로터(10)의 구동토크에 대항하여, 카운터로터(12)의 접선에 발생되는 정지마찰력, 즉 접선력으로 생각될 수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and the forc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driven rotor and the counter rotor as shown above i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unter rotor 12 and the rotor 10 forming a contact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via a traction oil 3. At this time, the frictional force is defined by the vertical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portion, and can be thought of as the static frictional force, that is, the tangential force, generated at the tangent of the counter rotor 12 against the driving torque of the rotor 10. have.

상기 접선력이 구동토오크보다 크면 카운터로터(12)는 로터(10)에 대하여 구름접촉에 의한 운동을 수행하면서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접선력이 구동토오크 보다 작으면 미끄럼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When the tangential force is greater than the drive torque, the counter rotor 12 transmits power while performing the movement by rolling contact with respect to the rotor 10, and when the tangential force is smaller than the drive torque, a sliding motion occurs.

허츠의 접촉이론(Hertz's contact theory)에 의하면, 접촉응력은 수직항력의 1/3승에 비례하고, 접촉하는 부분의 곡률반경의 역수의 합(K값)의 2/3에 비례한다. 여기서 K값은, 1/(물체1의 제1방향곡률반경) + 1/(물체1의 제2방향곡률반경) + 1/(물체2의 제1방향곡률반경) + 1/(물체2의 제2방향곡률반경)이다. 여기서 물체의 곡률반경은 곡선이 오목한 경우에는 음(-)으로 정의되고, 곡선이 볼록할 경우에는 양(+)으로 정의된다. According to Hertz's contact theory, the contact stress is proportional to one-third of the normal force and two-thirds the sum of the inverses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tacting parts (K value). Here, the K value is 1 / (first direction radius of curvature of object 1) + 1 / (second direction radius of curvature of object 1) + 1 / (first direction radius of curvature of object 2) + 1 / of object 2 Second direction radius of curvature). Here, the radius of curvature of an object is defined as negative (-) when the curve is concave and positive (+) when the curve is convex.

상술한 토로이달 CVT는, 두개의 물체(예를 들면 로터와 카운터로터)의 접촉부에서의 형상 곡면이 외구면(outer spherical surface)- 토로이달면(toroidal surface)의 접촉이라고 할 수 있다. 토로이달곡면의 두가지 곡률반경 중에서 하나는 양이고 다른 하나는 음이다. 그리고 토로이달면과 접촉하는 외구면의 두가지 곡률반경은 모두 양이다. 따라서 하나의 주축방향에서는 외구면과 토로이달면이 서로 볼록-볼록 접촉이고, 다른 하나의 주축방향에서는 외구면과 토로이달면이 서로 볼록-오목접촉임을 알 수 있다. 후자의 접촉으로 인하여 상술한 K값이 줄어드 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 따라서 토로이달 CVT는, 외구면-외구면 접촉방식 및 외구면-평면 접촉방식 보다 응력완화의 측면에서 유리한 메카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토로이달CVT에 있어서는 항상 볼록-볼록 접촉이 존재하기 때문에, K값을 감소시키는 부분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In the above-described toroidal CVT, the shape curved surface at the contact portion of two objects (for example, the rotor and the counter rotor) can be said to be a contact between an outer spherical surface and a toroidal surface. One of the two curvature radii of the toroidal surface is positive and the other is negative. Both radiuses of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oroidal plane are positiv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toroidal surface are convex-convex contact with each other in one main axis direction, and the outer surface and the toroidal surface are convex-concav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other main axis direction. The latter contac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bove-described K value. Therefore, the toroidal CVT is an advantageous mechanism in terms of stress relaxation than the outer-surface contact and outer-plane contact methods. . However, in the toroidal CVT, since there is always a convex-convex contact, there is a certain limit in reducing the K value.

내구면 접촉을 이용할 수 있는 CVT가 고안된다면, K값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10) 및 카운터로터(12)가 내구면-외구면 접촉을 이루는 메카니즘의 경우, 내구면의 두 곡률반경은 모두 음이고, 이와 상대하는 외구면의 두 곡률반경은 모두 양이다. 따라서 두 주축방향이 모두 오목-볼록 접촉으로 되어, K값이 줄어드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접촉관계에 있어서 두물체의 곡률반경의 차이가 작을 수록 K값 감소효과는 더욱 커지게 된다. 그러나 두 물체 사이의 스핀운동으로 인하여 마찰부분의 동력 손실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그 차이를 무제한 작게할 수는 없다. If a CVT is devised that can use endurance contact, the K valu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at is, as shown in FIG. 3, in the case of the mechanism in which the rotor 10 and the counter rotor 12 make an inner surface-outer surface contact, both radiuses of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are negative, Both radii of curvature are positive. Therefore, both main axis directions are concave-convex contact,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K value. In this contact relationship, the smaller the difference i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two objects, the greater the K value reduction effect. However, because the power loss of the friction part increases due to the spin motion between the two objects, the difference cannot be made infinitely small.

그리고 내구면-외구면 접촉의 다른 특징은, 접촉부의 탄성변형으로 인한 접촉면적인 거의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된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토로이달 CVT에서와 같이 타원형의 접촉면적보다 스핀로스(spin loss)가 적다는 특징이 있다. Another feature of the inner-surface-surface contact is that the contact surface is formed in a nearly circular shape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ntact portion. Therefore, as in the toroidal CVT, the spin loss is smaller than the elliptical contact area.

상기와 같은 구면접촉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밀너CVT(Milner CVT)가 PCT/GB02/04065으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밀너 CVT에 있어서도, 구동부와 종동부의 두 접촉 중에서 어느 하나는 내구면-외구면 접촉을 이루고 있으나 다른 하나는 토로이달CVT와 같이 외구면-토로이달면의 접촉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느 일측만이 내구면-외구면 접촉을 이용하고 있어서, 상술 한 바와 같이 일정한 한계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of spherical contact, Milner CVT has been proposed as PCT / GB02 / 04065. However, in this Milner CVT, either one of the two contacts of the driving part and the follower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outer surface, but the other is composed of the outer surface-toroidal surface contact such as the toroidal CVT, so that only one side Since this inner surface to outer surface contact is used, there is a certain limit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을 정리하면, 토로이달CVT는 두개의 외구면-토로이달면 접촉으로 되어 있고, 밀너CVT는 외구면-토로이달면 접촉과, 내구면-외구면 접촉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응력완화 효과 측면에서는 토로이달 CVT 보다 밀너 CVT가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핀 에너지 로스(spin energy loss) 측면에서도 외구면-토로이달 접촉보다는 내구면-외구면 접촉이 더욱 유리하기 때문에, 토로이달 CVT 보다는 밀너 CVT가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In summary,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toroidal CVT is in contact with two outer surface-toroidal surface, and Milner CV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toroidal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outer surface contact. Therefore, Milner CVT is more effective than toroidal CVT in terms of stress relaxation effect. In addition, in terms of spin energy loss, Milner CVT is more effective than toroidal CVT because it is more advantageous than the toroidal toroidal contact.

그러나 상기의 어떤 무단변속장치에서도 완전한 내구면-외구면 접촉을 이루고 있지는 못하고 있으며, 응력완화 및 스핀로스의 측면에서, 내구면-외구면 접촉에 의한 동력전달이 가장 바람직한 것은 사실이다. However, none of the above-mentione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have achieved complete inner-surface contact, and in view of stress relaxation and spin loss, power transmission by inner-surface contact is most preferabl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체 로터의 접촉방식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도 3에 도시한 내구면-외구면 접촉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방식은 중앙의 접촉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양자의 접촉간격이 서서히 넓어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접촉면적이 넓다고 할 수 있고, 접촉부 사이에 있는 윤활유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안정화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력완화의 효과가 크고 As mentioned above, the most preferable thing in the contact system of a concrete rotor can be said to be the inner surface-outer surface contact system shown in FIG. Since the contact method is a form in which both contact intervals gradually widen from the center contact portion to the outside, the actual contact area can be said to be wide, and the flow of lubricant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can be relatively stabilized, and the stress Great effect of relax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신뢰성 높은 변속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찰전동 무단 변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iboelectr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figured to achieve a reliable transmission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력완화 및 스핀로스 감소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속도 변동영역에 대하여 동력효율이 안정적이고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는 마찰 전동 무단 변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iction-driv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can effectively achieve stress relaxation and spin loss reduction and at the same time have a stable and high efficiency in power efficiency over a full speed fluctuation ran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는, 일측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내구면을 구비하는 구동로터와; 일측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내구면을 구비하는 종동로터; 그리고 상기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의 내구면과 각각 접촉하는 외구면을 구비하는 구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하여 마찰 전동이 수행되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카운터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는 회전축을 일정 간격 회동시킴으로써, 각 접촉점과 각 축간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피봇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riction transmission continuously variabl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rive rotor having an enduranc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one side; A driven rotor having an endurance surfac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one side; And a counter rotor formed of a sphere having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respectively, and rotating about a rotating shaft while friction transmi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act surface. At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by rotating the rotating shaf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vot point for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install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each contact point and each axis can be adjusted.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로터의 내구면과 종동로터의 내구면이 서로 대향하면서 그 사이에 카운터로터가 개재되도록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가 배열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회전축은,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와 카운터로터의 각 접촉점 사이에 배치되거나, 각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re arranged such that the counter ro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ing ro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en rotor. In this case, the rotation shaf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tact points of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nd the counter rotor, or may not be disposed between the contact points.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로터의 내구면은 종동로터의 내구면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내구면은 카운터로터에 대하여 동일한 사분면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e rotor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en rotor, each of the inn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ounter rotor in the same quadrant It is configured to.

그리고 구동로터와 종동로터의 각각의 회전축은 서로 동축상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동로터와 종동로터의 각각의 회전축은 직각을 이루는 등과 같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있어 도 좋다. Each of the rotational shafts of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may be coaxial with each other, or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the respective rotation shafts of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may have a constant angle, such as forming a right angl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가 카운터로터와의 접촉시, 내구면-외구면 접촉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동력전달시 응력완화의 효과가 크고, 동력전달의 범위도 더욱 넓어지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in contact with the counter rotor, it makes the inner surface-outer surface contact. Therefore, the effect of stress relaxation during power transmission is great, and the range of power transmission will be expected to be wider.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기본원리를 도시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의한 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변속장치의 기본원리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적용한 하나의 구성예를 보인 예시 사시도이다. 4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showing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ubstantially applied one using the basic principle of the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먼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단변속장치는, 구동원에서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로터(100)와, 소정의 변속비로 회전 출력을 제공하는 종동로터(200), 그리고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 사이에서 마찰전동하는 구체상의 카운터로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First,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As shown,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rotor 100 that rotates with power at a drive source, a driven rotor 200 that provides rotational output at a predetermined speed ratio, and the drive rotor and driven rotor.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counter-rotor 300 of the sphere which friction-drives between.

상기 구동로터(100)는, 구동원의 회전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부분으로, 적어도 일측에 내구면(inner spherical surface)(110)을 원주상에 구비하고 있으며, 도시한 실시예에와 같이 원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종동로터(200)는 상기 구동로터(100)의 회전수에 대하여 소정의 변속비를 가지고 출력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로터(100)의 내구면(110)과 대향하는 면에 내구면(210)을 원주상 구비하는 원판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The drive rotor 100 is a part that rotates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source, and has an inner spherical surface 110 on a circumference at least on one side, and has a disc shape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Can be formed. The driven rotor 200 is output with a predetermined speed ratio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rotor 100, and the endurance surface 210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drive rotor 100 facing the end surface 110. It is shape | molded in the disk shape provided with a column shape.

그리고 상기 카운터로터(300)는 구체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구동로터(100)의 내구면(110)과 접촉하는 접촉부분(330)과 종동로터(200)의 내구면(210)과 접촉하는 접촉부분(340)이 모두 외구면(outer spherical surface)이 된다. And the counter rotor 300 is formed in a sphere, the contact portion 330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110 of the drive rotor 100 and the contact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210 of the driven rotor 200 The portions 340 all become outer spherical surfaces.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마찰 전동시 접촉하는 부분은, 구동로터(100)의 내구면(110)과 카운터로터(300)의 외구면 접촉부분(330)과, 종동로터(200)의 내구면(210)과 카운터로터(300)의 외구면 접촉부분(340)이 모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내구면과 외구면 접촉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마찰전동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넓은 접촉면적에 의하여 응력완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스핀로스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refore, the contact portion during friction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110 of the drive rotor 100 and the outer surface contact portion 330 of the counter rotor 300, and the inner surface 210 of the driven rotor 2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contact portion 340 of the counter rotor 300 are both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contact as shown in FIG. 3. Therefore, according to the friction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rea becomes substantially wider, the stress relaxation can be achieved by the wide contact area, and the reduction of the spin loss will be effectively achieved.

그리고 상기 카운터로터(300)는, 상기 구동로터(100)와 종동로터(200)와의 사이에서 마찰전동을 수행하면서 적절한 감속비를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운터로터(300)는 도면상 수평방향(즉 실제상으로는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의 축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로터(100)와 종동로터(200)와의 마찰전동을 수행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counter rotor 300 performs frictional transmission between the driving rotor 100 and the driven rotor 200 to provide an appropriate reduction ratio. In this embodiment, the counter rotor 300 is rotated about the rotating shaft 31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rotor and the driven rotor) in the drawing, the drive rotor 100 And frictional transmission with the driven rotor (200).

상기 회전축(310)은 다른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피봇점(32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봇점(320)은 상기 회전축(310)을 회전(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의 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The rotary shaft 310 is supported by another structure, the pivot point 320 is connected to the center thereof. The pivot point 32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ry shaft 31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mechanism so as to rotate the rotary shaft 310.

상기 피봇점(320)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3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로터(100)와 카운터로터(300), 그리고 카운터로터(300)와 종동로터(20)의 각각의 접촉점과 각 축간거리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310)을 피봇점(32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변속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10)을 피봇점(32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실질적으로 출력은 더욱 고속으로 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실질적으로 출력은 저속으로 될 것이다. When the rotating shaft 310 is rotated about the pivot point 320, the contact points of the driving rotor 100, the counter rotor 300, and the counter rotor 300 and the driven rotor 20 are substantially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axis will change. Therefore, by rotating the rotary shaft 310 about the pivot point 320,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adjust the speed ratio. Thus, for example, in the state illustrated in FIG. 1, when the rotation shaft 31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clockwise about the pivot point 320, the output becomes substantially higher. On the contrary, if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is performed at an angle, the output will be substantially slow.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체의 카운터로터를 이용한 마찰전동에 있어서, 카운터로터와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가 모두 내구면-외구면 접촉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a basic technical idea to configure the counter rotor,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to perform both inner and outer surface contact in friction transfer using the concrete counter rotor. .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터(100)와 종동로터(200)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로터(300)의 회전축(310)은 상기 구동로터(100)와 카운터로터(300) 및 종동로터(200)와 카운터로터(300)의 각각의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drive rotor 100 and the driven rotor 200 are provid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rotation shaft 310 of the counter rotor 300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located between the contact point of the drive rotor 100 and the counter rotor 300 and the driven rotor 200 and the counter rotor 300. Able to know.

다음에는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는, 구동원에서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로터(100a)와, 소정의 변속비로 회전 출력을 제공하는 종동로터(200a), 그리고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 사이에서 마찰전동하는 구체상의 카운터로터(300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구성요소 자체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will be described. As shown, the friction transmissio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drive rotor 100a that rotates with power from a drive source, a driven rotor 200a that provides rotational output at a predetermined speed ratio, and driven with the drive rotor.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pherical counter rotor 300a which friction-transfers between rotors. Each such component itself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구동로터(100a)와 카운터로터(300a), 그리고 카운터로터(300a)와 종동로터(200a)의 각각의 접촉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구면-외구면 접촉을 이루면서 마찰전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each contact between the drive rotor 100a and the counter rotor 300a, and the counter rotor 300a and the driven rotor 200a is frictional while making the inner-surface-surface contact as described above. It is comprised so that transmission may take plac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운터로터(300a)의 회전축(310a)이 도면상 수직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축(310a)은 각각의 접촉점[구동로터와 카운터로터의 접촉점과 카운터로터와 종동로터의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회전축(310a)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피봇점(320a)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회전축(310a)의 피봇점 중심 회전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변속비가 결정될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rotary shaft 310a of the counter rotor 300a is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and the rotary shaft 310a has respective contact points (contact points of the drive rotor and the counter rotor and contact points of the counter rotor and the driven rotor). You can see that it is located in betwee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shaft 310a may be rotated by the pivot point 320a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transmission ratio may b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by the rotation of the pivot point centeraround of the rotation shaft 310a. will be.

상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카운터로터의 회전축의 위치만이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대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의 운동 성분 분석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해 본 결과, 제1실시예가 스핀로서(spin loss)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뎌욱 효율적인 변속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t can be seen that only the positions of the rotating shafts of the counter rotor described above are set differently.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analysis and simulation of the motion components of each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embodiment has a relatively small spin loss and thus enables efficient shifting. Could.

다음에는 도 6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가 서로 대향하고 있는 형태로 배치된 실시예이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는, 구동로터와 종동로터가 동일측에 배치되어 있는 실시예이다. Next, a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6 will be described.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mbodiments in which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However,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below are embodiments in which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re arranged on the same side.

먼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구동로터(100b)의 일측면에 내구면(110b)이 형성되어 있고, 종동로터(200b)의 일측면에도 내구면(21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로터(100b)와 종동로터(200b)는,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터(100b)의 직경이 종동로터(200b)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동일측에서 상기 종동로터가 구동로터의 내측부분에 배치되고 있다. Firs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 end surface 110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rotor 100b, and an end surface 210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en rotor 200b.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rotor 100b and the driven rotor 200b ar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drive rotor 100b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driven rotor 200b, so that the driven rotor is disposed inside the drive rotor on the same side.

그리고 상기 구동로터의 내구면(110b)과 종동로터의 내구면(210b)과 동시에 접촉하는 카운터로터(300b)의 각각의 접촉점은, 모두 동일하게 도면상 제1사분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로터(100b)와 종동로터(200b)가 동일한 방향에서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카운터로터와의 접촉점은 동일하게 제1사분면에 위치하게 된다. And it can be seen that each of the contact points of the counter rotor (300b)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110b) of the drive rotor and the inner surface (210b) of the driven rotor are all located in the same first quadrant in the drawing. That is, since the drive rotor 100b and the driven rotor 200b are provided in the same direction, the contact points with the counter rotors are equally positioned in the first quadrant.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카운터로터(300b)는, 회전축(310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마찰전동을 일으키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10b)의 중심에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피봇점(320b)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피봇점(320b)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축(310b)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회전축(310b)이 회전하게 되면, 각각의 접촉점과 축간거리가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관계에 의하여 변속비가 결정될 것이다. Also in this embodiment, it is natural that the counter rotor 300b causes frictional movement while rotating about the rotation shaft 310b. In addition, a pivot point 320b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310b, so that the rotation shaft 310b is rotatable about the pivot point 320b. Also in this embodiment, when the rotating shaft 310b is rotated, each contact poin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haft is changed, the transmission ratio will be determined by this relationship.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310b)은 구동로터(100b)와 카운터로터(300b)의 접촉점과, 카운터로터(300b)와 종동로터(200b)의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otary shaft 310b is designed to be located between the contact point of the drive rotor 100b and the counter rotor 300b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counter rotor 300b and the driven rotor 200b.

다음에는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로터(100c)와 종동로터(200c), 그리고 카운터로터(300c)의 위 치관계는 상기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 그리고 카운터로터의 각각의 접촉점의 위치 및 접촉형태 등도 상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 rotor 100c, the driven rotor 200c, and the counter rotor 300c is the same as in the thir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and the contact form of each of the contact points of the drive rotor, the driven rotor, and the counter rotor are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운터로터(300c)의 회전축(310c)이, 상기 구동로터(100c)와 카운터로터(300c)의 접촉점과 카운터로터(300c)와 종동로터(200c)의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shaft 310c of the counter rotor 300c is not located between the contact point of the drive rotor 100c and the counter rotor 300c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counter rotor 300c and the driven rotor 200c. It is designed.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카운터로터(300c)의 회전축(310c)을 피봇점(320c)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접촉점과 축간거리가 변화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변속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And also in this embodiment, by rotating the rotation axis 310c of the counter rotor 300c about the pivot point 320c, the distance between each contact point and the axis is changed to be able to adjust the speed ratio substantially It is natural.

상기 제3실시예와 제4실시는,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와 카운터로터의 각각의 접촉점과, 회전축의 위치관계에 의하여 구분되는 실시예임을 알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축(310b)이 한쌍의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구동로터의 구동방향과 종동로터의 출력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이 되고,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축이 한쌍의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면 구동방향과 출력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될 것이다.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fourth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embodiment is distinguished by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contact points of the drive rotor, the driven rotor and the counter rotor, and the rotary shaft. When the rotary shaft 310b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contact points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e rotor and the output direction of the driven rotor become different directions, and as shown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rotary shaft is paired. If not located between the contact points of,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 output direction will be the same direction.

그리고 도 8에 참고적으로 도시한 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를 구현한 구성예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제2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운터로터(300a)를 복수개로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카운터로터(300a)와 구동 및 종동로터와의 외구면-내구면 접촉에 의한 마찰전동에 의하여, 무단변속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쉽 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8 is a configuratio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embodiment is implemen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counter rotor 300a is configured in plural, and the stepless speed change is caused by frictional transmission by the outer surface-inner surface contact between the counter rotor 300a and the driving and driven rotor.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 내지 제8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는 구동로터와 종동로터의 축이 동축상에 있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구동로터와 종동로터의 축이 동축상에 있지 않는 실시예이다. Next, a fifth embodiment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re embodiments in which the shafts of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re coaxial.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xes of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re not coaxial.

먼저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는, 구동로터(100d)의 회전축과 종동로터(200d)의 회전축이 평행을 이루면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로터(100d)에는 내구면(110d)이 형성되고 있고, 종동로터(200d)에도 내구면(210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로터(100d)와 종동로터(200d) 사이에 개재되는 카운터로터(300d)는 상기 각각의 내구면(110d,210d)과 접촉하는 외구면을 가지고 있다. First,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 state where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ing rotor 100d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n rotor 200d are parallel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the drawing, an endurance surface 110d is formed in the driving rotor 100d, and an endurance surface 210d is formed in the driven rotor 200d. The counter rotor 300d interposed between the driving rotor 100d and the driven rotor 200d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contacting the respective inner surfaces 110d and 210d.

그리고 상기 종동로터(300d)는, 회전축(310d)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310d)의 중간부분에는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피봇점(320d)이 설치되어 외부장치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변속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촉점과 축간거리에 따라서 결정될 것이고, 상기 회전축(310d)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인 변속비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The driven rotor 300d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310d, and a pivot point 320d is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310d so as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lso in this embodiment, the speed ratio will be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contact point and the axis distance as described above, and the actual speed ratio can be varied by rotating the rotary shaft 310d.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도 구동로터(100e)와 종동로터(200e)의 각각의 회전축이 평행을 이루기는 하나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실시예이고, 본 실시예는 상기 제5실시예 보다 구동로터 의 회전축과 종동로터의 회전축이 더 많이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의 각 회전축의 이격량이 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기 카운터로터(300e)와 접촉하는 구동로터(100e)의 접촉부분이 상기 제5실시예와는 상이하다. 10,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shown, this embodiment is also an embodiment in which the respective rotation axes of the drive rotor 100e and the driven rotor 200e are parallel but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present embodiment is more effective than the fifth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rotary shaft and the rotary shaft of the driven rotor are more spaced apart.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istance between each rotation shaft of the drive rotor and the driven rotor is large, the contact portion of the drive rotor (100e) in contact with the counter rotor (300e) is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he fifth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구동로터(100e)의 내구면(110e)과 종동로터(200e)의 내구면(210e)은, 카운터로터(300e)의 외구면과 각각 접촉하면서 변속이 수행되는 것을 상술한 제5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로터(300e)는 회전축(310e)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310e)의 중심에는 외부장치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310e)을 회전시키기 위한 피봇점(320e)이 설치되어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110e of the drive rotor 100e and the inner surface 210e of the driven rotor 200e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unter rotor 300e. The same as in the fifth embodiment. The counter rotor 300e is rotated based on the rotation shaft 310e, and a pivot point 320e for rotating the rotation shaft 310e by an external device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310e.

그리고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 있어서도, 회전축(310d,310e)은, 구동로터(100d,100e)와 카운터로터(300d,300e)의 접촉점과 카운터로터(300d,300e)와 종동로터(200d,200e)의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거나, 그 사이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것임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각각의 접촉점과 축간거리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변속비가 조절될 수 있는 것도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Also in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the rotary shafts 310d and 310e may include the contact points between the drive rotors 100d and 100e and the counter rotors 300d and 300e, the counter rotors 300d and 300e, and the driven rotors. It may be designed to be located between the contact points of (200d, 200e), or not located between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contact point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hafts are 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accordingly, the speed ratio can be adjusted.

다음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1 and 12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는, 구동로터의 회전축과 종동로터의 회전축이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에 적용된 것이다.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roto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n rotor being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구동로터(100f)의 회전축은 도면상 수직을 이 루고 있으며, 종동로터(200f)의 회전축은 수평을 이루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입력축과 출력축은 서로 직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rotor 100f is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n rotor 200f is horizontal, so that the input shaft and the output shaft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can be seen that.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구동로터(100f)와 종동로터(200f) 사이에는 구체의 카운터로터(300f)가 개재되어 있어서 마찰 전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로터(100f) 및 종동로터(200f)는, 각각 상기 카운터로터와 접촉하는 내구면(110f,210f)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체의 카운터로터(300f)는 상기 각각의 내구면(110f,210f)과 접촉하는 외구면을 구비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In this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ball rotor 300f is interposed between the driving rotor 100f and the driven rotor 200f and is designed to enable friction transmission. The drive rotor 100f and the driven rotor 200f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endurance surfaces 110f and 210f in contact with the counter rotor, respectively. It is obvious that the counter rotor 300f of the sphere has an outer surface which contacts the respective inner surfaces 110f and 210f.

그리고 상기 카운터로터(300f)는 회전축(310f)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310f)의 중심에는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피봇점(320f)을 구비하고 있다. The counter rotor 300f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otation shaft 310f, and has a pivot point 320f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310f so as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제8실시예도 제7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동로터(100g)와 종동로터(200g)의 회전축이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구동로터(100g)와 종동로터(200g)는 내구면(110g,210g)에서 구체 카운터로터(300g)의 외구면과 각각 접촉하면서, 마찰전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7실시예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고 있으며, 구동로터(100g)와 카운터로터(300g)의 접촉위치가 상이할 뿐이다. In addition, as in the eighth embodiment shown in FIG. 12, it can be seen that the rotation shafts of the driving rotor 100g and the driven rotor 200g form a right angle with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driving rotor (100g) and the driven rotor (200g)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counter rotor (300g) in the inner surface (110g, 210g), respectively, perform friction transfer.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bstantially similarly to the seventh embodiment, and only the contact positions of the drive rotor 100g and the counter rotor 300g are different.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카운터로터(300g)는 회전축(310ㅎ) 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310g)의 중심에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변속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피봇점(320g)을 구비하 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unter rotor (300g) is rotatably supported by a rotation shaft (310),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310g)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adjust the speed ratio by rotating the rotation shaft It has a pivot point (320g).

상기와 같은 제7실시예 및 제8실시예에서도, 상기 각각의 접촉점과 축간거리의 관계에 의하여 변속비가 결정되고, 상기 피봇점(320f,320g)에 의하여 연결되는 외부장치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310f,310g)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접촉점과 축간거리가 변하게 되면서 변속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Also in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gear ratio is determ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ective contact points and the shaft distance, and the rotary shaft 310f is connected by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by the pivot points 320f and 320g. When 310g) is rotated, the speed ratio is adjusted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 point and the shaft is changed.

상기 제5실시예 내지 제8실시예는, 구동로터와 종동로터가 동축상에 있지 않은 경우, 즉 일정간격 이격된 축간거리를 가지거나, 서로 직각인 관계에 있는 경우에 적용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로터와 종동로터의 회전축이 동축상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서로 평행관계에 있으면서 일정 간격 회전축이 이격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고, 서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fifth to eighth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a case in which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re not coaxial, that is, when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or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when the rotation shafts of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re coaxial, but also when the rotation shafts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while being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can be applied even when they have a constant angle to each other. It can be see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체의 카운터로터를 이용한 마찰 전동에 의한 무단변속장치를 구현하고 있으며, 카운터로터와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 사이에는 내구면-외구면 접촉에 의한 마찰 전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by friction transmission using a concrete counter rotor is implemented, and friction transmission by inner-surface-surface contact between the counter rotor,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is per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 configuration is made to be a basic technical idea.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well a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체의 카운터 로터를 이용한 마찰 전동에 의하여, 무단변속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카운터로터와 접촉하는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의 각 접촉부분이 내구면-외구면 접촉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양자 사이에 제공되는 접촉면적에 의하여 응력의 완화효과가 크고, 종래의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동력전달의 범위가 커질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stepless speed change is made by friction transmission using a spherical counter roto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each contact portion of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in contact with the counter rotor performs the inner surface-outer surface contac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relaxation of stress is large due to the contact area provided between the two, and the range of power transmission can be increased relatively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Claims (11)

일측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내구면을 구비하는 구동로터와;A driving rotor having an end surfac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one side thereof; 일측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내구면을 구비하는 종동로터; 그리고A driven rotor having an endurance surfac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one side; And 상기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의 내구면과 각각 접촉하는 외구면을 구비하는 구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을 통하여 마찰 전동이 수행되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카운터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formed of a sphere having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e rotor and the driven rotor, respectively, and comprises a counter rotor that rotates about a rotating shaft while friction transmi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act surface;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로터의 내구면은 종동로터의 내구면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각각의 내구면은 카운터로터에 대하여 동일한 사분면에서 접촉하며;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r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ing rotor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en rotor, each of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unter rotor in the same quadrant;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는 회전축을 일정 간격 회동시킴으로써, 각각 접촉점과 축간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And a contact point and a distance between the shafts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rotation shaft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와 카운터로터의 각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The continuously variable friction driv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shaft is disposed between each contact point of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nd the counter r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구동로터 및 종동로터와 카운터로터의 각 접촉점 사이에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The continuously variable friction driv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shaft is disposed so as not to be positioned between each contact point of the driving rotor and the driven rotor and the counter r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의 회전축은 동축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2. The frictionless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rotor and the driven rotor is coax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의 회전축은 평행을 이루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e rotor and the driven rotor is parallel, friction-driven continuously vari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의 회전축은 서로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e rotor and the driven rotor is a friction-driv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at an angle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터와 종동로터의 회전축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전동 무단변속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e rotor and the driven rotor is a friction-driv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perpendicular to each other.
KR1020030087030A 2003-12-03 2003-12-03 Traction dirv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KR100578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030A KR100578073B1 (en) 2003-12-03 2003-12-03 Traction dirv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030A KR100578073B1 (en) 2003-12-03 2003-12-03 Traction dirv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818A KR20050053818A (en) 2005-06-10
KR100578073B1 true KR100578073B1 (en) 2006-05-10

Family

ID=3724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030A KR100578073B1 (en) 2003-12-03 2003-12-03 Traction dirv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0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149B1 (en) * 2006-09-11 2007-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748A (en) * 1994-11-04 1996-05-31 Isao Matsui Autom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tter
JP2002250421A (en) * 2000-12-21 2002-09-06 Kayseven Co Ltd Variable speed change gear
KR100426333B1 (en) * 2002-03-20 2004-04-13 대한민국(부산대학교 총장) Traction driv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having a four bar linkage and spherical rot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748A (en) * 1994-11-04 1996-05-31 Isao Matsui Autom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tter
JP2002250421A (en) * 2000-12-21 2002-09-06 Kayseven Co Ltd Variable speed change gear
KR100426333B1 (en) * 2002-03-20 2004-04-13 대한민국(부산대학교 총장) Traction driv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having a four bar linkage and spherical ro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818A (en)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7473A (en) Variable speed drive mechanisms
US5601509A (en) Taper rolle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4563915A (en) Wobble type axial speed reducer apparatus
JP2014513780A (en) Toroidal variable speed traction drive
KR100578073B1 (en) Traction dirve continuously various transmission
JP4316493B2 (en) Automatic transmission with at least two conical disc pairs
KR101160712B1 (en) An improve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JP5803878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S61112854A (en) Speed reduction device with end face can
CN103104667A (en) Stepless speed change device with transmission diameter variable wheel hub
US7556584B2 (en) Variable speed drive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N111692306B (en) Rolling type stepless speed changer
KR100640247B1 (en) Cvt for automobile usage
RU2287102C1 (en) Centrifugal-inertial variator
RU130649U1 (en) FREE TRANSFER TRANSFER
US5913949A (en) Controllable direct engagement differential with disk and ring combination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US5051106A (en) Transverse axis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RU2188973C2 (en) Torque transformer
JP2004169744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RU2194895C2 (en) Variable-speed drive
US20190264784A1 (en) Ball assembly for a ball-type continuously variable planetary transmission
SU991091A1 (en) Planetary gear variable-speed drive
KR20140048133A (en) Steerable units as a frictional surface between objects
JP4483382B2 (en) Toroid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H01126462A (en) Automat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