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8020B1 -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8020B1
KR100578020B1 KR1020050056764A KR20050056764A KR100578020B1 KR 100578020 B1 KR100578020 B1 KR 100578020B1 KR 1020050056764 A KR1020050056764 A KR 1020050056764A KR 20050056764 A KR20050056764 A KR 20050056764A KR 100578020 B1 KR100578020 B1 KR 100578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ell
electrolyte
cell
soil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식
호 김
온지원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05005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B09C1/085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electrochemically, e.g. by electrokinetic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1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subjecting to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or ionizing radiation
    • A62D3/11Electrochemical processes, e.g. electrodialysis
    • A62D3/115Electrolytic degradation or conver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양극전극셀; 음극전극셀; 상기 양극전극셀과 상기 음극전극셀 사이에 위치하여 통과되는 전해질에 의해 오염된 토양이 정화되는 오염토양셀; 상기 양극전극셀과 상기 오염토양셀을 분리/연결하기 위한 제1 셀룰로스막; 상기 음극전극셀과 상기 오염토양셀을 분리/연결하기 위한 제2 셀룰로스막; 상기 양극전극셀로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수단; 상기 음극전극셀로부터 전해질을 회수하기 위한 전해질 회수수단; 및 상기 양극전극셀과 상기 음극전극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펄스파워를 토양오염에 적용시, 순간적인 힘이 발생하여 다양한 물리학적 효과와 전기화학적 효과를 유도하여 동전기 효과를 상승시키므로 오염원의 이동속도 및 제거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펄스파워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매우 짧은 시간에 방출하므로 기존의 DC전원에 비해 소요에너지 절약을 기대할 수 있다.
토양오염, 전기동력학, 전해질, 양극, 음극, 펄스전원, 정화, 동전기

Description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Electrokinetic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 by Pulse pow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한 고전압 펄스전원의 전압/전류 입력 파형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한 고전압 펄스전원 적용시 임피던스 그래프이며, "A"영역은 피크전압 및 전류 영역에서의 임피던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한 저전압 펄스전원의 전압/전류 입력 파형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한 저전압 펄스전원 적용시 임피던스 그래프이며, "B"영역은 피크전압 및 전류 영역에서의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오염토양정화셀 20: 전원공급장치
30: 전해질셀 40: 배수량 측정용 셀
50: 계측수단 P: 양극전극셀
N: 음극전극셀 11P,11N: 전극
12P,12N: 하우징 13P,13N: 셀룰로스막
14P,14N: 전해질 순환펌프 32: 전해질
51: 전압계 52: 전류계
53: 정보수집장치 54: 전압/전류 프로브
55: 오실로스코프
본 발명은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는 오염 토양 정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및 복구를 위한 기술로는 토양세척, 증기추출(SVE: soil vapor extraction), 수증기추출(steam extraction), 열탈착/열분해, 바이오벤팅(bioventing) 및 바이오복원(bioremediation) 등이 있으며, 실험실적으로 제안된 기술로는 초임계추출을 들 수 있다.
오염 토양 정화를 위한 토양세척기술은 세척제로써 산, 염기, 킬레이팅 에이전트(chelating agent)를 중금속을 제거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는 비수용성 유기물들을 유화하여 토양 입자로부터 탈착 및 용해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토양입자가 작고 다공도가 작은 점토성 토양에서는 세척제의 흐름 이 원활하지 못하고, 비교적 세공이 큰 지점으로 흐름이 형성되는 편류현상이 발생하여 처리 효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부적절한 운전으로 비오염지역으로 세척제 및 오염물질이 이동할 수 있어 2차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점토성 오염토양을 정화하는데 있어 기존의 정화기술보다 효율적인 전기역학적 정화기술(electrokinetic soil remediation)이 고려되어 왔다.
통상, 전기동력적 정화기술은 오염된 토양내에 전극을 설치하여 낮은 DC전류를 가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현장내 토양 정화 기술이다. 전기동력 현상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위차에 의해서 토양내 유체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전기삼투(electroosmosis)라 하고, 금속이나 이온들이 반대 전극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전기이동(electromigration)이라 하며, 콜로이드나 하전된 입자가 반대 전극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라 한다. 이와 같이 전기삼투란 토양과 같은 다공성 매질에 전기장이 존재하면 매질내의 액체가 특정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전기삼투가 발생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토양입자가 약한 음전하를 띠므로 입자 사이의 공간에는 양전하가 모이게 되어 전류를 흘리면 토양내 액체가 음극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토양내 전기삼투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오염지역주변에 양극과 음극을 설치하고, 이 전극을 통하여 전원으로부터 오염지역에 전기를 공급하면 전기삼투현상이 발생되면서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동전기를 이용한 종래의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으로는 (주)에코필에서 특허출 원하여 공개번호 10-2003-0072053호로 공개된 동전기를 이용한 오염토양의 정화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상기 공개된 종래의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은 오염된 토양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전극에 mA/㎠ 수준의 DC 전류를 가하게 되면 양극에서 음극으로 전류의 흐름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전기삼투 현상과 전기영동현상에 의해 세척액이 이동하면서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이동하여 회수되는 세척액은 정화시스템을 거쳐 재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비용절감면에서 유리하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은 직류(DC)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많고, 토양 정화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 특허 제10-194973호 및 제10-134975호와 펄스파워 적용 측면에서 유사성이 있음을 밝혀둔다.
종래 기술에서 소개한 전기역학적 정화기술의 핵심은 전류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방법은 오염원의 제거속도가 전류의 세기와 비례하게 된다. 그러나 전류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보다 펄스형태로 전류를 흘려주었을 때 순간적인 힘이 발생하여 오염원의 이동속도 및 제거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염 토양에 전극을 설치한 후 펄스파워를 인가하여 효율적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킬 수 있는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 파워 발생 기술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매우 짧 은 시간(수십 나노초; ns)에 방출하여 순시 대전력(고전압 대전류 또는 저전압 대전류)을 획득 제어할 수 있는 기술로서, 동일한 1J의 에너지라도 이것을 1sec동안 방출하면 파워는 1W가 되지만, 펄스형태로서 100ns동안에 방출하면 파워는 10MW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오염 토양 정화셀에 투입되는 전기 에너지의 절약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펄스파형의 경우 펄스의 상승시간(rising time)이 짧고 폭(duration time)을 좁히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이와 같은 파형의 펄스가 쉽게 자유전자 또는 오염물질에 전달되어 궁극적으로 오염물질의 이동 및 제거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펄스전원은 토양에 설치되어 있는 전극을 통해서 다양한 물리학적 효과(Physical effect - discharge, ultrasonic, X-ray radiation)와 전기화학적 효과를 유도하여 오염 중금속 처리를 위한 동전기 효과를 상승시키므로, 전해질에 의한 화학적 효과와 더불어 중금속 오염 분자의 탈착 및 이동현상은 기존 DC전원 적용과 비교하여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양극전극셀; 음극전극셀; 상기 양극전극셀과 상기 음극전극셀 사이에 위치하여 통과되는 전해질에 의해 오염된 토양이 정화되는 오염토양셀; 상기 양극전극셀과 상기 오염토양셀을 분리/연결하기 위한 제1 셀룰로스막; 상기 음극전극셀과 상기 오염토양셀을 분리/연 결하기 위한 제2 셀룰로스막; 상기 양극전극셀로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수단; 상기 음극전극셀로부터 전해질을 회수하기 위한 전해질 회수수단; 및 상기 양극전극셀과 상기 음극전극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극전극셀과 상기 제1 셀룰로스막 사이와, 상기 음극전극셀과 상기 제2 셀룰로스막 사이에 이온교환막을 더 구비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펄스파워를 공급하는 펄스파워공급장치이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원으로 이용되는 펄스파워는 펄스반복률이 0.1 ~ 500kHz이고, 펄스폭이 100 ~ 1,000nsec인 것이고, 상기 펄스 전원 장치의 출력용량은 적용범위에 따라 오염토양 1㎥당 10Watt - 100KWatt를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극전극셀은 양극전압이 인가되는 도체인 양극과, 상기 양극을 감싸도록 전해질을 수용하기 위한 양극 하우징과, 상기 양극을 감싸는 전해질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전해질 순환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음극전극셀은 음극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도체인 음극과, 상기 음극을 감싸도록 전해질을 수용하기 위한 음극 하우징과, 상기 전해질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전해질 순환펌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된 토양에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역학적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기 위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셀(10)과,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셀(10)의 전극에 펄스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20)와,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셀(10)에 전해질액(32)을 공급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셀(30)과,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셀(10)로부터 회수되는 전해질액(32)을 측정 및 저장하기 위한 전해질 회수셀(40)과,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셀(10)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파형을 관찰하기 위한 계측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셀(10)은 양극전극셀(P)과, 음극전극셀(N), 그리고 오염 토양 셀(15)로 구분된다. 양극전극셀(P)은 양극전압이 인가되는 도체인 양극(11P)과 양극(11P)을 감싸도록 전해질(32)을 수용하기 위한 양극 하우징(12P), 양극 하우징(12P) 내의 전해질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전해질 순환펌프(14P)로 이루어지고, 음극전극셀(N)은 음극(11N)과 음극(11N)을 감싸도록 전해질(32)을 수용하기 위한 음극 하우징(12N), 음극 하우징(12N)내의 전해질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전해질 순환펌프(14N)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각의 셀들(P,N,15)은 용액의 투과성이 용이한 다공성 셀룰로스막(13P,13N)으로 분리/연결되고, 경우에 따라 셀룰로스막 앞면(전극셀 방향)에 이온교환막(16P,16N)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양극전극셀(P)과 오염 토양 셀(15)은 용액의 투과성이 용이한 제1 다공성 셀룰로스막(13P)으로 분리/연결되고, 음극전극셀(N)과 오염 토양 셀(15)은 용액의 투과성이 용이한 제2 다공성 셀룰로스막(13N)으로 분리/연결된다.
양극전극셀(P)과 음극전극셀(N)은 별도로 전해질(32)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전해질 투입은 마리오트병(mariotte bottle)을 이용한 전해질셀(30)에 의해 일정 수두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두경사의 변화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기삼투현상에 의해 양극(11P)에서 음극(11N)으로 전달된 전해질(32)의 배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음극에 배수량 측정용 셀(40: 회수셀)이 구성되어 있고, 양극전극셀(P)과 음극전극셀(N)내의 이온 농도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해질 순환펌프(14P)(14N)가 구현되어 있으며,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pH, conductivity) 및 중금속이온 농도 변화를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양극(11P)과 음극(11N)에 대한 전원공급원으로써 펄스파워공급장치(20)는 펄스전원(Pulse Power supply)뿐 아니라 DC 전원(Power supply)도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고, 이에 따른 전류 및 전압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정보수집장치(53)가 연결되어 있다. 즉, 공급전원을 계측하기 위한 계측수단(50)은 전압계(51)와 전류계(52)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장치(53)와 전극의 프로브(54)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오실로스코프(55)로 구성되어 양극(11P)과 음극(11N) 사이에 인가되는 전원특성을 계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펄스전원공급장치(Pulse Power supply)(20)의 경우 별도의 전압/전류 측정용 프로브(probe:54)를 통하여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55)에서 펄스파형을 직접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1> 펄스파워 적용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1은 동전기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에서 펄스파워를 적용하기 위한 실험으로써, 펄스파워 적용시 운전사양은 다음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다.
구분 고전압 저주파 펄스 (Ri=2㏀적용) 저전압 고주파 펄스 (Ri=2㏀적용)
반복률(max.) 2kHz 100kHz
펄스에너지 0.0005J 0.0000005J
펄스전압(Vp) 5kV 100V
펄스 폭 300nsec 400nsec
펄스파워(Pp) 8kW 1.6W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패시턴스(Celec )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정 주파수 이상을 출력하는 2kHz의 주파수를 갖는 저주파 고전압 및 100kHz의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저전압의 파형을 갖는 펄스파워를 인가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 때 전류는 전체 임피던스(Z=Ri)에 의해 좌우된다.
동전기 반응조의 전기적 특성이 Rtot = 2㏀ 이고, Ctot = 200nF 의 조건에서, 전원장치 형태별로 에너지 투입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한 고전압 펄스전원(반복률 2kHz에서 5KV)의 전압/전류 입력 파형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한 고전압 펄스전원 적용시 임피던스 그래프이며, "A"영역은 피크전압 및 전류 영역에서의 임피던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횡축은 시간 경과를 나타내고 종축은 전압(-4000~5000)과 전류(-05~25)의 크기를 나타내며, 도시된 전압 그래프(VOLTAGE)는 5KV의 펄스전원이 인가된 후의 전압파형변화를 나타내고, 도시된 전류 그래프(CURRENT)는 펄스전원인가 후 전류의 파형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전압 펄스전원의 임피던스 측정결과를 보면 피크 전압 및 전류의 시간영역("A")에서 일정한 저항값(2㏀)을 유지하며, 매우 안정적인 파형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한 저전압 펄스전원의 전압/전류 입력 파형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한 저전압 펄스전원 적용시 임피던스 그래프이며, "B"영역은 피크전압 및 전류 영역에서의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횡축은 시간 경과를 나타내고 종축은 전압(-100~50)과 전류(-0.05~0.10)의 크기를 나타내며, 도시된 전압 그래프(voltage)는 저전압의 펄스전원이 인가된 후의 전압 파형변화를 나타내고, 도시된 전류 그래프(current)는 저전압 펄스전원인가 후 전류의 파형변화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전압 펄스전원의 임피던스는 측정한 그래프의 시간영역 "B"에서도 매우 안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2> 펄스파워를 이용한 중금속 처리효율
본 발명의 실시예2는 동일한 실험 조건하에서 펄스파워를 이용하여 중금속 처리효율을 검토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초기 토양중의 납을 농도별로 각각 10, 100, 1,000 mg/kg으로 조절하여 비교한 실험과 동일한 농도(100mg/kg)에서 여러 가지 중금속류(비소, 아연, 수은, 크롬, 니켈)를 동일한 조건하에서 처리 효율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2에 적용한 펄스파워 운전사양은 앞서 [표 1]에서 제시한 저전압 고주파 펄스파워 사양과 같고, 실시예에서 사용한 반응기는 도 1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 표 2은 동전기 오염토양 정화셀에 펄스파워 적용시 중금속 처리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중금속 초기 토양중 중금속 농도 (mg/kg) 처리후 토양중 중금속 농도 (mg/kg) 처리 효율(%)
Pb 10 0.3 97.0
100 5.0 95.0
1,000 138.0 86.2
As 100 96.3 96.3
Zn 100 97.2 97.2
Hg 100 93.5 93.5
Cr 100 95.3 95.3
Ni 100 96.2 96.2
상기 [표 2]는 펄스파워 적용시 중금속 처리효율을 나타낸 것으로써, 초기 납 농도가 저농도일수록 처리효율이 높음을 보여 주고 있고, 특히 초기 납 농도가 10, 100mg/kg인 오염토양에 펄스파워 적용시 각각 97, 95%의 높은 처리 효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납 이외에 비소, 아연, 수은, 크롬, 니켈등의 중금속류 제거실험에서도 동일한 조건에서 납 제거효율과 유사하게 95 - 97%정도의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3> 직류전원과 펄스전원의 처리효율 비교
본 발명의 실시예3은 기존의 직류전원을 적용한 동전기 현상과 비교하기 위해 직류전원과 동일한 동전기 셀 조건에서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동전기 현상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3에 사용한 반응기는 도 1에 구성되어 있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직류전원 적용시 16V 정전압으로 운전하였으며, 펄스전원 적용시 앞서 [표 1]에 제시되어 있는 저전압 고주파수 펄스파워사양과 같다.
직류전원 적용시와 펄스전원 적용시 동전기 현상에 의한 납제거 효율이 유사한 시점을 기준으로 다음 [표 3]에 비교사항을 정리하였다.
직류전원 펄스전원
Pb 초기농도 (mg/kg) 250 250
반응후 Pb 농도 (mg/kg) 38 36
Pb 처리 효율 (%) 84.8 85.6
반응 시간 (Hr) 533 298
반응기 용량 (Kg) 3.0 3.0
반응 총 전력량 (WH) 21.4 14.9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납이온 이동 효율이 유사한 시점을 기준으로 펄스전원 적용시가 직류전원 적용시보다 약 44%의 반응시간 단축효과가 있으며, 반응 총 전력량에서는 약 30%의 절약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따른 결과는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가 0.1 내지 500kHz의 범위와 펄스폭이 100 내지 1,000nsec의 범위인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외의 범위에서는 중금속 제거 효율이 급격 감소 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은 오염된 토양에 펄스형태로 전류를 공급하여 짧은 시간에 순간적인 힘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오염물질의 이동속도를 증가시켜 제거효율이 상승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에 소요되는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6)

  1. 양극전극셀;
    음극전극셀;
    상기 양극전극셀과 상기 음극전극셀 사이에 위치하여 통과되는 전해질에 의해 오염된 토양이 정화되는 오염토양셀;
    상기 양극전극셀과 상기 오염토양셀을 분리/연결하기 위한 제1 셀룰로스막;
    상기 음극전극셀과 상기 오염토양셀을 분리/연결하기 위한 제2 셀룰로스막;
    상기 양극전극셀로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수단;
    상기 음극전극셀로부터 전해질을 회수하기 위한 전해질 회수수단; 및
    상기 양극전극셀과 상기 음극전극셀에 펄스파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전원공급수단에서는 펄스반복률이 0.1 ~ 500kHz이고, 펄스폭이 100 ~ 1,000nsec인 펄스파워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전극셀과 상기 제1 셀룰로스막 사이와, 상기 음극전극셀과 상기 제2 셀룰로스막 사이에 이온교환막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전원 장치의 출력용량은
    적용범위에 따라 오염토양 1㎥당 10Watt - 100KWatt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기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전극셀은
    양극전압이 인가되는 도체인 양극과, 상기 양극을 감싸도록 전해질을 수용하기 위한 양극 하우징과, 상기 양극을 감싸는 전해질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전해질 순환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전극셀은
    음극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도체인 음극과, 상기 음극을 감싸도록 전해질을 수용하기 위한 음극 하우징과, 상기 전해질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전해질 순환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KR1020050056764A 2005-06-29 2005-06-29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KR100578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764A KR100578020B1 (ko) 2005-06-29 2005-06-29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764A KR100578020B1 (ko) 2005-06-29 2005-06-29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8020B1 true KR100578020B1 (ko) 2006-05-10

Family

ID=3718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764A KR100578020B1 (ko) 2005-06-29 2005-06-29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0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909B1 (ko) * 2008-05-29 2008-09-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척기술과 동전기 기술을 결합한 티피에이치 오염 토양의정화
WO2010081291A1 (zh) * 2008-12-30 2010-07-22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有机污染土壤修复系统与方法
CN104550216A (zh) * 2014-12-25 2015-04-29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维持污染土壤电动修复中电势差均匀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909B1 (ko) * 2008-05-29 2008-09-0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척기술과 동전기 기술을 결합한 티피에이치 오염 토양의정화
WO2010081291A1 (zh) * 2008-12-30 2010-07-22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有机污染土壤修复系统与方法
CN104550216A (zh) * 2014-12-25 2015-04-29 中国科学院沈阳应用生态研究所 一种维持污染土壤电动修复中电势差均匀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an et al. Capacitive deionization coupled with microbial fuel cells to desalinate low-concentration salt water
Shimizu et al. A novel method of hydrogen generation by water electrolysis using an ultra-short-pulse power supply
Lu et al.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chromium-and cadmium-contaminated soil from abandoned industrial site
KR100735037B1 (ko) 펄스파워 및 촉매전극을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장치
Fascio et al. Investigations of the spark assisted chemical engraving
Zhou et al. Regeneration of activated carbon air-cathodes by half-wave rectified alternating fields in microbial fuel cells
US5738778A (en) Method related to the sterilization of microorganisms and/or to the mineralization of organic substances including microbic metabolites in a ground region and in the ground water by means of electric current
GB2344829A (en)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of radioactive soil
KR100578020B1 (ko) 펄스파워를 이용한 동전기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CN204206595U (zh) 常压常温高频水体低温等离子体发生器
KR20090054087A (ko) 전기동력학을 이용한 토양 복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6766B1 (ko) 동전기를 이용한 토양정화방법
JP2018514382A (ja) 水から異物を取り除くための電気吸着システム
KR100735036B1 (ko) 펄스파워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저항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767339B1 (ko) 동전기를 이용한 불소 오염된 토양의 정화방법
KR20120062954A (ko) 수처리용 수중 방전 장치
CN109013692A (zh) 一种强化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方法及应用
JP2004225133A (ja) 酸化剤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6280601B1 (en) Electrolytic method for sterilization of microorganisms and/or mineralization of organic and/or inorganic substances in ground soil
KR100928215B1 (ko) 일체형 전극 모듈을 이용한 토양 복원 시스템 및 그 방법
JP4050517B2 (ja) 電気化学反応制御方法および電気化学反応装置
Sein et al. Studies on a non-thermal pulsed corona plasma between two parallel-plate electrodes in water
KR20030014054A (ko) 동전기를 이용한 생물학적오염토양 정화방법
JP4362587B2 (ja) 電気浸透流を用いた汚染物質除去方法及び汚染物質除去装置
CN211004703U (zh) 一种太阳能电催化氧化污水深度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