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121B1 -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 Google Patents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121B1
KR100577121B1 KR1020050000288A KR20050000288A KR100577121B1 KR 100577121 B1 KR100577121 B1 KR 100577121B1 KR 1020050000288 A KR1020050000288 A KR 1020050000288A KR 20050000288 A KR20050000288 A KR 20050000288A KR 100577121 B1 KR100577121 B1 KR 100577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chamber
compression
eccentric
housing
communicat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해
이승갑
성춘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14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pidemi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회전을 하는 압축실 내부의 압력이 밀폐용기 내부의 압력(토출압력)과 같아지도록 하여 회전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능력가변 회전압축기를 개시한 것이다.
개시한 능력가변 회전압축기는, 밀폐용기 내에 설치되며 상호 용적이 다른 제1압축실과 제2압축실을 갖춘 하우징과, 각 압축실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회전방향 변화에 따라 두 압축실 중 어느 한 쪽에서 선택적으로 압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편심장치와, 제1 및 제2압축실이 밀폐용기 내부와 각각 연통하도록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연통공과; 제1 및 제2연통공 중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실 쪽의 연통공이 흡입압력에 의해 폐쇄되고 공회전을 하는 압축실 쪽의 연통공이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제1 및 제2연통공에 각각 설치되며 평소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리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능력가변 회전압축기{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를 나타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의 편심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의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압축실의 압축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의 회전축이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압축실의 공회전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의 회전축이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압축실의 공회전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의 회전축이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압축실의 압축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의 압력조절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제1압축실에서 압축이 이루어지고 제2압축실에서 공회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의 압력조절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제2압축실에서 압축이 이루어지고 제1압축실에서 공회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의 제1연통공과 제1리드밸브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밀폐용기, 20: 구동부,
21: 회전축, 22: 고정자,
23: 회전자, 30: 압축부,
31: 제1압축실, 32: 제2압축실,
37: 제1롤러, 38: 제2롤러,
40: 제1편심장치, 50: 제2편심장치,
70: 유로가변장치, 81: 걸림핀,
82: 걸림홈, 91: 제1연통공,
92: 제2연통공, 93: 제1리드밸브,
94: 제2리드밸브.
본 발명은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압축실 중 공회전을 하는 압축실 내부와 밀폐용기의 내부의 압력이 같아지도록 하는 압력조절장치를 갖춘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압축능력을 가변시킬 수 있는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의 기술은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2-0061462호를 통하여 출원한 바 있다. 이 능력가변 회전압축기는 회전축의 회전방향 변화에 따라 각 압축실의 롤러가 편심되거나 편심 해제되면서 압축 및 압축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편심장치를 구비한다. 편심장치는 각 압축실의 회전축 외면에 마련되는 두 편심캠, 두 편심캠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면에 롤러가 결합되는 두 편심부시, 회전축이 회전 할 때 두 편심부시 중 어느 하나가 편심되는 위치에서 걸리고 다른 하나가 편심되지 않는 위치에서 걸리도록 하는 걸림핀을 포함한다.
이러한 능력가변 회전압축기는 편심장치의 동작에 의해 내부용적이 다른 두 압축실 중 어느 한 쪽에서만 압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능력가변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능력가변 회전압축기를 개선하여 그 기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회전을 하는 압축실 내부의 압력이 밀폐용기 내부의 압력(토출압력)과 같아지도록 하여 회전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능력가변 회전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는, 밀폐용기 내에 설치되며 상호 용적이 다른 제1압축실과 제2압축실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각 압축실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 변화에 따라 상 기 두 압축실 중 어느 한 쪽에서 선택적으로 압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편심장치를 포함하는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압축실이 상기 밀폐용기 내부와 각각 연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연통공과; 상기 제1 및 제2연통공 중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실 쪽의 연통공이 흡입압력에 의해 폐쇄되고 공회전을 하는 압축실 쪽의 연통공이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연통공에 각각 설치되며 평소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리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압축실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2압축실이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개방부를 각각 폐쇄하는 제1 및 제2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통공이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리드밸브가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의 외면 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연통공은 상기 제1 및 제2압축실의 흡입구 쪽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압축실 내부에는 상기 편심장치의 회전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면서 상기 각 압축실 내부를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구획하는 제1 및 제2베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통공은 상기 제1 및 제2베인의 위치로부터 상기 편심장치의 회전방향으로 90도 범위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심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압축실 내부의 상기 회전축 외면에 각 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편심캠과, 상기 제1 및 제2편심캠 외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편심부시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 변화에 따라 상기 두 편심부시가 상호 상반되게 편심되거나 편심해제 상태에서 걸리도록 하는 걸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용기(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0)와, 밀폐용기(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구동부(20)와 회전축(21)을 통해 연결되는 압축부(30)를 구비한다.
구동부(20)는 밀폐용기(10)의 내면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고정자(22)와, 고정자(2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중심부가 회전축(21)에 결합되는 회전자(23)를 포함한다. 구동부(20)는 회전축(21)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압축부(30)는 상부와 하부에 상호 용적이 다른 원통형의 제1압축실(31)과 제2압축실(32)이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이 하우징은 제1압축실(31)이 형성된 제1하우징(33a), 제2압축실(32)이 형성된 제2하우징(33b), 제1압축실(31)의 상부와 제2압축실(32)의 하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회전축(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1하우징(33a)의 상면과 제2하우징(33b)의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플랜지(35,36), 그리고 두 압축실(31,32)을 구획하도록 제1 및 제2하우징(33a,33b)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판(34)을 포함한다.
제1압축실(31)과 제2압축실(32) 내부의 회전축(21)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의 제1편심장치(40)와 하부의 제2편심장치(50)가 각각 마련되고, 이들 편심장치(40,50)의 외면에는 제1롤러(37)와 제2롤러(38)가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또 각 압축실(31,32)의 흡입구(63,64)와 토출구(65,66) 사이에는 제1 및 제2롤러(37,38)의 외면과 접한 상태로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면서 각 압축실(31,32)을 흡입 측과 토출 측으로 구획하는 제1베인(61)과 제2베인(62)이 설치되며, 제1 및 제2베인(61,62)은 각각 제1 및 제2베인스프링(61a,62a)을 통해 지지된다. 또 두 압축실(31,32)의 흡입구(63,64)와 토출구(65,66)는 베인(61,62)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위치에 배치되고, 토출구들(65,66)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용기(10) 내부와 연통하도록 제1플랜지(35)와 제2플랜지(36)에 형성되고, 토출용 리드밸브(65a)를 통해 평소 폐쇄된다. 도 9에서는 하부의 토출구 구조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그 구성은 상부의 토출구 구조와 동일한 형태이다.
제1 및 제2편심장치(40,50)는 각 압축실(31,32)에 대응하는 위치의 회전축(21) 외면에 동일한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제1편심캠(41)과 제2편심캠(51)을 구비하고, 두 편심캠(41,51)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의 제1편심부시(42)와 하부의 제2편심부시(52)를 구비한다. 상부의 제1편심부시(42)와 하부의 제2편심부시(5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된 연결부(43)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며 편심방향은 상호 반대가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롤러(37,38)는 제1 및 제2편심부시(42,52)의 외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편심캠(41)과 제2편심캠(51) 사이의 회전축(21) 외면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캠(41,51)과 동일한 형태로 편심된 편심부(44)가 마련되고, 이 편심부(44)에는 회전축(21)의 회전방향 변화에 따라 두 편심부시(42,52)가 회전축(21)과 편심상태로 회전하거나 편심이 해제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장치(80)가 설치된다. 걸림장치(80)는 편심부(44)의 일측 외면에 돌출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걸림핀(81)과, 회전축(21)의 회전에 따라 걸림핀(81)이 편심부시(42,52)의 편심위치와 편심 해제위치에서 각각 걸릴 수 있도록 제1편심부시(42)와 제2편심부시(52)를 연결하는 연결부(43)에 둘레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걸림홈(82)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회전축(21)의 편심부(44)에 결합된 걸림핀(81)이 연결부(43)의 걸림홈(82)에 진입한 상태에서 회전축(21)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걸림핀(81)이 소정구간 회동 하여 걸림홈(82) 양단의 두 걸림부(82a,82b) 중 어느 한쪽에 걸리게 됨으로써 두 편심부시(42,52)가 회전축(2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이러한 구성은 걸림핀(81)이 걸림홈(82)의 양측 두 걸림부(82a,82b) 중 어느 한쪽에 걸릴 때 두 편심부시(42,52) 중 하나가 편심 상태가 되고 다른 하나가 편심해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두 압축실(31,32) 중 어느 한 쪽에서 압축동작이 이루어지고 다른 쪽에서 공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회전축(21)의 회전방향이 바뀔 때 두 편심부시(42,52)의 편심상태가 상술한 경우의 반대로 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배관(69)의 냉매가 제1압축실(31)의 흡입구(63)와 제2압축실(32)의 흡입구(64) 중에 서 압축동작이 이루어지는 흡입구 쪽으로만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흡입유로를 가변시키는 유로가변장치(70)를 구비한다.
유로가변장치(70)는 원통형의 몸체부(71)와, 몸체부(71) 내에 설치되는 밸브장치를 포함한다. 몸체부(71) 중앙의 입구(72)에는 흡입배관(69)이 연결되고, 몸체부(71)의 양측의 제1출구(73)와 제2출구(74)에는 제1압축실(31)의 흡입구(63)와 제2압축실(32)의 흡입구(64)에 각각 연결되는 두 배관(67,68)이 연결된다. 몸체부(71) 내부의 밸브장치는 중앙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밸브시트(75), 밸브시트(75) 양단의 개폐를 위해 몸체부(71)의 양측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개폐부재(76)와 제2개폐부재(77), 그리고 두 개폐부재(76,77)가 함께 움직이도록 두 개폐부재(76,77)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로가변장치(70)는 제1압축실(31)과 제2압축실(32) 중 어느 한쪽에서 압축동작이 이루어질 때 두 출구(73,74) 쪽에 작용하는 압력차에 의해 몸체부(71)의 내부의 제1개폐부재(76)와 제2개폐부재(77)가 압력이 낮은 쪽으로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흡입유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압축동작이 이루어지는 쪽으로 흡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압축실(31,32) 중에서 공회전을 하는 압축실의 내부로 토출 측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공회전을 하는 압축실 내부와 밀폐용기(10)의 내부의 압력이 같아지도록 하는 압력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압력조절수단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압축실(31)의 내부 가 밀폐용기(10)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제1압축실(31) 상부의 제1플랜지(35)에 형성된 제1연통공(91)과, 제2압축실(32) 하부의 제2플랜지(36)에 형성된 제2연통공(92)과, 제1 및 제2연통공(91,92)의 개폐를 위해 제1 및 제2플랜지(35,36)의 외면 쪽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리드밸브(93,9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리드밸브(93,94)는 탄성을 가진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평소 제1 및 제2연통공(91,92)의 출구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개폐부가 제1 및 제2연통공(91,92)의 출구로부터 이격된다. 즉 제1 및 제2리드밸브(91,92)가 원호형으로 벤딩되어 소정의 곡률을 구비함으로써 평소 제1 및 제2연통공(91,92)의 출구로부터 이격된다. 이는 압축실의 압축이 이루어질 때 생기는 흡입압력에 의해 리드밸브가 연통공을 폐쇄하고, 압축실의 공회전이 이루어질 때 리드밸브가 연통공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연통공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제1연통공(9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베인(61)의 위치로부터 제1편심장치(40)의 회전방향(제1압축실의 압축동작이 이루어질 때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α)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제2연통공(92)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베인(62)의 위치로부터 제2편심장치(50)의 회전방향(제2압축실의 압축동작이 이루어질 때의 회전방향)으로 소정각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압축기의 기동시 각 압축실(31,32)에 생기는 흡입압력이 각 연통공(91,92) 쪽에 작용할 때 제1 및 제2리드밸브(93,94)에 의해 제1연통공(91) 또는 제2연통공(92)이 폐쇄되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연통공(91,92)이 각 베인(61,62)의 위치로부터 각 편심장치(40,50)의 회전방향으로 90도 범위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음은 이러한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회전축(21)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압축실(31)의 제1편심부시(42) 외면이 회전축(21)과 편심된 상태에서 걸림핀(81)이 걸림홈(82)의 일측 걸림부(82a)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 제1롤러(37)가 제1압축실(31) 내면과 접하여 회전을 하면서 제1압축실(31)의 압축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2압축실(32)의 경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편심부시(42)와 반대방향으로 편심된 제2편심부시(52)의 외면이 회전축(21)과 동심을 이룬 상태가 되고 제2롤러(38)가 제2압축실(32)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공회전이 이루어진다. 또 제1압축실(31)에서 압축동작이 이루어질 때는 제1압축실(31)의 흡입구(63) 쪽으로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지므로 유로가변장치(70)의 동작에 의해 제1압축실(31) 쪽으로만 냉매가 흡입될 수 있도록 유로가 전환된다.
이처럼 제1압축실(31)이 압축동작을 수행하고 제2압축실(32)이 공회전을 할 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압축실(31) 내부의 흡입압력에 의해 제1리드밸브(93)가 제1연통공(91)을 폐쇄한다. 이러한 현상은 제1압축실(31) 내부의 제1롤러(37)가 제1연통공(91)의 위치를 지나는 순간부터는 제1연통공(92) 쪽에 흡입압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제2압축실(32) 쪽은 공회전을 하므로 제2압축실(32) 내에 흡입압력이 생기지 않아 제2연통공(92)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제1압축실(31)로부터 가압되어 토출되는 가스는 밀폐용기(10)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제2연통공(92)을 통하여 제2압축실(32)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회전을 하는 제 2압축실(32)은 밀폐용기(10) 내부와 동일한 압력(토출압력)으로 유지되므로, 제2베인(62)이 공회전을 하는 제2롤러(38)을 가압하는 문제가 방지되고 제2압축실(32) 내부로 오일이 유입되는 현상 등이 방지되어 회전축(21)의 회전저항이 감소한다. 따라서 회전축(21)의 회전이 원활해진다.
회전축(21)이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회전할 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압축실(31)의 제1편심부시(42) 외면이 회전축(21)과 편심 해제된 상태에서 걸림핀(81)이 걸림홈(82)의 다른 쪽 걸림부(82b)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 제1롤러(37)가 제1압축실(31)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회전하고 제1압축실(31)의 공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2압축실(32)의 경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편심부시(52)의 외면이 회전축(21)과 편심된 상태가 되고, 제2롤러(38)가 제2압축실(32)의 내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상태가 되므로 제2압축실(32)의 압축이 이루어진다. 또 제2압축실(32)에서 압축동작이 이루어질 때는 제2압축실(32)의 흡입구(64) 쪽으로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지므로 유로가변장치(70)의 동작에 의해 제2압축실(32) 쪽으로만 냉매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유로가 변경된다.
이처럼 제2압축실(32)이 압축동작을 수행하고 제1압축실(31)이 공회전을 할 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압축실(32) 내부의 흡입압력에 의해 제2리드밸브(92)가 제2연통공(92)을 폐쇄한다. 반면에 제1압축실(31) 쪽은 공회전을 하므로 제1압축실(31) 내에 흡입압력이 생기지 않아 제1연통공(91)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공회전을 하는 제1압축실(31)은 밀폐용기(10) 내부와 동일한 압력(토출압력)으로 유지되므로, 제1베인(61)이 공회전을 하는 제1롤러(37)을 가압하지 않 게 되는 등 회전축(21)의 회전저항이 감소하므로 회전축(21)의 회전이 원활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능력가변 회전압축기는 압축동작이 이루어지는 압축실 쪽의 연통공을 리드밸브가 폐쇄하고 공회전을 하는 압축실 쪽의 연통공이 개방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공회전을 하는 압축실 쪽으로 밀폐용기 내부의 압력(토출압력)이 가해져서 공회전을 하는 압축실 내부와 밀폐용기 내부의 압력차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공회전을 하는 쪽의 베인이 롤러을 가압하여 회전저항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능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그 만큼 압축기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밀폐용기 내에 설치되며 상호 용적이 다른 제1압축실과 제2압축실을 갖춘 하우징과, 상기 각 압축실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 변화에 따라 상기 두 압축실 중 어느 한 쪽에서 선택적으로 압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편심장치를 포함하는 능력가변 회전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압축실이 상기 밀폐용기 내부와 각각 연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연통공과; 상기 제1 및 제2연통공 중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실 쪽의 연통공이 흡입압력에 의해 폐쇄되고 공회전을 하는 압축실 쪽의 연통공이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연통공에 각각 설치되며 평소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리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압축실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2압축실이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개방부를 각각 폐쇄하는 제1 및 제2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연통공이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리드밸브가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의 외면 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통공은 상기 제1 및 제2압축실의 흡입구 쪽과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압축실 내부에는 상기 편심장치의 회전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면서 상기 각 압축실 내부를 흡입측과 토출측으로 구획하는 제1 및 제2베인이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통공은 상기 제1 및 제2베인의 위치로부터 상기 편심장치의 회전방향으로 90도 범위 이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압축실 내부의 상기 회전축 외면에 각각 마련되는 제1 및 제2편심캠과, 상기 제1 및 제2편심캠 외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편심부시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 변화에 따라 상기 두 편심부시가 상호 상반되게 편심되거나 편심해제 상태에서 걸리도록 하는 걸림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KR1020050000288A 2005-01-03 2005-01-03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KR100577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288A KR100577121B1 (ko) 2005-01-03 2005-01-03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288A KR100577121B1 (ko) 2005-01-03 2005-01-03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121B1 true KR100577121B1 (ko) 2006-05-10

Family

ID=3718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288A KR100577121B1 (ko) 2005-01-03 2005-01-03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3870A (zh) * 2016-12-06 2017-04-26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压缩机及具有该旋转压缩机的制冷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3879A (ja) 1982-04-19 1983-10-27 Nippon Denso Co Ltd 密閉型圧縮機
JPS6357889A (ja) 1986-08-29 1988-03-12 Toshiba Corp 回転式圧縮機
JPS63176691A (ja) 1987-01-14 1988-07-20 Sanyo Electric Co Ltd 多気筒回転圧縮機
JPH05133367A (ja) * 1991-11-12 1993-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イパス弁装置を備えた多段気体圧縮機
KR100453977B1 (ko) 2002-05-29 2004-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압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3879A (ja) 1982-04-19 1983-10-27 Nippon Denso Co Ltd 密閉型圧縮機
JPS6357889A (ja) 1986-08-29 1988-03-12 Toshiba Corp 回転式圧縮機
JPS63176691A (ja) 1987-01-14 1988-07-20 Sanyo Electric Co Ltd 多気筒回転圧縮機
JPH05133367A (ja) * 1991-11-12 1993-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イパス弁装置を備えた多段気体圧縮機
KR100453977B1 (ko) 2002-05-29 2004-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압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3870A (zh) * 2016-12-06 2017-04-26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压缩机及具有该旋转压缩机的制冷系统
CN106593870B (zh) * 2016-12-06 2020-05-22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压缩机及具有该旋转压缩机的制冷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0078A (ko)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KR100765194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00985B1 (ko)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11541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JP4054346B2 (ja) 能力可変回転圧縮機
JP4145832B2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KR20050018199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JP4005071B2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JP3909332B2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KR20050028626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04324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JP4034299B2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KR100577121B1 (ko) 능력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04392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20050050483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21098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21085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44715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07972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23038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523037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KR100626704B1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JPH02256892A (ja) 可変容量圧縮機
KR20050004323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