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764B1 -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764B1
KR100576764B1 KR1020040017683A KR20040017683A KR100576764B1 KR 100576764 B1 KR100576764 B1 KR 100576764B1 KR 1020040017683 A KR1020040017683 A KR 1020040017683A KR 20040017683 A KR20040017683 A KR 20040017683A KR 100576764 B1 KR100576764 B1 KR 10057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c telecom
telecom block
coupling
support
id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584A (ko
Inventor
전영찬
Original Assignee
전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찬 filed Critical 전영찬
Priority to KR1020040017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7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83Terminal blocks specially adapted for ground connection

Landscapes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IDC 텔레콤 블록 하부의 결합부위를 개량하여 마운틴타입, 원통타입 및 가이드 지지편이 설치된 원통 타입의 서브 프레임 등에 모두에 호환 가능하다. 본 발명의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는, 횡단면이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본체 양단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가이드 봉에 결합되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에 "ㄱ"형상으로 굴곡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고정지지구로 구성되어 회전가능하게 적층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지지편과 상기 가이드 봉 또는 가이드 지지편의 원통부가 결합될 수 있게 IDC 텔레콤 블록의 하부 에 형성된 결합요부와 상기 가이드 지지편의 고정지지구 또는 마운틴 타입의 서브 프레임의 고정지지구가 삽착될 수 있게 상기 결합요부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IDC 텔레콤 블록 하부의 결합요부와 결합홈의 중간에 어스클립의 중간부분과 어스바의 양 끝단 요부가 결합될 수 있게 "H"형상으로 성형된 돌출부와 낙뢰 등으로부터 가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상기 IDC 텔레콤 블록의 내부에 내설된 어스바와 상기 어스바의 양 끝단 요부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요부와 결합홈의 내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어스클립으로 구성된다.
IDC 텔레콤 블록, 서브 프레임, 지지장치

Description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A device for holding IDC telecom block}
도 1a는 종래의 IDC 텔레콤 블록이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는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도1a의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는 IDC 텔레콤 블록의 저면도.
도 2a는 종래의 또 다른 IDC 텔레콤 블록이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는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2a의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는 IDC 텔레콤 블록의 측면도.
도 3a는 종래의 또 다른 IDC 텔레콤 블록이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는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3a의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는 IDC 텔레콤 블록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이 장착될 수 있는 서브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의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의 내부에 장착되는 어스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의 하부에 결합되는 어스클립을 나타 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바, 어스클립이 내장된 IDC 텔레콤 블록을 나타내는 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이 서브 프레임에 적층으로 장착되는 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11은 도1a 의 서브 프레임에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이 장착되는 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12는 도2a 의 서브 프레임에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이 장착되는 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13은 도3a 의 서브 프레임에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이 장착되는 관계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35, 50: 서브프레임 12, 38, 55: 고정지지구
14, 56: 통공 20, 40: IDC 텔레콤 블록
22: 결합부 24: 결합공
26: 걸림돌기 32, 53: 본체
34, 51: 가이드 봉 37, 52: 가이드 지지편
42, 49, 71: 결합요부 47, 72: 결합홈
54: 원통부 60: IDC 텔레콤 블록의 상부
61: 국선 62: 후측의 IDC 접속핀
63: 내선 64: 전측의 IDC 접속핀
70: IDC 텔레콤 블록의 하부 73: 돌출부
71a, 71b, 71c, 71d: 직사각기둥 90: 어스클립
91a,91b,91c,92a,92b,93c : 탄성편
본 발명은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IDC 텔레콤 블록이 종래의 "ㄷ"자형 서브프레임과 원통형 서브프레임 등 모두에 호환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IDC 텔레콤 블록용 서브 프레임(10)은 그 횡단면이 대략 'ㄷ'형상이고, 그 양단부의 끝단에는 일정간격으로 고정지지구(12)가 일체형으로 배열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 고정지지구(12)에는 그 중앙에 일정크기의 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이하, "마운틴 타입의 서브 프레임"이라 한다.)
한편, 이러한 서브 프레임(10)에 적층 결합되는 IDC 텔레콤 블록(2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에 상기 고정지지구(12)와 대응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부(22)는 상기 고정지지구(12)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공(24)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24)의 내측에 대하여 걸림돌기(26)가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2a는 종래의 또 다른 IDC 텔레콤 블록 서브 프레임(30)으로서 그 횡단면이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32)가 구성되고, 이 본체(32)의 양 단부 끝단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봉(34)이 고정설치 되어있다.
상기 가이드 봉(34)은 그 전후단이 본체(32)에 대하여 고정설치 되나 본체(32)의 양 단부 끝단에 대하여는 소정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이하, "원통 타입의 서브 프레임"이라 한다.)
한편, 이러한 서브 프레임(30)에 적층 결합되는IDC 텔레콤 블록(4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에 상기 가이드 봉(34)과 대응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요부(4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3a는 종래의 또 다른 IDC 텔레콤 블록 서브 프레임(35)인데 본원발명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아이디씨 분배기 배선반용 서브 프레임'(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3-17813호)의 명칭으로 기 출원된 것으로 그 횡단면이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본체(32)와, 이 본체(32)의 양단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가이드 봉(34)과, 이 가이드 봉(34)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봉(3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적층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지지편(3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이하, "가이드 지지편이 설치된 원통 타입 서브 프레임"이라 한다.)
IDC 텔레콤 블록 하부의 양 결합요부(49)를 상기 서브 프레임(30)의 양측 가이드 봉(34)에 평행하게 배치시킨 후, IDC 텔레콤 블록 하부 일측의 결합요부(49)는 이에 대응하는 일측의 가이드 봉(34)에 대하여 직접 삽착시키고, 타측의 결합요부(49) 내측으로 형성된 결합홈(47)에는 타측의 가이드 봉(34)에 적층설치된 가이 드 지지편(37)의 고정지지구(38)를 삽착 시킨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는 IDC 텔레콤 블록의 하부 결합부와 이에 상응하는 서브 프레임에만 대응되게 결합할 수 있을 뿐 그와 다른 형태의 서브 프레임에는 사용할 수 없어 '마운틴 타입의 서브 프레임' 또는 '원통 타입의 서브 프레임' 또는 '가이드 지지편이 설치된 원통 타입 서브 프레임'등과 호환되어 장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IDC 텔레콤 블록 하부의 결합부위를 개량하여 종래의 '마운틴타입 서브 프레임'과 '원통타입 서브 프레임'및 '가이드 지지편이 설치된 원통 타입 서브 프레임' 등에 모두에 호환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는,
양측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의 IDC 텔레콤 블록용 서브 프레임에 IDC 텔레콤 블록을 결합하는 장치에 있어서, 횡단면이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본체 양단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가이드 봉에 결합되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에 "ㄱ"형상으로 굴곡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고정지지구로 구성되어 회전가능하게 적층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지지편과 상기 가이드 봉 또는 가이드 지지편의 원통부가 결합될 수 있게 IDC 텔레콤 블록의 하부 에 형성된 결합요부와 상기 가이드 지지편의 고정지지구 또는 마운틴 타입의 서브 프레임의 고정지지구가 삽착될 수 있게 상기 결합요부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IDC 텔레콤 블록 하부의 결합요부와 결합홈의 중간에 어스클립의 중간부분과 어스바의 양 끝단 요부가 결합될 수 있게 "H"형상으로 성형된 돌출부와 낙뢰 등으로부터 가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상기 IDC 텔레콤 블록의 내부에 내설된 어스바와 상기 어스바의 양 끝단 요부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요부와 결합홈의 내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어스클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네 개의 직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직사각기둥의 안쪽면은 상기 가이드 지지편의 원통부 또는 가이드 봉의 외경이 밀착될 수 있게 원호로 깎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가이드 지지편의 고정지지구 또는 마운틴 타입의 서브 프레임의 고정지지구의 중앙 통공이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의 내측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스클립은 소정크기의 금속판의 위 아래를 세로방향으로 삼등분하여 위아래 각각 세개의 탄성편을 이루도록 절개시켜 위편의 세개 탄성편 중 중앙편은 외측으로 호를 이루게 만곡 시키고 양측의 두개 편은 내측으로 호를 이루게 만곡 시켜 구성하고, 아래의 세개의 탄성편 중 중앙편은 외부로 약간 이격시켜 결합홈의 내부벽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지지편의 고정지지구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어스클립의 중앙부분은 "H"모양으로 절개해서 절개되지 않은 나머지 상하부분이 IDC 텔레콤 블록 하부의 결합요부와 결합홈의 중간에 "H"자로 형성 돌출된 부분에 끼워지고 상기 어스바의 끝부분 요부와 접촉 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을 장착할 수 있는 또 다른 서브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서브 프레임(50)은 앞서 설명한 도3에 도시된 서브 프레임에 가이드 지지편의 고정지지구를 "ㄱ"형상으로 굴곡을 주어 가이드 봉 양측에 설치한 것으로서, IDC 텔레콤 블록을 적층 결합시켜 다량의 회선을 수용ㆍ 관리할 수 있도록 모듈화 하기 것이다.
다시 말해서, 양측 가이드 봉(51)에 복수의 가이드 지지편(52)을 적층으로 설치하여 상기 IDC 텔레콤 블록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자유로운 회동에 의해 배선반들 및 이 배선반들에 연결되는 각종 회선들의 접속과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본체(53)와 이 본체(53)의 양단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가이드 봉(51)과 이 가이드 봉(5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적층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길이의 원통부(54)와, 이 원통부(54)의 일측면으로부터 종방향으로 "ㄱ"형상으로 굴곡된 고정지지구(55)가 일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이 고정지지구(55)의 중앙에는 일정크기의 통공(56)이 형성된 가이드 지지편(52)으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은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 지는데 도5는 IDC 텔레콤 블록의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원 발명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IDC 텔레콤 블록"(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027698호)이라는 명칭으로 기 출원된 것으로서 IDC 텔레콤 블록의 상부(60)를 간략히 설명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측과 연결된 인입선(국선)(61)이 접속되는 후측의 IDC 접속핀(62)에 대응하여 전화국내 기기측과 연결된 인출선(내선)(63)이 접속되는 전측의 IDC 접속핀(64)이 1:2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인입선(국선)(61) 1회선에 인출선(내선)(63) 2회선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Y결선을 이루게 되며, 각 포트당 양쪽으로 IDC 접속핀(62,64)이 형성되어 있는 바, 결국 인입선(국선)(61) 1회선에 인출선(내선)(63) 2회선이 연결된다.
따라서 가입자측에 연결되는 인입선(국선)(61) 1회선당 2회선의 인출선(내선)(63)이 접속되어 연결됨으로써, 한 가입자가 인입선(국선)(61) 1회선으로 2회선의 전화선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인입선(국선)(61) 1회선으로 1회선의 전화선을 연결할 경우 부가적으로 초고속 데이터 서비스 회선인 ADSL이나 VDSL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포트의 IDC 텔레콤 블록에 대하여 설명하였는 바, 각 포트당 양측으로 IDC 접속핀이 설치되어 있음으로 총 10회선의 가입자측 인입선(국선)에 대하여 20회선의 전화회선 또는 ADSL 및 VDSL을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6은 IDC 텔레콤 블록의 하부(7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원통부(54)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요부(71)가 양측에 형성되어져 있고, 상기 결합요부(71)의 외측으로는 상기 고정지지구(55)가 삽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72)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결합요부(71)와 결합홈(72)의 중간에는 후술할 어스클립의 중간부분이 결합될 수 있게 "H"자 형상으로 성형된 돌출부(73)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요부(71)는 네 개의 직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직사각기둥(71a,71b,71c,71d)의 안쪽면은 원통부의 외경이 밀착될 수 있게 원호로 깎여져 있고 이 결합요부(71)의 내부에는 후술할 어스클립(90)의 세 개의 탄성편(91a,91b,91c)이 삽입되어 있어 이 탄성편(91a,91b,91c)의 내경이 원통부(54)의 외경과 일치함에 따라 탄성력을 갖춘 어스클립(90)의 탄성편(91a,91b,91c)과 함께 결합요부(71)의 측벽이 원통부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결합홈(72)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지지구(55)가 삽입되면서 접촉을 이루어 접지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어스클립(90)의 다른 일측의 중앙 탄성편(92a)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고정지지구(55)의 중앙 통공(56)이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72)의 내측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고정지지구(55)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그 반대편에는 턱을 갖는 구조를 가지며 결합홈(72)내의 내벽면에 형성된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에 내장되는 어스바(8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 상부(60)의 각 포트에는 내측으로 요홈(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홈(65)에는 일체형의 어스바(80)가 삽설된다.
상기 어스바(80)는 각 포트의 요홈(65)에 삽설되어 그 끝단이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삽입부(81)와, 이 삽입부(81)들을 일체형으로 묶기 위한 연결부(82)로 구 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어스바(80)의 일끝단측 후부에는 후술되는 어스클립(90)의 중앙부와 결합되어 고정지지구(55)가 삽설되어 접지되기 위한 요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의 하부 결합요부(71)와 결합홈(72)에 끼워지는 어스클립(9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어스클립(90)은 소정크기의 금속판을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하여 위아래 각각 세개의 길이가 다른 탄성편(91a,91b,91c,92a,92b,93c)을 이루도록 절개시켜 아래편의 세개 탄성편(91a,91b,91c) 중 중앙 탄성편(91a)은 외측으로 호를 이루게 만곡 시키고 양측의 두개 탄성편(91b,91c)은 내측으로 호를 이루게 만곡 시켜 측면에서 볼 때 상부가 개구된 호 형상을 이루도록 성형한다. 이때 개방부는 대략 180 °정도의 개방각을 갖도록 하고 개방된 각 탄성편(91a,91b,91c)들의 끝단부는 외부로 약간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 지지편(52)의 원통부(54) 외측이 어스클립(90)의 세개의 탄성편(91a,91b,91c)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위의 세개의 탄성편(92a,92b,93c) 중 중앙편은(92a)은 외부로 약간 이격시켜 결합홈(72)의 내부벽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지지편(52)의 고정지지구(55)와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스클립의 중앙부분(93)은 "H"모양으로 절개해서 절개되지 않은 나머지 상하부분(93a,93b)이 IDC 텔레콤 블록 하부(70)의 결합요부(71)와 결합홈(72)의 중간에 "H"자로 형성된 돌출부(73)에 끼워지고 상기 어스바(80)의 끝부분 요부(83)와 접촉 되게 된다.
도9는 앞에서 설명한 IDC 텔레콤 블록의 상ㆍ하, 어스바 및 어스 클립이 결합된 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하나의 IDC 텔레콤 블록이 상기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50)의 양측 가이드 봉(51)에 가이드 지지편(52)이 적층되게 설치되어 있는 바, 이 가이드 지지편(52)의 원통부(54)에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고정지지구(55)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서브 프레임(50)에 IDC 텔레콤 블록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IDC 텔레콤 블록 하부(70)의 양 결합요부(71)를 서브 프레임(50)의 양측 가이드 봉(51)에 평행하게 배치시킨 후, 상기 결합요부(71)에는 가이드 지지편(52)의 원통부(54)를 삽착 시키고 결합요부(71)의 외측으로 형성된 결합홈(72)에는 가이드 봉(51)에 적층 설치된 가이드 지지편(52)의 고정지지구(55)를 삽착시킨다.
즉, IDC 텔레콤 블록 하부(70)의 양 결합요부(71) 외측에는 결합홈(72)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7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73)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결합홈(72)에 가이드 지지편(52)의 고정지지구(55)가 삽착되면서, 상기 걸림돌기(73)가 자체 탄성에 의해 눌려지면서 삽착되다가 고정지지구(55)의 통공(56)에 이르러 복원되면서 걸려지게 됨으로써, 고정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지지편(52)의 고정지지구(55)가 결합홈(72)에 삽착될 때, 이 결합부위의 결합요부(71)는 다시 상기 가이드 지지편(52)의 원통부(54)를 감싸는 구조로 파지가 이루어지는 바, 보다 견고하게 고정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가이드 지지편(52)에 대하여 IDC 텔레콤 블록들을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IDC 텔레콤 블록들이 적층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프레임(50)의 가이드 봉(51)에 적층 설치된 가이드 지지편(52)들의 배열간격에 따라 IDC 텔레콤 블록들 또한 일정한 배열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 지지편(52)의 고정지지구(55)에 의하여 각종 결합기나 보호기 및 회선들의 하중에 의하여 배선반들이 아래로 밀려내려 가거나 처지지 않게 된다.
한편, IDC 텔레콤 블록을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한쪽을 오픈 시킬 경우에는 IDC 텔레콤 블록의 어느 한쪽의 결합홈(72)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지지구(55)의 끝편을 눌러줌으로서 고정지지구(55)의 중앙 통공(56)이 결합돌기(73)를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은 도1a에서 설명한 종래의 마운틴 타입의 서브 프레임에도 장착할 수 있는데 이의 사용상태도를 도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종래의 마운틴 타입의 서브 프레임(10)에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IDC 텔레콤 블록 하부(70) 양측에 형성된 결합요부(71)의 외측으로 결합홈(72)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72)의 내측으로 걸림돌기(73)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 이 결합홈(72) 및 걸림돌기(73)를 이용하여 앞서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브 프레임(1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은 도2a에서 설명한 종래의 원통타입의 서브 프레임에도 장착할 수 있는데 이의 사용상태도를 도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종래의 원통타입의 서브 프레임(30)에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IDC 텔레콤 블록 하부(70) 양측에 형성된 결합요부(71)가 형성되고, 이 결합요부(71)를 이용하여 앞서 도2a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브 프레임(3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IDC 텔레콤 블록은 도3a에서 설명한 가이드 지지편이 설치된 서브 프레임(35)에도 장착할 수 있는데 이의 사용상태도를 도1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IDC 텔레콤 블록 하부(70) 양측에 형성된 결합요부(71)를 서브 프레임의 양측 가이드 봉(34)에 평행하게 배치시킨 후, IDC 텔레콤 블록 하부(70) 일측의 결합요부(71)는 이에 대응하는 일측의 가이드 봉(34)에 대하여 직접 삽착시키고, 타측의 결합요부(71)와 결합요부(71)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72)에는 타측의 가이드 봉(34)에 적층설치된 가이드 지지편(37)의 고정지지구(38)를 삽착 시킴으로서 서브 프레임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IDC 텔레콤 블록을 이용하여 종래의 다양한 타입의 서브 프레임 즉, '마운틴 타입 서브 프레임'또는 '원통 타입 서브 프레임'또는'가이드 봉 한쪽 또는 양쪽에 가이드 지지편이 달린 원통타입 서브프레임'등 다양한 서브 프레임 어디에나 장착 시킬 수 있는 호환성이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IDC 텔레콤 블록 하부 형태에 따라 서브 프레임을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서브 프레임 제작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양측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의 IDC 텔레콤 블록용 서브 프레임에 IDC 텔레콤 블록을 결합하는 장치에 있어서,
    횡단면이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정길이의 본체 양단측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가이드 봉에 결합되는 원통부와 이 원통부에 "ㄱ"형상으로 굴곡되고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고정지지구로 구성되어 회전가능하게 적층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지지편과;
    상기 가이드 봉 또는 가이드 지지편의 원통부가 결합될 수 있게 IDC 텔레콤 블록의 하부 에 형성된 결합요부와;
    상기 가이드 지지편의 고정지지구 또는 마운틴 타입의 서브 프레임의 고정지지구가 삽착될 수 있게 상기 결합요부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IDC 텔레콤 블록 하부의 결합요부와 결합홈의 중간에 어스클립의 중간부분과 어스바의 양 끝단 요부가 결합될 수 있게 "H"형상으로 성형된 돌출부와;
    낙뢰 등으로부터 가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상기 IDC 텔레콤 블록의 내부에 내설된 어스바와;
    상기 어스바의 양 끝단 요부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요부와 결합홈의 내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어스클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네 개의 직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직사각기둥(71a,71b,71c,71d)의 안쪽면은 상기 가이드 지지편의 원통부 또는 가이드 봉의 외경이 밀착될 수 있게 원호로 깎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가이드 지지편의 고정지지구(55) 또는 마운틴 타입의 서브 프레임의 고정지지구의 중앙 통공(56)이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72)의 내측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클립은 소정크기의 금속판의 위 아래를 세로방향으로 삼등분하여 위아래 각각 세개의 탄성편(91a,91b,91c,92a,92b,93c)을 이루도록 절개시켜 위편의 세개 탄성편(91a,91b,91c) 중 중앙편(91a)은 외측으로 호를 이루게 만곡 시키고 양측의 두개 편(91b)(91c)은 내측으로 호를 이루게 만곡 시켜 구성하고,
    아래의 세개의 탄성편(92a,92b,93c) 중 중앙편은(92a)은 외부로 약간 이격시켜 결합홈(72)의 내부벽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지지편(52)의 고정지지구(55)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어스클립의 중앙부분(93)은 "H"모양으로 절개해서 절개되지 않은 나머 지 상하부분(93a,93b)이 IDC 텔레콤 블록 하부(70)의 결합요부(71)와 결합홈(72)의 중간에 "H"자로 형성 돌출된 부분(73)에 끼워지고 상기 어스바(80)의 끝부분 요부(83)와 접촉 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C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KR1020040017683A 2004-03-16 2004-03-16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KR10057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683A KR100576764B1 (ko) 2004-03-16 2004-03-16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683A KR100576764B1 (ko) 2004-03-16 2004-03-16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207U Division KR200353314Y1 (ko) 2004-03-16 2004-03-16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584A KR20050092584A (ko) 2005-09-22
KR100576764B1 true KR100576764B1 (ko) 2006-05-10

Family

ID=3727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683A KR100576764B1 (ko) 2004-03-16 2004-03-16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7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9504A (en) 1995-09-29 1998-07-14 Reltec Corporation Modular terminal block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9504A (en) 1995-09-29 1998-07-14 Reltec Corporation Modular terminal bloc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584A (ko)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73448T3 (es) Tapa, conjunto de terminación y conjunto de alojamiento para una clavija modular de conexión de telecomunicaciones.
US7384298B2 (en) Wire containment cap
CN101401265B (zh) 以太网线连接器及其连接方法
CN112103712B (zh) 具有改进的电缆管理器的通信插头
CA2228900C (en) Mural female socket of the modular-jack type
ES2356935T3 (es) Blindaje que se puede fijar a un conector en el campo de las telecomunicaciones, combinación de un conector y al menos un blindaje y método para blindar un conector.
US20080293268A1 (en) Distribution connecting module
EP1624539A2 (en) Wire containment cap
CA2175949A1 (en) Mounting bracket for connector block
CA2175955A1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with two-wire insertion capability
CN101473503A (zh) 缆线导向器
KR200353314Y1 (ko)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KR100576764B1 (ko)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지지장치
US20030003810A1 (en) Low-current female socket of the modular jack type
US20080186684A1 (en)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Same
JP2013502041A (ja) 電気通信コネクタ
ATE441234T1 (de) Kabeleinführungsvorrichtung für eine gehäusewand
DE59106728D1 (de) Anschlussmodul für eine Verteiler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den Hauptverteiler von Fernmeldeeinrichtungen.
MY128298A (en) Terminal strip for interconnecting lines
CN2909612Y (zh) 电讯接头结构
ITFI20000235A1 (it) Dispositivo per il collegamento di spine modulari
CN204464898U (zh) 通信线缆接线装置
CN203415728U (zh) 压线端子
KR200302269Y1 (ko) 전선 정리구가 부설된 전기통신용 컨넥터
KR200357982Y1 (ko)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