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679B1 - 멀티탭 콘센트 - Google Patents

멀티탭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679B1
KR100576679B1 KR1020020087534A KR20020087534A KR100576679B1 KR 100576679 B1 KR100576679 B1 KR 100576679B1 KR 1020020087534 A KR1020020087534 A KR 1020020087534A KR 20020087534 A KR20020087534 A KR 20020087534A KR 100576679 B1 KR100576679 B1 KR 100576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ottom plate
coupling member
wheel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1333A (ko
Inventor
박종윤
Original Assignee
박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윤 filed Critical 박종윤
Priority to KR1020020087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67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바퀴형상으로 이루어져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홈과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공을 형성한 바퀴부재와, 이 바퀴부재에 형성된 플러그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단자가 고정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져, 이 결합부재와 바퀴부재가 나사체결되어 형성되는 플러그부와, 상기 플러그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체와, 이 가이드벽체를 따라 삽입된 전선에 연결되어 전면 양측으로 구비되는 전구와, 이 전구가 위치고정되도록 일측으로 절개면을 갖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구고정구와, 다수개의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공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판부와, 상기 저면판부에 구비된 나사공으로 나사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으로 나선을 형성한 고정돌기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저면판부에 구비되는 전구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빛이 투과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투과창을 전면 양측으로 구비하고, 후면으로는 전원스위치가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한 자동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플러그간의 간섭이 방지되어 합선등을 방지할 수가 있으면서도 심미감이 향상되며, 또한 멀티탭 콘센트의 기능뿐만 아니라 방충효과와 함께 공기중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멀티탭 콘센트{A MULTITAP CONVENIENCE OUTLET}
도 1은 종래의 멀티탭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멀티탭 콘센트 11 : 플러그삽입홈
12 : 플러그삽입공 13 : 바퀴부재
14 : 접속단자 15 : 결합부재
16 : 나사 17 : 플러그부
20 : 저면판부 21 : 가이드벽체
22 : 전구 23 : 절개면
24 : 전구고정구 25 : 전구스위치
26 : 나사공 27 : 흡착판
27 : 체결돌기 30 : 본체부
31 : 고정돌기 32 : 투과창
33 : 고정홈 34 : 전원스위치
40 : 방제부 41 : 장착프레임
42 : 기화부재 43 : 통공
44 : 해충약 50 : 음이온 발생장치
51 : 배출창
본 발명은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센트에 삽입되는 플러그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심미성을 갖도록 하여 장식기능을 갖고, 콘센트 이외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콘센트는 메인 콘센트와 전기,전자제품의 거리가 멀어서 플러그를 삽입할 수 없는 경우나, 다수개의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이 사용되는 멀티탭 콘센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의 인입을 제어하는 스위치(2)와 이 스위치(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콘센트삽입부(3)를 일렬로 나열되는 몸체부(4)를 구비한 멀티탭 콘센트(1)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멀티탭 콘센트(1)는 일렬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플러그(5)를 삽입하였을 경우에 연접되는 플러 그가 간섭을 일으켜 사용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삽입되는 플러그(5)의 전원선이 손상되어 있을때에는 연접되어 있어서 서로 합선될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렬로 형성된 종래의 전기콘센트는 일렬로 형성된 콘센트삽입부로 이루어져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러그 삽입공이 분배되도록 형성하며, 더욱이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기능을 갖는 멀티탭 콘센트를 구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퀴형상으로 이루어져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홈과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공을 형성한 바퀴부재와, 이 바퀴부재에 형성된 플러그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단자가 고정된 결합부재로 이루어져, 이 결합부재와 바퀴부재가 나사체결되어 형성되는 플러그부와, 상기 플러그부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체와, 이 가이드벽체를 따라 삽입된 전선에 연결되어 전면 양측으로 구비되는 전구와, 이 전구가 위치고정되도록 일측으로 절개면을 갖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구고정구와, 다수개의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공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판부와, 상기 저면판부에 구비된 나사공으로 나사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으로 나선을 형성한 고정돌기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저면판부에 구비되는 전구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빛이 투과 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투과창을 전면 양측으로 구비하고, 후면으로는 전원스위치가 고정되는 고정홈을 구비한 자동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면판부의 하부에는 저면판부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흡착판과 이 흡착판을 고정하는 체결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중앙 저면으로는 해충약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장착프레임과, 이 장착프레임에 구비된 해충약을 기화시키는 기화부재와, 이 기화부재에 의하여 기화된 해충약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본체부의 중앙으로 통공을 형성한 방제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콘센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전면 중앙 일정위치에는 배출창을 형성하고, 이 배출창의 하단에는 공지의 음이온발생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콘센트를 제공한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콘센트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바퀴형상으로 이루어져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형성한 플러그삽입홈(11)과 플 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공(12)을 형성한 바퀴부재(13)와, 이 바퀴부재(13)에 형성된 플러그삽입공(12)으로 삽입되는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단자(14)가 고정된 원형의 결합부재(15)로 이루어져, 이 결합부재(15)와 바퀴부재(16)가 나사(16)로 체결되어 형성되는 플러그부(17)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부(17)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5)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전원을 연결하는 전선이 흔틀어짐이 없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체(21)와, 이 가이드벽체(21)를 따라 삽입된 전선에 연결되어 전면 양측으로 구비되는 전구(22)와 이 전구(22)가 위치고정되도록 일측으로 절개면(23)을 갖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구고정구(24)와 이 전구고정구(24)에 구비되는 전구(22)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구스위치(25)와, 다수개의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공(26)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판부(20)를 구비한다.
상기 저면판부(20)의 하부에는 저면판부(2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흡착판(27)과 이 흡착판(27)이 삽입되어 고정하는 체결돌기(28)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저면판부(20)에 구비된 다수개의 나사공(26)으로 나사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으로 나선을 형성한 고정돌기(31)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저면판부(20)에 구비되는 전구(22)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빛이 투과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투과창(32)을 전면 양측으로 구비하고, 후면으로는 전원스위치(34)가 고정되는 고정홈(33)을 형성한 자동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30)의 중앙 저면으로는 해충약(44)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장착프레임(41)과, 이 장착프레임(41)에 구비된 해충약(44)을 기화시키는 기화부재(42)와, 이 기화부재(42)에 의하여 기화된 해충약(44)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본체부(30)의 중앙으로 통공(43)을 형성한 방제부(4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30)의 전면 중앙 일정위치에는 배출창(51)을 형성하고, 이 배출창(51)의 하단에는 공지의 음이온발생장치(50)를 구비한다.
음이온 발생장치(5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음이온은 전기를 띤 눈에 보이지 않는 미립자를 말하는 것으로, 여러가지 형태를 지닌 물질의 최소 구성단위인 원자와 그 원자의 집합체인 분자가 전기를 수반한 상태를 이온이라고 말하여 이중 마이너스 전기를 띈 것을 음이온이라 부르면 공기의 비타민이라고 알려져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안정된 분자가 어떤 원인에 의하여 전자를 공급받아 전기를 띄게 된 경우 음이온화 되었다고 하는데 산소, 염소등이 이런 성질을 쉽게 갖는다.
이처럼 물질의 표면으로 부터 전자가 튀어 나오는 현상을 전자방출이라고 하는데 음이온 발생이란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전자를 다량 발생시켜 주위 물질을 이온화하는 장치로서 수천볼트의 전압을 이용하여 음전압으로 걸면 공기층의 절연이 파괴되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음전기를 뛴 전자가 전리를 일으킬 수 있는 정도의 에너지를 가지고 고속으로 공기중에 방출되어 공기를 음이온화 시키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전원이 입력되면, 이에 의해 스위칭소자의 온/오프 조작방법에 따라 고전압및 저전압을 발생시켜 기구들의 양전극의 전류를 통하게 하여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들 음이온 발생장치는 상기의 기본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부(30)의 중앙으로는 방제부(40)를 전면 으로는 음이온 발생장치(50)를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냈지만, 음이온 발생장치(50)를 본체부(30)의 중앙으로 설치가능하며 또한 방제부(40)나 음이온 발생장치(50)중 어느 하나만 선택하여 설치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콘센트(10)의 저면판부(20)에 구비된 흡착판(27)으로 책상등의 고정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벽체등에 내장된 메인콘센트에 전원을 연결하고, 전원스위치를 온(ON)하면 플러그부(17)에는 전원이 인가되고, 플러그부(17)에 전자제품이나 전기제품에 구비된 플러그(5)를 플러그삽입공(12)에 삽입하면 전원이 들어 오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 형성된 플러그부(17)에 플러그(5)를 삽입하여도, 플러그(5)가 이격되어 삽입이 이루어지므로 상호 플러그(5)간의 간섭이 배제되고, 또한 전자제품이나 전기제품의 플러그(5)선이 손상되어 있어도 합선등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심미감을 향상시켜 장식미를 향상된다.
또한 전원이 인가되면 방제부(40)에 구비된 기화부재(42)에서 발열되어 기화부재(42)의 저면으로 구비된 해충약(44)이 기화되어 대기중으로 발산되어 방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인가된 전원은 음이온 발생장치(50)를 작동시키게 되어 대기중으로 음이온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플러그삽입공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 음으로써 플러그간의 간섭이 방지되어 합선등을 방지할 수가 있으면서도 심미감이 향상되며, 또한 멀티탭 콘센트의 기능뿐만 아니라 방충효과와 함께 공기중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바퀴형상으로 이루어져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홈(11)과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공(12)을 형성한 바퀴부재(13)와, 이바퀴부재(13)에 형성된 플러그삽입공(12)으로 삽입되는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단자(14)가 고정된 결합부재(15)로 이루어져, 이 결합부재(15)와 바퀴부재(13)가 나사체결되어 형성되는 플러그부(17)와,
    상기 플러그부(17)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5)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상측으로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벽체(21)와, 이 가이드벽체(21)를 따라 삽입된 전선에 연결되어 전면 양측으로 구비되는 전구(22)와, 이 전구(22)가 위치고정되도록 일측으로 절개면(23)을 갖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전구고정구(24)와, 다수개의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공(25)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저면판부(20)와,
    상기 저면판부(20)에 구비된 나사공(25)으로 나사가 삽입결합되도록 내측으로 나선을 형성한 고정돌기(31)를 졸출형성하고, 상기 저면판부(20)에 구비되는 전구(22)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빛이 투과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투과창(32)을 전면 양측으로 구비하고 후면으로는 전원스위치(34)가 고정되는 고정홈(33)을 구비한 자동차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30)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30)의 중앙 저면으로는 해충약(44)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장착프레임(41)과, 이 장착프레임(41)에 구비된 해충약(44)을 기화시키는 기화부재(42)와, 이 기화부재(42)에 의하여 기화된 해충약(44)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본체부(30)의 중앙으로 통공(43)을 형성한 방제부(4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부(20)의 하부에는 저면판부(2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흡착판(27)과 이 흡착판(27)을 고정하는 체결돌기(28)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30)의 전면 중앙 일정위치에는 배출창(51)을 형성하고, 이 배출창(51)의 하단에는 음이온발생장치(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콘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20087534A 2002-12-30 2002-12-30 멀티탭 콘센트 KR100576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534A KR100576679B1 (ko) 2002-12-30 2002-12-30 멀티탭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534A KR100576679B1 (ko) 2002-12-30 2002-12-30 멀티탭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333A KR20040061333A (ko) 2004-07-07
KR100576679B1 true KR100576679B1 (ko) 2006-05-04

Family

ID=3735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534A KR100576679B1 (ko) 2002-12-30 2002-12-30 멀티탭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92B1 (ko) 2013-10-02 2014-11-12 주식회사 두남 흡착형 멀티탭
KR200483194Y1 (ko) * 2016-06-02 2017-04-19 최유리 콘센트용 안전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866B1 (ko) * 2007-07-04 2007-12-14 (주)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 친환경적인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092B1 (ko) 2013-10-02 2014-11-12 주식회사 두남 흡착형 멀티탭
KR200483194Y1 (ko) * 2016-06-02 2017-04-19 최유리 콘센트용 안전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333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0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outlet vapor dispenser
US8624476B2 (en) Ion-generating device and electrical apparatus
US7810985B2 (en) Multiple function night light
US20030124022A1 (en) Aroma dispensing wall plate
US3072978A (en) Air purifier
US731332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discrete vapor-dispensing device
US7083162B2 (en) Intermediary device
KR100576679B1 (ko) 멀티탭 콘센트
JP2021184939A (ja) ヘアードライヤー
WO2006031036A1 (en) Negative ion emission lamp
JP2793128B2 (ja) 室内を滅菌及び脱臭するための機械
CN111465416A (zh) 特别是用于防蚊虫的配备有离子流加速器的离子发生器
KR20040061334A (ko) 멀티탭 콘센트
US3283209A (en) Static eliminator
US4156266A (en) Light free static neutralizer
KR1006433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4098111B2 (ja) 薬剤揮散器
JP2004079273A (ja) マイナスイオン発生器
KR200255846Y1 (ko) 컴퓨터 포트를 이용한 방향 장치
US3462725A (en) Socket for spaced contacts of tubular members
JPH10189282A (ja) 除電器
EP1393755B1 (en) Discrete vapor-dispensing device and refill
EP1393754B1 (en) Dual electrical outlet vapor-dispenser
KR960009196Y1 (ko) 음이온 출력 스피커
AU2005200261B2 (en) Vapor-disp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