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948B1 - 광송신 모듈과 그를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 Google Patents

광송신 모듈과 그를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948B1
KR100575948B1 KR1020030075176A KR20030075176A KR100575948B1 KR 100575948 B1 KR100575948 B1 KR 100575948B1 KR 1020030075176 A KR1020030075176 A KR 1020030075176A KR 20030075176 A KR20030075176 A KR 20030075176A KR 100575948 B1 KR100575948 B1 KR 100575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optical
optical signal
light
crystal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141A (ko
Inventor
신동재
이중기
이정석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5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948B1/ko
Priority to US10/841,051 priority patent/US7099530B2/en
Priority to JP2004307839A priority patent/JP4137868B2/ja
Publication of KR2005004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50Amplifie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6Monolithically integrated components, e.g. waveguides, monitoring photo-detectors, drivers
    • H01S5/0265Intensity mod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8Coatings ; Treatment of the laser facets, e.g. etching, passivation layers or reflec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그 내부에 입력된 주입광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송신 모듈은 기판과, 상기 주입 광 및 광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증폭된 상기 주입 광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다층 결정 성장층과,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의 각 영역에 독립적으로 전류를 주입하는 전극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광 주입형 광원에 광대역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스펙트럼 분할하여 주입하여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광원을 구현한다.
주입 광, 파장 잠김, 반도체 광증폭기

Description

광송신 모듈과 그를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OPTICAL TRANSMITTER MODULE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SOURCE FOR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광통신용 광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광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광원에 관한 것이다.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 가입자 망은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복수의 광신호들을 다중화시켜서 단일 광섬유로 송수신하는 통신망으로서, 복수의 가입자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상향 광신호들을 검출해내며, 상기 각 가입자들에게 통 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 기지국과, 상기 중앙 기지국과 상기 각 가입자들 사이에서 상기 중앙 기지국과 상기 각 가입자들을 연결하는 지역 기지국을 포함한다.
상술한 중앙 기지국은 복수의 가입자들 각각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데이타를 광신호의 형태로 변조시켜서 출력한다. 상기 중앙 기지국은 상기 각 가입자들에게 전송하기 위한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각각의 하향 광신호들을 생성하며, 상기 각 하향 광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한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하향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원으로는 분산 궤환 레이저 어레이, 다파장 레이저, 스펙트럼 분할 방식 광원, 주입 광에 의해서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생성하는 페브리-페롯 레이저(Injection-locked Fabry-Perot laser with incoherent light), 외부로부터 입력된 주입 광을 증폭 및 변조시키는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스펙트럼 분할 방식의 광원은 넓은 대역폭의 광을 출력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출력된 광을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각각의 광신호로 분할 출력하는 광소자와, 상기 각 광신호를 변조시키기 위한 각각의 외부 변조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초발광 다이오드, 페브리-페롯 레이저, 광섬유 증폭기, 극초단 광 펄스 광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발광 다이오드와 초발광 다이오드 등은 대역폭이 넓고 가격이 저렴하며, 상술한 페브리-페롯 레이저는 저가의 고출력 소자라는 이점이 있다.
넓은 파장 대역의 광을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각각의 광신호들로 스펙트럼 분할시키기 위한 광소자로는 광학 필터(Optical Filter) 또는 도파로형 회절 격자(Waveguide Grating Router: WG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변조기는 상기 광소자에서 분할된 각 광신호를 변조시켜서 출력하기 위한 소자로서, LiNbO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초발광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는 출력하는 광의 대역폭이 넓은 반면에 변조 가능한 대역폭과 출력이 낮아서, 각 가입자로 출력되는 하향 광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광원으로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또한, 페브리-페롯 레이저는 대역 폭이 좁아서 넓은 파장 대역의 광을 필요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광원에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페브리-페롯 레이저는 스펙트럼 분할된 광신호를 고속으로 변조시켜서 출력함으로써 각 광신호 사이의 모드 분할 잡음(Mode Partition Noise)의 발생 및 그로 인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파장 잠김된 방식의 광원은 파장 잠김 상태를 유도하기 위한 상호 다른 파장의 주입 광들을 포함하는 광대역 광을 생성하는 광대역 광원과, 상기 광대역 광원을 각각의 주입 광들로 역다중화시키는 역다중화 소자와, 해당 주입 광에 의해서 파장 잠김된 하향 광신호를 생성하는 페브리-페롯 레이저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페브리-페롯 레이저는 해당 주입광을 직접 변조시킨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별도의 외부 변조기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며, 해당 주입 광의 파장을 변화시킴으로써 파장 잠김된 광신호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각 페브리-페롯 레이저에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각각의 주입 광을 입력시킴으로써 한 종류의 페브리-페롯 레이저로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복수의 광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광대역 광원은 대역 폭이 넓은 광을 생성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초발광 다이오드, 자발 방출광을 생성하는 광섬유 증폭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는 파장 잠김 방식의 광원과 유사한 동작 특성을 갖는다. 즉, 광대역 광원에서 생성된 광대역 광을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각각의 주입 광들로 역다중화시킨 후, 역다중화된 주입 광 중에서 해당 주입광을 변조 및 증폭시키는 형태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파장 잠김된 페브리-페롯 레이저는 입력되는 주입광의 세기가 일정 세기 이상으로 커야만 파장 잠김 현상이 발생함으로 고출력의 세기를 갖는 주입 광이 요구된다. 또한,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는 그 내부에 입력되는 주입광의 세기가 클 경우에 발생하는 이득 포화 현상(Gain saturation)에 의해서 전송 특성이 향상되며,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고출력의 광대역 광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세기의 주입 광으로도 파장 잠김된 광신호와, 증폭 및 변조된 광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파장분할 다중 방식의 광원으로 적용 가능한 저렴한 가격의 광송신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 내부에 주입된 광에 의해서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 주입형 광원은,
기판과;
그 내부에 입력된 광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영역과, 상기 광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제1 영역에 입력시키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다층 결정 성장층과;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의 각 영역에 독립적으로 전류를 주입하는 전극 수단들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송신 모듈은 기판(110)과, 제1 및 제2 영역(120a, 120b)으로 상호 분할된 다층 결정 성장층(120)과, 전극 수단(150a, 150b, 150c)들과, 상기 제1 영역(120a)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일 단면에 코팅된 무반사 층(130)과, 상기 제2 영역(120b)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타단에 코팅된 반사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은 그 상면에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120)이 형성되고, 그 하 면에는 상기 전극 수단(150a, 150b, 150c) 중 공동 전극(150c)이 형성된다.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120)은 상기 기판(110) 상에 형성된 하부 클래드(121)와, 상기 하부 클래드(121) 상에 형성된 활성층(122)과, 상기 활성층(122) 상에 형성된 상부 클래드(123)를 포함한다.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120)은 그 내부에 입력된 상기 주입 광 및 광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영역(120a)과, 상기 제1 영역(120a)에서 증폭된 주입 광을 광신호로 증폭시켜서 상기 제1 영역(120a)으로 출력하는 제2 영역(120b)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 및 제2 영역 각각(120a, 120b)은 상호 독립된 전극 수단(150a, 150b, 150c)에 의해서 상호 독립적으로 전류가 인가된다.
상기 제1 영역(120a)은 상기 무반사층(130)으로 입력된 상기 주입 광을 증폭시켜서 상기 제2 영역(120b)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영역(120b)은 상기 제1 영역(120a)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주입 광에 데이터를 실은 광신호로 변조시키며, 변조된 상기 광신호를 증폭시켜서 상기 제1 영역(120a)으로 출력한다.
상기 전극 수단(150a, 150b, 150c)은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120)의 제1 및 제2 영역(120a, 120b) 각각에 상호 독립적으로 전류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기판(110)의 하면에 형성된 공동 전극(150c)과, 상기 제1 및 제2 영역 각각(120a, 120b)에 대응하는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120)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전극(150a, 150c)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전극(150a)은 직류 전류가 인가되며, 상기 제1 영역(120a)은 상기 제1 전극(150a)에 인가된 직류 전류에 의해서 반도체 광증폭기로서 구동하게된다.
상기 제2 전극(150b)은 직류 또는 교류 전류 등이 인가되며, 상기 제2 영역(120b)은 상기 제2 전극(150b)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의해서 그 내부에 입력된 상기 주입광을 광신호로 변조시키는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송신 모듈은 다층 결정 성장층(220)과, 기판(210)과, 전극 수단(250a, 250b, 250c)과, 무반사 층(230)과, 반사층(24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광송신 모듈의 내부에 입력된 낮은 세기를 갖는 주입 광으로부터 높은 세기를 갖는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220)은 상기 기판(210) 상에 형성된 하부 클래드(221)와, 상기 하부 클래드(221) 상에 형성된 활성층(222)과, 상기 활성층(222) 상에 형성된 상부 클래드(223)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영역(220a, 220b)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영역(220a, 220b)의 사이에는 기설정된 폭을 갖는 홈(223a)이 형성된다.
상기 홈(223a)은 상기 상부 클래드(223) 상의 상기 제1 및 제2 영역(220a, 220b) 사이의 경계 부분에 기설정된 폭과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영역(220a, 220b) 사이의 절연 저항을 증가시켜서 전기적 누화를 감소시킨다.
상기 제1 영역(220a)은 그 내부에 입력된 상기 주입 광을 증폭시켜서 상기 제2 영역(220b)으로 입력시키고, 상기 제2 영역(220b)으로부터 입력된 광신호를 증폭시켜서 상기 무반사 층(23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영역(220b)은 상기 주입 광에 의해서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 영역(220b)은 상기 제1 영역(220a)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주입 광에 의해서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상기 제1 영역(220a)으로 입력시킨다. 즉, 상기 제2 영역(220b)은 상호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된 상기 홈(223a)과 상기 반사층(240)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홈(223a) 및 반사층(240)과 함께 상기 제1 영역(220a)으로부터 입력된 주입 광으로부터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생성하는 페브리-페롯 레이저와 같은 동작 특성을 갖게 된다.
상기 무반사 층(230)은 상기 제1 영역(220a)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일 단면에 코팅되며, 상기 반사층(240)은 상기 제2 영역(220b)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타단에 코팅된다.
상기 전극 수단(250a, 250b, 250c)은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220)의 제1 및 제2 영역(220a, 220b) 각각에 상호 독립적으로 전류를 주입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기판(210)의 하면에 형성된 공동 전극(250c)과, 상기 제1 및 제2 영역(220a, 220b)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220)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250a, 250b)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송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송신 모듈은 제1 및 제2 영역(320a, 320b)로 분할되는 다층 결정 성장층(320)과, 기판(310)과, 전극 수단(350a, 350b, 350c)과, 무반사 층(330)과, 반사층(340)과, 중간 층(360)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층(360)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320a, 320b)의 사이에 형성됨으 로써 상기 광송신 모듈의 전기적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영역(320a, 320b) 사이의 전기적 누화(electrical crosstalk)를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중간 층(360)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320a, 320b) 사이에서 굴절률의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반사층(340)과 함께 상기 제2 영역(320b)을 이득 매질로 하는 공진기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중간 층(360)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320a, 320b)의 사이에 확산 공정로 형성된 비전도성 매질을 주입함으로써 형성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영역(320a, 320b)의 사이에 양성자 물질 등을 주입함으로써 형성한다.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320)은 상기 기판(310) 상에 형성된 하부 클래드(321)와, 상기 하부 클래드(321) 상에 형성된 활성층(322)과, 상기 활성층 (322)상에 형성된 상부 클래드(323)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영역(220a, 220b)으로 분할된다.
상기 제1 영역(320a)은 그 내부에 입력된 상기 주입 광을 증폭시켜서 상기 제2 영역(320b)으로 입력시키고, 상기 제2 영역(320b)으로부터 입력된 광신호를 증폭시켜서 상기 무반사 층(33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영역(320b)은 상기 주입 광에 의해서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 영역(320b)은 상기 제1 영역(320a)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주입 광에 의해서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상기 제1 영역(320a)으로 입력시킨다. 즉, 상기 제2 영역(320b)은 상호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된 상기 중간 층(360)과 상기 반사층(340)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1 영역(220a)으로부터 입력된 주입 광 으로부터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생성하는 페브리-페롯 레이저와 같은 동작 특성을 갖게 된다.
상기 무반사 층(330)은 상기 제1 영역(320a)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일 단면에 코팅되며, 상기 반사층(340)은 상기 제2 영역(320b)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타단에 코팅된다.
상기 전극 수단(350a, 350b, 350c)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320a, 320b) 각각에 상호 독립적으로 전류를 주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기판(310)의 하면에 형성된 공동 전극(350c)과, 상기 제1 및 제2 영역(320a, 320b)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320)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전극(350a, 350b)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광원의 구성을 나타낸다.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광통신 시스템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복수의 가입자들과, 상기 각 가입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 기지국과, 상기 중앙 기지국과 상기 각 가입자의 사이에서 상기 각 가입자와 상기 중앙 기지국을 중계하는 지역 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기지국은 상기 각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각각의 하향 광신호들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상기 하향 광신호들을 다중화시켜서 상기 지역 기지국으로 출력한다.
상기 지역 기지국은 상기 중앙 기지국과 단일 광섬유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중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역다중화된 하향 광신호들을 각각의 파장에 따라서 다중화시킨 후에 해당 가입자에게로 입력시킨다.
도 4에 도시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은 상술한 중앙 기지국의 하향 광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광원에 적용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은 광대역 광원(410)과, 서큘레이터(420)와, 다중화/역다중화기(430)와, 파장 잠김된 각각의 광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광 모듈들(440-1 ~ n)을 포함한다.
상기 광대역 광원(410)은 상기 광대역 광을 생성해서 상기 서큘레이터(420)로 출력하며, 상기 광대역 광은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복수의 주입 광들을 포함한다. 상기 각 주입 광은 해당 광모듈(440-1 ~ n)에 입력된다.
상기 서큘레이터(420)는 상기 광대역 광원(410)과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 (430)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광대역 광원(410)으로부터 입력된 광대역 광을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430)로 출력하고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430)로부터 입력된 다중화된 광신호를 그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430)는 상기 서큘레이터(420)로부터 입력된 상기 광대역 광을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각각의 주입 광들로 역다중화시켜서 상기 광모듈들 각각(440-1 ~ n)으로 출력하며, 상기 각 광모듈(440-1 ~ n)에서 생성된 광신호들을 다중화시켜서 상기 서큘레이터(420)로 출력한다.
상기 무반사 층(443-1 ~ n)은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430)에 연결된 상기 제1 영역(441-1 ~ n)의 일단에 코팅됨으로써 상기 주입 광 및 광신호가 입, 출력 될 때의 세기 손실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고반사 층(444-1 ~ n)은 상기 제2 영역(442-1 ~ n)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440-1 ~ n)의 끝단에 코딩됨으로써 상기 제2 영역(442-1 ~ n)에서 생성된 광신호를 반사시킨다.
각각의 상기 광모듈(440-1 ~ n)은 그 내부에 입력된 상기 각 주입 광들을 증폭시키는 제1 영역(441-1 ~ n)과, 상기 제1 영역(441-1 ~ n)에서 증폭된 주입 광에 의해서 광신호를 생성하는 제2 영역(442-1 ~ n)으로 구분되며,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430)에 연결된 일단에 형성된 무반사 층(443-1 ~ n)과, 그 타단에 형성된 고반사 층(444-1 ~ n)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441-1 ~ n)은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430)로부터 입력된 주입 광을 증폭시켜서 상기 제2 영역(442-1 ~ n)으로 입력시키고, 상기 제2 영역(442-1 ~ n)에서 생성된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증폭시켜서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430)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영역(442-1 ~ n)은 상기 제1 영역(441-1 ~ n)으로부터 입력된 주입 광에 의해서 광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상기 광신호는 상기 고반사 층(444-1 ~ n)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영역(441-1 ~ n)으로 입력된다. 상기 제2 영역(442-1 ~ n)은 상기 제1 영역(441-1 ~ n)에서 증폭된 주입 광을 2차 증폭 및 변조시키는 변조기로서 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의 사이의 상부 클래딩의 일부분에 굴절률이 변화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굴절률이 변화된 부분과 상기 고반사 층(444-1 ~ n)이 공진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주입 광과 동일한 파장 의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생성하는 페브리-페롯 레이저와 동일한 동작 특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모듈은 반도체 광증폭기와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생성하는 페브리-페롯 레이저 또는 광신호 변조를 위한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하나의 기판 상에 집적시킴으로써 파장 잠김 또는 광신호 변조를 위한 광 증폭에 필요한 주입광의 세기를 낮추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모듈과 광대역 광원을 결합하여 경제적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1)

  1. 그 내부에 입력된 주입광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송신 모듈에 있어서,
    기판과;
    상기 주입 광 및 광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증폭된 상기 주입 광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다층 결정 성장층과;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의 각 영역에 독립적으로 전류를 주입하는 전극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다층 결정 성장층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하부 클래드와;
    상기 하부 클래드 상에 형성된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상부 클래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수단은,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공동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절연된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직류 전류에 의해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직류 및 교류 전류에 의해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 모듈은,
    상기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일 단면에 코팅된 무반사 층과;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타단에 코팅된 반사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입력된 주입 광을 증폭 및 변조시킨 광 신호를 상기 제1 영역으로 출력하는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7. 그 내부에 입력된 주입광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송신 모듈에 있어서,
    기판과;
    상기 주입 광 및 광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증폭된 상기 주입 광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다층 결정 성장층과;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의 각 영역에 독립적으로 전류를 주입하는 전극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수단은,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공동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전극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다층 결정 성장층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하부 클래드와;
    상기 하부 클래드 상에 형성된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되며, 그 일부분에 상기 홈이 형성된 상부 클래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송신 모듈은,
    상기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일 단면에 코팅된 무반사 층과;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타단에 코팅된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홈과 상기 반사층이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주입 광에 의해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페브리-페롯 레이저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11. 그 내부에 입력된 주입광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생성하는 광송신 모듈에 있어서,
    기판과;
    상기 주입 광 및 광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증폭된 상기 주입 광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다 층 결정 성장층과;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의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사이에 형성된 중간 층과;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의 각 영역에 독립적으로 전류를 주입하는 전극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다층 결정 성장층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하부 클래드와;
    상기 하부 클래드 상에 형성된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되며 상부 클래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수단은,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공동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다층 결정 성장층의 상부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직류 전류가 인가되는 제1 전극과, 직류 및 교류 전류가 인가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14. 제 11항에 있어서, 광송신 모듈은,
    상기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일 단면에 코팅된 무반사 층과;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타단에 코팅된 반사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분할 층과 상기 반사층이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주입 광에 의해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페브리-페롯 레이저 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사이에 양성자들을 주입함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층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의 사이에 확산 공정으로 형성된 비전도성 매질을 주입함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송신 모듈.
  17. 광가입자망을 위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에 있어서,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복수의 주입 광들을 포함하는 광대역 광을 생성하는 광대역 광원과;
    상기 주입 광 및 광신호를 증폭시키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서 증폭된 상기 주입 광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모듈들과;
    상기 광대역 광원과 상기 광모듈의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광대역 광을 상기 주입 광들 각각으로 역다중화시켜서 상기 각 광모듈로 입력시키고, 상기 각 광모듈로부터 수신된 상호 다른 파장을 갖는 복수의 상기 광신호들을 다중화시켜서 출력하는 다중화/역다중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위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광모듈은,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에 연결된 상기 제1 영역의 일단에 코팅된 무반사 층과;
    상기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광모듈의 끝단에 코딩된 고반사 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생성된 상기 광신호를 증폭시켜서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위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은,
    상기 광대역 광원과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광대역 광을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로 출력하고 상기 다중화/역다중화기에서 다중화된 광신호를 그 외부로 출력하는 서큘레이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위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증폭된 주입 광을 2차 증폭 및 변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위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증폭된 주입 광과 동일한 파장을 갖는 파장 잠김된 광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위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KR1020030075176A 2003-10-27 2003-10-27 광송신 모듈과 그를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KR100575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176A KR100575948B1 (ko) 2003-10-27 2003-10-27 광송신 모듈과 그를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US10/841,051 US7099530B2 (en) 2003-10-27 2004-05-07 Optical transmitter module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light source using the same
JP2004307839A JP4137868B2 (ja) 2003-10-27 2004-10-22 光送信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波長分割多重方式の光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176A KR100575948B1 (ko) 2003-10-27 2003-10-27 광송신 모듈과 그를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141A KR20050040141A (ko) 2005-05-03
KR100575948B1 true KR100575948B1 (ko) 2006-05-02

Family

ID=3451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176A KR100575948B1 (ko) 2003-10-27 2003-10-27 광송신 모듈과 그를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99530B2 (ko)
JP (1) JP4137868B2 (ko)
KR (1) KR1005759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2740B2 (en) * 2000-11-24 2011-10-25 Metrologic Instruments, Inc. Method of reading bar code symbols on objects at a point-of-sale station by passing said objects through a complex of stationary coplanar illumination and imaging planes projected into a 3D imaging volume
US7738167B2 (en) * 2005-12-09 2010-06-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RSOA), RSOA module having the same, and 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the same
KR100785775B1 (ko) 2005-12-09 2007-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rsoa) 및 rsoa를 이용한rsoa 모듈 및 수동형 광가입자망
KR100987793B1 (ko) * 2008-10-10 2010-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하는 광신호 처리방법
US8593725B2 (en) * 2009-08-04 2013-11-26 Jds Uniphase Corporation Pulsed optical source
US8417118B2 (en) * 2009-08-14 2013-04-09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lorless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tters
US8559821B2 (en) * 2009-12-02 2013-10-15 Futurewei Technologies, Inc. Wavelength stabilization and locking for colorless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tters
US9025241B2 (en) * 2011-10-14 2015-05-05 Kotura, Inc. Gain medium providing laser and amplifier functionality to optical device
JP6531314B2 (ja) * 2014-06-25 2019-06-19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光送受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2621843B1 (ko) * 2016-12-23 2024-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광 모듈
KR20200059356A (ko) * 2018-11-20 2020-05-29 주식회사 오이솔루션 멀티채널 양방향 광통신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687B1 (ko) * 1999-12-21 2002-02-25 윤덕용 주입된 비간섭성 광에 파장 잠김된 페브리-페롯 레이저다이오드를 이용한 파장분할 다중방식 광통신용 광원
US7116851B2 (en) * 2001-10-09 2006-10-03 Infinera Corporation Optical signal receiver, an associated photonic integrated circuit (RxPIC), and method improving performance
US7555220B2 (en) * 2003-10-22 2009-06-30 Infinera Corporation Chromatic dispersion compensator (CDC) in a photonic integrated circuit (PIC) chip and method of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99530B2 (en) 2006-08-29
US20050089270A1 (en) 2005-04-28
JP4137868B2 (ja) 2008-08-20
JP2005129953A (ja) 2005-05-19
KR20050040141A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953B1 (ko) 반사형 이득고정 반도체 광증폭기를 포함하는 광신호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통신 시스템
KR100469736B1 (ko) 다파장 레이징 광원에 파장 잠김된 페브리-페롯 레이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전송장치
KR100480246B1 (ko) 중앙 기지국에서 생성된 다파장 광의 루프백을 이용하는수동형 광통신망
US7224519B2 (en) Low noise multi-wavelength light source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using same
EP1695466B1 (en) Integration of laser sources and detectors for a passive optical network
US20050041971A1 (en) Multi-wavelength optical transmitter and bi-direction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469746B1 (ko)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자기 잠김된 페브리-페롯 레이저 장치
KR100575948B1 (ko) 광송신 모듈과 그를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 방식 광원
JP2020523819A (ja) 集積wdm光トランシーバ
KR100520649B1 (ko) 페브리-페롯 레이저를 이용한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광송신기
KR100539927B1 (ko)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시스템
JP2006173563A (ja) 集積型半導体光源
KR100734829B1 (ko) 광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50040287A (ko) 파장유지 페브리-페로 레이저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광송신기
CN107113061B (zh) 具有集成加热区域的半导体激光二极管
US7269352B2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light source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Debrégeas et al. Components for high speed 5G access
US20060140628A1 (en) High-speed wavelength selectable optical source and method thereof
KR20070084966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형광가입자망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광송수신기
Chen et al. A low-cost multi-wavelength laser based on hybrid integration technology for WDM-PON application
Kwon et al. WDM-PON downstream optical link using wavelength-locked FP-LD by spectrally-sliced FP-LD
KR100492480B1 (ko) 파장가변 전광 nor 논리소자의 구현방법
Akanbi Bi-directional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systems for broadband access networks
KR20040078924A (ko) 다중 공진기를 갖는 파장 잠긴 페브리-페롯 레이저 장치와이를 이용한 파장분할 다중 방식의 광원
Ackerman et al. Tunable semiconductor lasers for WDM tele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