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581B1 -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581B1
KR100575581B1 KR1020040106612A KR20040106612A KR100575581B1 KR 100575581 B1 KR100575581 B1 KR 100575581B1 KR 1020040106612 A KR1020040106612 A KR 1020040106612A KR 20040106612 A KR20040106612 A KR 20040106612A KR 100575581 B1 KR100575581 B1 KR 100575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
priority
analysis
use case
prope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조진희
함동한
김진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6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581B1/ko
Priority to US11/085,175 priority patent/US2006012941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위 수준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기술하고 각 비즈니스 별 목표 (goal)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특성 객체(feature object)와 특성 행위(feature behavior)를 식별하여 의존성 그래프(dependency graph)로 표현한다. 의존성 그래프는 노드(node)와 레이블(label)이 붙어 있는 에지(edge)로 표현된다. 노드는 특성 객체를 표현하고 에지는 특성 행위의 순서를 지시하는데 에지에 붙어 있는 레이블은 특성 행위를 나타낸다. 특성 객체와 특성 행위는 요구 사항 분석 프로세스를 반복해 나가면서 정제되는데 특성 행위의 수행 순서에 따라 의존성 그래프에 표현된 내용은 우선순위 그래프로 표현된다. 우선 순위 그래프는 의존성 그래프로 표현되었던 상위 수준의 기능적 요구 사항을 특성 객체의 초기 설정 값, 수행하면서 변경되는 특성 객체의 참조 설정 값, 특성 범주(category), 다음 단계의 특성 객체를 우선 순위 순서대로 지시하는 특성 객체 리스트, 관련된 유스 케이스 이름, 관련 가변성(variability) 리스트, 가변성의 타입과 함께 표현된다. 우선순위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비즈니스 수행 경로(path)는 기능 테스팅(functional testing)을 확인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로 추출될 수 있으며 수행 경로의 에지 수에 따라 최적의 깊이를 갖는 테스트 케이스(best case)와 최악의 깊이를 갖는 테스트 케이스(worst case)를 유추할 수 있다.
분석된 기능 별 요구 사항은 시스템 분석가, 시스템 개발자, 테스트 설계자, 프로젝트 관리자로부터 분석 자료의 시각적인 조회가 가능하도록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되며 수행 의존성을 식별하기 쉽게 테이블의 형태로도 보여진다.
텍스트 형태의 기술에서 시작하여 분석된 제품 계열의 요구 사항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현 요소를 특성 단위로 식별할 수 있는 특성의 행위 정보로부터 제품 계열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가변성을 또한 분석할 수 있어 제품 계열 기반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기획 자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우선순위, 제품 계열, 기능 분석, 테스팅 경로

Description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FUNCTIONALITY AND TEST PATH OF PRODUCT LINE USING PRIORITY GRAPH}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위 수준에서의 기능 명세에 대해 기술한 도면,
도 3은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에 대해 기술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의존성 그래프에 대하여 예시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우선순위 그래프에 대한 구조를 테이블 형태의 뷰(view)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유스 케이스-가변성 정의 그래프를 테이블 형태의 뷰(view)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 파서
402 : 객체/행위 식별기
403 : 의존성 그래프 모델러
404 : 우선순위 그래프 작성기
405 : 테스트 경로 식별기
406 : 그래픽 정보 처리기
본 발명은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위 수준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로 모델링하고 제품 계열을 분석하기 위한 공통성과 가변성 요소를 식별하여 공통성을 기반으로 가변성을 식별하는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제공되는 CASE(Computer-Aided Software Engineering)도구는 컴포넌트 기반의 모델링 도구가 대부분이고 타깃(target) 시스템에 대한 구성 요소를 서브 시스템, 컴포넌트, 클래스, 함수의 수준으로 분해해 가면서 요구 사항을 모델로 반영하는 도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요구 사항은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내용을 기술하거나 피시 본도(fishbone diagram)를 그리고 유스 케이스 다이어그램(use case diagram)을 모델링 하거나 비전(vision) 기술 문서를 만드는 형태로 획득되어 왔다.
요구 사항 획득을 지원코자 2001년 Giancarlo Succi와 Jason Yip과 Witold Pedrycz가 발표한 선행 논문 “Holmes: An Intelligent System to Support Software Product Line Development”는 제품 계열 개발을 위해 상호 의존하는 활동이 많기 때문에 도구의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대부분의 도구가 컴포넌트의 개발에만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선행 논문은 제품 계열 개발을 위해 외부 도구와 연계할 수 있는 하위 구조를 제안하고, 이 하위 구조에 따라 외부의 도구들을 통합함으로써 제품 계열을 분석하고 모델링 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UML 기반의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Rational Rose 2002"와 "WebMetrics Rose parser" 와 같은 단위 도구들을 도구 통합에 이용한다. 그러나 Holmes는 매우 느슨하게 연관되어 있는 아키텍처를 제공하여 여러 도구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때문에 일치성있게 데이터 모델을 표현하고 연계시켜야 한다. 그리고 외부 도구의 사용에 필요한 비용 지불을 배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선행 특허 “Method for Analyzing Product Information”은 UML 기반의 기존의 모델링 도구와 별도로 고유의 단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제품에 대한 다양한 분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접근을 허용하고, 시각적인 분석기를 이용해 요구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저장되어 있는 요구 사항에 대한 질의(query)를 가능하게 하여 여러 출처에서 입력된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선행 특허는 여러 데이터 출처로부터 입력되는 시스템, 메소드(method), 품질 데이터에 대한 시각적인 분석이 가 능할 뿐 의미적인 연관성과 가변적인 특성에 대한 고려가 배제되어 있어 제품 계열 기반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품 분석 정보로 사용되기에 부족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다양하게 분석된 제품의 기능적 요구 사항을 검증하고, 이와 함께 제품 계열 요구 사항의 의미적인 공통성과 가변성을 보다 쉽게 분석하고 검증하는 장치 및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품 계열 기반의 요구 사항으로부터 설계, 구현, 테스팅 단계에서 핵심적인 객체와 행위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와 행위의 범위를 조정하여 요구 사항의 기능 수행에 필수적인 특성 객체, 특성 객체의 가변성, 특성 객체의 행위 정보, 이들 간의 의존성을 분석하는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요구 사항의 상위 수준 의미 정보에 기반하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기능의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제품 계열 기반의 제품을 생산하는 개발 참여자들이 제품 생산에 대한 이해를 같이 하기 위해 업체 표준이 UML의 확장 명세를 사전에 숙지해야 하고 UML 확장 명세에 따르는 도구와 노테이션(notation)에 따라 분석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품 계열과 같이 빠른 생명주기(life cycle)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분야에서 제품에 대한 요구 사항을 간편하게 표현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분석 및 검토 도구를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의존성 그래프는 개발 참여자가 알고 있는 수준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으로부터 시작해 제품 계열 기반의 제품 구성에 필수적인 특성 객체, 특성 객체의 가변성, 특성 객체간의 관계, 행위 정보를 분석하도록 지원한다. 반복적인 분석 프로세스에 의해 복잡해지는 의존성 그래프는 수행 기능의 순서를 식별할 수 있고 제품 계열 분석에 필수적인 항목들로 구성된 우선순위 그래프로 표현된다. 우선순위 그래프는 정제 프로세스를 거쳐 제품 계열의 범위(scope)는 유스 케이스 별로 분리되어 모델링 되고 검토된다. 우선 순위 그래프의 수행 순서는 테스팅 경로를 식별하는데 효과적이며 그래프로 표현된 분석 정보는 검토가 용이하도록 테이블 형태의 포맷으로 바꿔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는, 텍스트 형태로 표현된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의 표현을 단어 단위로 분석하는 파서; 파서에서 분리한 단어에서 핵심적인 명사와 동사를 추출해 특성 객체 명과 특성 행위 명으로 식별하는 객체/행위 식별기; 특성 객체 명과 특성 행위 명으로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에 표현된 기능의 수행 흐름을 모델링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존성 그래프 모델러; 의존성 그래프의 의미 정보를 반복하여 정제함으로써 식별된 특성 객체 별로 다음 번 실행을 위해 연결된 특성 객체들, 특성 범주, 기본 설정 값, 참조 설정 값, 관련 유스 케 이스 이름, 지원되는 가변점들, 가변점의 타입을 분석하고 표현하도록 지원하는 우선순위 그래프 작성기; 우선순위 그래프의 정보 표현에서 요구 사항 검토와 테스팅 계획을 위해 테스트의 경로를 식별하는 테스트 경로 식별기; 및 의존성 그래프와 우선순위 그래프의 분석 정보를 시각적으로 변경하여 보여주는 그래픽 정보 처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방법은, 상위 수준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텍스트 형태로 기술하여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 명세로 변경하는 단계; 텍스트 형태의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 명세를 문장 단위로 체언과 용언을 분리해 내는 단계;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에 표현된 기능의 수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체언과 용언을 추출하는 단계; 고유의 속성을 의미하는 특성 객체 명과 특성 행위 명을 유스 케이스에 명시된 기능 수행 의존성에 기초해 노드와 에지로 모델링하는 의존성 그래프 모델링 단계; 의존성 그래프를 정재하여 가변적으로 사용될 특성 객체를 식별하고 기능 수행 경로로 연결되어 있는 특성 객체 리스트(linked feature object), 특성 객체의 범주(category), 기본 설정 값, 참조 설정 값, 관련 유스 케이스 이름, 지원하는 가변점 리스트, 가변점 타입과 같은 추가 정보를 분석하는 의존성 그래프 정제 단계; 분석된 정보를 우선순위 그래프로 표현하는 우선순위 그래프 모델링 단계; 우선순위 그래프에서 경로의 흐름을 확인하고 정제하는 우선 순위 그래프 정제 단계; 분석된 우선순위 그래프의 정보 표현 방법을 바꿔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시각적 정보 처리 단계; 요구 사항 분석서에 대한 작성 요청이 있을 때 산출물로 요구 사항 분 석서를 작성하는 단계; 우선순위 그래프에서 테스트에 필요한 경로를 식별하는 단계; 및 테스트 계획서에 대한 작성 요청이 있는 경우 테스트 계획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크게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텍스트 형태의 제품계열 요구 사항을 텍스트 형태의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로 받아 들여 제품의 기능에 관여하는 객체의 이름과 행위의 이름을 식별한다.
두 번째, 식별된 객체와 행위의 의존성을 실행 흐름에 따라 의존성 그래프로 모델링할 수 있게 지원한다.
세 번째, 생성된 의존성 그래프를 반복적으로 정제하면서 식별된 객체들은 분해(decomposing)되거나 그룹핑(grouping)되어 의미적으로 분해할 수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객체인 특성 객체로 정의되고, 추가적으로 추출된 특성 객체의 설정 값, 특성 범주를 표현한다. 특성 객체에 대한 행위를 수행함으로써 도달하게 되고, 다음 차례에 실행 주체가 되는 객체들은 실행 우선 순위를 나타내기 위해 연결된 특성 객체 리스트로 표현되고, 그 외, 관련된 유스 케이스 이름, 특성에 영향 미치는 가변성(variability) 리스트와 함께 우선순위 그래프를 작성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다음 차례 실행 객체의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표현된 우선순위 그래프로부터 유스 케이스 별, 특성 객체 별, 최적 상황(best case)별, 최악 상황(worst case)별로 테스팅 경로(path)를 식별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파서, 객체/행위 식별기, 의존성 그래프 모델러, 우선순위 그래프 작성기, 테스트 경로 식별기, 그래픽 정보 처리기의 6개의 부속 장치로 구성된다. 이에 대해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본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상위 수준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텍스트 형태로 기술하도록 요청하는 과정이다. 초기에는 형식에 관계없이 텍스트의 형태로 기술한 후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의 형태로 기술 형태를 변경하여 항목별 요구 사항을 보충 기술하도록 한다(S101).
텍스트 형태의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로부터 객체 이름과 행위 이름을 식별한다. 독립적인 의미 정보를 표현하는 객체와 행위 이름은 시스템의 특성을 표현하는 단위인 특성 객체와 특성 행위로 정의한다(S102).
특성 객체와 특성 행위의 기능적 의존성을 그래프로 표현한다. 그래프 상의 노드로 특성 객체를 표현하고 에지(edge)로 특성 행위를 표현하여 의존성 그래프를 모델링 한다(S103).
의존성 그래프로 표현된 상위 레벨의 분석 정보를 검토하여 정제(refinement)한다(S104).
의존성 그래프를 기반으로 특성 객체가 가변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을 가변점(variation point)으로 정의하고 현재 특성 객체 다음에 수행될 특성 객체들을 수행 우선 순위에 따라 연결된 특성 객체(linked feature object) 리스트로 정의한다(S105).
우선순위 그래프에 표기된 특성 객체, 특성 행위, 연결된 특성 객체 리스트, 특성 범주, 특성 객체의 기본 설정 값, 수행 중 변경된 값을 설정한 참조 설정 값, 관련 유스케이스 이름, 객체의 가변점 리스트, 가변점의 타입이 의미적으로 일치되는 지를 함께 확인한다(S106).
상기 S106 단계에서 분석된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 사항의 수정 사항이나 확장 부분의 분석을 처리하고 공통된 요구 사항을 추출하기 위해 반복하여 정제한다(S107).
문서 형태로 요구 사항 분석 정보를 기술할 필요가 있는 지를 검사한다(S108).
상기 S108 단계에서 요구 사항 분석서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 우선순위 그래프의 정보를 읽기 좋게 텍스트 형태로 기술함으로써 요구 사항 분석서를 작업 산출물로 생성한다(S109).
테스트 계획서 작성 요청이 있는 지 검사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요청된 테스트 계획서 작성 요청에 따라 테스트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입력 요청한다(S111).
우선순위 그래프의 수행 경로와 111단계에서 입력 받은 테스트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식별한다(S112).
문서 형태의 테스트 계획서를 작업 산출물로 생성한다(S113).
상위 수준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기술은 객체와 행위 이름을 식별할 수 있게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항목을 포함하도록 기술되어야 한다.
의존성 그래프는 의미상 쪼갤 수 없는 핵심적인 객체와 행위 명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의존성 그래프 정제 단계의 모델링은 서브 시스템으로의 모델링을 지원하고 특성 객체 별로 요청되는 품질 요구 사항이 파악되도록 유도한다. 관련된 유스 케이스가 이 단계에서 할당되며 작성이 가능하다면 유스 케이스-가변성 정의 그래프의 작성 초기 모델이 표현되어야 한다.
우선순위 그래프는 특성 객체가 다음 단계의 실행을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객체를 리스트를 수행 순서대로 명시해야 한다. 단, 특성 범주의 설정이 기본(“D”)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스트에 명시된 특성 객체의 순서가 실행 순서가 된다. 특성 범주가 선택적(“A”)인 경우에는 연결된 특성 객체에는 우선순위가 존재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우선순위 그래프 정제는 다음 수행에 필요한 특성 객체 리스트를 식별하고 특성 객체의 범주를 확정해야 한다. 또한 관련 특성 객체 별 가변성이 식별되어 정의되어야 한다.
도 2는 상위 수준에서의 기능 명세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예는 디지털 카메라로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는 경우이다.
도 3은 대한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에 대한 기술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3의 예는 디지털 카메라로 이미지를 캡쳐하는 경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위 수준에서 텍스트 형태로 기술된 정보를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 형태로 변형하여 나타낸 정보를 보여주며, 유스 케이스 명, 요약 설명, 담당 처리자, 전처리 조건, 수행 단계, 후처리 조건을 표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는, 크게 파서(401), 객체/행위 식별기(402), 의존성 그래프 모델러(403), 우선순위 그래프 작성기(404), 테스트 경로 식별기(405), 그래픽 정보 처리기(40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서(401)는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로 표현된 텍스트 형태의 요구 사항을 파싱하여 단어 단위로 분리한다.
상기 객체/행위 식별기(402)는 파서(401)에서 분리한 단어에서 핵심적인 명사와 동사를 추출해 특성 객체 명과 특성 행위 명으로 식별한다.
상기 의존성 그래프 모델러(403)는 식별된 특성 객체 명과 특성 행위 명으로 기능 수행 흐름, 즉 상호 작용(interaction)을 표현하도록 모델링 기능을 지원한다. 특성 객체는 노드로 표현하고, 특성 행위는 행위 명을 레이블로 갖는 에지로 표현한다. 의존성 그래프의 모델링은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모델링이 완성된 그래프로 표현된다.
상기 우선순위 그래프 작성기(404)는 의존성 그래프 모델러의 반복적인 정제를 통해 생성된 의존성 그래프를 수행 경로 별로 식별하여 테이블 형태의 우선순위 그래프로 표현한다. 우선순위 그래프의 세부 구성 항목은 도 6에서 FO(Feature Object: 특성 객체), FB(Feature Behavior: 특성 행위), LFO(Linked Feature Object: 연결된 특성 객체), FC(Feature Category: 특성 범주), DV(Default Value: 기본 설정 값), RV(Reference Value: 참조 설정 값), UC(Use Case name: 관련 유스 케이스 이름), VP(Variation Point: 가변점), T(Type of variation point: 가변점 타입)로 각각 표현된다.
우선순위 그래프에서 각 객체는 주소 값을 갖고 특성 객체의 주소 값은 연결된 특성 객체 리스트에서 다음 수행 순서를 표현하기 위해 이용된다. 가변점의 선택은 특성 객체와 특성 행위 사이의 의존성에 선택 가능한 옵션이 존재하는 경우 추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분석 관계자가 판단하는 의미 정보에 기반하여 가변점으로 결정된다.
상기 테스트 경로 식별기(405)는 우선 순위 그래프 작성기(204)의 특성 객체 별로 연결된 특성 객체 리스트에서의 특성 객체 주소가 표시하는 곳으로의 수행 흐름에 따라 수행 경로를 식별한다. 식별된 수행 경로가 가장 긴 경우가 최악 수행 경우가 되고, 가장 짧은 경우 최선 수행 경우가 된다. 단, 수행 경로의 길이는 에지의 수에서 특성 범주(FC)가 “O”로 표현된 임의 선택 가능 에지를 참조하지 않 는 경우 간결한 형태의 수행 경로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정보 처리기(406)는 의존성 그래프와 우선순위 그래프로 표현된 정보를 그래프나 테이블과 같은 표현 형태로 변경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도 5는 디지털 카메라로 이미지를 캡쳐하는 경우에 대한 의존성 그래프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운데의 점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분된다. 점선 위의 상의 그래프는 1차 추출 특성으로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에서 추출된 특성을 표현한다. 점선 아래의 하의 그래프는 1차 추출된 서브 시스템의 기능 수행상 필요하여 의존성 그래프를 정제하면서 추출된 특성이 보강된 2차 특성을 나타낸다. 1차 추출된 “이미지 캡쳐 모듈”이 핵심적인 3개의 특성 객체로 분리되었고, 새로 식별된 특성객체들은 특성 행위로 의존성 그래프를 보완하여 모델링한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와 “>>”로 표시된 특성 객체(<<모드 버튼>>, <<메뉴>>)는 특성 객체의 특성 행위를 고려해 볼 때 가변성이 존재하는 경우임을 표시한다.
도 6은 우선순위 그래프로서 테이블 형태의 뷰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순위 그래프를 구성하는 항목은 각각 FO, FB, LFO, FC, DV, RV, UC, VP, T로 표시된다.
각 항목별로 FO(Feature Object)는 특성 객체, FB(Feature Behavior)는 특성 행위, LFO(Linked Feature Object)는 연결된 특성 객체, FC(Feature Category)는 특성 범주, DV(Default Value)는 기본 설정 값, RV(Reference Value)는 참조 설정 값, UC(Use Case name)은 유스 케이스 이름, VP(Variation Point)는 가변점, T(Type of variation point)는 가변점 타입을 나타낸다.
세로 측의 0∼9는 특성 객체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 정보를 표시하고, VP1∼VP4는 가변점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 정보를 기호하여 나타낸 것이다. 주소 정보는 LFO에서 주소 표시 “&”와 함께 나타난다. FC와 T의 설정 값은 “A” (Alternative : 둘 중 하나의 선택), “D”(Default : 필수), “O”(Optional : 선택적인 수행)로 표시된다. UC의 UC1∼UC4는 관련 유스 케이스 이름을 명시한다. VP의 VP1∼VP4는 특성 객체가 갖는 가변점을 나타낸다.
도 7은 유스 케이스-가변성 정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유스 케이스에서 제공하는 가변점 리스트를 포함한 그래프의 구조로 표현된다. 여기서, 도시된 UC는 관련 유스 케이스 이름(Use Case name), T는 가변점 타입(Type of variation point)을 각각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품 계열 기반의 요구 사항에서 시스템의 기능을 표현하는 단위인 객체와 행위 정보를 식별하고 그래프를 이용하여 의미와 수행 동작을 분석한다. 분석된 그래프 기반의 정보 표현은 의미와 수행 동작을 검토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테스팅 경로와 경로 별 수행 복잡도를 계산한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은, 텍스트 형태로 기술된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에서 시스템의 기능을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핵심적인 객체와 행위를 식별하고 행위의 실행 순서를 표현하고 검토할 수 있는 그래프 기반의 정보로 표현한다. 또한, 텍스트나 컨텍스트(context) 다이어그램 형태의 상위 수준 요구 사항을 행위가 수행되는 일련의 순서 및 상태를 검토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분해하여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필요한 요구 사항을 개발하고 테스팅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테스팅 경로를 식별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텍스트 형태로 표현된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의 표현을 단어 단위로 분석하는 파서;
    파서에서 분리한 단어에서 핵심적인 명사와 동사를 추출해 특성 객체 명과 특성 행위 명으로 식별하는 객체/행위 식별기;
    특성 객체 명과 특성 행위 명으로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에 표현된 기능의 수행 흐름을 모델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의존성 그래프 모델러;
    의존성 그래프의 의미 정보를 반복하여 정제함으로써 식별된 특성 객체 별로 다음 번 실행을 위해 연결된 특성 객체들, 특성 범주, 기본 설정 값, 참조 설정 값, 관련 유스 케이스 이름, 지원되어야 하는 가변점들, 가변점의 타입을 분석하고 표현하도록 지원하는 우선순위 그래프 작성기;
    우선순위 그래프의 정보 표현에서 요구 사항 검토와 테스팅 계획을 위해 테스트의 경로를 식별하는 테스트 경로 식별기; 및
    의존성 그래프와 우선순위 그래프의 분석 정보를 시각적으로 변경하여 보여주는 그래픽 정보 처리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2. 상위 수준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텍스트 형태로 기술하여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 명세로 변경하는 단계;
    텍스트 형태의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 명세를 문장 단위로 체언과 용언을 분리해 내는 단계;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에 표현된 기능의 수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체언과 용언을 추출하는 단계;
    고유의 속성을 의미하는 특성 객체 명과 특성 행위 명을 유스 케이스에 명시된 기능 수행 의존성에 기초해 노드와 에지로 모델링하는 의존성 그래프 모델링 단계;
    의존성 그래프를 통해 기능 수행 경로에서 연결된 특성 객체 리스트, 특성 객체의 범주(category), 기본 설정 값, 참조 설정 값, 관련 유스 케이스 이름, 지원하는 가변점 리스트, 가변점 타입과 같은 추가 정보를 분석하면서 정제하는 의존성 그래프 정제 단계;
    분석된 정보를 우선순위 그래프로 표현하는 우선순위 그래프 모델링 단계;
    우선순위 그래프에서 경로의 흐름을 확인하고 정제하는 우선 순위 그래프 정제 단계;
    분석된 우선순위 그래프의 정보 표현 방법을 바꿔 시각적으로 보여 주는 시각적 정보 처리 단계;
    우요구 사항 분석서에 대한 작성 요청이 있을 때 산출물로 요구 사항 분석서 를 작성하는 단계;
    우선순위 그래프에서 테스트에 필요한 경로를 식별하는 단계; 및
    테스트 계획서에 대한 작성 요청이 있는 경우 테스트 계획서를 작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존성 그래프는 유스 케이스 시나리오에 명시된 특성 객체 명을 노드(node)로 표현하고 특성 행위 명을 레이블이 달린 에지(edge)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그래프에서 분석된 유스케이스 별 가변점 리스트는 우선순위 그래프에 대한 색인 정보로서 유스 케이스-가변점 그래프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그래프는 특성 객체, 연결된 특성 객체리스트, 특성 범주, 기존 설정 값, 참조 설정 값, 유스 케이스 이름, 가변점 리스트, 가변점 타입 항목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 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의존성 그래프와 우선순위 그래프를 그래프나 테이블과 같은 시각적인 표현으로 처리하여 보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우선순위 그래프의 정보 표현에 기반해 요구 사항을 검토하고 테스팅 계획을 위해 테스트 경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테스트 요구 사항을 입력받아 식별된 테스팅 경로에서 최적의 테스트 케이스와 최악의 테스트 케이스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 테스팅 경로 분석 방법.
KR1020040106612A 2004-12-15 2004-12-15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100575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612A KR100575581B1 (ko) 2004-12-15 2004-12-15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US11/085,175 US20060129418A1 (en) 2004-12-15 2005-03-22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functionality and test paths of product line using a priority grap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612A KR100575581B1 (ko) 2004-12-15 2004-12-15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581B1 true KR100575581B1 (ko) 2006-05-03

Family

ID=3658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612A KR100575581B1 (ko) 2004-12-15 2004-12-15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29418A1 (ko)
KR (1) KR1005755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545B1 (ko) * 2009-06-01 2012-0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생성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uml 모델링 방법
KR20160044484A (ko) * 2013-08-19 2016-04-25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클라우드 배치 기반구조 검증 엔진
KR20220086160A (ko) * 2020-12-16 2022-06-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리소스 의존성 기반 리소스 우선순위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558933B1 (ko) * 2022-08-19 2023-07-25 델타인덱스주식회사 시간 조건을 포함한 한글 요구사항을 위한 체계적 테스트 케이스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894B1 (ko) * 2004-12-21 2007-0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품 계열 아키텍처의 표현 및 검증 장치와 그 방법
US8578324B2 (en) * 2008-03-17 2013-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riability layer for domain-specific modeling languages
US20120317119A1 (en) * 2010-02-10 2012-12-13 Hitachi, Ltd. Product Line Type Development Supporting Device
US8584080B2 (en) * 2010-03-22 2013-1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eling and generating computer software product line variants
US9665454B2 (en) * 2014-05-14 2017-05-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racting test model from textual test suite
US9727447B1 (en) * 2015-01-16 2017-08-08 Amdocs Software Systems Limi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utomated exploratory testing
US10949785B2 (en) 2015-01-28 2021-03-16 Micro Focus Llc Product portfolio rationalization
EP3485391A4 (en) * 2016-07-15 2020-01-22 Albert Einstein College of Medicine PERSISTENCE AND BINDING OF ANALYTICAL PRODUCTS IN BIG DATA ENVIRONMENTS
US10073763B1 (en) * 2017-12-27 2018-09-11 Accenture Global Solutions Limited Touchless testing platform
CN116112350B (zh) * 2022-12-30 2024-05-1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宽带故障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190A (ja) 1999-01-05 2000-07-18 Ricoh Co Ltd 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装置、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7518B1 (en) * 2000-04-13 2004-10-19 Ford Motor Company Method for analyzing product information
KR100388486B1 (ko) * 2000-12-14 200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 관계와 객체 이용 정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컴포넌트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IL142421A0 (en) * 2001-04-03 2002-03-10 Linguistic Agents Ltd Linguistic agent system
US7003766B1 (en) * 2001-06-19 2006-02-21 At&T Corp. Suite of metrics for software quality assurance and product development
US7134113B2 (en) * 2002-11-04 2006-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optimized suite of test cases
US20040103396A1 (en) * 2002-11-20 2004-05-27 Certagon Ltd. System for verification of enterprise software systems
TWI262383B (en) * 2003-01-10 2006-09-21 Univ Nat Cheng Kung A generic software testing system and method
US7346888B1 (en) * 2004-03-01 2008-03-1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Use case integ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190A (ja) 1999-01-05 2000-07-18 Ricoh Co Ltd 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装置、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545B1 (ko) * 2009-06-01 2012-01-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생성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uml 모델링 방법
KR20160044484A (ko) * 2013-08-19 2016-04-25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클라우드 배치 기반구조 검증 엔진
KR102268355B1 (ko) 2013-08-19 2021-06-22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클라우드 배치 기반구조 검증 엔진
KR20220086160A (ko) * 2020-12-16 2022-06-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리소스 의존성 기반 리소스 우선순위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533070B1 (ko) 2020-12-16 2023-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웹 리소스 의존성 기반 리소스 우선순위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558933B1 (ko) * 2022-08-19 2023-07-25 델타인덱스주식회사 시간 조건을 포함한 한글 요구사항을 위한 체계적 테스트 케이스 생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29418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5336B2 (en) Data semanticizer
Jirapanthong et al. Xtraque: traceability for product line systems
RU2592396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машинного извлечения и интерпретации текст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KR100575581B1 (ko) 우선순위 그래프를 이용한 제품 계열의 기능 분석 및테스팅 경로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US8312041B2 (en)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network 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an ontology schema having class dictionary and mining rule
US201302624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 refinement using knowledge model
US85331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 check knowledge construction
JP5315368B2 (ja) 文書処理装置
US20150026159A1 (en) Digital Resource Set Integration Methods, Interfaces and Outputs
CN110852095B (zh) 语句热点提取方法及系统
RU2544739C1 (ru)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ого массива данных
Fliedl et al. Deriving static and dynamic concepts from software requirements using sophisticated tagging
CN112035506A (zh) 一种语义识别方法及其设备
CN106649672B (zh) 一种基于语义网的安全数据语义分析方法及系统
CN104298683A (zh) 主题挖掘方法和设备、以及查询扩展方法和设备
Dimyadi et al. Querying a regulatory model for compliant building design audit
US20190236143A1 (en) Creating apps from natural language descriptions
Fahad et al. Towards mapping certification rules over BIM
Borsje et al. Graphical query composition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an RDF visualization interface
Umber et al. A Step Towards Ambiguity Less Natural Language 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s.
Guo et al. Model-driven approach to developing domain functional requirements in software product lines
Abrosimova et al. The ontology-based event mining tools for monitoring global processes
Lamba et al. Tools and techniques for text mining and visualization
Abdelmalek et al. A Bimodal Approach for the Discovery of a View of the Implementation Platform of Legacy Object-Oriented Systems under Modernization Process.
Bačíková et al. DSL-driven generation of Graphical User Inte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