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4025B1 - Capping materials for in situ treating contaminant sediment in wat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ploying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Capping materials for in situ treating contaminant sediment in wat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ploying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4025B1
KR100574025B1 KR1020040036547A KR20040036547A KR100574025B1 KR 100574025 B1 KR100574025 B1 KR 100574025B1 KR 1020040036547 A KR1020040036547 A KR 1020040036547A KR 20040036547 A KR20040036547 A KR 20040036547A KR 100574025 B1 KR100574025 B1 KR 100574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pping material
capping
organic clay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1302A (en
Inventor
김건하
정우혁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3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025B1/en
Publication of KR2005011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3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32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bsorbing liquids to remove pollution, e.g. oil, gasoline, fa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물질과 혼합된 유기점토를 고분자로 코팅시킨 수중 오염퇴적물 처리용 캡핑재이고, 상기 캡핑재는 유기점토를 반응물질과 혼합시키고, 고분자 용액으로 혼합된 유기점토를 코팅시키고, 코팅된 유기점토를 물과 혼합하고, 성형후 건조하는 것으로 제조되며, 상기 캡핑재는 바지선, 백호, 컨베이어벨트 및 크람쉘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수단을 이용하여 수중 오염 퇴적물위에 위치되어 반응차단층을 형성함에 따라 시공되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apping material for the treatment of water-contaminated sediments in which organic clay mixed with a reactant is coated with a polymer, and the capping material is mixed with organic reactant with a reactant, and coated with organic polymer mixed with a polymer solution, and coated organic It is prepared by mixing clay with water and drying it after molding, wherein the capping material is placed on the water contaminated sediment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rges, backhoes, conveyor belts and clamshells to form a reaction barrier layer. It is constructed accordingly.

유기점토, 오염퇴적물, 원위치 처리, 캡핑Organoclay, Contaminated Sediment, In-situ Treatment, Capping

Description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를 위한 캡핑재, 그의 제조방법 및 캡핑재의 시공방법{CAPPING MATERIALS FOR IN SITU TREATING CONTAMINANT SEDIMENT IN WAT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PLOYING WITH THE SAME}CAPPING MATERIALS FOR IN SITU TREATING CONTAMINANT SEDIMENT IN WAT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PLOYING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가 수중 오염퇴적물 위에 반응차단층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eaction barrier layer on the water contaminated sediment.

도 2는 캡핑재에 의한 반응차단층 위에 캡핑보호층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pping protection layer is formed on the reaction blocking layer by the capping materi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주 구성성분인 α-셀룰로스로 코팅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의 건조 후 분말로 만든 상태를 나타낸 SEM 사진이다.Figure 3 is a SEM photograph showing a state made of powder after drying of the wyoming bentonite coated with α-cellulose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수중 침전실험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underwater precipitation test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수중 침전실험에서 탁도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진이다.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ifference in turbidity in the water precipitation experiment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수중 팽윤성 실험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underwater swelling test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주 구성성분인 유기점토의 SS(suspended solid)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SS (suspended solid) of the organic clay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주 구성성분인 유기점토의 TN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TN measurement results of the organic clay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투수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가 반응차단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10A through 10C are photographs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reaction blocking layer by a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차단층 형성 후 캡핑보호층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11A and 11B are photographs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capping protective layer after the reaction barrier layer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오염퇴적물 2 캡핑재1 Contaminated sediment 2 Capping material

3 물 4 반응차단층3 water 4 reaction barrier layer

5 지층 6 모래5 Strata 6 Sand

7 자갈 8 토목섬유 7 Gravel 8 Geotextile

10 시료 11 몰드10 Sample 11 Mold

12 스탠드 파이프 13 수조12 stands pipe 13 countertop

14 저수조 15 유공판14 reservoir 15 hole plate

16 필터 17 철망 16 filter 17 wire mesh

본 발명은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를 위한 캡핑재, 그의 제조방법 및 캡핑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물질과 혼합된 유기점토를 고분자로 코팅시킨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를 위한 캡핑재, 그의 제조방법 및 캡핑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ping material for in-situ treatment of contaminated sediment in wa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apping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a cap for in-situ treatment of contaminated sediment coated with a polymer of organic clay mixed with a reactant. It relates to a ping material, a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capping material.

환경부에서는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전국의 모든 수계에서의 수질 오염을 엄격하게 규제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오염총량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관련업계와 지자체에서는 날이 갈수록 늘어만 가고 있는 수질오염원을 줄이기 위하여 계속적인 환경오염원 저감을 위한 투자를 하고 있지만, 별다른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implementing the Pollution Total System as a way to strictly regulate water pollution in all water systems throughout the country,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In line with this, related industries and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investments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ants to reduce water pollutants, which are increasing day by day, but they are not showing any results.

수계에서의 오염총량을 저감하기 위해서 유입량의 관리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재 수계에 퇴적되어 있는 엄청난 양의 오염원을 줄여 나가는 것이다. 수중 퇴적물에는 수중생물 혹은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농도의 유기물, 인, 질소뿐만 아니라 중금속등의 특정수질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In addition to managing the inflow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reduce the total amount of pollution in the water system is to reduce the huge amount of pollutants currently deposited in the water system. Underwater sediments contain high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phosphorus and nitrogen, as well as certain water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heavy metals, which can adversely affect aquatic life or public health.

생태학적으로 퇴적물은 저서생물이 부착 또는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생태계의 중요한 요소로 수체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산업폐수, 생활오수, 폐기물처리장 침출수, 도시 및 농촌의 강우 유출수에 포함되어 하천으로 유입된 유기물, 영양염류, 유해화학물질 등의 오염물질은 하류로 운반되다가 비교적 유속이 약한 하천, 호소, 하구, 해양 바닥에 침강·퇴적된다.Ecologically, sediments are organically linked to waterbodies as important elements of the aquatic ecosystem that provide space for benthic organisms to attach or live. Contaminants such as organic wastes, nutrients, and harmful chemicals, which are included in industrial wastewater, domestic sewage, waste treatment plant leachate, and urban and rural rainfall runoff, are transported downstream and have relatively low flow rates. Settle and deposit on the ocean floor.

퇴적된 유기물은 산소 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분해시 유독가스를 발생하여 저서생물의 생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계속적인 용출로 끊임없이 오염의 원천이 되고 있다. 유해물질의 경우 물리화학적 환경 변화에 따라 생화학적인 반응 과정을 통해 수중으로 재용출 되어 수생생물뿐만이 아닌 먹이사슬을 따라 농축되어 종국적으로 인류 건강에까지 큰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오염퇴적물의 문제점에 대하여 요약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Accumulated organic matter generates poisonous gases during decomposition in a situation where oxygen supply is difficult, and has a fatal adverse effect on the survival of benthic organisms, and is continuously being a source of pollution through continuous elution. Toxic substances are re-dissolved into water through biochemical reactions according to changes in physicochemical environment and are concentrated along the food chain as well as aquatic organisms. The summary of the problems of contaminated sediments is as follows.

- 고농도의 오염원이다.-It is a high concentration pollutant.

- 유해화학물질과 중금속이 농축되어 있다.-Hazardous chemicals and heavy metals are concentrated.

- 오염퇴적물의 부상으로 인한 계속적인 오염을 일으킨다.-Causes continuous contamination due to injury of contaminated sediment.

- 오염퇴적물의 처리 없이는 하천, 호소수, 해양오염의 관리에 한계가 있다.-Without the treatment of polluted sediments, there is a limit to the management of rivers, lakes and marine pollution.

- 저서생물의 생존에 치명적이며 수계 전반적인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It is fatal to the survival of benthic organisms and has a big impact on the overall ecosystem of the aquatic system.

- 곧 시행될 ‘오염 총량제’에 가장 큰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It is the biggest problem in the upcoming pollution total system.

- 상류의 유입수질을 개선할 지라도 기존 오염퇴적물로 인하여 하류에 지속적으로 오염이 전파된다.-Even if the upstream water quality is improved, the pollution continues to spread downstream due to the existing sediment.

이와 같이 오염퇴적물은 호소, 강 등의 환경오염을 가중시키는 주 원인이 되고 있으나, 이를 처리하기 위한 기존의 방안으로는 준설에 의한 오염퇴적물 처리가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As such, the contaminated sediments are the main cause of increasing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appeals and rivers, but the existing method for treating them is the only treatment of dredged contaminated sediments.

그러나, 이와 같은 준설은 동일한 수역에서 장기간 시행될 경우 퇴적물이 준설지역으로 이동하여 다시 쌓이는 재용출의 문제가 나타나고,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 및 독성물질의 잠재적 유출, 조류의 일시적 번식에 따른 생태계의 영향, 저서생물의 먹이인 유기물의 감소, 작업에 따른 큰 소음발생, 그리고 준설물질 처리에 따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대규모 사업이기 때문에 계획단계에서 재원의 확보가 보장되어야 하며, 소요재원이 단기간에 투입되어 사업기간을 단축시켜야 한다. However, such dredging has a problem of re-elution that sediment moves to dredging area and re-establishes if it is carried out for a long time in the same water area, as well as potential release of harmful and toxic substances, impact of ecosystem due to temporary breeding of algae, There are problems with the reduction of organic matter that feeds benthic organisms, the generation of loud noises due to work, and the treatment of dredged materials. Therefore, because it is a large-scale project that requires a lot of budget,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resources at the planning stage, and the required resources must be short-term and shorten the project period.

준설방법은 하상 퇴적물의 종류, 퇴적량 등을 고려하여 바스켓 준설기 또는 펌프식 준설기를 적용하여야 한다. 준설 방법이 잘못 택해졌을 때는 준설기간 동안 수중 생태계의 큰 혼란이 일어날 수 있으며, 준설후에 따르는 문제점으로는 토사의 재부상으로 탁도가 증가하고 준설에 의한 새로운 오염물질의 용출 등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고 준설 후 발생된 퇴적토의 처리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부분의 준설은 사업의 규모가 커서 사업과정에서 야기되는 환경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제거된 준설토의 처리문제가 있어 그 시행에 있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하기 표 1 은 기계식 준설과 유압식 준설의 장단점을 비교한 것이다.Dredging method is to apply basket dredger or pump dredger in consideration of river sediment type and amount of sediment. If the dredging method is incorrectly selected, a great disruption of the aquatic ecosystem may occur during the dredging period, an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dredging may include turbidity due to resuspension of soil and secondary pollution such as elution of new pollutants by dredging. And there is a problem of treatment of sediment soil generated after dredging. Most dredging projects have large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the project, and there are problems with the removal of dredged soil, which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in its implementation. Table 1 compar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echanical dredging and hydraulic dredging.

준설방식Dredging method 장점Advantages 단점Disadvantages 기계식Mechanical ·고도의 준설 운용성 ·모든 종류의 고형물질 제거 ·오염퇴적물을 수중에서 제거· High dredging operability · Elimination of all kinds of solid matter · Elimination of contaminated deposits in water ·대형 장비와 준설 물질의 수송 ·다량의 퇴적물 재부유 ·준설물질의 재처리 필요 ·낮은 준설 용량 ·높은 준설 비용 ·준설 퇴적물의 수송· Transport of large equipment and dredged material · Resuspend of large amount of sediment · Need to reprocess dredged material · Low dredging capacity · High dredging cost · Transport of dredged sediment 유압식Hydraulic ·퇴적물의 재부유가 상대적으로 적음 ·오염퇴적물을 수중에서 제거Resuspension of sediments is relatively small.Pollutant sediments are removed from the water. ·대형 장비와 준설 물질의 수송 ·퇴적물과 함께 처리장으로 유입된 다량의 수분을 최종 처리 전에 해결 ·설치되는 수송관이 수상교통에 방해 ·준설 해역에 고형물질 잔존 가능 ·준설 물질의 재처리 필요Transport of large equipment and dredged materialsResolve large amounts of water entering the treatment plant together with sediment before final disposalDisruption of installed pipelines may disrupt water trafficDractive materials may remain in dredged watersReprocessing of dredged materials

하기 표 2는 퇴적물 준설방식을 더 구체화하여 이들을 평가한 것이다.Table 2 below is more detailed evaluation of the sediment dredging method.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1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1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방식의 준설은 자체적인 한계가 있고, 또한 퇴적물 재부유라는 문제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Such various types of dredging have their own limitations and have all the problems of resuspension of sediment.

이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호소, 강 등의 오염퇴적물을 처리하는 준설방식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한 결과, 호소, 강 등의 오염퇴적물을 그 위치에서 캡핑재를 이용하여 차단, 고립시키는 경우, 준설과 달리 오염원의 이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시공 중 오염원의 확산과 용출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고, 준설의 경우 발생되는 퇴적물 처리에 따른 2차 비용이 요구되지 않는 다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dredging method for treating contaminated sediments, such as appeal, river, etc. Unlike dredging, it was possible to prevent the movement of pollutants at the source, thereby completely preventing the spread and dissolution of pollutants during construction, and in the case of dredging,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secondary cost is not required due to sediment treatment.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 오염퇴적물 처리를 위한 캡핑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ping material for the treatment of contaminated sediments in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중 오염퇴적물 처리를 위한 캡핑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capping material for treating a water contaminated sedimen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중 오염퇴적물 처리를 위한 캡핑재를 이용한 원위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itu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apping material for the treatment of water contaminated sedimen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응물질과 혼합된 유기점토를 고분자로 코팅시킨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를 위한 캡핑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pping material for the in-situ treatment of contaminated sediment in water coated with a polymer of organic clay mixed with a reactant.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유기점토를 반응물질과 혼합하는 단계; a) mixing organoclay with reactants;

b) 고분자로 혼합된 유기점토를 코팅시키는 단계; b) coating the organic clay mixed with the polymer;

c) 코팅된 유기점토를 물과 혼합하는 단계; 및 c) mixing the coated organic clay with water; And

d) 혼합물을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용 캡핑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d) provides a method of producing a capping material for in-situ treatment of contaminated sediment in wat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nd drying the mixture.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분자로 코팅된 팽창성 점토로 이루어진 캡핑재를 바지선, 백호(back hoe), 컨베이어벨트 및 크람쉘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수단을 이용하여 수중 오염퇴적물위에 원위치시키는 단계; 및 원위치된 캡핑재가 물에 의한 팽윤에 의해 반응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핑재의 원위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o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pping material made of expandable clay coated with a polymer in water using one or more selected mean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rges, back hoe, conveyor belts and clamshells In situ on contaminated sediment; And in situ capping material to form a reaction blocking layer by swelling with water.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는 오염물 처리용 반응물질과 적절히 혼합된 유기 점토를 물리화학적 성질의 안정화를 위하여 고분자 제재로 코팅한 것이다.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ated with a polymer material for stabilizi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clay mixed appropriately with the reactants for treating contaminants.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첫 번째 구성요소인 유기점토로는 팽창성과 수밀성이 우수한 유기점토라면 어느 것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또는 Na-벤토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 다른 구성요소인 오염물 처리용 반응물질은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또는 독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물질이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영가철(zero valent iron), 기타 산화·환원물질 또는 촉매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점토와 반응물질의 혼합비율은 중량을 기준으로 10:1 내지 10: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을 넘어서, 반응물질이 더 많이 사용되거나 더 적게 사용되는 경우 오염물질의 저감이 불충분하게 되거나 잉여 반응물질이 누출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As the organic clay which is the first component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rganic clay having excellent expandability and watertightness may be used, but preferably Wyoming bentonite or Na-bentonite is used. Another component, the contaminant for treating pollutants, may be selected from a substance that can react with the contaminant to decompose the pollutant or remove the toxic, preferably zero valent iron, or the like. Oxidation-reducing substances or catalysts can be used. In addition, the mixing ratio of the organic clay and the reactant is preferably 10: 1 to 10: 3 based on the weight. Beyond this ratio, the use of more or less of the reactants may result in insufficient reduction of contaminants or the leakage of excess reactants.

유기점토에 코팅되는 고분자 제제로는 유기점토의 물리화학적 성질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친환경 재료인 α-셀룰로스 또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polymer preparation coated on the organic clay, a polymer capable of stabilizi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organic clay may be used, and preferably, α-cellulose or cellulose acetate, which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is used.

유기점토도 고분자 제제도 모두 자연에서 생산되는 친환경적인 재료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2차적인 하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Both organic clays and polymer formulations can be selected as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produced in nature,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river pollu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는 pH가 6 내지 9이고, 비중은 27℃에서 2.4 내지 2.8 이고, 투수계수는 10-6 내지 10-8 m/sec인 것이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를 위해 요구된다.In addition,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pH of 6 to 9, specific gravity of 2.4 to 2.8 at 27 ℃, permeability coefficient of 10 -6 to 10 -8 m / sec is required for the in-situ treatment of contaminated sediment in water. .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는 수중 오염퇴적물의 상부에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밀도여야 하며, 따라서 고밀도인 캡핑재가 하상에 살포되어 오염퇴적물 위에 침강되어 차단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 차단층이 오염퇴적물과 상층부의 물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준설과는 달리 오염원의 이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에 시공 중 오염원의 확산과 용출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비중은 고비중일수록 바람직하지만, 실제 현장의 조건을 고려하여 27℃에서 2.4 내지 2.8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dense because it must be located on top of the contaminated sediment in water, so that the dense capping material can be sprayed on the bottom and settle on the contaminated sediment to form a barrier layer, which is the barrier layer and the upper layer. Water can be completely separated. Unlike dredging, it prevents the movement of pollutants at the source, which can completely block the spread and dissolution of pollutants during construction. Therefor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preferably higher specific gravity, but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ite conditions is preferably 2.4 to 2.8 at 27 ℃.

또한, 수저면의 오염원은 캡핑재에 의한 차단층에 의해 용출이 전면 차단되기 때문에 유기오염물질은 혐기과정을 통해 분해가 되며, 이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해가스 제거를 위해 여과기능을 갖는 장치를 시공중에 추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ource of contaminants on the bottom surface is completely blocked by the barrier layer by the capping material, organic pollutants are decomposed through the anaerobic process, and gas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Therefore, a device having a filtering function may be added during construction to remove harmful gases.

또한, 캡핑재의 화학적 성상 중 완충성능이 크면, 즉 pH 변화가 적으면 오염물질의 탈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염퇴적물을 적정수준으로 저감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캡핑재의 pH는 6 내지 9 범위에 있어야 한다. 이는 준설을 이용한 공법에서 발생되는 퇴적물 처리에 따른 2차 비용이 캡핑재는 전혀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사비용의 상당부분을 절약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buffering properties of the capping material is large, that is, if the pH change is smal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sorption of the contaminants can act to reduce the contaminated sediment to an appropriate level. Therefore, in order to play such a role, the pH of the capping material should be in the range of 6-9. This saves a considerable part of the construction cost because the secondary cost of sediment treatment from dredging process does not require any capping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는 캡핑재에 의한 차단층이 오염퇴적물과 상층부의 물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기 위해서 차수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캡핑재 의 투수계수는 10-6 내지 10-8 m/sec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t have a water order so that the barrier layer by the capping material can completely separate the contaminated sediment and the water of the upper layer. Therefore,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capping material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6 to 10 −8 m / sec.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에 따른 캡핑재의 제조방법은 a) 유기점토를 반응물질과 혼합하는 단계; b) 고분자 용액으로 혼합된 유기점토를 코팅시키는 단계; c) 코팅된 유기점토를 물과 혼합하는 단계; 및 d) 혼합물을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thod for producing a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mixing the organic clay with the reactant; b) coating the organic clay mixed with the polymer solution; c) mixing the coated organic clay with water; And d) molding the mixture and then drying.

상기 혼합 단계 a)에서 사용되는 유기점토는 팽창성과 수밀성이 높은 우수한 점토, 예를 들면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또는 Na-벤토나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응물질로는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거나 독성을 제거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면 영가철 (zero valent iron), 기타 산화·환원물질 또는 촉매제가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의 혼합비율은 중량기준으로 10:1 내지 10:3 이 바람직하다. The organic clay used in the mixing step a) may be an excellent clay having high expandability and watertightness, for example, Wyoming bentonite or Na-bentonite, and reacting with the pollutant to decompose the pollutant or remove the toxicity. Possible materials, such as zero valent iron, other redox materials or catalysts, may be used, and the mixing ratio thereof is preferably 10: 1 to 10: 3 by weight.

상기 코팅 단계 b)는 ⅰ) 고분자를 유기용매 중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ⅱ) 혼합된 유기점토를 상기 고분자 용액중에 침지·교반시켜 혼합하는 단계; ⅲ) 고분자가 유기점토 상에 코팅되도록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coating step b) is iii) preparing a polymer solution by dissolving th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Ii) immersing and stirring the mixed organic clay in the polymer solution for mixing; Iii) evaporating the organic solvent so that the polymer is coated on the organic clay.

상기 고분자를 유기용매 중에 용해시키는 단계 ⅰ)는 고분자를 유기점토에 코팅시키기 위해 고분자를 액상으로 준비하는 것이다. 여기서, 유기용매는 휘발성이 큰 것으로서 건조단계에서 제거되어 사용시 오염원이 되지 않는 것, 예를 들면 아세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와 유기용매간의 배합비율은 목표하는 코팅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Dissolving th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iii) is to prepare the polymer in the liquid phase to coat the polymer on the organic clay. Here, the organic solvent is a high volatility that is removed in the drying step is not used as a source of contamination, for example, acetone may be used. The blending ratio between the polymer and the organic solv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target coating.

또한, 혼합된 유기점토를 고분자 용액 중에 침지·교반시켜 혼합하는 단계 ⅱ)에서 혼합된 유기점토와 고분자 용액의 배합비는 고분자 용액 100중량부당 혼합된 유기점토 10 내지 2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분자가 유기점토에 균질하게 코팅되지 않을 수 있어 사용시 수중에 침투되었을 경우 팽윤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ending ratio of the organic clay and the polymer solution mixed in the step ii) of dipping and stirring the mixed organic clay in the polymer solution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0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mixed organic clay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solution. If it is outside the polymer may not be homogeneously coated on the organic clay may cause problems in the swelling property when penetrated into water during use.

이어서, 유기점토 상에 고분자가 코팅되도록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 ⅲ)가 진행된다. 여기서, 증발은 건조공정을 통해 진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온 건조, 고온 건조 또는 진공 저온 건조, 기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에서 건조시킨다. Subsequently, the step iv) of evaporating the organic solvent is performed so that the polymer is coated on the organic clay. Here, evaporation may be carried out through a drying process, specifically, room temperature drying, high temperature drying or vacuum low temperature drying, and other commonly used methods and apparatuses may be used, and preferably, dried at 10 to 25 ° C.

상기 혼합 단계 c)에서 코팅된 유기점토를 물과 혼합한다. 코팅된 유기점토를 물과 혼합하기 전에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공정은 햄머밀 또는 기타 적절한 상용 분쇄기를 이용하여 평균 200 메쉬(입도)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rganic clay coated in the mixing step c) is mixed with water. It is preferable to grind the coated organoclay before mixing with water. The grinding process is preferably milled to an average of 200 mesh (particle size) using a hammer mill or other suitable commercial grinder.

물과의 혼합시 물의 양은 고분자 코팅된 유기점토 분말 100중량부 당 40 내지 60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양이 40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건조시킨 후에 균열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6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건조기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amount of water upon mixing with water is preferably mixed in an amount of 40 to 6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coated organic clay powder. If the amount of water is used less than 40 parts by weight may not be preferable because the crack may occur after drying, when used in excess of 60 parts by weight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drying period is long.

이어지는 건조 단계 d)는 혼합물을 성형한 후 건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혼합물은 여러 가지 형태, 예를 들면 입상, 큐빅, 원통형 등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것은 입상 형태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는 입상 형태의 캡핑재가 수중에 침투되는 경우 전방향으로 팽윤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입상 형태로 성형 되는 경우, 다양한 크기가 가능하지만, 건조시 균열 등을 고려하여 직경이 2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rying step d) is followed by molding the mixture and then drying. Here, the mixture can be shaped into various forms, for example granular, cubic, cylindrical, and the like, with preference being given to granular form. This is because the granular capping material may swell in all directions when penetrated into the water. In addition, when molded in a granular form, various sizes are possible, but in consideration of cracks during dry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is 2 to 4 cm.

상기 성형물은 건조시간, 건조 후 균열, 및 강도 발현을 고려하여 적절한 온도에서 건조될 수 있으며, 건조공정은 상온 건조, 고온 건조 또는 진공 저온 건조, 기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에서 건조시킨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건조하는 것이 캡핑재료로서의 효율성을 최대로 할 수 있다.The molded article may be dri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in consideration of drying time, cracking after drying, and strength development, and the drying process may use room temperature drying, high temperature drying or vacuum low temperature drying, and other commonly used methods and apparatuses. Preferably it is dried at 10-25 degreeC. Most preferably, drying at room temperature can maximize the efficiency as the capping material.

상기와 같이 제조된 캡핑재를 이용한 원위치 시공방법은 바지선, 백호, 컨베이어 벨트 및 크람쉘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수단을 통해 캡핑재를 수중 오염퇴적물 위에 원위치시키는 단계; 및 원위치된 캡핑재가 물에 의한 팽윤에 의해 반응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in-situ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apping material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comprises the steps of: incorporating the capping material on the water contaminated sediment through at least one selected mean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rges, backhoes, conveyor belts, and clamshells; And the in-situ capping material forms a reaction barrier layer by swelling with water.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는 운반 및 시공상에 필요한 강도를 발현하므로 일반 골재와 같은 방법으로 운반과 취급을 할 수 있다. Since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s the strength required for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it can be transported and handled in the same way as general aggregates.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가 수중 오염퇴적물 위에 위치되면서 일정 시간 경과후 물에 의한 캡핑재의 팽윤에 의해 공극이 폐쇄되면서 반응차단층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가 수중 오염퇴적물위에 반응차단층을 형성하는 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염퇴적물(1)위에 캡핑재(2)가 위치됨에 따라 물(3)에 의한 캡핑재(2)의 팽윤에 의해 캡핑재간에 공극이 폐쇄되어 차단층(4)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As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on the contaminated sediment in water, the voids are closed by swelling of the capping material by wat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forming a reaction blocking layer. 1 schematically shows that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eaction barrier layer on a water contaminated sediment. As can be seen from FIG. 1, as the capping material 2 is positioned on the contaminated sediment 1, the voids are closed between the capping materials by swelling of the capping material 2 by water 3 so that the blocking layer ( It can be seen that 4) is formed.

오염퇴적물을 캡핑하기 위해 요구되는 캡핑재의 양은 환경조건, 퇴적된 오염 물의 양 및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단위면적당 10cm 두께의 차단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capping material required to cap the contaminated sediment may vary depending on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amount and type of contaminated sediments, but it is preferable to form a barri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cm per unit area.

또한 하천, 해안 등 물의 흐름이나 파에 의한 하상 오염 물질의 물리적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핑재에 의한 반응차단층위에 캡핑보호층을 추가로 구성할 수가 있고, 이 보호층의 구성 재료로는 현장 수저면의 물리적 현상에 따라 오염되지 않은 준설점토, 모래, 자갈, 토목섬유 등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pping protection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reaction barrier layer by the capping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physical diffusion of river contaminants due to water flow or waves such as rivers and coasts. Depending on the physical phenomenon of the bottom surface can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uncontaminated dredged clay, sand, gravel, geotextiles and the like.

상기 캡핑보호층이 캡핑층을 형성한 이후 연속해서 형성할 경우, 자갈 또는 모래 등이 팽윤되는 유기점토 안으로 침하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을 나타내게 되어 유기점토와 보호층이 섞이면서 보호층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캡핑보호층은 캡핑재의 투하 후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핑 보호층은 수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단력으로부터 캡핑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공 될 수 있다. 이때 충분한 양으로 시공되는 것이 좋으나 경제성을 고려할 때 20cm 이내의 두께로 시공되는 것이 좋다. 단, 토목섬유를 사용할 경우는 유기점토와 캡핑보호층이 섞이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캡핑재 원위치 이후에 이어서 바로 설치하는 것이 유기점토가 수체내에서 더욱 낮은 투수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When the capping protection layer is continuously formed after the capping layer is formed, the capping protection layer may exhibit a phenomenon similar to that of gravel or sand being swelled into the swollen organic clay, and thus the function of the protective layer may be reduced while the organic clay and the protective layer are mixed. Since there is, the capping protective layer is preferably installed at regular time intervals after the capping material is dropped. The capping protective layer may be constructed to protect the capping layer from shear forces that may occur in the body of water. At this time, it is good to be constructed in a sufficient amount, but considering the economic feasibility, it should be constructed to a thickness within 20cm. However, when using geotextiles can prevent the organic clay and the capping protection layer is mixed, the installation immediately after the capping material in situ may help the organic clay to maintain a lower permeability in the water body.

또한 캡핑의 부등침하나 단차에 의한 균열 및 그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캡핑층의 상부에 토목섬유 또는 그에 상응하는 인장력만을 가해줄 수 있는 그물망 등을 설치하여 더욱 좋은 품질의 캡핑을 완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racking and other damage caused by uneven sedimentation of the capping, a better quality capping can be completed by installing a mesh that can apply only a geotextile or a corresponding tensile for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pping layer. have.

도 2는 캡핑재에 의한 차단층위에 캡핑보호층이 형성된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가 오염퇴적물(1) 위에 반응차단층(4)을 형성한 후, 모래(6); 모래(6) 및 자갈(7); 및 모래(6), 자갈(7) 및 토목섬유(8)로 이루어진 각각의 캡핑보호재가 반응차단층(4) 위에 캡핑보호층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pping protection layer is formed on a blocking layer by a capping material. As shown in Fig. 2, after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reaction barrier layer 4 on the contaminated deposit 1, sand 6; Sand 6 and gravel 7; And it can be seen that each capping protective material consisting of sand (6), gravel (7) and geosynthetic fiber (8) forms a capping protective layer on the reaction blocking layer (4).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것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pH, 비중, 팽윤성, 수중 침전성, N,P 흡착성, 투수계수 및 성형성을 평가하여 캡핑재로서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n Examples, the pH, specific gravity, swelling property, sedimentability in water, N, P adsorption property,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moldability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evaluat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as a capping material.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Example 1

유기점토로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100g과 반응물질로서 영가철을 10g 혼합하였다. 이어서, 아세톤 100㎖당 고분자인 α-셀룰로스 1㎎을 투여하고 용해시켰다. 이후에, 영가철과 혼합된 200 메쉬의 가름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1g에 상기 α-셀룰로스를 투여한 아세톤 용액 40㎖의 비율로 골고루 혼합하여 95℃의 건조로에서 건조한 후 평균 입경이 200 메쉬 이하가 되도록 분쇄한 후 아세톤 냄새가 전혀 나지 않을 때까지 완전히 건조시켰다. 완전 건조된 영가철과 혼합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30g당 물 100㎖의 비율로 혼합하여 평균 직경이 16 내지 19㎜이고, 중량이 2.7 내지 3.6g의 입상 형태로 성형 한 후 상온에서 13일 동안 건조하여 캡핑재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를 이후의 실험에 사용 하였다.100 g of Wyoming bentonite as organic clay and 10 g of ferrous iron as a reactant were mixed. Subsequently, 1 mg of α-cellulose, a polymer per 100 ml of acetone, was administered and dissolved. Thereafter, 1 g of 200 mesh of wyoming bentonite mixed with ductile iron was evenly mixed at a ratio of 40 ml of the acetone solution administered with α-cellulose, dried in a drying furnace at 95 ° C., and pulverized to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0 mesh or less. After drying, it was completely dried until there was no acetone odor. After mixing in a ratio of 100 ml of water per 30 g of Wyoming bentonite mixed with fully dried ductile iron, an average diameter of 16 to 19 mm and a weight of 2.7 to 3.6 g were formed in a granular form, followed by drying for 13 days at room temperature. A ping material was prepared.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us prepared was used in subsequent experiments.

실시예 2Example 2

α-셀룰로스 대신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캡핑재를 제조하였다.Capping materia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using cellulose acetate instead of α-cellulose.

시험예Test Example

1. 고분자 코팅된 유기점토의 SEM 사진1. SEM photograph of polymer coated organic clay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캡핑재의 주 구성성분인 α-셀룰로스로 코팅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의 건조 후 분말로 만든 상태를 SEM사진으로 나타낸 것을 도 3에 나타내었다.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wder made after drying of the wyoming bentonite coated with α-cellulose,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capping material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SEM.

2. pH 측정실험2. pH measurement experimen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캡핑재의 pH를 측정하여 캡핑재의 수체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pH 측정 방법은 2002년 환경부에서 발행한 토양오염공정시험법에 의하여 시료 5g을 측정하여 50㎖ 비이커에 넣고 증류수 25㎖을 가한 후 유리막대로 저어주면서 1시간 방치 후 pH 표준액으로 잘 맞춘 다음 깨끗한 프로브를 넣고 60초 이내에 읽는다. 실험에 사용한 pH 측정기기는 Orion 710A pH Meter이며 3개의 보정용액을 사용하여 기기보정을 실시하였다. 시료로는 실시예 1 및 2의 시료와 증류수, 아세톤,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및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와 아세톤 혼합 액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The pH of the capping materials of Examples 1 and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measur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capping materials. pH measurement method was measured by soil pollution process test method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02, measure 5g in a 50ml beaker, add 25ml of distilled water, stir with a glass rod, leave for 1 hour, adjust the pH standard solution well, and then clean the probe. Put in and read within 60 seconds. The pH measuring instrument used in the experiment was an Orion 710A pH Meter, and the instrument was calibrated using three calibration solutions. The samples of Examples 1 and 2, distilled water, acetone, Wyoming bentonite, and Wyoming bentonite and acetone mixed solution were us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2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캡핑재는 약 알카리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체에 적용하는 경우 생태계의 교란 등의 위험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Thus, it can be seen that the capping materials of Examples 1 and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weak alkalinity. Therefore, when applied to water bodies, it is judged that there is little risk of disturbance of ecosystem.

3. 비중측정 실험3. Specific gravity measurement experiment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얻은 캡핑재의 비중을 측정하였다. 먼저 시료 1(실시예 1), 시료 2(실시예 2) 및 시료 3(와이오밍 벤토나이트), 비중병, 저울, 온도계 및 증류수를 준비하고 KS F 2308-91 또는 ASTM D854-91에 의한 시험법에 의하여 비중을 측정하였다. 비중을 측정하기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병 무게 측정; 2) 시료를 비중병에 담은 후 비중병+시료 무게 측정; 3) 시료가 들어있는 병에 증류수를 반 정도 채운 후 10분 이상 가열하여 끓인다; 4) 30도 이하로 식힌 후 증류수로 비중병의 나머지를 가득 채운후 비중병+시료+물의 무게와 온도를 각각 측정; 5) 같은 비중병에 물을 가득 채우고 무게와 온도 측정.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The specific gravity of the capping material obtained in Examples 1 and 2 was measured. First, Sample 1 (Example 1), Sample 2 (Example 2) and Sample 3 (Wyoming Bentonite), pycnometers, scales, thermometers and distilled water were prepared and tested by KS F 2308-91 or ASTM D854-91. Specific gravity was measured. The procedure for measuring specific gravity is as follows. 1) bottle weighing; 2) weighing the pycnometer + sample after placing the sample in the pycnometer; 3) Fill the bottle containing the sample with half distilled water and boil it over 10 minutes; 4) After cooling to 30 degrees or less, fill the rest of the pycnometer with distilled water and measure the weight and temperature of pycnometer + sample + water, respectively; 5) Fill the same pycnometer with water and measure the weight and temperatur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3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3

22℃에서 물의 비중은 0.997800이고 27℃에서 물의 비중은 0.996544이다. 이때 다음과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비중을 구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t 22 ° C. is 0.997800 and the specific gravity of water at 27 ° C. is 0.996544. At this time, the specific gravity can be obtain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4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4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5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5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6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6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7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7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8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8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9
Figure 112004021644061-pat00009

상기 비중 측정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가 가공되지 않은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에 비하여 비중이 좀 적게 나타나지만 캡핑재료로 활용시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정도의 비중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specific gravity measurement experiment, the overall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ears to be a little less specific gravity than the unprocessed Wyoming bentonite, but when used as a capping material it can be seen that the specific gravity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ve.

4. 팽윤 복원 실험4. Swelling Restoration Experiment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제조 후 캡핑재가 원위치에서 원상태로 팽윤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을 하였다. After the preparation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apping material swell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실험은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100㎖에 물 500㎖을 조금씩 부어가며 손으로 와 이오밍 벤토나이트를 기포 덩어리와 팽윤이 덜된 덩어리가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반죽 후, 60㎖의 용기 5개에 겔 형태의 시료를 담고 2일간 건조로에서 99℃로 건조하였다.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pouring 500 ml of water into 100 ml of Wyoming bentonite in small portions and kneading the wyoming bentonite until the bubble lumps and less swelling lumps were completely removed. It dried at 99 degreeC in the drying furnace for 2 days.

시험 결과는 건조 후 줄어든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와 용기 사이의 공극에 물을 채움으로써 공극의 부피를 측정 후 건조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의 부피는 평균 6.8㎖이었으며,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용기의 벽면에 묻어있었다. 용기안의 건조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에 물을 첨가 시 팽윤상태로 돌아와 60㎖의 부피로 복원되는 것이 확인 되었다.The test result was that the volume of the voids measured by filling the pores between the reduced Wyoming bentonite and the vessel after drying was 6.8 ml on average. When water was added to dried Wyoming bentonite in the vessel, it was confirmed that the swelling state was restored to a volume of 60 ml.

5. 수중 침전실험5. Underwater Precipitation Experiment

이 실험은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수중에서 침전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실험을 위한 시료는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This experiment is to determine the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water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mples for this experiment were prepared as follows.

시료 1 : 미처리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Sample 1 : Untreated Wyoming Bentonite

시료 2 : 아세톤 80㎖에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10㎎을 투여한 후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100g과 혼합하여 완전 건조된 시료. Sample 2 : A sample completely dried by administering 10 mg of cellulose acetate to 80 ml of acetone and then mixed with 100 g of bentonite.

시료 3 :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대신 α-셀룰로스를 사용하는 것만 제외하고 2번 시료와 똑 같은 처리를 한 시료. Sample 3 : A sample treat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 2, except that α-cellulose was used instead of cellulose acetate.

시료 4 : 비교시료-모래. Sample 4 : Comparative Sample-Sand.

100g의 시료를 1ℓ메스실린더에 증류수 100㎖와 같이 혼합하여 넣은 후 증류수 650㎖를 추가로 넣었다. 완전교반 후 30일 경과후의 침전양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는 각각의 시료의 침전 후 30일 경과된 후의 침전상태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2번 시료와 3번 시료의 상등수의 탁도 차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 내지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의 경우 수중에서 침전이 잘 되지 않는 광물로서 그 차수성은 뛰어나지만 수중에서 완전 팽윤시 탁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의 코팅가공으로 인한 처리로 침전성능이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α-셀룰로스를 사용하여 코팅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코팅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보다 더 뛰어난 침전 성능을 가지며 탁도가 감소되었다. 100 g of the sample was mixed with 100 ml of distilled water in a 1 L cylinder and 650 ml of distilled water was further added. Precipitation patterns were observed after 30 days of complete stirring.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4 to 5.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precipitation state after 30 days have passed after the precipitation of each sample, 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turbidity difference between the supernatant of the second and third samples. As can be seen from Figures 4 to 5, Wyoming bentonite is a mineral that does not precipitate well in the water is excellent in the degree of ordering,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urbidity is increased during complete swelling in water.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sedimentation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treating Wyoming bentonite with coating. As shown in FIG. 5, Wyoming bentonite coated using α-cellulose had better precipitation performance and reduced turbidity than Wyoming bentonite coated using cellulose acetate.

6. 수중 팽윤성 실험6. Underwater swellability test

이 실험은 캡핑재의 수중 침전시 캡핑재의 제조 방법의 차이에 따른 팽윤성의 변화가 어느 정도 있으며, 이와 같은 팽윤성의 변화가 캡핑재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포함 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실험이다.This experiment is an experiment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swelling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apping material when the capping material is precipitated in water, and whether such a change of swelling property includes th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the capping material.

이 실험의 시료는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Samples of this experiment were prepared as follows.

1번 시료 : 미처리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Sample 1 : Untreated Wyoming Bentonite

2번 시료 :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25g를 아세톤 100mℓ으로 반죽 후 99℃에서 건조시킨 분말. Sample 2 : Powder 25 g of bentonite bentonite was kneaded with 100 ml of acetone and dried at 99 ° C.

3번 시료 : 아세톤 100㎖당 α-셀룰로스 1㎎을 투여하여 용액에 침전된 α-셀룰로스를 제거한 상등액으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 상등아세톤을 25g : 100㎖의 비로 골고루 반죽한 후 99℃의 건조로에서 완전 건조 시킨 후 덩어리를 분말로 만든 다음 다시 건조시켜 아세톤 냄새가 전혀 나지 않도록 한 시료. Sample No. 3 : 1 mg of α-cellulose per 100 ml of acetone was removed and supernatant was removed from the solution of α-cellulose precipitated in the solution. After making the powder into powder and drying it again, the sample does not smell acetone at all.

4번 시료 : 3번 시료와 같은 과정을 거치나 α-셀룰로스를 투여한 아세톤 용액의 침전된 α-셀룰로스까지 혼합하여 만든 시료. Sample 4 : A sample made by mixing the same process as Sample 3 but mixing the precipitated α-cellulose in the acetone solution to which α-cellulose was administered.

5번 시료 : 3번 시료와 같은 과정을 거치나 α-셀룰로스의 투여량 1㎎을 0.25g으로 한 시료. Sample No. 5 : A sample in which the dose of α-cellulose is 0.25 g, which is the same as sample No. 3.

6번 시료 : 3번 시료와 같은 과정을 거치나α-셀룰로스를 2.5g으로 조정하여 제조한 시료. Sample No. 6 : A sample prepared by adjusting the α-cellulose to 2.5 g after the same procedure as Sample No. 3.

각각의 시료 25g을 1ℓ메스실린더에 증류수 100㎖을 넣고 조금씩 교반시키면서 증류수를 넣어 1ℓ를 만든 후 팽윤성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다. 15일 경과후의 팽윤성 시험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으며, 도 6은 각 시료의 비교 차트이다. 25 g of each sample was added to 100 ml of distilled water in a 1 liter cylinder and distilled water was added while stirring a little to make 1 liter and then a swelling comparison test was performed. Swelling test results after 15 days have been shown in Table 8, Figure 6 is a comparison chart of each sample.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0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0

상기 표 8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처리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시료 1보다 아세톤처리 시료 2, 아세톤에 침전된 α-셀룰로스 혼합 처리한 시료 4가 더 작은 팽윤성을 나타내고 있다. 3번 시료의 경우 아세톤에 용해된 1㎎ 이하의 미량의 α-셀룰로스가 투여되었으며, 5번 시료의 경우 250㎎의 α-셀룰로스가 투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팽윤성은 그에 상당하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리고 2500㎎의 α-셀룰로스 투여 시에도 투여량에 상응하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가공된 시료의 팽윤성에 있어서 가공되지 않은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에 비하여 팽윤성이 적게 나타나지만 캡핑재료로 활용시 구조적이나 사용상의 결함을 나타낼 정도는 되지 않는다.As shown in Table 8 and FIG. 6, the acetone treated sample 2 and the sample 4 treated with the α-cellulose mixed precipitated in acetone showed smaller swelling properties than the untreated Wyoming bentonite sample 1. In the case of sample 3, a trace amount of less than 1 mg of α-cellulose dissolved in acetone was administered, and in case of sample 5, 250 mg of α-cellulose was administer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welling. And 2500 mg of α-cellulose did not show an effect corresponding to the dose. The swelling properties of the processed samples as a whole are less swelling than unprocessed Wyoming bentonite, but when used as a capping material, they do not exhibit structural or operational defects.

7. N, P 흡착 실험7. N, P adsorption experiment

캡핑재의 구성요소인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의 특성 중 수중 N, P의 흡착 성능을 다른 광물등과 비교 분석하여 N, P의 흡착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유기점토의 조성을 만들기 위한 실험으로 SS(suspended solid)측정과 병행하여 시험하였다. TN(total phospine)과 TP(total nitrogen)항목을 분석하여 흡착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의한 자외선 흡광도법으로 휴마스 TN, TP분석 키트와 HACH DR/2010 흡광광도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용액은 7월 14일 오후1시 한남대학교 교내의 진한 녹조 현상이 나타나는 호소수를 사용하였다.SS (suspended solid) measurement as an experiment to make the composition of organic clay that can maximize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N and P by analyzing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N, P in water among the properties of Wyoming bentonite, a component of capping material It was tested in parallel. TN (total phospine) and TP (total nitrogen) items were analyzed and their adsorption performance was compared. UV absorbance by water pollution test method was measured by Humas TN, TP analysis kit and HACH DR / 2010 absorbance photometer. As the measurement solution, July 1 at 1 pm, the lake water of green algae in Hannam University was used.

유기점토의 N, P 흡착 시험의 시료는 무첨가(시료 1), 황토(시료 2), 몬트모릴로나이트(시료 3),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시료 4), 활성탄(시료 5)을 각각 300㎖의 오염수에 150㎎(500㎎/ℓ)씩을 투여하여 저속으로 1시간을 교반후 15시간 동안 침전 시킨 다음 상등액을 각각 50㎖씩을 취수하여 SS를 측정하였으며, 여과된 오염수로 TN, TP를 측정하여 상등액중 용존상태의 질소 및 인화합물을 대상으로 각각 2회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표 9와 같으며, 이 결과를 도 7 및 8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Samples of N and P adsorption test of organic clay were 300 ml of no addition (sample 1), ocher (sample 2), montmorillonite (sample 3), wyoming bentonite (sample 4), and activated carbon (sample 5), respectively. 150 mg (500 mg / l) was added to the water, and the mixture was precipitated at low speed for 1 hour, and then precipitated for 15 hours. Then, 50 ml of each supernatant was taken out and SS was measured. TN and TP were measured by filtered contaminated water. Twice each was measured for dissolved nitrogen and phosphorus compounds in the supernatan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9, and the results are shown graphically in FIGS. 7 and 8.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1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1

1. 부유 물질(suspended solids)1.suspended solids

2. 총질소 (호수의 녹조나 적조에 영향을 미치지는 인자)2. Total nitrogen (factors affecting green algae and red tide)

3. 총인(호수의 녹조나 적조에 영향을 미치지는 인자)3. Total person (factor affecting the green algae and red tide of the lake)

상기 표 9 및 도 7 및 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염수는 36㎎/ℓ의 높은 SS를 나타내고 있으며, 활성탄의 경우 다량의 SS를 흡착하여 침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시료의 경우 오히려 광물의 침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증가된 SS를 나타내고 있고 특히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의 경우 수화 및 팽윤특성으로 높은 SS를 나타내고 있다. 용존 상태의 질소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와 활성탄의 경우 높은 흡착제거 효율을 보이고 있고 이는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의 캡핑재료로서의 효용성을 나타내며, 나아가 활성탄의 부분적인 활용도 가능함을 고려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9 and FIGS. 7 and 8, the contaminated water shows a high SS of 36 mg / L, and activated carbon was found to be precipitated by adsorbing a large amount of SS. Mineral precipitation did not occur, indicating increased SS, and especially Wyoming bentonite exhibited high SS due to hydration and swelling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nitrogen compound in the dissolved state, Wyoming bentonite and activated carbon show high adsorption and removal efficiency, which indicates the effectiveness of Wyoming bentonite as a capping material, and furthermore, partial utilization of activated carbon may be considered.

8. 투수계수 실험8. Permeability Experiment

이 실험은 고분자로 코팅된 유기점토와 일반 유기점토의 투수계수를 측정하 여 유기점토의 캡핑재료로서의 원위치에서의 차수 역할이 어느 정도 가능한가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measure the permeability coefficients of organic clay and organic clay coated with polymers, 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degree of ordering role in organic clay as capping material.

실험방법은 변수두투수계수 시험으로써 KS F 2322(1995)에 의한 시험이며, 변수두투수계수 시험의 기구 구성은 도 9와 같고, 제원은 다음과 같다.The experimental method is a variable permeability coefficient test and is a test according to KS F 2322 (1995). The apparatus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permeability coefficient test is as shown in FIG. 9, and the specifications are as follows.

투수계수 장치의 제원Specifications of Permeability Counter

- 스탠드 파이프 직경 : d1= 1cmStand pipe diameter: d1 = 1cm

- 시료의 길이 L : 12cm-Length L: 12cm

- 스탠드파이프의 단면적 a : 0.785cm2 -Cross section of standpipe a: 0.785cm 2

- 시료의 직경 : d2= 9.8cm-Diameter of sample: d2 = 9.8cm

- 시료의 단면적 A : 75.43cm2 -Cross section A of the sample: 75.43 cm 2

유기점토의 투수계수 시험 시험에 사용된 시료는 다음과 같다. Permeability Test of Organic Clay The samples used in the test are as follows.

1번 시료 :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와 증류수를 1:10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완전 팽윤시켰다. Sample No. 1 : Wyoming Bentonite and distilled water were mixed in a volume ratio of 1:10 to complete swelling.

2번 시료 : 아세톤 100㎖당 α-셀룰로스 1㎎을 투여하여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100㎖당 α-셀룰로스 아세톤 용액 100㎖로 반죽하여 건조후 분말상태로 만든 후 다시 완전건조 후, 유기점토:물의 비를 1:10으로 조성하였다. No. 2 sample : 1 mg of α-cellulose per 100 ml of acetone was kneaded with 100 ml of α-cellulose acetone solution per 100 ml of wyoming bentonite, dried and powdered, and then completely dried. The composition was set to 10.

3번 시료 : 2번 시료와 같은 처리를 거친 유기점토:물의 비를 1:5로 조성하여 사용하였다. Sample No. 3 : An organic clay: water ratio of 1: 5 which was treat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 No. 2 was used.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시료(10)를 변수두 투수계수 몰드(11)에 채웠다. 이때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유의하여 넣고, 장치를 결합하고 물을 채운 다음 가압 펌프로 유출부 측으로부터 수압을 가하여 기포를 제거 하여야 하나 낮은 투수성으로 적용에 문제가 있으므로, 시료를 채운후 결합하기전 기포를 최대한 제거 하고 결합 후 수면 이하의 보이는 기포를 제거하고, 1일간 투수를 통해 기포를 완전 제거하고 몰드 내부의 시료들이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도록 하였다. 이때 측정결과는 스탠드 파이프(12)에서의 수두의 변위량(h1 및 h2)과 시간(t1 및 t2)을 측정하여 투수량이 점점 낮아지면서 투수계수 값이 선형적으로 나오는 구간 이후의 값을 측정값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약 1 내지 3일의 기간이 소요된다. 스탠드 파이프(12)에서의 수위를 유지한 후 투수를 멈추고 증발에 의한 수위 변위와 온도를 측정하여 보정하였다. 그 이유는 장시간의 투수를 하는 실험에서 실험장소의 환경조건으로 스탠드 파이프에서의 증발량을 감안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측정한 투수계수는 표 10에 나타내었고, 투수계수값은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The sample 10 made as described above was filled in the variable head permeability mold 11. At this time, make sure that no bubbles are formed, combine the device, fill the water, and then remove the bubble by applying water pressure from the outlet side with a pressure pump, but there is a problem in application with low water permeability, After removing as much as possible, after removing the visible bubbles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bubble was completely removed through the pitcher for 1 day and the samples inside the mold were settled stably.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measured after the displacement amount (h 1 and h 2 ) and the time (t 1 and t 2 ) of the head in the stand pipe 12 and the value after the interval where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is linear as the permeability decreases gradually. Should be used as the measurement and it should take about 1 to 3 days. After maintaining the water level in the stand pipe 12, the water permeation was stopped and the water level displacement and temperature due to evaporation were measured and correct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evaporation amount in the stand pip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test site in a long time permeation experiment. As a result, the measured permeability coefficient is shown in Table 10, and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valu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2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2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3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3

상기 표 10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분자로 코팅된 유기점토의 투수성이 더 낮아서 차수 역할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0, it can be seen that the lower the permeability of the organic clay coated with a polymer is superior to the order role.

9. 유기점토 성형 실험Ⅰ9. Organoclay Molding Experiment I

본 실험은 캡핑재의 성형조건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유기점토가 건조시 부피감소 비율이 높기 때문에 부서지거나 갈라지는 등의 구조적인 결함을 안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고, 캡핑재의 원위치 살포시 성형입자간의 공극을 최소화하여 차수 기능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캡핑재의 성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This experiment is to investigate the molding conditions of the capping material. This is because the organic clay has a structural defect such as cracking or cracking because of high volume reduction rate when drying, and it is formed of a capping material to improve the effect of ordering function by minimizing voids between forming particles when spraying the capping material in place. Because this is required.

유기점토 성형 시험Ⅰ의 시료는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Samples of the organic clay molding test I were prepared as follows.

1번 시료 : α-셀룰로스 : 아세톤을 1㎎ : 100㎖의 비율로 투여하여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1g에 α-셀룰로스를 투여한 아세톤 용액 40㎖의 비율로 골고루 혼합하여 95℃ 건조로에서 건조 후 가루로 분쇄한 다음 유기점토에서 아세톤 냄새가 전혀 나지 않을 때까지 다시 완전히 건조시켰다. 이어서, 완전 건조된 유기점토 30g당 물 100㎖의 비율로 반죽을 하여 평균 직경 16 내지 19㎜, 중량 2.7 내지 3.6g의 입상 형태를 손으로 성형 하여 99℃의 건조로에서 건조하였다. Sample No. 1 : α-cellulose: acetone was administered in a ratio of 1 mg: 100 ml, mixed evenly in a ratio of 40 ml of acetone solution in which α-cellulose was administered to 1 g of bentonite, and then dried in a 95 ° C. drying furnace and ground into powder. The organic clay was then completely dried again until there was no acetone odor. Subsequently, kneading was carried out at a rate of 100 ml of water per 30 g of completely dried organic clay, and granular shap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16 to 19 mm and a weight of 2.7 to 3.6 g were formed by hand and dried in a drying furnace at 99 ° C.

2번 시료 : 1번 시료와 같은 가공을 한 유기점토를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Sample 2 : The organic clay processed in the same manner as sample 1 was dried at room temperature.

3번 시료 : 1번 시료의 α-셀룰로스를 투여한 아세톤 용액 60㎖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50g을 반죽하여 그 상태를 손으로 반죽하여 평균 직경 16 내지 19㎜, 중량 2.7 내지 3.6g의 입상 형태를 손으로 성형 하여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Sample No. 3 : Kneading 50 g of bentonite bentonite with 60 ml of acetone solution administered with α-cellulose of sample No. 1 and kneading the state by hand to obtain a granular form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16 to 19 mm and a weight of 2.7 to 3.6 g by hand. Molded and dried at room temperature.

4번 시료 :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25g에 α-셀룰로스를 투여한 아세톤 용액 30㎖을 혼합하여 60㎖짜리 컵 모양의 종이 용기에 가득 넣은 후 99℃의 건조로에서 건조하였다. Sample 4 : 30 ml of acetone solution in which α-cellulose was administered to 25 g of bentonite was put into a 60 ml cup-shaped paper container and dried in a drying furnace at 99 ° C.

1번 시료를 99℃의 건조로에서 하루 동안 건조시킨 결과 건조는 이루어졌으나 각각의 입상 유기점토는 전부다 갈라져 부서졌다. The first sample was dried in a 99 ° C. drying furnace for one day, but drying was performed, but each granular organic clay was cracked apart.

2번 시료의 경우 햇빛을 받지 않은 채로 상온에서 13일간 건조시켰으며, 건조된 정도도 양호하였고 입상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소정의 강도 발현이 가능했고 평균 직경 9mm 중량 0.64g을 나타냈다. Sample 2 was dried for 13 days at room temperature without sunlight, and the degree of drying was good and the granules were maintained. The predetermined strength was expressed and the average diameter of 9 mm was 0.64 g.

3번 시료의 경우 성형한 유기점토는 전부 그 크기와 모양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약간의 강도를 기대할 수 있었고 표면에 잔금이 많아 부스러지는 성질이 있어 특정 직경이나 무게는 매우 불규칙하였다. 이 시료는 제조시 아세톤으로 반죽을 하였기 때문에 성형시 점토의 끈기가 없는 관계로 성형이 쉽지 않으며, 아세톤의 완전한 증발을 이루기 어려운 관계로 물 속에서 팽윤을 일으킬 때 아세톤의 냄새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In the case of sample 3, all the molded organic clay retained its size and shape, and it could be expected to have some strength, and there was a large amount of residue on the surface. Since this sample was kneaded with acetone at the time of manufacture, it was not easy to mold because it had no stickiness of clay during molding, and it was difficult to achieve complete evaporation of acetone.

4번 시료는 벤토나이트가 잘 건조되어 부서지지 않았으며, 아세톤 냄새도 거의 느낄 수 없었고 건조 이후 부피는 17㎖이였다. 그러나, 캡핑재를 실제 현장에 적용시 운반 작업 가능한 최소한의 강도의 발현을 기대할 수 없었다.Sample 4 was bentonite dried well, was not broken, hardly felt acetone, and the volume after drying was 17 ml.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capping material on the actual site could not be expected to develop the minimum strength that can be transported.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해, 유기점토를 1차적으로 아세톤과 혼합한 후, 2 차적으로 물과 반죽하여 성형한 유기점토를 실온에서 건조하는 것이 캡핑재로서 그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rough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mixing of the organic clay primarily with acetone, and then drying the organic clay molded by kneading with water at room temperature can increase its effectiveness as a capping material.

10. 유기점토 성형 실험 Ⅱ10. Organoclay Molding Experiment Ⅱ

이 실험은 캡핑재 크기에 따른 건조 시간의 차이와 입상성형 가능한 크기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This experiment is to find the difference of drying time according to the size of capping material and the size of granular moldable.

아세톤 100㎖당 α-셀룰로스 1㎎을 투여하여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아세톤을 1:1의 부피비로 골고루 반죽하였다. 98℃의 건조로에서 완전 건조 시킨 후 덩어리를 분말로 만든 다음 다시 건조시켜 아세톤 냄새가 전혀 나지 않도록 하였다. 분말의 가공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증류수의 부피비를 1:1.2 로 혼합하여 골고루 반죽을 하였으며, 반죽을 버니어켈리퍼스로 측정하면서 입상의 직경이 2, 3, 4, 5㎝가되도록 성형하되, 기준 직경의 ± 20%미만의 오차 한도 내에서 손으로 성형을 한 다음 각각의 완성된 입상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상온의 통풍이 잘되는 실내의 그늘에서 건조하되 가열 및 송풍은 하지 않고 상온의 온도를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며 건조하였다.Wyoming bentonite: acetone was uniformly kneaded at a volume ratio of 1: 1 by administering 1 mg of α-cellulose per 100 ml of acetone. After drying completely in a drying furnace at 98 ℃, the mass was made into a powder and dried again so that there was no acetone odor. The powder was processed evenly by mixing the volume ratio of processed Wyoming bentonite: distilled water in a ratio of 1: 1.2, and the dough was measured to have a granular diameter of 2, 3, 4, or 5 cm by measuring with a vernier caliper. Molding was done by hand within an error limit of less than ± 20% and then the weight of each finished granule was measured. Dry in the shade of a room well ventilated at room temperature, but not heated and blown to determine whether it is out of the room temperature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and dried.

유기점토 입상 성형의 건조 기간은 표 11과 같이 직경 2-3cm 크기의 성형은 18일, 4cm 크기의 성형은 21일에 걸쳐 건조가 이루어졌으며, 직경 5cm의 입상 성형은 전부다 반으로 쪼개졌다. 5cm 크기의 입상 성형은 그 크기의 다양성을 활용한다면 유용한 크기이지만 성형 건조상의 품질 관리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이 된다. As for the drying period of the organic clay granular molding, as shown in Table 11, the drying was performed for 18 days for the 2-3cm diameter molding and 21 days for the 4cm molding, and the granular molding having the diameter of 5cm was split in half. Granular molding of 5 cm size is a useful size if it utilizes a variety of sizes, but quality control of molding drying is difficult.

측정 자료는 입상의 (최소 직경 / 최대 직경) > 30% 이상인 경우 해당 입상 은 표본으로 삼지 않았다. 각각의 입상 유기점토의 건조 전후의 중량과 건조후의 직경변화 결과는 아래 표 12 내지 14에 나타냈으며, 그에 따른 부피감소율을 표 15에 나타내었다.The measured data were not sampled when the granularity (minimum diameter / maximum diameter)> 30%. The weight before and after drying of each granular organic clay and the diameter change after drying are shown in Tables 12 to 14 below, and the volume reduction rate is shown in Table 15.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4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4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5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5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6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6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7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7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8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8

상기 표 11 내지 1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로서 유기점토는 입상 형태로써 건조 전 직경이 2 내지 4cm인 것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s can be seen through Tables 11 to 15, as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clay may be usefully used as a granular form having a diameter of 2 to 4 cm before drying.

11. 유기점토 성형 시험 Ⅲ11. Organoclay Molding Test Ⅲ

이 실험은 유기점토를 캡핑재료로서 활용시 캡핑재료의 수중에 살포할 때 침강이 효율적으로 되도록 하기 위하여 입상의 비중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입상 내부에 코어를 사용한 경우의 유용성, 입상성형 건조 기간을 좀더 줄이기 위한 유기점토 : 물 조성비를 재구성하는 경우에 대한 시험이다. 또한 현장에서 캡핑재료를 수체에 살포할 경우 입자의 크기에 따른 낙하 속도의 차이를 인지하여 시공시 보다 효과적인 캡핑재료의 입도분포를 조성과 균질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수중 낙하 시간을 병행하여 측정하였다.This experiment is to increase the specific gravity of granules in order to make sedimentation efficient when spraying the capping material in water when using organic clay as capping material. Organic clay to reduce further: Test for reconstitution of water composition ratio. In addition, when the capping material is sprayed on the water body in the field, the drop spe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is recognized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capping material is measured in parallel with the drop time in order to maintain the composition and homogeneous quality. .

이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아세톤 100㎖당 α-셀룰로스 1㎎을 투여하여 와이오밍 벤토나이트:α-셀룰로스 아세톤 용액을 1kg:1ℓ로 골고루 반죽하였다. 99℃의 건조로에서 완전 건조 시킨 후 덩어리를 분말로 만든 다음 다시 건조시켜 아세톤 냄새가 전혀 나지 않도록 하였다. 분말의 가공된 와이오밍 벤토나이트:증류수를 1kg:1ℓ로 혼합하여 골고루 반죽을 하였다. 반죽을 버니어켈리퍼스로 측정하면서 입상의 직경이 기준직경의 ± 20%미만의 오차 한도 이내에서 손으로 성형을 하여, 입상 직경이 2 및 3㎝인 것과 코어를 삽입한 직경이 2 및 3㎝인 것으로 각각 제조하였다. 이 경우 입상 성형의 코어로는 9.5㎜체를 통과하고 5.66㎜체에 남은 자갈을 3cm직경 입상의 코어로 사용하고, 5.66㎜체를 통과하고 4.75㎜체에 남은 자갈을 2cm입상의 코어로 사용하였다. 성형이 완성된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고, 상온의 통풍이 되는 실내의 그늘에서 건조하되 가열 및 송풍을 하지 않고 온도계를 보면서 실내의 온도가 상온에서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성형 한 시료 중 20%의 표본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입상 한 개의 직경 중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해당 입상의 직경으로 적용 하였으며, 입상의 (최소 직경 / 최대 직경) > 30% 이상인 경우 해당 입상은 표본으로 삼지 않았다. 건조 기간을 하기 표 16에 나타내고, 입상 성형의 건조 결과를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Sampl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evenly kneaded with 1 kg: 1 L of a Wyoming bentonite: α-cellulose acetone solution by administering 1 mg of α-cellulose per 100 ml of acetone. After completely drying in a drying furnace of 99 ℃, the mass was made into a powder and dried again so that there was no acetone odor. The processed wyoming bentonite: distilled water of the powder was mixed to 1kg: 1l to make the dough evenly. While measuring the dough with vernier calipers, the granular diameter was molded by hand within an error limit of less than ± 20% of the reference diameter, and the granular diameter was 2 and 3 cm and the core was 2 and 3 cm. It was prepared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ores of the granular molding passed through a 9.5 mm sieve and the gravel remaining in the 5.66 mm sieve was used as a 3 cm diameter granular core, and the gravel passing through the 5.66 mm sieve and remaining in the 4.75 mm sieve was used as the 2 cm granular core. . The weight of each completed molding was measured, and dried in the shade of a room with ventilation at room temperature, while checking the thermometer without heating and blowing to determine whether the room temperature was out of room temperature. 20% specimens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 maximum and minimum diameters of one granule were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 wa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granular diameter. The figurine was not sampled. The drying period is shown in Table 16 below, and the drying results of the granular molding are shown in Table 17 below.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9
Figure 112004021644061-pat00019

Figure 112004021644061-pat00020
Figure 112004021644061-pat00020

상기 표 1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코어의 크기가 전체 입상의 부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은 관계로 실제 건조 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표 17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많은 양의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발생한 균열은 대체적으로 5㎜이내의 작은 균열이 2-3개정도 발생하였고, 캡핑재료로서 기능상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이 되나 운반 및 시공 과정에서 부서지는 재료의 양이 나타날 수 있다. 중량 감소율은 모두 46%이상으로 내부에 적은 양의 수분을 내포하고 있으며, 코어를 사용한 경우 코어의 부피가 차지하고 있는 무게의 영향으로 코어를 사용하지 않은 입상보다 낮은 중량 감소율을 나타내고 있다. 부피의 감소는 표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2cm 직경의 입상에서 보다 많은 부피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결과 자료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4cm 직경의 입상 도 3cm 입상의 코어 크기와 같은 골재의 코어를 사용하여 입상을 건조 시험해 보았으나 전량 많은 균열이 발생하였다. As shown in Table 16,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ctual drying period, since the size of the core occupied in the total granular volume, and as shown in the results of Table 17, a large amount was used. Cracks occurred, and the cracks generated were generally 2 or 3 small cracks within 5mm, and there was no functional problem as a capping material. Can be. The weight reduction rate is all 46% or more and contains a small amount of moisture therein, and when the core is used, the weight reduction rate is lower than that of the granules without the core due to the weight of the core. The decrease in volume shows more volume reduction in the 2 cm diameter granules as shown in Table 17. Although not shown in the result data, the granules were dry-tested using a core of aggregate equal to the core size of the granule having a diameter of 4 cm, but a large amount of cracks occurr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의 비중을 높이기 위한 유기점토내 코어 삽입의 유용성은 유보적이다.Therefore, the usefulness of core insertion in organic clay for increas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served.

성형된 유기점토 입상의 침강속도 측정은 1L메스실린더에 물을 담고 건조된 유기점토 입상을 낙하하여 시간과 낙하거리를 측정하여 낙하속도를 결정하였다. 그 값은 표 18과 같다. The sedimentation rate of the molded organic clay granules was determined by dropping the dried organic clay granules with water in a 1L mass cylinder and measuring the time and the dropping distance. The values are shown in Table 18.

Figure 112004021644061-pat00021
Figure 112004021644061-pat00021

그리고 각각의 크기에서 코어를 사용한 입상과 사용하지 않은 입상에 있어서 낙하속도의 차이는 없었으며 이는 코어로 사용된 골재의 비중이 크지 않은 이유로 보인다. 실제로 입상의 낙하속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발휘하는 요소는 직경이다. In each siz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lling speed between the granules used and the unused granules. In fact, the biggest factor in the dropping velocity of granularity is the diameter.

12. 캡핑재의 차단층 형성 시험12. Blocking layer formation test of capping material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평균 직경이 16 내지 19㎜이고, 중량이 2.7 내지 3.6g의 입상 형태의 캡핑재 25개를 1ℓ 비이커에 넣은 후, 물을 1ℓ 비이커를 채울 수 있도록 넣었다. 이후, 물 첨가 전, 물 첨가 후 6시간 및 24시간 경과 후, 캡핑 재의 변화를 사진으로 찍어 각각 도 10a, 10b 및 10c에 나타내었다. 도 10a 내지 10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는 수체내에서 물을 흡수하여 팽윤이 이루어지게 되며 팽윤과 동시에 입상 캡핑재간의 공극을 서로 매우면서 두터운 차단층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모래, 자갈 및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캡핑보호재를 그 위에 침투시킨 후 침투직후와 침투한 2일 경과한 후의 사진을 찍어 도 11a 및 11b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1a 및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캡핑층 위에 모래, 자갈 및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캡핑보호재가 침전되어 캡핑보호층을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캡핑보호재가 캡핑재로 된 차단층에 침투된 흔적을 볼 수 없었다.25 capping materials in the form of granules of 16 to 19 mm in diameter and weight of 2.7 to 3.6 g,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were placed in a 1 L beaker, and then water was added to fill the 1 L beaker. Then, before the water addition, after 6 hours and 24 hours after the addition of water, the change in the capping material was photographed and shown in Figure 10a, 10b and 10c,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10A to 10C,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water in the water body to swell and forms a thick blocking layer while swelling and forming voids between the granular capping materials at the same time. Subsequently, a capping protective material made of sand, gravel and geotextiles was infiltrated thereon, and photographs immediately after infiltration and two days after infiltration were shown in FIGS. 11A and 11B,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11a and 11b, it can be seen that the capping protective material consisting of sand, gravel and geotextiles precipitated on the capping layer to form a capping protective layer. Also, as shown in FIG. 11B, no trace of the capping protection material penetrated into the blocking layer made of the capping material was observed.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는 친환경성, 팽윤성, 침수성, 차수성 및 오염원의 흡착성이 뛰어나며, 이와 같은 캡핑재를 이용하여 수중 오염퇴적물에 캡핑하는 시공방법은 상당히 간단하고 고가의 장비사용으로 인한 추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시공 중 발생하는 소음도 적기 때문에 시공상 제약이 준설에 비하여 적다. 뿐만 아니라 오염퇴적지역의 면적에 의한 시공상의 차이점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현장에서 뛰어난 시공성을 발휘하게 된다. 이는 시공의 효율성과 성과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으로서 캡핑의 품질관리에 아주 중요한 이점으로 작용된다.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environmental friendliness, swelling, immersion, water repellency and adsorption of pollutants, the construction method of capping the contaminated sediments in water using such a capping material is quite simple and additional cost due to the use of expensive equipment The construction constraints are less than dredging because the noise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is small. In addition, there is no difference in construction by the area of the polluted sedimentation area, thus exhibiting excellent workability in various sites. This is directly related to construction efficiency and performance, which is a very important advantage in the quality control of capping.

하기 표 19은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캡핑재를 이용한 원위치 시공방법과 기존의 퇴적물 준설방법간의 장단점을 비교한 것이다.  Table 19 compar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etween the origina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app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existing sediment dredging method.                     

Figure 112004021644061-pat00022
Figure 112004021644061-pat00022

Claims (14)

영가철, 기타 산화·환원 물질 및 촉매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반응물질과 혼합된 유기점토를 셀룰로스계 고분자로 코팅시킨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용 캡핑재.Capping material for in-situ treatment of water-contaminated sediments coated with cellulose-based polymers of organic clay mixed with at least one selected reactant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ero iron and other oxidizing and reducing substances and catalysts. 제 1항에 있어서, 유기점토로는 와이오밍 벤토나이트 또는 Na-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용 캡핑재.The capping material of claim 1, wherein the organic clay comprises Wyoming bentonite or Na-bentoni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유기점토와 반응물질의 혼합비율은 중량기준으로 10:1 내지 10:3 인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용 캡핑재.The capping material of claim 1, wherein the mixing ratio of the organic clay and the reactant is 10: 1 to 10: 3 by weight. 제 1항에 있어서, 고분자로는 α-셀룰로스 또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용 캡핑재.The capping material of claim 1, wherein the polymer comprises α-cellulose or cellulose ace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재의 pH는 6 내지 9이고, 비중은 2.4 내지 2.8이고, 투수계수는 10-6 내지 10-8 c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용 캡핑재.The capping material of claim 1, wherein the capping material has a pH of 6 to 9, specific gravity of 2.4 to 2.8, and a permeability coefficient of 10 -6 to 10 -8 cm / sec. . a) 유기점토를 영가철, 기타 산화·환원 물질 및 촉매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반응물질과 혼합하는 단계; a) mixing the organic clay with at least one reacta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rrous iron, other redox materials and catalysts; b) 셀룰로스계고분자를 혼합된 유기점토에 코팅시키는 단계; b) coating the cellulose-based polymer on the mixed organic clay; c) 코팅된 유기점토에 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c) mixing water with the coated organic clay; And d) 혼합물을 성형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용 캡핑재의 제조방법.d) a method of producing a capping material for in situ treatment of contaminated sediment in wat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mixture and then drying 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 a)에서 유기점토와 반응물질의 혼합비율은 중량을 기준으로 10:1 내지 10:3 인 수중 오염퇴적물의 원위치 처리용 캡핑재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ixing ratio of the organic clay and the reactant in the mixing step a) is 10: 1 to 10: 3 based on weigh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 b)는 ⅰ)고분자를 유기용매 중에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ⅱ) 혼합된 유기점토를 상기 고분자 용액중에 침지·교반시켜 혼합하는 단계; ⅲ) 고분자가 유기점토 상에 코팅되도록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 오염 퇴적물의 원위치 처리용 캡핑재의 제조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ating step b) comprises: i) dissolving the 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Ii) immersing and stirring the mixed organic clay in the polymer solution for mixing; Iii) a method of producing a capping material for in situ treatment of water-contaminated sediments comprising evaporating an organic solvent such that the polymer is coated on organic cla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 c)는 코팅된 유기점토 100중량부 당 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으로 된 수중 오염 퇴적물의 원위치 처리용 캡핑재의 제조방법.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mixing step c) adds and mixes 40 to 60 parts by weight of water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ated organic clay.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d)는 혼합물을 입상 형태로 성형한 후 10 내지 25℃에서 건조하는 것으로 된 수중 오염 퇴적물의 원위치 처리용 캡핑재의 제조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rying step d) is to form the mixture into a granular form and then to dry it at 10 to 25 ° C. 셀룰로스계 고분자로 코팅된 유기점토로 이루어진 캡핑재를 헬기, 바지선, 백호, 컨베이어 벨트 및 크람쉘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수단을 이용하여 수중 오염퇴적물위에 원위치시키는 단계; 및 원위치된 캡핑재가 물에 의한 팽윤에 의해 반응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핑재의 원위치 시공방법.Repositioning the capping material made of the organic clay coated with the cellulose-based polymer onto the water contaminated sediment u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elicopter, a barge, a backhoe, a conveyor belt, and a clamshell; And in situ capping material to form a reaction barrier layer by swelling with water. 제 12항에 있어서, 반응차단층 형성 단계 후에 차단층을 보호하기 위해 캡핑 보호재를 차단층 위에 위치시켜 캡핑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캡핑재의 원위치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forming a capping protection layer by placing a capping protection material on the blocking layer to protect the blocking layer after the reaction blocking layer forming step. 제 13항에 있어서, 캡핑 보호재로는 자갈, 모래 및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일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캡핑재의 원위치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apping protection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vel, sand and geotextiles.
KR1020040036547A 2004-05-21 2004-05-21 Capping materials for in situ treating contaminant sediment in wat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ploying with the same KR100574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547A KR100574025B1 (en) 2004-05-21 2004-05-21 Capping materials for in situ treating contaminant sediment in wat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ploying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547A KR100574025B1 (en) 2004-05-21 2004-05-21 Capping materials for in situ treating contaminant sediment in wat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ploying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302A KR20050111302A (en) 2005-11-24
KR100574025B1 true KR100574025B1 (en) 2006-04-26

Family

ID=3728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547A KR100574025B1 (en) 2004-05-21 2004-05-21 Capping materials for in situ treating contaminant sediment in wat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ploying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02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8476A1 (en) * 2007-09-18 2009-03-26 Biologge As Product and method for creating an active capping layer across surfaces of contaminated sediments
KR101015426B1 (en) 2009-04-13 2011-02-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ethod for in-situ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 using capping with biodegradable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1527B (en) * 2017-05-03 2019-05-24 中国环境科学研究院 A kind of appraisal procedure and device of lake sediment covering material control effe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8476A1 (en) * 2007-09-18 2009-03-26 Biologge As Product and method for creating an active capping layer across surfaces of contaminated sediments
KR101015426B1 (en) 2009-04-13 2011-02-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ethod for in-situ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 using capping with biodegradabl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302A (en)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influence of acid rain on leaching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cement-based solidified/stabilized lead contaminated clay
Zhang et al. Fly‐ash‐amended sand as filter media in bioretention cells to improve phosphorus removal
Karadoğan et al. Dewatering of Golden Horn sludge with geotextile tube and determination of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A novel approach
Tang et al. Novel advanced porous concrete in constructed wetland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in urban storm runoff treatment
KR20110008515A (en) Stabilization method of heavy metal contaminated dredged sediments
KR100574025B1 (en) Capping materials for in situ treating contaminant sediment in wat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ploying with the same
JP5331080B2 (en) Sludge treatment method
Pandey et al. Effects of bentonite and polymer soil amendment on contaminant transport parameters
SK279921B6 (en) Process for treating contaminated sediments from water sources
Ashiq et al. Abundance, spatial distribu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icroplastics in stormwater detention ponds
KR101007973B1 (en) Concrete block of shore protection consist of double layer having function of prnificating waton and water permeability
Karadoğan et al. Dewatering of mine waste using geotextile tubes
JP2007532302A (en) Sludge treatment method
JP2001029951A (en) Cleaning of sea area by artificial coal ash zeolite
Segre A physicochemical evaluation of the compressibility and dewatering behavior of dredged sediments
KR20160091477A (en) Method for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marine sediment using bentonite
Carpentier et al. Quality of dredged material in the River Seine basin (France). I.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chelbach et al. Settleable solids from combined sewers: settling, stormwater treatment, and sedimentation rates in rivers
JP3846747B2 (en) Treatment method of bottom mud
Šarko et al. Investigation of sorbents for phosphorus removal
Lin et al. The potential pollution risk of groundwater by a ceramic permeable brick paving system
Saha et al. Reduction of lead pollution in groundwater using soil based protective liner bed in land fill pits
Tariq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Filter Used in Groundwater Recharging Through Wells
Kalenik et al. Efficiency of wastewater purification in medium sand with a lightweight expanded clay aggregate assisting layer
Hussainuzzaman et al. Efficiency of arsenic removal unit working in Bangladesh and cement stabilization of its slu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