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411B1 -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411B1
KR100573411B1 KR1020040015190A KR20040015190A KR100573411B1 KR 100573411 B1 KR100573411 B1 KR 100573411B1 KR 1020040015190 A KR1020040015190 A KR 1020040015190A KR 20040015190 A KR20040015190 A KR 20040015190A KR 100573411 B1 KR100573411 B1 KR 10057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current collector
transmission lin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9673A (ko
Inventor
이병송
한경희
변윤섭
배창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1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3411B1/ko
Publication of KR2005008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9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 차량(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차량 외부로부터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동작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상에 전력송전선을 설치하고, 차량에 전력 집전장치를 설치하여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비접촉방식의 차량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하는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주행중 차량으로의 집전과 차량 내부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력집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종래의 접촉방식의 장점은 살리면서, 종래의 접촉방식의 한계였던 기계적 마찰에 의한 마모, 소음 발생현상을 해소하고, 차량에의 집전 손실로 작용할 수 있는 아크, 공기마찰 등의 전기적, 환경적 손실, 피해성분을 제거하여 보다 효율적인 전기차량 급전용 집전 방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기 차량의 급전, 집전장치, 전원급전, 비접촉집전

Description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Non contact collection power system for power supply of electric car}
도 1은 본 발명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전원급전용 집전 시스템을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전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 차량(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차량 외부로부터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동작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량은 전기를 전력공급원으로 하여 운행하는 차량을 의미하며, 전기 자동차와 전동차로 구분할 수 있다.
전동차는 고전압, 전류가 흐르고 있는 가선에 판도그라프를 접촉시켜 전동차량에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운행하며, 전기 자동차는 차량 자체에 전력공급원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탑재하고, 탑재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운행하게 된다.
전동차의 경우 가선에 의해 정해진 궤도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대중 교통수단으로 한정해서 사용될 수 밖에 없으며, 주어진 선로 내에서만 운행이 가능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국부적인 장소까지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이와 달리 전기자동차는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어 개인교통수단으로 적절하나, 일반 가솔린 자동차와는 달리 축전지라 하여,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게 되므로 일반 가솔린 자동차에 비해 저속 운행되며, 충전시간이 오래 걸리며, 또한 한번 충전에 의해 주행하는 거리가 제한적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환경 공해의 주범인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대한 문제점이 재조명되면서 각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 자동차의 단점을 개선한 전기 자동차의 다양한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상용화에 이르고 있다.
전기 자동차에 있어 앞서와 같이 고속주행 및 1회 충전 주행거리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며, 이 같은 능력은 리튬 배터리나 모터용 마그넷, 신형 인버터용 트랜지스터 같은 신형 부품과 넓은 공간을 확보해주는 프레임 장착 등의 시스템 기술 개발에 힘입어 가능해진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일반적인 사양을 고려할 때 일반 가솔린 자동차에 비해 토크(torque)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고속주행에 따른 배터리의 전력소모에 의한 주행거리 단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상에 전력송전선을 설치하고, 차량에 전력 집전장치를 설치하여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비접촉방식의 차량전력공급이 가 능하도록 하도록 하는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주행중 차량으로의 집전과 차량 내부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력집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종래의 접촉방식의 장점은 살리면서, 종래의 접촉방식의 한계였던 기계적 마찰에 의한 마모, 소음 발생현상을 해소하고, 차량에의 집전 손실로 작용할 수 있는 아크, 공기마찰 등의 전기적, 환경적 손실, 피해성분을 제거하여 보다 효율적인 전기차량 급전용 집전방식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하는 궤도 또는 도로의 하부에 설치(매설)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력송전선부와, 전력송전선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차량의 저면단에 설치되는 집전장치부로 구성하고, 1차측인 전력송전선부와 2차측인 집전장치부의 자기적 에너지 경로에 공극을 두어 1,2차측을 분리하여, 2차측의 집전장치부의 철심과 코일부가 1차측의 전력송선전부의 코일과 일정 간격의 공극을 유지하면서 차량 운행중에 집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매설되며 전원이 인가되는 전력송전선부(10)와, 차량에 설치되는 집전장치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송전선부(10)는 직선도체형식의 코일(12)과, 코일(12)의 상면으로 누설되는 자속량을 줄이기 위한 자로폐쇄형 비자성체(11)로 구성된다.
상기 집전장치부(20)는 상기 전력송전선부(10)의 코일(12)과 마주보는 철심(21)과, 철심(21)에 권선된 코일(22)로 구성된다.
상기 집전장치부(20)의 철심(21)은 전력송전선부(10)의 코일(12)이 위치에 대응하는 중앙부에 코일(22)의 설치부를 갖는 사다리꼴의 반개폐형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단면부(C)가 전력송전부(10)의 코일(12)에서 발생된 자속이 이동하도록 하는 자기에너지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철심(21)에 권선된 코일(22)은 권선시 철심(2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비자성체(23)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주행시에 도로에 매설된 전력송전선부(10)와 집전장치부(20)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공극을 형성한 상태에서 코일(12)과 철심(21)이 구성된다.
상기 철심(21)은 전력송전선부(10)의 코일(12)의 상단에 코일(12)의 매설된 방향으로 단면(C)을 갖도록 사다리꼴의 반개폐형의 관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코일(12)에서 발생된 자속이 이동하도록 자기에너지 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전력송전선부(10)의 코일(12)에 의한 자속의 분포를 고려하여 집전장치부(20)에서의 철심(21)의 형상을 설계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면 다양한 형상의 철심(21)을 적용할 수 있다.
전력송전선부(10)가 설치되는 위치 즉, 도로에 매설되는 점을 감안하여 직선도체형식의 코일(12)이 매립되며, 1차측 전력송전선부(10)에는 철심을 구성하지 않는다.
이는 철심을 도로하단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였을 경우 철심에 의한 철손, 동 손의 양이 상당하므로 이를 설치하지 않고,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력송전선부(10)의 자로형성은 공심형으로 한다.
이때 코일(12)의 상면이 트여져 있는 상태이므로, 코일(12)의 상면으로 자로폐쇄형 비자성체(11)를 설치하여 누설 자속량을 줄여준다.
또한 상기 집전장치부(20)의 철심(21)에는 코일(22)을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권선하게 되며, 권선시 비자성체(23)를 함께 권선하여 코일(22)을 철심(21)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코일(22)의 권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는 전력송전선부(10)가 1차측으로 작용하여 전력송전선부(10)의 코일(12)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발생된 자속이 2차측인 집전장치(20)에 유기되어 집전장치(20)내에서 교류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는 바,
여기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집전 장치는 다음과 같은 일반 변압기의 유기기전력식을 따른다.
Figure 112005057958429-pat00003
단 위에서 사용된 기전력의 경우 1, 2차 철심의 분리가 없다고 보고, 그래서 자속의 누설분이 미미하다고 가정하였을 때에 적용되는 변압기 기전력 공식이다.
본 발명 시스템에서는 비접촉 급전방식이므로, 차량과 도로사이에 유지되어야 하는 공극이 존재하며, 이와 같은 공극은 차량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 서 충분하게 확보되어야 하고, 그 때문에 자연히 공극의 길이가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집전장치부(20)와 전력송전선부(10) 사이의 공극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누설분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2차측인 집전 장치부(20)와 1차측인 전력송전선부(10) 사이의 자기적 누설성분은 1, 2차 측 전력전달효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하므로 이러한 자속의 누설성분을 충분하게 고려하지 않은 일반 변압기의 계산방식의 경우, 이 수식의 적용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계산, 설계의 오차가 무시할 수 없을 만큼 큰 값을 가지게 되므로, 누설 인덕턴스의 크기를 정확하게 계산할 필요가 있다.
누설성분, 다시 말해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를 정확히 구하기 위해서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자속의 분포정도를 계산한 후, 이를 이용하여 1, 2차 측의 자기적 결합정도를 나타내는 결합계수 q를 구함으로써, 누설 인덕턴스의 값을 정확하게 계산한다.
급전 장치의 동작에 중요 요소로서 작용하는 누설 인덕턴스를 포함한 등가회로를 완성하면 급전 장치 자체 특성의 분석, 설계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전체 본 발명 시스템은 변압기에서와 같이 1차측 전력송전선부(10)와 2차측 집전장치부(20)로 구분할 수 있다.
1차측 전력송전선부(10)에는 에너지를 공급하는 코일(전선)(12)과 2차측 집 전장치부(20)에는 공급받는 코일(22)이 구성되어 있는 바,
1차측 도로에 매설된 전력송전선부(10)는 일반 코일 권선방식을 따르지 않고 직선도체 형식으로 코일(12)이 매립되는 형태를 이룬다.
1차측 전력송전선(10)에 교류전력이 인가되면, Ampere의 주회적분 법칙
Figure 112005057958429-pat00006
에 따라 이 교번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자속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발생된 자속은 전력송전선(10)의 코일(12)을 둘러싸고 2차측인 집전장치부(20)로 흐른다.
여기서 차량이 이동중에도 전력송전선(10)의 코일(12)과 집전장치부(20)의 철심(21)은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게 되며 전원주파수가 차량운전속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차량의 이동에 관계없이 2차측인 집전장치부(20)의 철심(21)을 투과하게 된다.
이때 Faraday 법칙
Figure 112005057958429-pat00005
에 의하여, 2차측인 집전장치부(20)에는 1차측인 전력송전선부(10)에 인가된 교류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기전력이 유기 된다.
이와 같이 전력송전선부(10)로부터 집전장치부(20)로 전력을 공급받으므로써 이동차량 전원의 공급 및 차량내 배터리 충전전력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시스템을 적용하면, 일반 노면에의 집전 설비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차량의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궤도를 필요로하는 종전 철도시스템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 도로 주행용 차량 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로 또는 궤도내에 설치된 전력송전 시스템과 어떠한 물리적 접촉이 없이 완벽하게 분리되므로, 기계적인 마찰로 인한 손실없이 차량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기후환경이나, 기계적인 요인으로 인한 집전 효율 저하 성분이 제거된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차량이 주행하는 궤도 또는 도로에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력송전선부와,
    전력송전선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차량의 저면에 설치되는 집전장치부로 구성되어 1차측인 전력송전선부와 2차측인 집전장치부의 자기적 에너지 경로에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면서 차량 운행중에 집전이 이루어지는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력송전선부는 원통형 직선도체 형식의 코일이 설치되고, 코일의 상면으로는 누설되는 자속량을 줄이기 위해 자로폐쇄형 비자성체가 구성되며,
    상기 집전장치부는 상기 전력송전선부의 방향으로 자기에너지 경로를 제공 및 공유하는 사다리꼴의 반개폐형 관형상의 단면부로 이루어지는 철심이 설치되고, 철심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코일이 이격되게 권선될 수 있도록 구비된 비자성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
KR1020040015190A 2004-03-05 2004-03-05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 KR10057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190A KR100573411B1 (ko) 2004-03-05 2004-03-05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190A KR100573411B1 (ko) 2004-03-05 2004-03-05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673A KR20050089673A (ko) 2005-09-08
KR100573411B1 true KR100573411B1 (ko) 2006-04-25

Family

ID=3727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190A KR100573411B1 (ko) 2004-03-05 2004-03-05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3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23B1 (ko) * 2006-01-20 2007-1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비접촉 급전시스템
KR100840927B1 (ko) * 2006-03-22 2008-06-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형전동기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이용한 철도차량시스템
JP4356844B2 (ja) * 2006-10-05 2009-11-04 昭和飛行機工業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KR101042948B1 (ko) * 2009-11-23 2011-06-20 한국과학기술원 케이블 매설 스마트 바닥판 모듈, 이를 구비한 스마트 도로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57198B1 (ko) * 2013-05-31 2014-11-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자장 단속을 이용한 비접촉 열차 급전 시스템
CN105699101B (zh) * 2016-01-27 2018-04-03 中国矿业大学 一种路面能量采集测试系统及方法
CN109367392B (zh) * 2018-11-28 2024-02-27 兰州交通大学 一种非接触式列车受电弓
CN114683858B (zh) * 2022-04-29 2023-09-15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磁悬浮列车的受流器及其供电系统、控制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9673A (ko) 200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533B2 (en) Ultra slim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acquisition device for electric vehicle
Bi et al. A review of wireless power transfer for electric vehicles: Prospects to enhance sustainable mobility
Mi et al. Modern advances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for roadway powered electric vehicles
Yilmaz et al. General design requirements and analysis of roadbed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for dynamic electric vehicle charging
Chopra et al. Driving range extension of EV with on-road contactless power transfer—A case study
Choi et al. Advances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for roadway-powered electric vehicles
Wu et al. A review on inductive charging for electric vehicles
JP5083413B2 (ja) 電動車両
KR101197388B1 (ko) 이동 급전식의 비접촉 급전장치
CN101860068A (zh) 一种给电动汽车电池充电的公路充电装置
Huh et al. KAIST wireless electric vehicles-OLEV
KR100573411B1 (ko) 전기 차량의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
KR20050036663A (ko) 비접촉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 운행 시스템
Wang et al. Review of wireless charging coupler for electric vehicles
Choi et al. Trends of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for roadway powered electric vehicles
Choi et al. Recent progress in developments of on-line electric vehicles
CN112721668A (zh) 一种动态无线充电系统的位置自对准装置及其充电控制方法
Navidi et al. Analysis of wireless and catenary power transfer systems for electric vehicle range extension on rural highways
Panda et al.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through pavements: system, design, and technology
CN102075017B (zh) 一种移动式无接触不间断供电装置
KR20050106313A (ko) 무접촉 급전방식을 이용한 전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Russer et al. A system for wireless inductive power supply of electric vehicles while driving along the route
JPH07170612A (ja) 電池充電システム
Momidi Wireless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EVCS)
KR101356030B1 (ko) 집전 및 급전 시스템과 그를 위한 집전 장치, 급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