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717B1 - 안전모 타격기 - Google Patents

안전모 타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2717B1
KR100572717B1 KR1020050016106A KR20050016106A KR100572717B1 KR 100572717 B1 KR100572717 B1 KR 100572717B1 KR 1020050016106 A KR1020050016106 A KR 1020050016106A KR 20050016106 A KR20050016106 A KR 20050016106A KR 100572717 B1 KR100572717 B1 KR 10057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triking
striker
predetermined height
ai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현
Original Assignee
오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현 filed Critical 오영현
Priority to KR1020050016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2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2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안전모 타격기가 게시된다. 본 발명의 안전모 타격기는 수직으로 소정 높이까지 상승한 후 낙하하면서 하단에 위치한 안전모를 타격하기 위한 타격대와, 타격대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타격대의 좌우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수직 프레임의 후방으로 설치되며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구조로 고정되는 에어 실린더, 에어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되어 에어 실린더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며 타격대를 들어 올리며 양측으로 캐스터가 구비되는 리프트, 리프트의 캐스터가 상하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캐스터의 좌우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소정 높이 이상에서 후방으로 굽어 있는 레일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안전모 타격기는 에어 실린더가 상승할 때 리프트의 전단이 타격대의 후단을 받쳐서 타격대를 소정 높이까지 들어올리고, 소정 높이 이상에서 레일 프레임을 따라 리프트가 후진함에 따라서 타격대가 이탈되어 낙하하여 안전모를 타격한다. 본 발명의 안전모 타격기에 의하면, 안전모를 착용한 경우와 비착용한 경우 발생되는 피해의 차이를 작업자들이 직접 실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는 안전모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되어 작업자들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안전모를 착용하게 한다.
안전모, 타격기, 리프트

Description

안전모 타격기{SAFETY HELMET BATTING APPARATU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타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안전모 타격기의 동작 전 초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리프트의 전단에 타격대의 후단이 걸쳐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타격대가 소정 높이 까지 상승한 후 리프트로부터 이탈하여 하강을 개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리프트가 타격대를 지나치면서 원상태로 복귀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곽 프레임 12: 베이스 프레임
14: 수직 프레임 16: 레일 프레임
20: 에어 밸브 22: 힌지축
24: 에어 펌프 30: 타격대
40: 리프트 45: 캐스터
50: 제어부 52: 리미트 스위치
본 발명은 안전모 타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설 현장 등에서 안전모의 착용에 관한 중요성을 작업자에게 고취시키기 위하여 안전모를 착용한 경우와 비착용한 경우 낙하물에 의한 사고 발생시 그 피해의 정도를 육안으로 실감할 수 있도록 작업자들에게 교육하기 위한 안전모 타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공사 현장에서는 낙하물에 의한 작업자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럼으로 작업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종 공사 현장에서는 안전모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규정 되어 있으나, 작업자들의 부주의, 나태함, 안일함으로 인하여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안전모를 착용한 경우 낙하물에 의해 충격을 받는 정도는 비착용시에 비하여 매우 현격함에도 불구하고 작업자들이 이를 실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안전모를 미착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안전모를 착용한 경우와 비착용한 경우 발생되는 피해의 차이를 작업자들이 직접 실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전모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되면 작업자들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안전모를 착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모의 착용 상태와 비착용 상태에서 낙하물에 대하여 작업자가 입게 되는 피해를 간접적으로 실험할 수 있는 안전모 타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안전모 타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모 타격기는: 수직으로 소정 높이까지 상승한 후 낙하하면서 하단에 위치한 안전모를 타격하기 위한 타격대; 타격대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타격대의 좌우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수직 프레임의 후방으로 설치되며,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구조로 고정되는 에어 실린더; 에어 실린더의 상단에 고정되어 에어 실린더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며 타격대를 들어올리며, 양측으로 캐스터가 구비되는 리프트; 리프트의 캐스터가 상하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캐스터의 좌우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소정 높이 이상에서 후방으로 굽어 있는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고, 에어 실린더가 상승할 때 리프트의 전단이 타격대의 후단을 받쳐서 타격대를 소정 높이까지 들어올리고, 소정 높이 이상에서 레일 프레임을 따라 리프트가 후진함에 따라서 타격대가 이탈되어 낙하하여 안전모를 타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격대는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 타격대, 수직 프레임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 타격대에 양측으로 부착되는 홀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모 타격기는: 상기 에어 실린더로 에어을 제공하는 에어 펌프; 레일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어 리프트가 소정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 에어 펌프를 제어하여 에어 실린더의 상승과 하강 동작을 제어하되,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에어 실린더가 하강 하도록 에어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는 에어 실린더의 상부에 고정되는 리프트 바디; 리프트 바디의 전단에 흰지 결합되는 역삼각형 형상의 걸림턱 부재; 리프트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원될 때 걸림턱 부재가 후방으로 완전히 넘어가는 것을 막는 스톱퍼를 포함하고, 리프트는 리프트 메인 바디의 후단에 양측으로 설치된 캐스터에 의해 레일 프레임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안전모 타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타격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타격기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타격대(30)가 수직으로 소정 높이까지 상승한 후 낙하하면서 하단에 위치한 안전모(도 4 참조)를 타격하도록 구성된다.
안전모 타격기는 타격대(30)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타격대(30)의 좌우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4)이 베이스 프레임(1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타격대(30)는 수직 프레임(14)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 타격대(31)와 수직 프레임(14)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 타격대(31)에 양측으로 부착되는 홀더(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14)은 하단부에 가로로 배치되어 타격대(30)가 초기 위치에 위치 되도록 하는 걸림 바(34)가 구성된다.
수직 프레임(14)의 후방으로는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14)에 힌지 구조(22)로 고정되는 에어 실린더(20)가 설치된다. 에어 실린더(20)의 상단에는 에어 실린더(2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며 타격대(30)를 들어 올리도록 리프트(40)가 설치된다. 리프트(40)의 후단부의 양측으로는 캐스터(45)가 설치된다. 그리고 리프트(40)의 캐스터(45)가 상하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캐스터(45)의 좌우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소정 높이 이상에서 후방으로 굽어 있는 레일 프레임(16)이 베이스 프레임(12)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수직 프레임(14)과 레일 프레임(16)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외곽 프레임(10)이 구비될 수 있다.
리프트(40)는 에어 실린더(20)의 상부에 고정되는 리프트 바디(41), 리프트 바디(41)의 전단에 흰지 결합되는 역삼각형 형상의 걸림턱 부재(43), 리프트(40)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원될 때 걸림턱 부재(43)가 완전히 후방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는 스톱퍼(42)가 구비된다. 리프트(40)는 리프트 메인 바디(41)의 후단에 양측으로 설치된 캐스터(45)에 의해 레일 프레임(16)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된다.
에어 실린더(20)는 에어을 제공하는 에어 펌프(24)와 연결되며, 레일 프레임(16)의 상단에는 리프트(40)가 소정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52)가 설치된다. 리미트 스위치(52)는 제어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50)는 에어 펌프(24)를 제어하여 에어 실린더(20)의 상승과 하강 동작을 제어하며, 리미트 스위치(52)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에어 실린더(20)가 하강 하도록 에어 펌프(24)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0)에는 안전모 타격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미도시)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안전모 타격기의 동작 전 초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리프트의 전단에 타격대의 후단이 걸쳐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초기 상태에서 타격대(30)의 후단(32)이 리프트(40)의 전단에 걸쳐 있다.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서 에어펌프(24)가 동작하면 실린더(20)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타격대(30)가 상승한다.
에어 실린더(20)가 상승할 때 리프트(40)의 전단이 타격대(30)의 후단을 받쳐서 타격대(30)를 소정 높이까지 들어올리고, 소정 높이 이상에서 레일 프레임(16)을 따라 리프트(40)가 후진함에 따라서 타격대(30)가 이탈되어 낙하를 하게 된다. 첨부 도면 도 4에는 타격대(30)가 소정 높이 까지 상승한 후 리프트940)로부터 이탈하여 하강을 개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낙하하는 타격대(30)는 마네킹(62)에 착용된 안전모(60)를 타격하게 된다.
도 5는 리프트가 타격대를 지나치면서 원상태로 복귀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리프트(40)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원될 때 걸림턱 부재(43)가 타격대(30)의 후단(32)에 걸리어 후방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 스토퍼(42)는 걸림턱 부재(43)가 후방으로 완전히 넘어가는 것을 막는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리프트(4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모 타격기에 의하면, 안전모를 착용한 경우와 비착용한 경우 발생되는 피해의 차이를 작업자들이 직접 실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는 안전모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된다. 그럼으로 작업자들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안전모를 착용하게 된다.

Claims (5)

  1. 수직으로 소정 높이까지 상승한 후 낙하하면서 하단에 위치한 안전모를 타격하기 위한 타격대;
    타격대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타격대의 좌우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
    수직 프레임이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수직 프레임의 후방으로 설치되며,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구조로 고정되는 에어 실린더;
    에어 실린더의 상부에 고정되는 리프트 바디와, 리프트 바디의 전단에 흰지 결합되는 역삼각형 형상의 걸림턱 부재와, 리프트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원될 때 걸림턱 부재가 타격대의 후단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는 스톱퍼를 포함하고, 리프트가 리프트 메인 바디의 후단에 양측으로 설치된 캐스터에 의해 레일 프레임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되어 타격대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리프트;
    리프트의 캐스터가 상하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캐스터의 좌우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소정 높이 이상에서 후방으로 굽어 있는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고,
    에어 실린더가 상승할 때 리프트의 전단이 타격대의 후단을 받쳐서 타격대를 소정 높이까지 들어올리고, 소정 높이 이상에서 레일 프레임을 따라 리프트가 후진함에 따라서 타격대가 이탈되어 낙하하여 안전모를 타격하는 안전모 타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대는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 타격대, 수직 프레임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 타격대에 양측으로 부착 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안전모 타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하단부에 가로로 배치되어 타격대가 초기 위치에 위치 되도록 하는 걸림 바를 포함하는 안전모 타격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로 에어을 제공하는 에어 펌프;
    레일 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어 리프트가 소정 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
    에어 펌프의 상승과 하강 동작을 제어하되,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에어 실린더가 하강 하도록 에어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모 타격기.
  5. 삭제
KR1020050016106A 2005-02-25 2005-02-25 안전모 타격기 KR100572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106A KR100572717B1 (ko) 2005-02-25 2005-02-25 안전모 타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106A KR100572717B1 (ko) 2005-02-25 2005-02-25 안전모 타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2717B1 true KR100572717B1 (ko) 2006-04-24

Family

ID=3718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106A KR100572717B1 (ko) 2005-02-25 2005-02-25 안전모 타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27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93B1 (ko) * 2010-03-16 2013-01-08 도로교통공단 내수성 시험 장치
CN104251765A (zh) * 2014-09-18 2014-12-31 云南电网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力用安全帽测试装置
CN105632316A (zh) * 2016-01-08 2016-06-01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摩托车安全头盔警示体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593B1 (ko) * 2010-03-16 2013-01-08 도로교통공단 내수성 시험 장치
CN104251765A (zh) * 2014-09-18 2014-12-31 云南电网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电力用安全帽测试装置
CN105632316A (zh) * 2016-01-08 2016-06-01 公安部交通管理科学研究所 摩托车安全头盔警示体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717B1 (ko) 안전모 타격기
US20070261917A1 (en) Foldable work platform
CN202066664U (zh) 碰撞试验假人运送座椅
CN206331087U (zh) 一种软板测试装置
CN208076314U (zh) 垂直落球冲击试验机
KR101581881B1 (ko)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CN206583616U (zh) 柔性腿的摆臂测试装置
CN216662137U (zh) 一种施工升降机安全升降用防撞装置
US3458179A (en) Safety fixture for tilting furnace
JP2009208877A (ja) 車両用リフト装置
CN211417912U (zh) 一种用于蜡烛摆放的物料架
CN208537322U (zh) 一种落锤冲击实验装置
CN208333843U (zh) 一种安全帽下颏带在线检测装置
ITMO990056A1 (it) Troncatrice radiale per profilati.
CN209797301U (zh) 一种防坠落的干熄焦提升机辅助装置
CN219942909U (zh) 一种带有保护结构的试验检测台
CN220503674U (zh) 一种桥梁检测安全防护装置
CN214072540U (zh) 一种橱柜挂接结构
CN210194447U (zh) 具有安全防护装置的挂篮
CN210164846U (zh) 一种掘进机橡胶减震装置
CN208223951U (zh) 一种水泥抗压夹具
EP3824977A1 (en) Metallic structure or frame for the activation of basketball backboards and the like
CN210622580U (zh) 一种门体防护装置
CN114704157B (zh) 一种建筑安全三角状防护栏杆
CN216816385U (zh) 一种工地智能联动扬尘监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