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006B1 - Video shooting training system - Google Patents
Video shooting train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2006B1 KR100572006B1 KR1020020011102A KR20020011102A KR100572006B1 KR 100572006 B1 KR100572006 B1 KR 100572006B1 KR 1020020011102 A KR1020020011102 A KR 1020020011102A KR 20020011102 A KR20020011102 A KR 20020011102A KR 100572006 B1 KR100572006 B1 KR 1005720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ining
- trainer
- shooting
- outpu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67 anti-refl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5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weapon to the targ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4—Acoustical simulation of gun fire, e.g. by pyrotechnic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8—Small-scale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멀티미디어와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여 실제상황을 시뮬레이션한 가상공간에서 실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연출하여 실제적인 상황에서와 동일하게 직사화기 및 곡사화기의 사격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현장경험과 사격술을 연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shooting training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ety of environments that can occur in a virtual space that simulates a real situation using multimedia and computer technology. The ability to perform training has the advantage of sharpening field experience and shooting techniques to actively respond to real situations.
사격훈련, 훈련영상, 시뮬레이션, 영상사격 Shooting training, training video, simulation, video shoot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mage shooting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훈련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3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image shooting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스크린 20 : 영상발생기10: screen 20: image generator
30 : 주제어부 40 : I/O(Input/Output)조정기30: main controller 40: I / O (Input / Output) controller
42 : 화기연결부 44 : 공기조절부42: firearm connection 44: air control unit
46 : 주제어연결부 50 : 훈련화기46: main control connector 50: trainer
60 : 운영출력부 70 : 출력부60: operation output unit 70: output unit
80 : 네트워크연결부 90 : 음향출력부80: network connection unit 90: sound output unit
95 : 스피커 100 : 총구감지부95: speaker 100: muzzle detection unit
105 : CCTV 110 : 레이저감지부105: CCTV 110: laser detection unit
502 : 레이저발생부 504 : 제 1위치센서502: laser generating unit 504: first position sensor
506 : 제 2위치센서 508 : 공기공급부506: second position sensor 508: air supply
510 : 탄창센서 512 : 힘센서510: magazine sensor 512: force sensor
514 : 속도센서 516 : 선택스위치514: speed sensor 516: selector switch
518 : 발사센서 520 : 화기제어부518: firing sensor 520: fire control unit
본 발명은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와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여 실제상황을 시뮬레이션한 가상공간에서 실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연출하여 실제적인 상황에서와 동일하게 직사화기 및 곡사화기의 사격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현장경험과 사격술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shooting trai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produce various environments that can actually occur in a virtual space that simulates a real situation using multimedia and computer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shooting training system that enables the training of the howitzer to sharpen the field experience and shooting techniques that can actively cope with the actual situation.
요즈음은 멀티미디어 기술과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기술 발달로 실제상황을 시뮬레이터한 가상공간내에서 실제상황에서와 동일한 느낌을 갖으면서 실제상황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상황을 연출하여 미리 경험하도록 하는 가상체험등이 많은 인기를 모으고 있다. Nowadays,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technology and computer programming technology, virtual experiences such as virtual experiences, which simulate the real situation in the virtual space that simulates the real situation and create a situation that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the real situation, have been popular. Are gathering.
특히, 항공기 훈련이나, 실내 운전연습 등을 실제상황과 동일하게 시뮬레이터한 가상공간내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스포츠 영역에서도 스포츠 선수들의 훈련을 가상공간에서 수행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완벽한 훈련을 하고 있다 In particular, aircraft training and indoor driving training are carried out in a virtual space simulated in the same way as in the actual situation, and in the sports area, the training of sports athletes is carried out in a virtual space to perform perfect training based on accurate data. have
한편, 오락분야에서는 가상체험을 통해 실제상황에서는 연출하지 못하는 상황을 멀티미디어와 컴퓨터 기술을 통해 경험하고 있다. Meanwhile, in the field of entertainment, people are experiencing situations that cannot be produced in real situations through virtual experiences through multimedia and computer technology.
이와 같이 시뮬레이터에 의한 가상현실 교육은 실제상황에서 직접연출하기 어려운 상황을 실제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In this way, virtual reality education by simulator is use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actual situation when it is possible to actually experience the situation that is difficult to direct the actual situation.
인명살상용인 총기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경찰이나 군인 등 일부 허가된 사람들에 한해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고 있다. In Korea, firearms are only allowed to be used by some authorized people such as police and soldiers.
따라서, 이들이 총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허가된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사격연습은 일년에 몇 번 정도 고정된 목표물에 총기를 사용하는 정도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y are only allowed to use the firearms in the authorized area, and the practice of shooting is to use firearms on fixed targets several times a year.
이와 같이 총기사용을 고정된 목표물에 사용하는 정형화된 사격훈련을 마칠 뿐만 아니라 훈련의 기회가 많이 주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실제적으로 총기사용을 허가했을 경우 실제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의 미숙으로 총기오발사고나 무고한 인명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o completing the standard shooting training using the use of firearms on fixed targets as well as allowing the use of firearms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not many training opportunities, a firearm accident is caused by the immaturity of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actual situation. The problem is that it can harm innocent lives.
또한, 실제 사격훈련을 수행할 경우 훈련장소 인근 주민에 의한 각종 민원 발생 및 시간적, 공간적, 물질적 제약으로 인해 효율적인 훈련체계 구축에 큰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performing actual shooting training, a large obstacle arises in constructing an efficient training system due to various civil complaints and time, space, and material constraints by residents near the training pl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와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여 실제상황을 시뮬레이션한 가상공간에서 실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연출하여 실제적인 상황에서와 동일하게 직사화기 및 곡사화기의 사격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현장경험과 사격술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variety of environments that can actually occur in a virtual space that simulates the actual situation using multimedia and computer technology in the actual situation and In the same way, it is possible to carry out shooting training of direct fire and howitzer, and to provide an image shooting training system to sharpen on-the-spot experiences and shooting techniques that can actively cope with actual situatio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격훈련을 위한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훈련영상을 투영시키기 위한 영상발생기와; 총열의 상하편차를 감지하기 위한 제 1위치센서와, 총열의 좌우편차를 감지하기 위한 제 2위치센서와, 레이저를 발생시키기 위한 레이저발생부와, 격발시 훈련화기에 반동을 발생시키고 탄알을 장전시키기 위한 폭발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와, 방아쇠의 눌리는 트리거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센서와, 방아쇠의 눌리는 힘을 감지하기 위한 힘센서와, 발사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발사센서와, 탄창의 교환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탄창센서와, 조정관의 선택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선택스위치와, 상기 제 1위치센서와 상기 제 2위치센서와 상기 속도센서와 상기 힘센서와 상기 발사센서와 상기 탄창센서와 상기 선택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I/O(Input/Ouput)조정기로 출력하고 상기 레이저발생부를 작동시키는 화기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레이저가 발사되는 사격훈련을 위한 훈련화기와; 상기 스크린에 투시되는 레이저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저감지부와; 상기 훈련화기에서 발사되는 레이저를 통해 총구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총구감지부와; 상기 레이저감지부와 상기 훈련화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총구감지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스크린에 투영되는 영상데이터의 좌표와 비교하여 사격결과 및 사격상황을 판단하고 각종 훈련영상을 상기 영상발생기로 출력하고 상기 훈련화기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주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훈련영상의 음향과 훈련화기의 작동시 발생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상기 주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훈련화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훈련화기로 출력하고 상기 훈련화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주제어부로 출력하는 I/O(Input/Ouput)조정기와; 상기 주제어부를 통해 훈련상황을 통제하고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수집된 사격결과 및 사격상황에 따라 훈련상황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운영컴퓨터와; 상기 주제어부와 상기 운영컴퓨터간에 서로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연결부 및; 상기 운영컴퓨터에서 정리한 훈련상황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screen for projecting an image for shooting training; An image generator for projecting a training image onto the screen; The first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vertical deviation of the barrel, the second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left and right deviation of the barrel, the laser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laser, and the recoil to load the bullet to the trainer when triggered Air supply for supplying explosive air to the air,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trigger trigger speed, force sensor for detecting the trigger force of the trigger, launch sensor for detecting the firing state, and exchange of magazines A magazine sensor for checking whether or not, a selection switch for checking a selection state of the control tube, the first position sensor, the second position sensor, the speed sensor, the force sensor, the firing sensor, the magazine sensor, and the A fire controller which receives the data output from the selection switch and outputs it to the I / O (Input / Ouput) regulator and operates the laser generator. Also by training firearm for target practice firing a laser it is made and; A laser sensing unit for sensing a laser projected on the screen; A muzzl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ovement of the muzzle through a laser emitted from the trainer; Stores the data input from the laser detection unit and the trainer and the data input from the muzzle detection unit, and compares the coordinates of the image data projected on the screen to determine the shooting result and the shooting situation and the various training images A main controller which outputs to a generator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of the trainer; An audio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of a training image output from the main controller and a sound generated when the trainer is operated; An I / O (Input / Ouput) adjuster that receives the trainer signal outputted from the main controller and outputs it to the trainer and receives the data output from the trainer; An operating computer controlling the training situation through the main fisherman and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training situation according to the shooting result and the shooting situation collected from the main fisherman; A network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not only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operating computer but also a network; It provides an image shooting training system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training situation arranged by the operating compu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I/O(Input/Output)조정기는 화기제어부로부터 훈련화기에서 감지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고 화기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화기연결부와, 화기연결부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주제어부로 출력하고 주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주제어연결부와, 주제어연결부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훈련화기의 공기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공기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 / O (Input / Output) controller receives a variety of data detected by the firearm from the firearm control unit, and a firearm connection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firearm control unit, and outputs the data input from the firearm connection unit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Main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ain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air condition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of the train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main control.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훈련상황에 들어가기 전에 운영컴퓨터에서 훈련상황 및 훈련화기를 설정하게 되면 주제어부에서 훈련영상을 영상발생기를 통해 스크린에 투시하게 되고 훈련생은 스크린에 투시되는 훈련상황에 따라 훈련화기를 통해 사격을 하게 되면 레지저감지부와 총구감지부와 훈련화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사격상황 및 사격결과를 판단하여 저장하여 훈련종료 분석 및 평가할 수 있도록 하며, 훈련화기의 작동을 I/O(Input/Output)조정기와 훈련화기에 장착된 각종 센서들을 통해 실제 개인화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공기공급부와 음향출력부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조준 및 개인화기의 파지(把指) 및 견착상태도 분석하여 사격자세의 교정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Before entering the training situation, if you set up the training situation and training device on the operating computer, the main fisherman puts the training video on the screen through the image generator, and the trainee shoots through the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training situation on the screen. The firing situation and shooting results are judg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signals output from the Leisure Detector, Muzzle Detector, and Trainer, so that the training can be analyzed and evaluated, and the operation of the Trainer is controlled with I / O (Input / Output) controller.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training weapon not only control the air supply and sound output unit to achieve the same effect as the actual personalizer, but also perform calibration of the shooting posture by analyzing gripping and attachment conditions of the aiming and personalization machine. You can do 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is embodimen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presented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mage shooting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격훈련을 위한 훈련영상이 투영되도록 사격훈련장의 일측에 설치된 무반사형 스크린(10)이 설치되고 이 스크린(10)에 훈련영상을 투영시키기 위한 영상발생기(20)가 설치된다. As shown here, an
이때 영상발생기(20)로써는 1280×1024 이상 지원되는 프로젝터(25)를 이용한다. In this case, the
그리고, 사격훈련을 위해 레이저가 발사되는 훈련화기(50)와, 스크린(10)에 투시되는 레이저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저감지부(110)와, 훈련화기(5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를 통해 총구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총구감지부(100)가 설치된다. Then, the gun is fired through the training gun (50), the laser is fired from the training unit (50), the laser detector (110) for detecting the laser projected on the screen (10) for shooting training.
이때 총구감지부(100)는 레이저의 산란이 방지되도록 처리된 CCTV(105)를 사용하여 레이저의 방사상태로 총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조준과 사격시 총구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훈련자의 사격상황을 분석하는 자료로 사용된다. At this time, th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훈련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r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화기(50)는 실제 개인화기를 개조하여 각종 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As shown here, the
즉, 총열의 상하편차를 감지하기 위한 제 1위치센서(504)와, 총열의 좌우편차를 감지하기 위한 제 2위치센서(506)를 설치하여 훈련자가 훈련화기의 파지(把指) 및 견착상태를 분석하여 사격자세의 분석 및 교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또한, 사격시 레이저를 통해 표적의 탄착 상태를 확인하기 레이저를 발생시키기 위한 레이저발생부(502)와, 격발시 훈련화기(50)에 반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125psi 압력의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탄알을 장전하기 위해 가스실로 65psi 압력의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508)가 설치되어 훈련화기(50)를 사용함에 있어 실제화기와 같은 반동과 장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이때 공기공급부(508)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공급기(45)는 훈련화기(50)와 분리되어 설치되고 공기공급기(45)와 공기공급선로로 연결되어 I/O(Input/Output)조정기(40)의 공기조절부(44)에 의해 훈련화기의 공기공급부(508)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훈련화기(50)에는 방아쇠(52)의 눌리는 트리거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센서(514)를 설치하여 연발사격시 훈련자의 조작에 따라 발사되는 탄알의 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방아쇠(52)의 눌리는 힘을 감지하기 위한 힘센서(512)를 설치하여 격발시 훈련자의 상태 및 자세의 변동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And to the
또한, 탄알의 발사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발사센서(518)와, 탄창(54)의 교환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탄창센서(510)와, 훈련화기(50)의 안전, 단발, 연발, 점사 등의 조정관(56) 선택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선택스위치(516)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훈련화기(50)에는 훈련화기(50)에 설치된 제 1위치센서(504)와 제 2위치센서(506)와 속도센서(514)와 힘센서(512)와 발사센서(518)와 탄창센서(510)와 선택스위치(51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I/O(Input/Output)조정기(40)로 출력하고 레이저발생부(502)를 작동시키는 화기제어부(52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은 레이저감지부(110)와 훈련화기(50)에서 출력되는 각종 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총구감지부(100)에서 입력되는 총구의 움직임 데이터를 저장하고 스크린(10)에 투영되는 영상데이터의 좌표와 훈련화기의 방아쇠(52)가 당겨지는 격발시점에 스크린(10)에 투시되는 레이저의 좌표를 비교하여 사격결과 및 사격상황을 판단하고 각종 훈련영상을 영상발생기(20)로 출력하고 훈련화기(50)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3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image shooting training system stores the data output from the various sensing sensors output from the
그리고, 주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훈련영상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음향과 훈련화기(50)의 작동시 발생되는 폭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90)와, 주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훈련화기(5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훈련화기(50)로 출력하고 훈련화기(5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주제어부(30)로 출력하는 I/O(Input/Output)조정기(40)가 설치된다.The
I/O(Input/Output)조정기(40)는 화기제어부(520)로부터 훈련화기(50)에서 감지한 제 1위치센서(504)와 제 2위치센서(506)와 속도센서(514)와 힘센서(512)와 발사센서(518)와 탄창센서(510)와 선택스위치(516)들의 데이터를 입력받고 화기제어부(52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화기연결부(42)와, 화기연결부(42)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주제어부(30)로 출력하고 주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훈련화기(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주제어연결부(46)와, 주제어연결부(46)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훈련화기(50)의 공기공급부(508)의 작동을 제어하는 공기조절부(44)가 설치된다. The input / output (I / O)
이때, 훈련화기(50)의 제어신호는 훈련화기(50)의 선택스위치(516)의 상태에 따라 즉, 안전, 단발, 연발, 점사 등의 상태에 따라 방아쇠(52)가 당겨졌을 경우에 격발이 되지 않거나 단발과 연발로 발사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점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초기에 탄창(54)에 삽입된 것으로 설정된 탄알의 수를 초과할 경우 격발되지 않도록 한 후 탄창센서(510)에 의해 탄창(54)을 제거하고 다시 결합한 경우를 감지하여 격발이 다시 이루어지도록 공기공급기(4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of the
그리고, 주제어부(30)를 통해 교관에 의해 훈련상황을 통제하고 주제어부(30)로부터 수집된 사격결과 및 사격상황에 따라 훈련상황을 평가하고 분석하고 훈련생의 정보와 훈련화기(50)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운영컴퓨터(60)와, 주제어부(30)와 운영컴퓨터(60)간에 서로 연결시킬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85)에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연결부(80)가 설치되어 처리되는 결과들을 네트워크(85)에 연결된 다른 인사 및 교육관리 서버(미도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hen, the training situation is controlled by the instructor through the
그리고, 운영컴퓨터(60)에서 정리한 훈련상황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70)를 설치하여 훈련상황 등을 출력하여 사후 강평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n, by installing the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3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image shooting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사격 훈련을 하기 위한 공간의 전면에 스크린(10)을 설치하고 주변에 음향출력부(9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95)가 설치된다. As shown here, the
그리고, 훈련영상을 투시하기 위한 프로젝터(25)와 사격시 탄착을 확인하기 위한 레이저 인식카메라(115)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에 훈련자의 총구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CCTV(105)가 설치된다. Then, the
그리고 사격을 위한 각각의 사로(射路)에는 훈련화기(50)가 놓이게 되고 훈련화기(50)에는 공기공급을 위한 공기공급선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I/O(Input/Output)조정기(40)와 훈련화기(50)와 연결되어 훈련화기(50)에서 조작하는 상황을 입력받도록 설치된다. And each shooting line (射 路) for shooting is placed on the
그리고, 훈련을 진행하기 위한 교관이 사용하는 운영컴퓨터(60)가 주제어부(30)와 네트워크연결부(80)를 통해 설치되어 훈련을 진행하도록 설치된다. Then, the operating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훈련상황에 들어가기 전에 운영컴퓨터(60)에서 훈련자에게 지급된 훈련화기(50)와 훈련화기(50)에 결합되는 탄창(54)에 삽입될 수 있는 탄알의 수를 설정하고 훈련상황에 따른 영상을 선택한다. 예를들어, 훈련에 사용될 훈련화기(50)가 M-16일 경우 탄창(54)에 20발의 탄알이 삽입된 것으로 설정하고, 훈련상황은 우천시 실거리 사격을 선택한다.First of all, before entering the training situation, the number of bullet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이때 훈련화기(50)를 곡사화기로 선택할 경우에는 곡사화기에 대한 특성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탄착점을 묘사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In this case, when the
또한, 운영컴퓨터(60)에는 각 사로(射路)별로 훈련자의 신상을 기록하여 개인별 훈련상황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이후, 훈련상황에 진입하게 되면 주제어부(30)에서 선택된 훈련상황에 따른 훈련영상을 영상발생기(20)로 출력하게 되면 영상발생기(20)에서 전면의 스크린(10)에 훈련영상을 투시하게 된다. 이와 함께 음향출력부(90)에도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훈련상황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여 실제적인 훈련분위기를 얻을 수 있도록 연출한다. Subsequently, when the training situation is entered, the training image according to the training situation selected by the
그리고, 총구감지부(100)에서는 총구에서 발사되고 있는 레이저를 검출하여 총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주제어부(30)로 출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이때 훈련교관의 지시에 따라 목표물을 조준하고 사격을 시작하게 된다. At this point, the instructor will aim the target and start shooting.
그러면, 훈련화기(50)의 조정관(56)의 선택스위치(516)의 상태에 따라 주제어부(30)에서 I/O(Input/Output)조정기(40)로 훈련화기(5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I/O(Input/Output)조정기(40)에서 공기조절부(44)를 조작하여 사격상태에 따라 훈련화기(50)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The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즉, 훈련화기(50)에서 조정관(56)을 안전의 위치에 놓았을 경우 선택스위치(516)에서 이 값을 주제어부(30)로 보내기 때문에 주제어부(30)에서는 훈련화기(50)가 발사되지 않도록 공기공급을 차단하여 격발이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조정관(56)을 연발로 놓았을 경우에는 사수가 방아쇠(52)를 당기는 힘과 속도를 속도센서(514)와 힘센서(512)에 의해 분석하여 방아쇠(52)가 당겨지는 시간동안만 연속적으로 공급을 공급하여 연발로 사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그리고, 사수가 훈련화기(50)를 통해 사격을 하기 위해 방아쇠(52)를 당기는 순간의 격발타임에 의해 레이저감지부(110)에서 감지되는 좌표 중 탄착되는 좌표를 입력받아 사격결과를 저장한다. Then, the shooter receives the coordinates that are impacted among the coordinates detected by the
이와 함께 사격이 이루어지기 이전부터 사격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총구감지부(100)의 데이터를 유효데이터로 처리하여 저장할 뿐만 아니라 훈련화기(50)에서 출력되는 제 1내지 제 2위치센서(504)(506)를 저장하며, 발사센서(518)의 값을 카운트하여 초기에 탄창(54)에 삽입된 것으로 설정된 탄알의 수를 비교하여 모두 발사되었을 경우에는 사격을 중지시키기 위해 공기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first to
이와 같이 탄알을 모두 사용했을 경우에는 사격을 중지시키거나 계속해서 탄창(54)을 교환하여 사격할 수 있도록 탄창센서(510)의 값을 비교하여 탄창(54)을 제거하고 재결합하였는가 비교하여 다시금 사격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all the bullets are used in this way, the shooting is stopped or compared to the value of the
또한, 사격이 이루어질 때는 훈련화기(50)에서 발생되는 음향도 함께 출력하여 실제 사격과 동일하게 느끼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shooting is made, the sound generated by the
위에서 훈련화기(50)로 곡사화기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스크린(10)에 투시되는 레이저의 탄착을 통해 탄착점을 묘사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곡사화기에서 설정한 값에 의해 처리하여 훈련영상의 위치를 설정하여 표적의 명중여부 및 탄착을 묘사하게 된다.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archer as the
이렇게 다양한 훈련상황에 따라 훈련을 완료한 후 훈련시 저장된 사격결과를 통해 훈련상황을 분석할 수 있으며, 훈련화기(50)에서 출력된 총열의 상하편차, 좌우편차, 총구의 움직임, 방아쇠(52)를 당기는 힘과 속도 등을 통해 사격시 훈련화기의 파지(把指)상태나 견착상태, 사격시 훈련화기(50)의 움직임, 사격습관 등 다양한 값을 분석하여 사격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After completing the training in accordance with the various training conditions can be analyzed the training situation through the shooting results stored in the training, the vertical deviation of the barrel, left and right deviations, muzzle movement, trigger (52) output from the training firearms (50) The shooting position can be corrected by analyzing various values such as holding and holding state of the training firearms during the shooting, the movement of the
그리고, 운영컴퓨터(60)에서 정리한 훈련상황을 출력부(70)를 통해 출력하여 사후 강평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Then, the training situation arranged by the operating
한편, 네트워크연결부(80)를 통해 외부의 인사나 교육관리서버에서도 주제어부(30)와 운영컴퓨터(60)에 연결하여 훈련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와 컴퓨터 기술을 사용하여 실제상황을 시뮬레이션한 가상공간에서 실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연출하여 실제적인 상황에서와 동일하게 직사화기 및 곡사화기의 사격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현장경험과 사격술을 연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variety of environments that can actually occur in a virtual space that simulates a real situation using multimedia and computer technology, so that the firing training of the direct fire machine and the howitzer can be performed as in the real situation. By doing so, there is an advantage of sharpening field experience and shooting technique that can actively cope with actual situation.
또한, 실제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으로 총기오발사고나 무고한 인명을 해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o fire gun accidents or innocent lives by cultivating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actual situation.
또한, 다양한 영상을 통해 사격훈련을 수행함으로써 훈련장소 인근 주민에 대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으며 시간적, 공간적, 물질적 제약을 받지 않고 효율적인 훈련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by performing shooting training through various imag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efficient training system can be established without causing damage to the residents near the training place and without being subject to time, space, and material constraints.
또한, 훈련상황 및 사격시의 자세 등을 저장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격자세의 교정 및 훈련상황의 대처능력의 변화 및 개인별 훈련평가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by storing and comparing the training situation and posture during shooting and the lik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rrecting of the shooting posture and the change in the coping ability of the training situation and the individual training evaluation can be performed accurately.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1102A KR100572006B1 (en) | 2002-02-28 | 2002-02-28 | Video shooting train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1102A KR100572006B1 (en) | 2002-02-28 | 2002-02-28 | Video shooting train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1416A KR20030071416A (en) | 2003-09-03 |
KR100572006B1 true KR100572006B1 (en) | 2006-04-18 |
Family
ID=3222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1102A KR100572006B1 (en) | 2002-02-28 | 2002-02-28 | Video shooting train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20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4163A (en) * | 2016-12-05 | 2018-06-14 | 서승호 | Shooting training ground target control device |
CN107316528A (en) * | 2017-07-14 | 2017-11-03 | 中国人民解放军镇江船艇学院 | A kind of simulated training system suitable for base type projectile weapo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55812A (en) * | 1988-08-04 | 1990-09-11 | Hill Banford R | Video target training apparatus for marksmen, and method |
JPH0792896A (en) * | 1993-09-24 | 1995-04-07 | Mitsubishi Heavy Ind Ltd | Dummy target generating device |
KR19990045317A (en) * | 1998-11-16 | 1999-06-25 | 김한용 | Video shooting training system |
KR200197122Y1 (en) * | 2000-04-21 | 2000-09-15 | 김길홍 | Shooting training system |
WO2001051875A2 (en) * | 2000-01-13 | 2001-07-19 | Beamhit, Llc | Firearm laser train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modified blank cartridges for simulating operation of a firearm |
US20020009694A1 (en) * | 2000-01-13 | 2002-01-24 | Rosa Stephen P. | Firearm laser training system and kit including a target structure having sections of varying reflectivity for visually indicating simulated projectile impact locations |
-
2002
- 2002-02-28 KR KR1020020011102A patent/KR10057200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55812A (en) * | 1988-08-04 | 1990-09-11 | Hill Banford R | Video target training apparatus for marksmen, and method |
JPH0792896A (en) * | 1993-09-24 | 1995-04-07 | Mitsubishi Heavy Ind Ltd | Dummy target generating device |
KR19990045317A (en) * | 1998-11-16 | 1999-06-25 | 김한용 | Video shooting training system |
WO2001051875A2 (en) * | 2000-01-13 | 2001-07-19 | Beamhit, Llc | Firearm laser train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modified blank cartridges for simulating operation of a firearm |
US20020009694A1 (en) * | 2000-01-13 | 2002-01-24 | Rosa Stephen P. | Firearm laser training system and kit including a target structure having sections of varying reflectivity for visually indicating simulated projectile impact locations |
KR200197122Y1 (en) * | 2000-04-21 | 2000-09-15 | 김길홍 | Shooting train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1416A (en) | 2003-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22365B1 (en) | Network-linked laser target firearm training system | |
CN101869765B (en) | Shooting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ing embedded light-sensing display device | |
US8123526B2 (en) | Simulator with fore and AFT video displays | |
US2008021373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Projectile Impact Coordinates | |
WO1997041402B1 (en) | Electronically controlled weapons range with return fire | |
WO2005026643A2 (en) | Archery laser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simulating weapon operation | |
US2014029538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zeroing a weapon | |
US2007016096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projectile impact coordinates | |
KR101653735B1 (en) | Simulation system including combat training using a practicing-grenade, a practicing-claymore and control keypad for events | |
KR20110056019A (en) | Screen shoot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 |
KR101034558B1 (en) | Leisure Clay Shooting Simulatio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a Using Screen Image | |
US9163894B1 (en) | Laser transmission system for use with a firearm in a battle field training exercise | |
KR101470805B1 (en) | Simulation training system for curved trajectory firearms marksmanship in interi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572006B1 (en) | Video shooting training system | |
KR20060074668A (en) | Imaging Target Training System Using Laser Beam and Its Method | |
KR20070095261A (en) | Rapid response fire training system using laser launcher and its method | |
EP1398595A1 (en) | Network-linked laser target firearm training system | |
KR100581008B1 (en) | Simulated shooting weapon system evaluation simulator | |
KR20140112117A (en) | Wireless indoor shooting simulation system | |
JP2020046083A (en) | Guided missile avoidance training device for helicopter | |
KR20180123208A (en) | Shooting training ground target control device | |
KR101542926B1 (en) | Simulation of fire shooting system | |
KR101263767B1 (en) | A real shoot training system using a moving image | |
JP2003075097A (en) | Picture shooting-practice device of counterattack type | |
KR19990045317A (en) | Video shooting train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308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