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956B1 -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956B1
KR100570956B1 KR1020040093835A KR20040093835A KR100570956B1 KR 100570956 B1 KR100570956 B1 KR 100570956B1 KR 1020040093835 A KR1020040093835 A KR 1020040093835A KR 20040093835 A KR20040093835 A KR 20040093835A KR 100570956 B1 KR100570956 B1 KR 100570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knitting
knitted
needle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용
김봉락
Original Assignee
이선용
김봉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용, 김봉락 filed Critical 이선용
Priority to KR102004009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956B1/ko
Priority to JP2005026835A priority patent/JP2006144209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8Stockings without foot par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양말은, 발가락부(5)가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은 넓고 새끼발가락부분(5c)은 좁도록 좌우 비대칭형상으로 단계적으로 편성되며; 상기 발가락부(5)의 수평 최저면(Y)을 기준으로,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표·리면(表裏面) 측단부(Ab)(Db)의 기울기(θ1)(θ4)는 40∼50°이고, 측단부(Bb)(Cb)의 기울기(θ2)(θ3)는 60∼70°이며, 새끼발가락부분(5c)의 표·리면 측단부(Aa)(Ca)(Da)의 기울기(θ6)(θ7)(θ8)는 40∼50°이고, 측단부(Ba)의 기울기(θ6)는 60∼70°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도록 편성됨과 동시에 단계적으로 경사도를 달리하여 편성되며; 좌우측 가장자리의 편환이 중간부분의 편환보다 길게 형성되어 통기성이 우수하며, 사람의 발가락 형상과 일치하면서 오른 발 및 왼 발용으로 구분 가능하도록 편성되어서, 착용시 엄지발가락(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이 조이지 않아 착용감이 매우 좋고 소비자들이 육안으로도 제품의 특성을 용이하게 간파할 수 있으므로 전시효과도 우수하다.
기능성 양말, 자동 양말편직기, 編環, 인체공학적 편성

Description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socks and method for knit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전체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착용시 양말 내에 배치되는 발가락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에 있어 발가락부의 편성형상 및 니들실린더상 편침의 작동 구간을 나타내는 도식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양말 발가락부를 편성하는 공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리부 2 : 빌꿈치부
3 : 발바닥부 4 : 발등부
5 : 발가락부 5a : 엄지발가락
5b : 집게발가락 5c : 새끼발가락
A : 제1 편성부분 B : 제2 편성부분
C : 제3 편성부분 D : 제4 편성부분
D′: 제5 편성부분 C′: 제6 편성부분
B′: 제7 편성부분 A′: 제8 편성부분
X : 최적의 가상선 Y : 발가락부의 최저면
θ1, θ2, θ3, θ4, θ5,, θ6, θ7, θ8 : 편성 측단부의 기울기
본 발명은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른쪽 및 왼쪽 양말 각각의 좌우 양측이 비대칭적으로 편성되어 사람의 좌우측 발가락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는 양말도 타 의류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삶의 질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관의 디자인은 물론 그 기능측면을 중시하여 재질 및 편성구조 측면에서 많은 개량이 이루어지고 고급화되고 있다.
그 일례로, 예전에는 단순히 방한용이나 발을 보호하는 질긴 양말을 선호하였으나, 지금은 도보는 물론 운동시에도 양말이 잘 흘러 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또 땀을 잘 흡수하여 발을 건강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특수 고급 소재로 편성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인체의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이 부가된 양말이 개발되고 있다. 자연 이들 양말의 제조단가는 고가로 되지만 요즈음 국내외 소비자들은 값은 비싸더라도 기능이 다양한 고급 양말을 더 선호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양말은 발가락부분이 대략 45°기울기의 좌우 동일한 형상으로 좁아지는 피라미드형상으로 편성되고 있는데, 이러한 양말은 착용시 엄지발가락 및 집게발가락은 다소 꽉 끼이게 되는 반면 새끼발가락이 있는 부분은 헐렁하게 여유가 있어서 발모양이 예쁘게 나타나질 않으며 또 신발과의 마찰에 의해 편성물이 늘어나 있는 엄지발가락 쪽만 유독 잘 헤어지게되어 비경제적이고, 장시간 착용시 심한 경우에는 엄지발가락 및 집게발가락이 약간 구부러지는 기형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최근에는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추세에 맞추어 편안하고 착용감이 우수한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엄지발가락과 집게발가락 쪽에 천을 덧붙이는 것처럼 Y자형으로 벌어지도록 편성하고 다른 발가락부분은 일반 양말과 같이 편성하여 특정부분의 면적을 넓힌 양말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Y자형 방식의 편성방법은 통상적으로 발꿈치에 적용하고 있는 편성방식으로 발꿈치부의 면적확장에는 매우 유용하나, 이를 발가락부에 적용하여 편성할 경우 그 좌·우측 편성을 각기 별도의 단계로 편성하여야 하므로 편성 코오스 수가 많아 공정이 복잡하고 엄지발가락부분이 조이는 감이 있을 정도로 타 부분보다 조밀하게 편성되어서 기존의 편성방법보다 편사량(編絲量)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적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엄지발가락부분이 일반 양말보다는 확장 편성되어 편안하지만 조밀하게 편성되므로 다소 조이는 느낌이 있어서 착용감도 흡족한 수준은 아니었으며, 무엇보다도 편환 형성과정에서 장력이 커서 불량발생률이 높았고 생산효율이 매우 저조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양질의 삶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구매 추세에 부합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양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 개발을 시도하던 중, 양말을 사람의 발가락 형태에 맞게 편성할 경우 착용시 외관의 형태도 양호함은 물론 발의 좌·우측 형상에 꼭 맞아 착용시 편안하고, 일반 소비자들이 육안으로 기능성 양말의 특징을 금방 간파할 수 있어서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고 일반 양말과의 차별화가 가능하여 판매가 수월하고 판매량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착안하여, 인체 공학적으로 편성된 양말 및 그러한 양말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발가락부의 편성작동시 좌측 및 우측 편침의 움직임을 적절히 제어하여 양말의 엄지발가락 및 집게발가락부분이 넓고 새끼발가락 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게 편성되어 새끼발가락부분이 가장 좁도록 편성함으로써 사람의 발가락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착용시 편안하고 땀 흡수가 높으면서도 통기성이 좋아 발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능성 양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은 다리부, 발꿈치부, 발바닥부, 발등부 및 발가락부의 자루형상으로 편성되는 통상의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가 그 엄지발가락부분 및 집게발가락부분은 넓고 새끼발가락부분은 좁도록 좌우 비대칭형상으로 단계적으로 편성되며; 상기 발가락부의 수평 최저면을 기준으로, 엄지발가락부분 및 집게발가락부분의 표·리면의 제1, 4, 5, 8 편성부분의 측단부 기울기는 40∼50°이고, 제2, 3, 6, 7 편성부분의 측단부 기울 기는 60∼70°이며, 새끼발가락부분의 표·리면 제1, 3, 4, 5, 6, 8 편성부분의 측단부 기울기는 40∼50°이고, 제2, 7 편성부분의 측단부 기울기는 60∼70°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그 경사도를 달리하면서 편성되며; 좌우측 가장자리의 편환이 중간부분의 편환보다 약간 더 길게 형성되어 통기성이 우수하며, 사람의 발가락 형상과 일치하면서 육안으로 오른 발 및 왼 발용으로 구분되도록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리부, 발꿈치부, 발바닥부, 발등부 및 발가락부가 자루형상으로 편성되는 양말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발가락부의 편성시,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4∼6˚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비작동상태로 이동하여 제1 편성부분의 양 측단부를 편성하면서, 상기 발바닥부에 이어지는 발가락부의 시작부분이 되는 제1 편성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편성부분에 이어서, 정·역방향으로 각기 8∼12˚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비작동상태로 이동시키고, 다시 나중에 이동된 편침 1개를 작동상태로 이동시킨 다음, 바로 비작동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1사이클로 2∼4회 반복하여 새끼발가락부분의 측단부와 엄지발가락부분 및 집게발가락부분의 측단부를 편성하면서, 상기 제1편성부분보다 그 폭이 좁아지도록 제2 편성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편성부분에 이어서, 엄지발가락부분 및 집게발가락부분의 측단부는 정·역방향으로 각기 16∼24˚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 차례로 비작동상 태로 하는 동작을 2회 반복한 다음, 정방향에서 1개의 편침을 작동상태로 하고, 역방향에서는 1개의 편침을 비작동상태로 하며, 그 다음 정·역방향에서는 각기 1개의 편침을 작동상태로 하고, 이 때 새끼발가락부분의 측단부는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36∼44˚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비작동상태로 반복 이동하고 이러한 동작을 1사이클로 하여 4회 반복함으로써 상기 제2 편성부분보다 그 폭이 좁아지도록 제3 편성부분을 편성하고;
상기 제3 편성부분에 이어서,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4∼8˚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비율로 비작동상태로 이동하면서 발가락부의 이면 최전방부분이 되며, 상기 제3 편성부분보다 그 폭이 좁아지는 제4 편성부분을 편성하여, 이면(裏面) 발가락부를 형성하고;
연달아서, 상기 제4 편성부분과 동일한 절차를 계속 반복하여 그와 동일한 제5 편성부분을 편성하고;
상기 제5 편성부분에 이어서, 엄지발가락부분 및 집게발가락부분의 측단부는 정·역방향으로 각기 16∼24˚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 차례로 작동상태로 하는 동작을 2회 반복한 다음, 정방향에서 1개의 편침을 비작동상태로 하고, 역방향에서는 1개의 편침을 작동상태로 하며, 그 다음 정·역방향에서는 각기 1개의 편침을 비작동상태로 하고, 이 때 새끼발가락부분의 측단부는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36∼44˚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작동상태로 이동하고, 이러한 정·역방향으로의 작동을 1사이클로 4회 반복하여 편성하면서, 상기 제5 편성부분보다 그 폭이 넓어지는 제6 편성부분을 편성하고;
상기 제6 편성부분에 이어서, 정·역방향으로 각기 8∼12˚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작동상태로 이동시키고, 다시 나중에 이동된 편침 1개를 비작동상태로 이동시킨 다음, 바로 작동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1사이클로 2∼4회 반복함으로써 새끼발가락부분의 측단부와 엄지발가락부분 및 집게발가락부분의 측단부를 편성하면서, 상기 제6 편성부분보다 그 폭이 넓어지는 제7 편성부분을 편성하고;
상기 제7 편성부분에 이어서,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4∼6˚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작동상태로 이동하여 그 양 측단부를 편성하면서, 발가락부와 발등부 사이의 시접부분이 되는 제8 편성부분을 편성하여, 표면(表面) 발가락부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양말은 그 소재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면, 양모섬유와 같은 천연 섬유와 이들 천연섬유와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며, 통기성 및 투습성을 좋도록 하여 신체로부터의 열을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발산하여 증발을 유도하고 땀은 흡수하는 각종 이형단면 구조의 특수 사가 적용되기도 하며, 항박테리아 처리된 사가 적용될 경우 더욱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의 특징을 그 대표적 일례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말은 통상과 같이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며, 발의 출입을 위한 입구부가 상부에 구비된 다리부(1) 및 발꿈치부(2), 그리고 발바닥부(3)와 발등부(4)가 연이어서 편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발가락부(5)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비대칭형상으로 사람의 발가락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은 폭이 넓도록 높게 편성되며 발바닥의 중심선 부근을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경사지게 편성되어 새끼발가락부분(5c)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편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말은 모든 싱글 또는 더블 자동 양말편직기에 의하여 편성될 수 있으며, 다리부(1), 발꿈치부(2), 발바닥부(3) 및 발등부(4)는 통상의 방식에 따라 자루 형상으로 편성된다. 발가락부(5) 역시도 통상과 마찬가지로 실린더의 상부 또는 하부의 편침 절반을 사용하여 제1∼8 편성부분(A)(B)(C)(D)(D′)(C′)
(B′)(A′)을 편성하되, 양 측단부(Aa)(Ab)(Ba)(Bb)(Ca)(Cb)(Da)(Db)는 다음 8단계에서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형성됨으로써 특징적인 인체공학적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부(3)에 이어지는 발가락부(5)의 시작부분인 제1 편성부분(A)은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4∼6˚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비작동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양 측단부(Aa)(Ab)를 편성하는데, 360°니들실린더상에 편침이 144개 장착된 싱글 실린더 자동 양말편직기의 경우를 일례로 들면, 정·역 양방향으로 측단부(Aa)는
90∼95°, 측단부(Ab)는 265∼270°범위 내에서 각기 1개의 편침을 차례로 비작동상태로 하면서 4코오스를 편성함으로써 형성된다(제1 단계).
그 후 상기 제1 편성부분(A)에 이어서, 정·역방향으로 각기 8∼12˚범위내 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비작동상태로 이동시키고, 다시 나중에 이동된 편침 1개를 작동상태로 이동시킨 다음, 바로 비작동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1사이클로 2∼4회 반복함으로써 새끼발가락부분(5c)의 측단부(Ba)와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측단부(Bb)를 편성하면서, 상기 제1편성부분(A)보다 그 폭이 좁은 제2 편성부분(B)을 형성한다(제2 단계). 이 경우 니들실린더상에 편침이 144개 장착된 양말편직기에서는 정·역방향으로 각기 95∼105°및 255∼265°범위 내의 편침이 적용되며 4차례 반복할 경우 제2 편성부분(B)에는 16코오스를 편성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2 편성부분(B)에 이어서,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측단부(Cb)는 정·역방향으로 각기 16∼24˚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 차례로 비작동상태로 하는 동작을 2회 반복한 다음, 정방향에서 1개의 편침을 작동상태로 하고, 역방향에서는 1개의 편침을 비작동상태로 하며, 그 다음 정·역방향에서는 각기 1개의 편침을 작동상태로 하고, 이 때 새끼발가락부분(5c)의 측단부(Ca)는 정·역방향으로 니들실린더상의 36∼44˚범위내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비작동상태로 반복 이동하고 이러한 동작을 1사이클로 하여, 4회 반복함으로써 제3 편성부분(C)을 편성한다(제3 단계). 이 때 니들실린더상의 편침이 144개인 양말편직기에서는, 새끼발가락부분(5c)의 측단부(Ca)는 정·역방향으로 각기 니들실린더상의 105∼145°범위 내의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비작동하여 편성하며,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측단부(Cb)는 235∼255°범위 내의 편침이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되며, 이를 4회 반복하여 32코오스를 편성한 다.
또 상기 제3 편성부분(C)에 이어서, 정·역 양방향으로 각각 4∼8˚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비율로 비작동상태로 이동하여 측단부(Da)(Db)를 편성하면서 발가락부(5)의 이면 최전방부분이 되는 제4 편성부분(D)을 편성하여, 이면 발가락부를 형성한다(제4 단계). 이 제4 단계의 제4 편성부분(D)의 경우, 니들실린더상의 편침이 144개인 양말편직기에서는 정·역방향으로 각기 145∼153°및 227∼235°범위 내에서 3개의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비작동상태로 이동하여 발가락의 선단부가 되는 6코오스 편성하여 발가락부의 이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발가락부(5)의 표면(表面)은 상기 제4 편성부분(D)과 동일한 절차를 계속 반복하여 그와 동일한 제5 편성부분(D′)을 편성하고(제5단계), 상기 제5 편성부분(D′)에 이어서 제6 편성부분(C′)은 그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측단부(Cb)를, 상기 제3 편성부분(C)의 경우와는 반대로, 정·역방향으로 각기 16∼24˚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 차례로 작동상태로 하는 동작을 2회 반복한 다음, 정방향에서 1개의 편침을 비작동상태로 하고, 역방향에서는 1개의 편침을 작동상태로 하며, 그 다음 정·역방향에서는 각기 1개의 편침을 비작동상태로 하여 편성하는 한편, 새끼발가락부분(5c)의 측단부(Ca)는 정·역 양방향으로 36∼44˚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작동상태로 반복 이동하여 편성하며, 이러한 동작을 1사이클로 하여 4회 반복하여 편성한다(제6 단계). 니들실린더상의 편침이 144개인 양말편직기는 제6 편성부분(C′)의 편성시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측단부(Cb)는 235∼255°범위 내의 니 들실린더상 편침 2개를 정·역방향으로 각기 차례로 작동상태로 이동시키고, 다시 나중에 이동된 편침 1개를 비작동상태로 이동시킨 다음, 바로 작동상태로 이동시키고, 새끼발가락부분(5c)의 측단부(Ca)는 정·역방향으로 각기 니들실린더상의 105∼145°범위 내의 편침을 차례로 1:1비율로 작동상태로 하여, 4회 반복 편성함으로써 총 16코오스의 제6 편성부분(C′)을 형성한다.
상기 제6 편성부분(C′)에 이어서, 정·역방향으로 각기 8∼12˚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작동상태로 이동시키고, 다시 나중에 이동된 편침 1개를 비작동상태로 이동시킨 다음, 바로 작동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1사이클로 하여 2∼4회 반복하여 새끼발가락부분(5c)의 측단부(Ba)와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측단부(Bb)를 편성하면서 상기 제6 편성부분(C′)보다 폭이 넓은 제7 편성부분(B′)을 형성한다(제7 단계). 이 경우 대표적 일례로 든 편침 144개의 싱글 양말편직기의 경우 제7 편성부분(B′)은 정·역방향으로 각기 95∼105°및 255∼265°범위 내의 편침이 적용되어 그들의 측단부(Ba)(Bb)를 편성하며 4차례 반복하면 제2 편성부분(B)과 마찬가지로 16코오스를 편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4∼6˚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작동상태로 이동하면서 제8 편성부분(A′)의 양 측단부(Aa)(Ab)를 편성하면서, 그 단부가 발가락부(5)와 발등부(4) 사이의 시접부분이 되는 제8 편성부분(A′)을 형성하는데(제8 단계), 역시 360°니들실린더상에 편침이 144개 장착된 양말편직기의 경우, 정·역 양방향으로 90∼95°및 265∼270°범위 내에서 각기 1개의 편침을 차례차례 작동상태로 하면서 4코오스를 편성함으로써 발가락부 (5)의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편성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말의 발가락부(5)는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과 새끼발가락부분(5c)의 측단부들(Aa)(Ab),(Ba)(Bb),(Ca)(Cb),(Da)(Db)이 단계적으로 그 기울기를 달리하면서 각기 편성되어서, 새끼발가락 쪽으로 갈수록 상당히 좁아지도록 편성되고 양말의 발가락부(5)는 좌우 비대칭형상을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가락부(5)의 최저면(Y)을 기준으로,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표·리면 측단부(Ab)(Db)의 기울기(θ1)(θ4)는 40∼50°이 되고, 측단부(Bb)(Cb)의 기울기(θ2)
(θ3)는 60∼70°가 되며, 새끼발가락부분(5c)의 표·리면 측단부(Aa)(Ca)(Da)의 기울기(θ5)(θ7)(θ8)는 40∼50°이고, 측단부(Ba)의 기울기(θ6)는 60∼70°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그 경사도를 달리하면서 폭이 좁아지도록 편성되어서, 제1∼8 편성부분(A)(B)(C)(D)(D′)(C′)(B′)(A′) 각각의 좌우측 가장자리 측단부들(Aa)(Ab)(Ba)(Bb)(Ca)(Cb)(Da)(Db)에서의 편환이 중간부분의 편환보다 약간 더 길게 형성되어 통기성이 우수하게 되며, 도 3에 도시된 최적의 가상선(X)에 근접하도록 편성되어 엄지발가락부분(5a)과 집게발가락부분(5b)은 폭이 넓게 편성되는 반면, 새끼발가락부분(5b)쪽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좁게 편성되어 새끼발가락부분(5b)이 가장 좁게 편성되므로, 혹 양쪽 양말을 바꿔 신을 경우 외관 형태가 어색할 정도로 육안으로 오른 발 및 왼 발용의 양말을 분명히 구분 가능하도록 편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은 사람의 발가락 형상과 일치하도록 좌우 비대칭 형상이며 인체 공학적으로 형성되므로 장시간 착용시에도 엄지발가락 및 집게발가락부분의 죔 현상 없이 편안하며 또 통상 일반양말의 경우 존재하는 새끼발가락부분의 공간 여유도 없이 전체적으로 발가락 형상에 잘 맞게 형성되어 착용시 발 외관의 모습이 예쁘게 나타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양말은 일반 소비자들도 육안으로 양말의 특징을 금방 알아볼 수 있으므로 일반 양말과의 차별화가 가능하여 제품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편환 구조상 땀 흡수가 높으면서도 통기성 및 투습성이 향상되어 발의 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고 기능성의 양말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은 덧신이나 일명 스티커즈라고도 불리는 발목부분이 없는 양말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2)

  1. 다리부(1), 발꿈치부(2), 발바닥부(3), 발등부(4) 및 발가락부(5)가 자루형상으로 편성되는 통상의 양말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5)가 그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은 넓고 새끼발가락부분(5c)은 좁도록 좌우 비대칭형상으로 단계적으로 편성되며;
    상기 발가락부(5)의 수평 최저면(Y)을 기준으로,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표·리면의 제1, 4, 5, 8 편성부분(A)(D)(D′)(A′)의 측단부(Ab)(Db)에서의 기울기(θ1)(θ4)는 40∼50°이고, 제2, 3, 6, 7 편성부분(B)(C)
    (C′)(B′)의 측단부(Bb)(Cb)의 기울기(θ2)(θ3)는 60∼70°이며, 새끼발가락부분(5c)의 표·리면 제1, 3, 4, 5, 6, 8 편성부분(A)(C)(D)(D′)(C′)(A′)의 측단부(Aa)(Ca)(Da)에서의 기울기(θ6)(θ7)(θ8)는 40∼50°이고, 제2, 7 편성부분(B)
    (B′)의 측단부(Ba)의 기울기(θ6)는 60∼70°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면서 경사도를 달리하여 편성되며;
    상기 발가락부(5)의 좌우측 가장자리의 편환이 중간부분의 편환보다 길게 형성되어 통기성이 우수하며;
    사람의 발가락 형상과 일치하면서 오른 발 및 왼 발용으로 구분되도록 편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2. 다리부(1), 발꿈치부(2), 발바닥부(3), 발등부(4) 및 발가락부(5)가 자루형 상으로 편성되는 양말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부(5)의 편성시,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4∼6˚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비작동상태로 이동하여 그 양 측단부(Aa)(Ab)를 편성하면서, 상기 발바닥부(3)에 이어지는 발가락부(5)의 시작부분이 되는 제1 편성부분(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편성부분(A)에 이어서, 정·역방향으로 각기 8∼12˚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비작동상태로 이동시키고, 다시 나중에 이동된 편침 1개를 작동상태로 이동시킨 다음, 바로 비작동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1사이클로 하여 2∼4회 반복함으로써 새끼발가락부분(5c)의 측단부(Ba)와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측단부(Bb)를 편성하여 상기 제1 편성부분(A)보다 그 폭이 좁아지는 제2 편성부분(B)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편성부분(B)에 이어서,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측단부(Cb)는 정·역방향으로 각기 16∼24˚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 차례로 비작동상태로 하는 동작을 2회 반복한 다음, 정방향에서 1개의 편침을 작동상태로 하고, 역방향에서는 1개의 편침을 비작동상태로 하며, 그 다음 정·역방향에서는 각기 1개의 편침을 작동상태로 하고, 이 때 새끼발가락부분(5c)의 측단부(Ca)는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36∼44˚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비작동상태로 반복 이동하고 이러한 동작을 1사이클로 4회 반복 편성하면서, 제3 편성부분(C)을 편성하고;
    상기 제3 편성부분(C)에 이어서,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4∼8˚범위내의 니 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비율로 비작동상태로 이동하여 측단부(Aa)(Db)를 편성하면서, 발가락부의 이면 최전방부분이 되는 제4 편성부분(D)을 편성하여, 이면 발가락부를 형성하고;
    연달아서, 상기 제4 편성부분(D)과 동일한 절차를 계속 반복하여 그와 동일한 제5 편성부분(D′)을 편성하고;
    상기 제5 편성부분(C)에 이어서,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측단부(Cb)는 정·역방향으로 각기 16∼24˚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 차례로 작동상태로 하는 동작을 2회 반복한 다음, 정방향에서 1개의 편침을 비작동상태로 하고, 역방향에서는 1개의 편침을 작동상태로 하며, 그 다음 정·역방향에서는 각기 1개의 편침을 비작동상태로 하고, 이 때 새끼발가락부분(5c)의 측단부(Ca)는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36∼44˚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작동상태로 반복 이동하고 이러한 동작을 1사이클로 4회 반복하면서, 제6 편성부분(C′)을 편성하고;
    상기 제6 편성부분(C′)에 이어서, 정·역방향으로 각기 8∼ 12˚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작동상태로 이동시키고, 다시 나중에 이동된 편침 1개를 비작동상태로 이동시킨 다음, 바로 작동상태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1사이클로 2∼4회 반복하여 새끼발가락부분(5c)의 측단부(Ba)와 엄지발가락부분(5a) 및 집게발가락부분(5b)의 측단부(Bb)를 편성하면서, 제7 편성부분(B′)을 편성하고;
    상기 제7 편성부분(B′)에 이어서, 정·역 양방향으로 각기 4∼6˚범위내의 니들실린더상 편침을 차례로 1:1 비율로 작동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양 측단부 (Aa)(Ab)를 편성하면서, 발가락부(5)와 발등부(4) 사이의 시접부분이 되는 제8 편성부분(A′)을 편성하여, 표면 발가락부를 형성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의 편성방법.
KR1020040093835A 2004-11-17 2004-11-17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 KR100570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835A KR100570956B1 (ko) 2004-11-17 2004-11-17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
JP2005026835A JP2006144209A (ja) 2004-11-17 2005-02-02 靴下およびその編成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835A KR100570956B1 (ko) 2004-11-17 2004-11-17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956B1 true KR100570956B1 (ko) 2006-04-13

Family

ID=3662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835A KR100570956B1 (ko) 2004-11-17 2004-11-17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144209A (ko)
KR (1) KR100570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167B1 (ko) * 2009-01-05 2011-10-10 백기출 비대칭 양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6803A (ja) * 2007-04-16 2008-11-06 Takeda Leg Wear Co Ltd ストッキ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6124045B2 (ja) * 2012-11-06 2017-05-10 武田レッグウェアー株式会社 くつ下およびくつ下の製造方法
CN103598675A (zh) * 2013-12-06 2014-02-26 杭州汉世商贸有限公司 袜子
CN117127304B (zh) * 2023-08-29 2024-03-12 浙江伟焕机械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五趾袜及其编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505A (ja) 1997-03-14 1998-09-29 Nitto Globe Kk 左右対称型爪先を有する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H1121703A (ja) 1997-05-06 1999-01-26 Takeda Retsugu Wear Kk くつ下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505A (ja) 1997-03-14 1998-09-29 Nitto Globe Kk 左右対称型爪先を有する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H1121703A (ja) 1997-05-06 1999-01-26 Takeda Retsugu Wear Kk くつ下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167B1 (ko) * 2009-01-05 2011-10-10 백기출 비대칭 양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44209A (ja)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9795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textile upper
JP6288725B2 (ja) カラー部およびスロート部にニット構成要素を組み込んだ、履物のアッパー
JP5628929B2 (ja) 編まれた要素を備えたアッパーを有する履物製品
US9877536B2 (en) Method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knitting a knitted component of warp knit construction forming a seamless bootie with wrap-around portion
US9968156B2 (en) Method of making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knitting a knitted component of warp knit construction forming a seamless bootie with tucked-in portion
US8250676B2 (en) Selectively feltable garment
KR100639035B1 (ko)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
KR100570956B1 (ko) 양말 및 그의 편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