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569B1 - Synthesizer and method for simulating transients and vibrations of string - Google Patents

Synthesizer and method for simulating transients and vibrations of st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569B1
KR100570569B1 KR1019980039437A KR19980039437A KR100570569B1 KR 100570569 B1 KR100570569 B1 KR 100570569B1 KR 1019980039437 A KR1019980039437 A KR 1019980039437A KR 19980039437 A KR19980039437 A KR 19980039437A KR 100570569 B1 KR100570569 B1 KR 100570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sound
delay
delay element
str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켐 아이. 두루오즈
Original Assignee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1998003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5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569B1/en

Links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들간의 전조(transition)가 일어나고 있는 동안 및 그 전과 후에 생성되는 잡음과 경과음(transient)을 시뮬레이션하는 탄주되는 현악기를 위한 소리 합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탄주되는 현악기의 확실한 합성 경과음을 최종 출력에 결합함으로써 생성된다. 특히, 탄주하여 생기는 줄의 경과음 탭 톤 및 길이방향 진동과 줄을 댐핑할 때에 초래되는 댐핑 탭 톤들이 모두 시뮬레이션된다. 한 실시예에서, 어택(attack)할 때와 줄을 탄주할 때에 생성되는 탭 톤은 합성되고, 그 후에 공진 회로를 자극하는데 사용됨으로써, 탄주 탭 톤과 줄의 횡방향 진동 둘 다를 시뮬레이션하게 된다. 더욱이, 분절된 음의 끝부분에서 발생하는 마지막 댐핑 경과음들도, 동시에 공진 회로를 재 튜닝하면서, 독립적인 경과음 합성 부분을 이용하거나, 또는 공진 회로를 탭 톤으로 자극함으로써 시뮬레이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ynthesizer for a stringed string instrument that simulates noise and transients generated before and after transitions between sounds. It is produced by combining the certain synthesized sound of a particularly stringed string with its final output. In particular, both the transition tap tone and longitudinal vibration of the string resulting from the run and the damping tap tone resulting from damping the string are simulated. In one embodiment, the tap tones produced at attack and when the string is run are synthesized and then used to stimulate the resonant circuit, thereby simulating both the run and tap tones and the transverse vibration of the string. Furthermore, the last damping sounds that occur at the end of the segmented sound are also simulated by using an independent synthesized sound synthesis portion, or by stimulating the resonant circuit with a tap tone while retuning the resonant circuit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경과음 및 줄의 진동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합성기 및 방법{SYNTHESIZER AND METHOD FOR SIMULATING TRANSIENTS AND VIBRATIONS OF STRING}Synthesizer and method for simulating elapsed sound and vibration of strings {SYNTHESIZER AND METHOD FOR SIMULATING TRANSIENTS AND VIBRATIONS OF STRING}

본 발명은 현악기를 탄주(puck)함으로써 생성되는 소리의 시뮬레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imulation of sounds produced by pucking stringed instruments.

소프트웨어 부록이 본 명세서에 첨부되어 있다. 부록은 저작권 보호아래 있다. 출원인은 상기 부록을 미국 특허상표청의 파일에 나타나 있는 형태로 재생하는 것에 대하여 반대 의사가 없지만, 모든 다른 권리들을 저작권법 하에 확보해 두었다.A software appendix i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The appendix is under copyright protection. Applicant has no objection to the reproduction of the appendix in the form presented in the U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file, but reserves all other rights under copyright law.

집적 회로 기술 분야에서 최근에 성취된 개발에 따라, 소리 샘플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합성장치(synthesizer)나 컴퓨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여 졌다. 실제로, 팝 음악 콘서트와 팝 음악 녹음 같은 몇 몇 음악 제작 및 연주에 관련해서, 라이브 연주자 대신에 합성장치나 전자 악기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하게 되었다. 야마하(Yamaha)에서 생산되는 "클라비노바(Clavinova)"와, 미디(MIDI) 기타와, 및 쿠즈웨일(Kurzweil) 및 야마하에서 생산되는 합성장치는 대중적인 전자 악기의 예들이다.Recent developments in integrated circuit technology have made it possible to build synthesizers or computers that can process sound samples quickly and efficiently. Indeed, for some music production and performances, such as pop music concerts and pop music recordings, it has become convenient and inexpensive to use synthesizers or electronic instruments instead of live performers. "Clavinova" produced in Yamaha, MIDI guitars, and synthesizers produced in Kurzweil and Yamaha are examples of popula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이러한 악기들을 디자인하는 최종적인 목적은, 저렴한 비용과 복잡하지 않게 하면서도 전체 피치 범위에 대하여 합성 악기(synthesized instrument)에 가장 근접하는 소리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질을 악화시키지 않으면서 합성 모델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소리 인지도와 정신 음향학은, 인간의 귀에 소리의 어떤 성분들이 중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잘 이해되어야 한다.The ultimate goal of designing these instruments is to achieve a sound that is closest to the synthesized instrument over the entire pitch range, at low cost and without complexit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rder to simplify the synthesis model without degrading sound quality, sound perception and psychoacoustics must be well understood to determine which components of sound are important to the human ear.

일반적으로, 현 기술 수준의 합성장치는, 일반적으로, 웨이브테이블 합성(wavetable synthesis)과, FM 합성과, 및 가법 합성 방법(additive synthesis method)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물리적 모델링 합성 방법(physical modeling synthesis)도 병합한 최신 모델들도 몇몇 나왔다. 웨이브테이블 합성방법에서, 어쿠스틱 악기 음(acoustic instrument note)의 일부 부분이나 또는 모든 소리는 디지털 방식으로 녹음된다. 그리고 나서, 녹음된 소리 데이터는 다양한 진폭과, 지속기간과, 피치와, 그 악기에 고유한 다른 중요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음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된다. FM 합성에서, 미리 녹음되었던 소리 데이터는 사용되지 않고; 그 대신에 발진기 쌍들이 적합하게 포락선처리(envelop)되고 가중값 처리가 이루어진 다음에 더해지는 주파수 및 진폭 변조 사인파(sine waves)를 생성한다. 가법 합성(additive synthesis)에서, 소리의 주파수 성분들은 따로 따로 생성되며, 포락선 처리되며, 또한 합쳐진다. 순수한 가법 합성은 상업적으로 실용적이지 않은데, 왜냐하면 특히 경과음과 비-선형적인 부분의 합성에 대하여 실제 같은 소리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어야 하는 성분들의 개수가 아주 많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물리적 모델링 합성 방법에서, 악기의 파동 전파를 조절하는 방정식들의 해가 수치적으로 구해지고, 그 결과가 소리 샘플을 생성한다.In general, current state-of-the-art synthesis apparatuses generally use a combination of wavetable synthesis, FM synthesis, and additive synthesis methods. There are also some of the latest models that incorporate physical modeling synthesis. In the wavetable synthesis method, some or all of the acoustic instrument notes are recorded digitally. The recorded sound data is then digitally processed to achieve notes that include various amplitudes, durations, pitches, and other important parameters specific to the instrument. In FM synthesis, previously recorded sound data is not used; Instead, oscillator pairs are properly enveloped and weighted to produce frequency and amplitude modulated sine waves which are then added. In additive synthesis, the frequency components of sound are generated separately, enveloped, and combined. Pure additive synthesis is not commercially viable, especially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components that must be used to produce realistic sounds, especially for the synthesis of transitional and non-linear parts. Finally, in the physical modeling synthesis method, the solutions of the equations that control the wave propagation of the instrument are numerically solved, and the result produces a sound sample.

이러한 상기의 방법들과 다른 방법이나, 상기의 방법들을 조합한 방법은 서로 다른 고유한 악기들을 합성하는 데 성공적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FM 및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법은 일부 피치 범위에서 피아노와, 대부분의 타악기와, 관악기에 매우 성공적으로 적용된다. 반면에, 물리적 모델링 합성은 모든 관악기 및 활로 켜는 현악기들에서 특히 중요한 비 선형 효과에 의하여 생성된 소리들을 합성하는데 있어서 매우 효과가 있다. 그러나, 물리적인 모델링 합성 모델은 매우 신기술임으로, 실현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그 결과 상업적으로 아직 실용적이지 않다.These and other methods, or a combination of the above methods, have been found to be successful in synthesizing different unique instruments. In particular, FM and wavetable synthesis methods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pianos, most percussion and wind instruments in some pitch ranges. On the other hand, physical modeling synthesis is very effective in synthesizing sounds produced by nonlinear effects that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 all wind and bowed stringed instruments. However, physical modeling synthetic models are very new and are very difficult to realize, and as a result are not commercially viable yet.

일반적인 현 기술 수준의 음 합성장치가 갖고 있는 결점은 합성장치가 음들간에 분절(articulation)을 생성한다는 것이다. 심지어 격리된 단일 음이 완벽하게 합성되었다 할지라도, 연속적으로 연주되는 몇 몇 음들의 부적합한 분절은 음향이 실제적이지 않게 한다. 특히 음이 바뀌는 전조 동안에 생성되는 경과음 및 잡음은 매우 중요한 성분들이다. 플루트같은 몇 몇 악기들에서, 이것은 아주 중요한 문제인데, 왜냐하면 경과음 동안에 FM 합성이나 또는 웨이브테이블 합성에 의하여 성공적으로 시뮬레이션될 수 없는 비-선형 효과가 생기기 때문이다.A drawback with general state-of-the-art sound synthesizers is that they produce articulation between sounds. Even if an isolated single note is perfectly synthesized, an inadequate segmentation of some notes played in succession makes the sound impractical. Particularly, the old sound and noise generated during the forefront of changing notes are very important components. In some instruments, such as flutes, this is a very important problem, since during the transition there is a non-linear effect that cannot be successfully simulated by FM synthesis or wavetable synthesis.

더 나아가서, 또한 현 기술 수준의 합성장치는 재생된 소리에서 경과음을 적합하게 나타내는 일에 실패한다. 전형적인 합성장치의 출력이 세밀하게 검토될 때에, 합성되는 탄주된 현악기의 음은 실제 악기의 라이브 녹음에서 찾아볼 수 있는 경과음이 없다는 것이 자주 발견된다. 이러한 경과음들은 분절된 음 시퀀스를 성공적으로 합성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또한 격리된 단일 음에서도 중요하다. "클래식 기타{나이론 줄(string)로 소리를 내는 기타}"는 매우 좋은 예이다: 상기 악기에 있어서 전형적인 FM 합성 방법이나 또는 물리적 모델링 합성 방법은 "탭 소리"로 공지된 본체를 때릴 때 나는 소리가 없는데, 상기 탭 소리는 줄을 처음 칠때 생성되는 줄의 길이방향 모드(longitudinal mode) 진동에서 뿐만이 아니라, 줄을 처음 칠 때에 나무에서 생기는 진동에서 초래되고, 또한 이것은 줄을 놓아주기 전의 짧은 기간 동안만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없이, 합성된 각각의 음 소리나 또는 분절되는 음 소리들은 실제 악기에서 생성되는 소리와 쉽게 분별될 수 있다.Furthermore, current state-of-the-art synthesizers fail to properly display the transitional sound in the reproduced sound. When the output of a typical synthesizer is examined in detail, it is often found that the notes of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s being synthesized do not have the transitions found in live recordings of real instruments. These transition sounds are important not only for successfully synthesizing segmented note sequences, but also for isolated single notes. A "classic guitar" (a guitar that sounds with a nylon string) "is a very good example: the typical FM synthesis method or physical modeling synthesis method for the instrument sounds when hitting a body known as" tap sound. " The tapping sound is caused not only in the longitudinal mode vibration of the string generated when the string is first stroked, but also in the vibration that occurs in the tree when the string is first stroked, and also during the short period before releasing the string. I can hear it. Without these components, each synthesized note sound or segmented note sounds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sound produced in a real instrument.

만약에 웨이브테이블들이 적합하게 녹음되었다면,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법은 상기와 같은 경과음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러나 현재의 웨이브테이블 합성 장치들에서, 경과음은 개별적으로 녹음되지 않으며, 그래서 경과음들을 기초가 되는 음에 관계없이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이것은 재생된 음질이 피치와, 음 박자와, 및 지속기간에 대하여 매우 양호할 수 있어서 대부분의 피치와, 음 박자와, 지속기간에 대하여 오리지널 녹음에 거의 근접할 수 있는 반면에, 경과음은 라이브 악기가 생성하는 경과음과 매칭되지 않기 때문에 재생된 음질은 불량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If the wavetables were properly recorded, the wavetable synthesis method may include such elapsed sound components; However, in current wavetable synthesizing devices, elapsed sounds are not recorded separately, so it becomes impossible to manipulate them regardless of the notes on which they are based; This means that the reproduced sound quality can be very good with respect to pitch, beat, and duration, so that most pitches, beats, and durations can be close to the original recording, while elapsed sound is a live instrument. This means that the reproduced sound quality becomes poor because it does not match with the elapsed sound generated.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이전에 있었던 시스템에 의하여 시뮬레이션되던 최초 줄의 진동에 외에도, 탄주되는 현악기들에서 생성되는 대부분의 경과음 소리도 또한 시뮬레이션된다. 탄주되는 현악기에 대하여 특별하게 확신할 수 있는 합성은 경과음을 마지막 출력에 결합시킴으로써 생성된다.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vibrations of the original strings simulated by the system as previously described, most of the old sounds produced in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s are also simulated. Particularly convincing synthesis for stringed stringed instruments is produced by combining the transition into the final output.

특히, 한 쪽면에서 보면, 본 발명은 줄을 탄주할 때에 해당되는 경과음으로 공진 회로를 유도함으로써, 탄주되는 줄의 기본 고유 주파수에 튜닝되는 공진 회로를 사용하여, 어택(attack)(또는 탄주)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는 특색을 갖고 있다. 따라서, 탄주되는 현악기 소리의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한 합성장치는 공진 회로와 경과음 합성 부분을 포함한다. 경과음 합성 부분은 청취할 수 있는 어택 경과음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제 1 지속기간으로 되어 있다. 공진 회로는 시뮬레이션된 음에 해당되는 청취가능한 톤을 생성하기 위하여 튜닝되는데, 이것은 제 1 지속기간보다 더 긴 지속기간을 갖는다. 경과음 합성 부분의 출력은 공진 회로를 유도하기 위하여 공진 회로에 공급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청취가능 톤을 생성한다.In particular,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resonant circuit tuned to the fundamental natural frequency of the string being run, thereby inducing a resonant circuit with an elapsed sound corresponding when the string is run.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simulating Therefore, the synthesizing apparatus for simulating the stringed string sounds includes a resonant circuit and a synchronizing sound synthesis portion. The elapsed sound synthesis portion provides a simulation of the audible attack elapsed sound, which is of first duration. The resonant circuit is tuned to produce an audible tone corresponding to the simulated sound, which has a longer duration than the first duration. The output of the old sound synthesis portion is fed to the resonant circuit to induce the resonant circuit, thereby producing an audible tone that simulates the sound of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줄의 일시적인 길이방향 진동뿐만이 아니라, 보다 긴 기간동안의 줄 횡방향 진동 둘 다를 시뮬레이션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합성장치는, 줄의 횡방향 진동에서의 청취가능한 톤을 시뮬레이션하는 횡방향 합성 부분과, 또한 줄의 길이방향 진동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길이방향 합성 부분을 포함한다. 횡방향 합성 부분과 길이방향 합성 부분의 출력은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결합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simulating both longitudinal transverse vibration of the string as well as transverse longitudinal vibration for longer periods of time. Thus, a synthesiz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simulation for the sound of a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has a transverse synthesis portion that simulates an audible tone in the transverse vibration of the string, and also a longitudinal direction that provides a simulation for the longitudinal vibration of the string. Includes synthetic parts. The outputs of the transverse synthesized portion and the longitudinal synthesized portion are combined to produce an output signal that simulates the sound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상기 측면에 관련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합성 부분은 톱니 파형에 의해 자극되어, 결과적으로 탄주되는 현악기의 감겨진 줄을 탄주할 때 생성되는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게 된다.In a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relating to this aspect, the longitudinally synthesized portion is stimulated by a sawtooth waveform, resulting in simulating the transition that is produced when the reeling of a string of stringed stringed instruments is performed.

세 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된 음을 마지막으로 댐핑(DAMPING)하는 동안에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는 특색을 갖고 있다.In a third aspect,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simulating elapsed sound during the last damping of the simulated sound.

한 실시예에서, 댐핑 잡음은 독립적인 경과음 합성 부분에 의하여 시뮬레이션된다.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합성장치는 음 합성 부분과 경과음 합성 부분을 포함한다. 음 합성 부분은 시뮬레이션된 음에 해당되는, 청취가능한 톤의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데, 상기 시뮬레이션된 음은 줄의 시뮬레이션된 탄주 시간으로부터 줄의 후속하는 시뮬레이션된 탄주전의 마지막 댐핑 기간까지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경과음 합성 부분은 청취가능한 경과음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제 1 지속기간보다 짧으며 또한 마지막 댐핑 기간동안에 일어난다. 음 합성 부분과 경과음 합성 부분의 출력은 댐핑 기간동안에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결합된다.In one embodiment, the damping noise is simulated by an independent old sound synthesis portion. A synthesiz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simulation of the sound of a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includes a sound synthesis section and an old sound synthesis section. The sound synthesis portion provides a simulation of an audible tone, corresponding to the simulated sound, which has a duration from the simulated run time of the joule to the last damping period of the subsequent simulated runout of the joule. . The old sound synthesis portion provides a simulation of the audible old sound, which is shorter than the first duration and also occurs during the last damping period. The outputs of the sound synthesis section and the old sound synthesis section are combined to produce an output signal that simulates the sound of a stringed instrument that is played during the damping period.

다른 실시예에서, 댐핑 잡음은 댐핑 기간동안에 음 합성 장치를 재 튜닝함으로써 시뮬레이션된다. 특히, 음 합성장치는 제 1 필터와 제 2 필터, 및 제 1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 2 필터의 입력으로 연결해주고 제 2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 1 필터의 입력으로 각각 연결하는 제 1 딜레이 소자와 제 2 딜레이 소자를 구비한다. 더 나아가서, 음 합성장치는 제 1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제 2 딜레이 소자에 전달되는 조절가능한 신호의 부분을 반향시키고 또한 제 2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제 1 딜레이 소자에 전달되는 조절가능한 신호의 부분을 반향시키기 위해서,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들에 결합되는 산란 접합부(SCATTERING JUNCTION)를 포함한다. 댐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산란 접합부는 댐핑을 하기 전에 상기 신호들의 거의 대부분을 반향시키도록 조절된다.In another embodiment, damping noise is simulated by retuning the sound synthesis device during the damping period. In particular, the sound synthesizer may include a first filter, a second filter, and a first signal connec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filter to the input of the second filter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filter to the input of the first filter, respectively. And a delay element and a second delay element. Furthermore, the sound synthesizer reflects the portion of the adjustable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delay element through the first delay element and also the portion of the adjustable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delay element through the second delay element. To this end, a scattering junction SCATTERING JUNCTION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In order to simulate damping, the scatter junction is adjusted to echo almost most of the signals before damping.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장점들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부와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진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위에서 제공된 일반적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아래에서 제공되는 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n conjunction with the general description provided above, and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provided below is provided to illustrate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이하에 나오는 상세한 설명을 위해, 다음에 나오는 본문 내용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용어들이 우선 정의된다:For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various terms are first defined to simplify the following text:

탄주되는 현악기(Plucked String Instrument : PSI) : "탄주되는 현악기"라는 용어는, "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탄주 도구(Plucking Device)"에 의하여 진동으로 셋팅될 수 있는 "줄(string)"을 포함하는 악기를 묘사한다. 예로서는, 클래식, 전자, 포크, 플라멩코, 철 줄, 나이론 줄을 가진 기타를 포함하는(그러나, 그러한 것들로 제한되지는 않음) 다른 모든 종류의 기타와; 모든 종류의 만돌린(mandolin) 및 반조(banjo)와; 바로크풍 류트, 르네상스풍 류트, 우드(ud), 사즈(saz), 탐부라(tambura)를 포함하는(그러나, 그러한 것들로 제한되지는 않음) 모든 종류의 탄주되는 프렛을 구비하거나 또는 프렛을 구비하지 않는 류트들과; 모든 종류의 시턴(cittern)들과; 모든 종류의 하프와; 모든 종류의 수금과: 피지카토(pizzicato)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탄주되는, 모든 종류의 활로 켜는 현악기와; 하프시코드(harpsichord), 버지널(virginal), 스피넷(spinet), 코토(koto) 및 비나(vina)를 포함하는(그러나, 그러한 것들로 제한되지는 않음) 모든 종류의 탄주되는 치터(zither)들이 있다.Plucked String Instrument (PSI): The term " stringed string instrument " is connected to the " body " and is " string " which can be set to vibration by a " Plucking Device ". Depicts an instrument comprising a. Examples include all other kinds of guitar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lassical, electric, folk, flamenco, iron strings, nylon strings and the like; All kinds of mandolin and banjo; Either with or without frets of all types of reinforcing fret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baroque lutes, renaissance lutes, uds, saz, tammburas Not lutes; All kinds of citters; With all kinds of harps; All types of harp: all kinds of bowed stringed instruments, played using techniques such as pizzicato; All kinds of retracted zithe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harpsichord, virginal, spinnet, koto and vina There is.

탄주 도구(Plucking Device : PD) : "탄주 도구"는 길이방향으로 및/또는 횡방향으로 여기시키고, 초기 상태(전형적으로 줄의 길이만큼 횡적으로 늘어나 있는 상태)를 셋팅하고, 및 그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탄주되는 현악기의 줄이 활동할 수 있도록 셋팅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예로서는 인간의 손톱과, 인간의 손가락 자체, 및 임의의 물질로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피크(plectra)들이 있다.Plucking Device (PD): The "plucking device" excites longitudinally and / or laterally, sets the initial state (typically stretched laterally by the length of the string), and releases it. This is the tool used to set the strings of stringed string instruments to work. Examples are human nails, the human finger itself, and all kinds of pickra made of any material.

줄(String) : PSI의 "줄"은 늘어날 수 있는 원통형의 부분으로서, 그 부분은 청취가능한 소리를 생성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및 횡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줄은 악기의 다른 부분에 비교해서 훨씬 적은 강성(stiffness)을 갖고 있는 물질로 만들어져 있다. 줄의 강성은 영율(Young's Modulus)과 체적 탄성율(Bulk Modulus) 같은 물질 상수에 관련되어 있다. 줄을 만들고 있는 물질은 나일론이나, 거트(gut)나, 철이나, 및 코팅되었거나 코팅되지 않은 감겨진 형상의 나일론일 수 있지만 그것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String: The “string” of a PSI is a stretchable cylindrical part, which may vibrate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to produce audible sound. The string is made of a material that has much less stiffness than other parts of the instrument. Joule stiffness is related to material constants such as Young's Modulus and Bulk Modulus. The material from which the string is mad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nylon, gut, iron, and coated or uncoated wound nylon.

본체(Body) : PSI의 "본체"는 줄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체의 강성과 크기에 따라, 본체는 줄과 상당히 공진하며, 따라서 공진 회로처럼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몇 몇 악기에 있어서, 본체는 아주 작거나, 전자 기타에서처럼 아주 뻣뻣하여, 줄이 진동을 함에 따라 공진하지 않는다. 본체는 나무나, 금속이나, 또는 중합체(플라스틱)와 같은 임의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Body: The "body" of the PSI is the part where the strings are connected. Depending on the stiffness and size of the body, the body resonates considerably with the string and thus acts like a resonant circuit. In some instruments, however, the body is very small or very stiff, as in an electric guitar, and does not resonate as the string vibrates. The body may be made of wood, metal, or any material such as a polymer (plastic).

공진 회로 : PSI의 공진 회로는 본체 자체이거나 또는 본체에 연결된 부분이다. 공진 회로의 예로서는 속이 텅 비고 나무로 만든 튜브나 또는 클래식 기타나 하프시코드나 류트에서처럼 임의의 모양과 물질로 이루어지는 박스들이 있는데, 이것들로만 제한되어 지는 것은 아니다.Resonant Circuit: The resonant circuit of the PSI is the body itself or the part connected to the body. Examples of resonant circuits include hollow, wooden tubes, or boxes of arbitrary shapes and materials, such as classic guitars, harpsichords, or lutes,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길이방향 진동 톤(Longitudinal Vibrational Tone : LVT) : 이 톤은 줄의 길이방향 진동 모드에 기인하여 생성된다. 상기 모드는 탄주 도구를 줄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 모션(sliding motion)을 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여기된다. 예컨대 꼬여있느냐 아니면 촉감이 거친지와 같은 줄의 짜임새에 따라, LVT는 백색 잡음(white noise)으로 표현될 수 있는 소리와 공존할 수 있다.Longitudinal Vibrational Tone (LVT): This tone is generated due to the longitudinal vibration mode of the string. The mode is typically excited by sliding motion of the tool against the length of the string. Depending on the texture of the string, eg twisted or rough, LVT can coexist with sound that can be expressed as white noise.

탭 톤(Tap Tone : TT) : PD가 음을 연주하기 위하여 줄을 놓거나 또는 그 다음의 음을 연주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일환으로서 줄을 댐핑할 때에 있어서, 줄과 본체 또는 공진 회로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충격에 의한 톤.Tap Tone (TT): When the PD places a string to play a note or prepares to play the next note, when the string is damped, it interacts with the main body or the resonant circuit. Tons due to impact generated.

댐핑 잡음(Damping Noise : DN) : 줄의 진폭이 PD에 의하여 억제될 수 있을만큼 PD의 위치가 줄에 아주 가까이 있을 때에 들을 수 있는 윙윙거리는 잡음. 댐핑 잡음은 에너지 일부가 손실되게 하거나, 클립핑된 사인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경과음이 손실되는 것을 초래한다. 댐핑 잡음은 또한 줄의 횡방향 모션이 본체에 의하여 제한을 받을 정도로 줄들이 본체에 아주 가까이 있는 반조같은 악기에서 생성되며, 이러한 악기에서 생성되는 소리의 아주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Damping Noise (DN): A buzzing noise that can be heard when the position of the PD is very close to the line so that the amplitude of the line can be suppressed by the PD. Damping noise causes some of the energy to be lost, or results in the loss of elapsed sound, which can be represented by a clipped sinusoid. Damping noise is also generated in instruments such as banjo whose strings are so close to the main body that the transverse motion of the string is limited by the main body, and form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sound produced by these instruments.

횡방향 진동 톤(Transverse Vibrational Tone : TVT) : 줄의 길이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줄이 진동을 할 때에 생성되는 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진동 모드는 LVT나 TT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긴 지속기간동안 계속되며, 연주되는 음의 감지된 피치에 대한 기초가 된다. 횡방향 진동은 두 개의 성분을 갖고 있는데, 왜냐하면 줄은 이차원적으로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Transverse Vibrational Tone (TVT): A tone produced when a string vibrates in the direction transverse to its length. Typically, such vibration modes last for a relatively long duration compared to LVT or TT and are the basis for the perceived pitch of the notes being played. The transverse vibration has two components because the string can vibrate freely in two dimensions.

시작하기 위한 예비지식으로서, 탄주되는 현악기에서 줄의 진동 모드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것은 유용한 일이다. 줄의 진동은 두 성분으로 분할 될 수 있는데 : 길이방향 진동과 횡방향 진동이다. 횡방향 진동은 줄을 이루고 있는 분자들이 줄의 장방향 축에 수직인 면으로 움직일 때에 초래된다. 상기의 면에서 두개의 데카르트 좌표들이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두 개의 횡방향 모드가 있게 된다. 만약에 줄이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면, 이들 모드들은 y방향과 z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As a preliminary knowledge to begin with, it is useful to elaborate on the vibration modes of the strings in stringed stringed instruments. The vibration of the string can be divided into two components: longitudinal vibration and lateral vibration. Transverse vibrations are caused when molecules in a string move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tring. Since two Cartesian coordinates can be defined in this respect, there are two transverse modes. If the string extends in the x direction, these modes can be considered to vibrate in the y and z directions.

1차적으로, 상기 두 개의 횡방향 모드들은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이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횡방향 모드의 기본 주파수 f0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Firstly, the two transverse mode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so in this case the fundamental frequency f 0 of each transverse mode is given as follows.

여기서, T는 줄의 장력이며, ρ 는 체적 밀도이며, L은 줄의 길이이다. ρ는 상수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이것은 줄이 균일하다면 유효한 가정이다.Where T is the tension of the string, ρ is the volume density, and L is the length of the string. ρ can be considered to be a constant, which is a valid assumption if the line is uniform.

그러나, 2차 및 그 이상의 정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현악기의 소리에 관한 성공적인 합성 모델을 성취하기 위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현악기에서, 줄이 본체에 부착되는 지점은 y방향과 z방향에 있어 대칭이 아니다. 이것은 y와 z방향에 대한 경계 조건이 동일하지 않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각기 다른 기본 주파수와 화음을 초래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르게 되는 또 다른 이유는, 탄주되는 현악기의 기러기발(bridge)로의 연결에 관계된다. 기러기발에 대한 어드미턴스(admittance)는 상기 두 방향에 있어 동일하지 않다.However, performing secondary and more correc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achieve a successful synthesis model for the sound of stringed instruments. In most stringed instruments, the point where the string is attached to the body is not symmetrical in the y and z directions. This is not the same boundary condition for the y and z directions, which results in different fundamental frequencies and chords. Another reason for the differentness as described above relates to the connection of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to the geese. Admittance for geese is not the same in both directions.

두 개의 횡방향 모드간의 결합은, 진동할 때의 감지된 "비팅(beating)", 즉 잠재적으로 약간 다른 기본 주파수들이 동시적으로 위상이 다르게 횡방향 진동을 한다는 것의 인지를 나타낸다. 충분히 균일하지 않은 줄에서는, 예컨대 확장된 사용 및/또는 제조 결점이나 또는 가변하는 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상기 비팅은 아주 잘 들릴 수 있다.Coupling between two transverse modes indicates the perceived “beating” of oscillation, ie that potentially slightly different fundamental frequencies are simultaneously transversely out of phase. In strings that are not sufficiently uniform, the beatings can be heard very well, for example due to extended use and / or manufacturing defects or due to varying properties of the material.

줄은 또한 길이방향 진동을 나타낸다. 길이방향 진동은, 줄의 길이가 긴 방향을 따라 줄의 물질이 압축되고 확장되기 때문에 생겨난다. (이러한 진동 모드는 악기의 내부의 공기 열(column of air)이 감지되는 음을 제공하기 위하여 줄의 길이를 따라 압축되고 확장되는 플루트나 파이프 오르간 같은 원통형 관악기의 소리를 위한 주요한 기초가 되는 진동 모드와 유사하다.) 1차적으로, 줄의 길이 방향에 대한 주파수는 줄의 장력에 무관하다. 횡방향 진동에 반대로, 길이방향의 진동에 대한 기본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The strings also represent longitudinal vibrations. Longitudinal vibration occurs because the material of the string is compressed and expanded along the length of the string. (These vibration modes are the primary basis for the sound of cylindrical wind instruments, such as flutes and pipe organs, that are compressed and expanded along the length of the string to provide a sense of the sense of the column of air inside the instrument. First, the frequency along the length of the string is independent of the tension of the string. In contrast to the transverse vibration, the fundamental frequency for the longitudinal vibration is as follows.

여기서, f0과, E와, ρ0과, 및 L은 각각 기본 주파수, 영율, 질량 밀도, 및 줄의 길이이다.Where f 0 , E, ρ 0 , and L are the fundamental frequency, Young's modulus, mass density, and string length, respectively.

길이방향 진동 모드는 전형적으로 탄주되는 현악기의 줄을 탄주함으로써 유도된다. 예를 들어, 클래식 기타에서, 길이방향 진동 모드는 연주자의 손톱이 줄을 탄주하는 일환으로 줄을 따라 옆으로의 슬라이딩 모션함으로써 여기된다. 일반적으로, 탄주 도구의 각도는 상기 모드가 얼마나 강하게 여기되는지를 결정한다. 특히 탄주 도구가 줄을 줄의 장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때리게 될 때에 길이방향 진동이 일어나는 것은 최소가 된다. 탄주 도구의 각도가 줄의 장방향 축에 근접함에 따라, 길이방향 진동 모드의 유도는 증가된다.Longitudinal vibration mode is typically induced by chording strings of stringed instruments. For example, in a classical guitar, the longitudinal vibration mode is excited by sliding motion to the side along the string as part of the player's fingernail chording the string. In general, the angle of the muzzle tool determines how strongly the mode is excited. In particular, longitudinal vibrations are minimal when the tool is hitting the string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ng. As the angle of the muzzle tool approaches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tring, the induction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mode is increased.

길이방향 진동 주파수는 첫 번째로 줄의 장력에 무관하다는 것을 기억하기로 한다. 이러한 사실은, 심지어 줄의 튜닝이 변경될지라도, 횡방향 진동이 일어나기 전에 있어서 경과음에서 들을 수 있는 기본 주파수가 불변한다는 실험을 통한 관찰에 일치한다. 영율 자체가 시간에 따라 가변하며 또한 줄의 장력에 의존한다는 것을 기억하기로 한다. 클래식 기타에서의 G 줄 진동에서 E=4.5 × 109 N/㎡ 이며 ρ0=1.607g/㎤인 점을 사용하여, f0=1600 헤르쯔가 된다. 녹음된 샘플에서 얻은 실험치는 1546 헤르쯔이다. 상기 및 다른 수치는 탄주 도구의 슬라이딩 모션이 실제로 길이방향 모드를 여기시킨다는 사실을 입증해준다.Remember that the longitudinal vibration frequency is first independent of the tension of the string. This is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al observation that even if the tuning of the strings is changed, the fundamental frequency audible to the old sound is unchanged before the transverse vibration occurs. Remember that the Young's modulus itself varies over time and also depends on the tension of the string. Using a point where E = 4.5 × 10 9 N / m 2 and ρ 0 = 1.607 g / cm 3 in G string vibration in a classical guitar, f 0 = 1600 hertz. The experimental value obtained from the recorded sample is 1546 hertz. These and other figures demonstrate that the sliding motion of the trajectory tool actually excites the longitudinal mode.

현악기의 본체와 공진 회로는 고유의 진동 모드를 갖고 있다. 본체가 3차원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의 모드는 줄의 모드보다 훨씬 더욱 복잡하며, 본체가 여기되었을 때에 생성되는 반응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줄이 진동함으로써, 또는 탄주 도구 자체에 의하여 본체가 여기될 때 충격에 의한(percussive) 소리가 나오게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속이 텅 비고 공기가 차 있는 본체를 갖고 있는 악기들은 또한 본체 내에 있는 공기가 공진하는 것에 관계되는 진동 모드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본체에 갇혀 있는 공기는 헬름호르쯔(Helmholz) 공진 회로를 형성하는데, 이것은 본체와 공진 회로에 강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main body of the stringed instrument and the resonant circuit have a unique vibration mode. Because the body ha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mode of the body is much more complicated than the mode of the string, and the reactions generated when the body is excited do not occur at regular intervals. This causes a percussive sound to be produced when the string vibrates, or when the body is excited by the runner tool itself. Furthermore, instruments that have a hollow and airy body also have vibration modes that relate to the resonance of air in the body. In general, the air trapped in the body forms a Helmholz resonant circuit, which is strongly coupled to the body and the resonant circuit.

이하에서, 다양한 합성 방법론들이 결합되어 상기에서 논한 진동 모드를 확실하게 시뮬레이션하도록 해준다. 방법론들은 웨이브테이블 합성, FM 합성, 및 물리적인 모델링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various synthesis methodologies are combined to reliably simulate the vibration modes discussed above. Methodologies include wavetable synthesis, FM synthesis, and physical modeling.

웨이브테이블 합성은 녹음 기계가 p개의 샘플을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포락선들이 다른 신호의 모양에 또한 적용된다. An이 합성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n번째의 샘플이라고 가정하면, 웨이브테이블 합성의 수학적인 결론은 An = An-p가 된다. 여기서, p는 테이블 길이라고 불린다. 테이블 길이는 웨이브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메모리의 양과, 톤의 주율(periodicity)을 결정한다. 다양한 피치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샘플을 생성하기 위하여 웨이브테이블에 있는 샘플들에 대하여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및/또는 데시메이션(decimation)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따라서 감지되는 피치를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Wavetable synthesis involves the recording machine continuously repeating p samples. Envelopes also apply to the shape of other signals. Assuming that A n is the nth sample produced by the synthesizer, the mathematical conclusion of wavetable synthesis is A n = A np . Where p is called the table length. The table length determines the amount of memory needed to store the wavetable and the tone's periodicity. Various pitches can be obtained by interpolating and / or decimating the samples in the wavetable to produce more or fewer samples, thus reducing or increasing the perceived pitch. Can be.

FM 합성은 다수개의 발진기 쌍들을 사용하는데, 이들의 출력신호는 가중처리되고, 최종 소리를 생성하기 위하여 더해진다. 각 쌍에서, 한 개의 발진기는 캐리어이고, 다른 발진기는 변조기이다. 발진기 쌍의 출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FM synthesis uses multiple oscillator pairs whose output signals are weighted and added to produce the final sound. In each pair, one oscillator is a carrier and the other oscillator is a modulator. The output of the oscillator pair can be expressed as:

여기서 An은 캐리어의 진폭이고, Wc는 캐리어 주파수이며, m(n)은 변조 진폭이며, 및 wm은 변조 주파수이다. 만약에 wc/wm 비율이 정수가 아니라면 Sn이 베슬 함수에 의하여 정의되는 비-고조파 스펙트럼이기 때문에, FM 합성은 특히 비고조파 톤을 합성하는데 유용하다.Where A n is the amplitude of the carrier, W c is the carrier frequency, m (n) is the modulation amplitude, and w m is the modulation frequency. If the w c / w m ratio is not an integer, FM synthesis is particularly useful for synthesizing non-harmonic tones since S n is a non-harmonic spectrum defined by the vessel function.

물리적 모델링 합성에서, 줄에 대한 파동 방정식은 딜레이 라인(delay line)과, 유한 차동 근사법(approximation)과, 및 유한 요소 방법(finite element method)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수치적으로 해결된다. 만약에 강성과 및 다른 이차적인 효과가 무시될 수 있다면, 웨이브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기록될 수 있다:In physical modeling synthesis, wave equations for lines are solved numerically using techniques such as delay lines, finite differential approximation, and finite element methods. If stiffness and other secondary effects can be neglected, the wave equation can be written as:

여기서, Y(x,t)는 축방향 변위이며, c는 소리의 속도이다. 파동 방정식의 해는 Y(x,t)=Y+(x,t) + Y-(x,t)의 형태가 되며, 여기서 Y+와 Y-는 진행파 성분이다. 만약 방정식이 샘플링 주파수(1/Δt)로 불연속화되고 Δx/Δt의 값이 c라면, 좌향 진행파와 우향 진행파(도 1b)를 나타내는 도파관과 유사한 딜레이 라인들을 사용하여 방정식의 해가 구해진다. 만약에 Δx/Δt의 값이 c가 아니라면, 더욱 복잡한 유한 차동 근사법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딜레이 라인 모델이 이러한 경우에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다.Where Y (x, t) is the axial displacement and c is the speed of sound. Solution of the wave equation is Y (x, t) = Y + (x, t) + Y - is a traveling wave component - is in the form of (x, t), where Y + and Y. If the equation is discontinuous at the sampling frequency (1 / Δt) and the value of Δx / Δt is c, the solution of the equation is solved using waveguide-like delay lines representing leftward and rightward traveling waves (FIG. 1B). If the value of Δx / Δt is not c, then a more complicated finite differential approximation method should be used, because the delay line model is not valid in this case.

지금부터 도 1a를 참조하자면, 탄주되는 줄의 합성장치(10)에 대한 고 품질의 실시예가 일반적인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합성장치(10)는 길이방향 진동 경과음을 합성하는 길이방향 진동 톤(Longitudinal Vibratory Tone : LVT) 합성 부분(12)을 포함한다. LVT 합성 부분(12)에 대하여 더 많은 세부 사항들이 도 5a와 도 5b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제공될 것이다.Referring now to FIG. 1A, a high quality embodiment of a synthesizing device 10 of a string of strings is shown in a general form. In an embodiment, the synthesizing apparatus 10 includes a Longitudinal Vibratory Tone (LVT) synthesizing portion 12 for synthesizing the longitudinal vibrating sound. More details regarding the LVT synthesis portion 12 will be provided below with respect to FIGS. 5A and 5B.

합성장치(10)는 두 개의 횡방향 진동 톤(TVT) 부분(14, 16)을 더 포함하는데, 이것들은 줄이 횡방향 진동에 대한 두 개의 성분들을 합성시킨다. 이들 성분들은 브리지 필터(18)에 의하여 함께 연결되어 탄주되는 현악기의 기러기발에서 일어나는 두 횡방향 진동 모드사이에서의 에너지 전달을 시뮬레이션한다. TVT 부분(14, 16)과 브리지 필터(18)에 대한 더 많은 세부사항들이 도 1b에 관련하여 이하에 제공될 것이다.The synthesizing apparatus 10 further comprises two lateral vibration tone (TVT) portions 14, 16, which combines the two components of the transverse lateral vibration. These components are connected together by a bridge filter 18 to simulate the transfer of energy between the two transverse modes of vibration occurring in the geese of the stringed instrument. More details about the TVT portions 14, 16 and bridge filter 18 will be provided below with respect to FIG. 1B.

도 1a에 있는 합성장치(10)는 탭 톤(TT) 합성 부분(20)을 또한 포함하는데, 상기 탭 톤 합성 부분은 횡방향 진동과 줄을 놓기 전에 줄과 탄주 도구간의 접촉에 의하여 생성되는 경과음, 및 줄의 진동이 탄주 도구에 의하여 댐핑될 때에 있어서 음들간의 경과음을 합성한다. TT 부분(20)은 브리지 필터(18)에 연결되어, 결국 TVT 구성요소들(14, 16)에도 연결되어 있다. 브리지 필터(18)는 모든 방향에 대한 전송 계수(transmission coefficient)와 반향 계수(reflection coefficient)에 대한 것을 이행한다. 상기와 같은 접근 방식에 있어서, TT 부분(20)에 의하여 제공되는 시물레이션된 탭 톤은 유한 차동 근사법에서 부과되는 것과 동일한, 물리적으로 모델링된 TVT 부분(14, 16)에서의 경계 조건을 성립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물리적 모델을 직접적으로 구현을 할 수 있다.The synthesizing apparatus 10 in FIG. 1A also includes a tap tone (TT) synthesizing portion 20, wherein the tap tone synthesizing portion is a transverse sound generated by lateral vibration and contact between the string and the ritual tool before the string is released. When the vibrations of the strings, and strings are damped by the muzzle tool, synthesize the sound between the sounds. The TT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bridge filter 18, which in turn is also connected to the TVT components 14, 16. Bridge filter 18 implements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and reflection coefficient for all directions. In such an approach, the simulated tap tone provided by the TT portion 20 establishes the boundary conditions in the physically modeled TVT portions 14, 16, which are the same as those imposed in the finite differential approximation, As a result, the physical model can be implemented directly.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TVT 부분(14, 16)의 출력은 가산기(22)에 의하여 합산된다. 가산기(22)의 출력은 제 2 가산기(24)에 의하여 LVT 부분(12)의 출력과 합산되어 라인(26)에서 시뮬레이션의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생성한다.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는 실시예에서, 라인(26)상의 시뮬레이션된 소리는 디지털 샘플 시퀀스로 되어 있는데, 이 시뮬레이션 소리는 후에 한 개 이상의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에 전달된다.To produce an output signal, the outputs of the TVT portions 14, 16 are summed by an adder 22. The output of the adder 22 is summed by the second adder 24 with the output of the LVT portion 12 to produce the sound of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of the simulation in line 26. In an embodiment using a digital scheme, the simulated sound on line 26 is a digital sample sequence, which is then passed to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to drive one or more speakers.

지금부터 도 1b를 참조하자면, TVT 부분(14, 16)과 브리지 필터(18)의 세부 사항들이 설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줄에 대한 횡방향 진동 모드들은 도 1b에서 제시된 부분(14, 16)과 같은 공진 회로 모델과 물리적 모델링에 의하여 합성된다. 부분(14, 16)들은 구조적으로 동일하지만, 서로에 대하여 미러 이미지형태로 되어 있으며, 브리지 필터(18)에서 결합한다. {비록 해당 구성요소들의 스칼라 값이나 필터 전달 함수같은 다양한 파라미터 값들이 횡방향 진동 모드들간의 비팅(beating)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약간 다르게 셋팅되어 있다 할지라도 말이다} 해당 부분들은 'A'에 의해 식별되는 부분(14)의 부품과 'B'에 의해 식별되는 부분(16)의 부품들 이하에 나오는 설명에서 총체적으로 언급될 것이다. 각각의 부분들은 딜레이 라인들(30A/30B, 32A/32B, 34A/34B, 및 36A/36B)과, 저역 통과 필터들(38A/38B, 40A/40B, 42A/42B, 44A/44B, 46A/46B, 및 48A/48B)을 포함한다. 음의 시작과 끝부분에서 줄이 탄주 도구에 의해 연동될 때에, 동일한 딜레이 길이를 갖는 딜레이 라인들(30A/30B 및 34A/34B)은 탄주 도구와 줄을 조이고 있는 현침 사이의 줄 부분을 나타낸다. 동일한 딜레이 길이를 갖는 딜레이 라인들(32A/32B 및 36A/36B)은 기러기발과 탄주 도구사이의 줄 부분을 나타낸다.Referring now to FIG. 1B, the details of the TVT portions 14, 16 and the bridge filter 18 can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lateral vibration modes for the string are synthesized by resonant circuit model and physical modeling, such as portions 14 and 16 presented in FIG. The portions 14, 16 are structurally identical, but in the form of mirror images of each other and combine in the bridge filter 18. {Although various parameter values, such as the scalar values of the components or the filter transfer function, are set slightly differently to simulate the beats between the lateral vibration modes} Those parts are identified by 'A'. Parts of part 14 and parts of part 16 identified by 'B' will be referred to collectively in the description below. Respective portions include delay lines 30A / 30B, 32A / 32B, 34A / 34B, and 36A / 36B, and low pass filters 38A / 38B, 40A / 40B, 42A / 42B, 44A / 44B, 46A / 46B, and 48A / 48B). When the string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note are interlocked by the meddle tool, the delay lines 30A / 30B and 34A / 34B having the same delay length represent the portion of the string between the tangled tool and the hanging needle. Delay lines 32A / 32B and 36A / 36B having the same delay length represent the string portion between the geese head and the rim tool.

딜레이 라인들 사이에는 산란 접합부(50A/50B)가 있는데, 이것은 탄주 도구와 줄의 연동 효과(effect of engagement)를 시뮬레이션한다. 특히, 산란 접합부는 부분(14, 16)에 의하여 시뮬레이션되는 횡방향 진동 파형에 대한 반향 계수와 전송 계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자면, PD가 처음에 줄과 연동할 때에, 만약 PD가 줄을 강하게 누르면, PD는 줄과 접촉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진동을 거의 완전하게 댐핑한다. 이러한 사실은 효과적으로 줄을 두 부분으로 분할하여 중간 지점에서 진동이 없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모든 진행파 성분들은 두 개로 나뉘어진 줄의 반쪽들로 억제된다.Between the delay lines is a scatter junction 50A / 50B, which simulates the effect of engagement of the reel tool with the string. In particular, the scatter junction determines the echo and transmission coefficients for the transverse vibration waveform simulated by the portions 14, 16. For example, when a PD initially interacts with a string, if the PD presses the string strongly, the PD almost completely dampens the vibrations that occur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string. This effectively splits the string into two parts, freeing vibration at the midpoint. In this case, all traveling wave components are suppressed in two halves of the row.

그로 인한 줄의 기계적인 특성의 변화를 모델링하기 위하여, 산란 접합부는, 적합하다면, 딜레이 라인(30A/30B 및 36A/36B)들에서 딜레이 라인들(32A/32B 및 34A/34B)중에서 어느 한쪽이나 그 둘 모두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실시간 조절가능한 스칼라부(52A/52B, 54A/54B, 56A/56B, 및 58A/58B)를 포함한다.In order to model the resulting change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rd, the scattering junction can, if appropriate, either of the delay lines 32A / 32B and 34A / 34B in the delay lines 30A / 30B and 36A / 36B. Real-time adjustable scalar portions 52A / 52B, 54A / 54B, 56A / 56B, and 58A / 58B to convey signals to both.

예를 들자면, PD가 줄과의 접촉 지점에서 진동을 거의 완전하게 댐핑한다면, 딜레이 라인(36A/36B)의 출력 신호는 스칼라부(58A/58B)를 통하여 딜레이 라인(32A/32B)에 직접 반향되는데, 이때에 스칼라부(56A/56B)를 통하여 딜레이 라인(34A/34B)으로 가는 신호는 거의 없다. 유사하게, 이러한 경우에서, 딜레이 라인(30A/30B)의 신호 출력은 스칼라부(54A/54B)를 통하여 딜레이 라인(34A/34B)으로 직접 반향되는데, 이때에 스칼라부(52A/52B)를 통하여 딜레이 라인(32A/32B)으로 가는 신호는 거의 없다. {탄주 도구나 피크는 완전히 뻣뻣하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진동하는 줄과 함에 움직이게 되며, 따라서 약간의 신호가 통과 되도록 허용하고, 상기 신호는 탄주 도구가 완전히 맞닿아 있을 때 조차도 전달 될 수 있도록 예컨대 0.5% 같은 소량의 신호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는 스칼라부(52A/52B 및 56A/56B)에 의하여 모델링된다.}For example, if the PD almost completely dampens the vibration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st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delay line 36A / 36B echoes directly to the delay line 32A / 32B via the scalar portion 58A / 58B. At this time, there is almost no signal going to the delay line 34A / 34B through the scalar portions 56A / 56B. Similarly, in this case, the signal output of the delay lines 30A / 30B is reflected directly to the delay lines 34A / 34B through the scalar portions 54A / 54B, at which time through the scalar portions 52A / 52B. There is almost no signal going to the delay lines 32A / 32B. {The tool or peak is not completely stiff, resulting in movement with the vibrating string, thus allowing some signal to pass through, which signal can be transmitted even when the tool is in full contact, e.g. 0.5% Modeled by scalar portions 52A / 52B and 56A / 56B that allow the same small amount of signal to pass through.

다른 방법으로서는, 탄주 도구가 줄과의 접촉이 해제될 때에, 상기와 같은 신호의 반향이 없게 되어, 딜레이 라인(36A/36B)의 모든 출력 신호는 스칼라부(56A/56B)를 통해 딜레이 라인(34A/34B)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스칼라부(58A/58B)를 통해 딜레이 라인(32A/32B)에 반향되는 신호는 없다 유사하게, 이러한 경우에, 딜레이 라인(30A/30B)의 출력 신호는 스칼라부(52A/52B)를 통해 딜레이 라인(32A/32B)으로 직접 전달됨으로서 스칼라부(54A/54B)를 통해 딜레이 라인(34A/34B)으로 반향되는 신호는 없다.Alternatively, when the runner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string, there is no echo of the signal as described above, so that all output signals of the delay lines 36A / 36B are routed through the scalar portions 56A / 56B. There is no signal reflected directly to the delay line 32A / 32B through the scalar 58A / 58B by being delivered directly to 34A / 34B. Similarly, in this case, the output signal of the delay line 30A / 30B is the scalar part. There is no signal echoed to the delay line 34A / 34B through the scalar portion 54A / 54B by being delivered directly to the delay line 32A / 32B via 52A / 52B.

탄주 도구가 줄과 닿아 있는 동안에, 부분적인 반향이 생성되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 각 스칼라부 쌍은 일부 통과하는 성분과 일부 반향되는 성분을 생성한다. 스칼라부의 합계는, 스칼라부들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상기와 같은 부분적인 반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조절되었을 때의 합계와 동일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상기의 합계는 탄주 도구와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손실을 모델링하기 위해 그 보다 약간 작을 수 도 있다.While the tool is in contact with the string, a partial echo is produced, in which case each scalar pair produces a partially passing component and a partially reflected component. The sum of the scalar portions may be equal to the sum when the scalar portions have been adjusted to simulate such partial reflections for some time, or the sum may be a loss caused by contact with the ritual tool. It may be slightly smaller than that to model.

따라서, 탄주 도구의 모션은 스칼라부(52A/52B, 54A/54B, 56A/56B, 및 58A/58B)들에 의하여 성립된 전송 계수와 반향 계수를 간단히 조절함으로써 쉽게 시뮬레이션된다. 이러한 것은 PD가 이미 진동하고 있는 줄을 댐핑할 때 특별히 중요한 진상이고, 그로 인해 분절(articulation)에 대하여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Thus, the motion of the ballistic tool is easily simulated by simply adjusting the transmission and echo coefficients established by the scalar portions 52A / 52B, 54A / 54B, 56A / 56B, and 58A / 58B.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when damping strings in which the PD is already vibrating, and therefor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for articulation.

산란 접합부(50)의 스칼라부들을 조절한 결과는 부분(14, 16)의 공진 회로를 재튜닝하는 것인데, 왜냐하면 부분(14, 16)에서 생성된 공진 주파수가 딜레이 라인들의 딜레이 길이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필터(38A/38B, 44A/44B)들은 바이쿼드 저역 통과 필터(biquad low pass filter)이고, 줄에서의 손실 및 현침과 기러기발에서의 반향 계수를 나타낸다. 필터들(40A/40B, 42A/42B, 46A/46B, 및 48A/48B)은 1차 전통과 필터(allpass filter)이며, 피치를 튜닝하고, 위상 딜레이를 유도함으로써 불협화음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그 결과로서 생기는 필터 매트릭스는 적어도 3차 필터 매트릭스이며, 바람직하게는 4차 필터 매트릭스이다. 이것은 탄주되는 현악기의 완벽한 피치 범위에 대하여 디케이 프로파일(decay profile)의 완벽한 매칭을 보장해 준다.The result of adjusting the scalar portions of the scattering junction 50 is to retune the resonant circuits of the portions 14, 16 because the resonant frequency generated in the portions 14, 16 depends on the delay lengths of the delay lines. to be. The filters 38A / 38B, 44A / 44B are biquad low pass filters and exhibit loss in the joule and echo coefficients in drapes and geese. The filters 40A / 40B, 42A / 42B, 46A / 46B, and 48A / 48B are first order tradition and filters and are used to generate dissonance by tuning the pitch and inducing phase delay. The resulting filter matrix is at least a third order filter matrix, preferably a fourth order filter matrix. This ensures a perfect match of the decay profile over the perfect pitch range of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줄의 횡방향 진동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딜레이 라인들은 삼각 파형들로 초기화된다. 다시 말하자면, 딜레이 라인들(30A/30B, 및 34A/34B)은 필터(42A/42B 및 38A/38B)들과의 연결부에서 0의 값으로 시작하여 딜레이 라인(30A/30B 및 34A/34B)과의 대향 단부에서는 최대 값까지 증가하는 샘플들로 초기화되며, 딜레이 라인들(32A/32B 및 36A/36B)은 딜레이 라인들(30A/30B, 및 34A/34B)과의 연결되는 곳에서 최대값으로 시작하여 대향 단부에서 0의 값까지 감소하는 샘플들로 초기화된다. 상기 삼각형의 초기 패턴은 탄주 도구가 줄을 놓는 순간에 줄의 횡방향 편향(deflection)을 시뮬레이션한다. 그것은 직관적이고 또한 물리적으로 올바른 선택이며, 그래서 스펙트럼은 정확한 주파수에서 잃어버린 화음(harmonics)을 나타낸다. 실제적으로 편향된 줄에서는, 최대 편향이 일어나는 곳에는 샤프한 코너가 존재하지 않고 오히려 탄주 도구가 줄을 편향시킬 때에 탄주 도구의 유한 크기와 탄력성 때문에 커브 형태의 코너가 존재한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따라서, 심지어 더욱 정확한 초기화 작업이 삼각형 초기 패턴의 뾰족한 끝을 둥그스럼하게 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create a simulation for the transverse vibration of the string, the delay lines are initialized with triangular waveforms. In other words, the delay lines 30A / 30B and 34A / 34B start with a value of zero at the connection with the filters 42A / 42B and 38A / 38B and the delay lines 30A / 30B and 34A / 34B. At the opposite end of is initialized with samples increasing to the maximum value, the delay lines 32A / 32B and 36A / 36B are at their maximum where they are connected with the delay lines 30A / 30B and 34A / 34B. It is initialized with samples starting and decreasing to the value of zero at the opposite end. The initial pattern of the triangle simulates the transverse deflection of the string at the moment the slash tool releases the string. It is an intuitive and physically correct choice, so the spectrum represents the harmonics lost at the correct frequency. In practically deflected row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re are no sharp corners where the maximum deflection occurs, but rather that there are curved corners due to the finite size and elasticity of the tool when the tool is deflecting the file. Thus, even more accurate initialization is done by rounding the sharp end of the triangular initial pattern.

스칼라부(52A/52B, 54A/54B, 56A/56B, 및 58A/58B)들은 시간 간격과 이하에 있는 도 3에서 제시하는 해당 경과음에 따라 조절된다. tlong<t<tend 동안에, 양쪽 방향으로의 스칼라부(52A/52B 및 56A/56B)들의 전송 계수는 1.0 이며, 스칼라부(54A/54B 및 58A/58B)들의 반향 계수들은 0.0이다. 줄이 댐핑되기 시작하자마자, 탄주 도구는 변위(displacement)를 억제한다. 줄의 변위는 t=tend일 때에 0이 된다. 이어서, 줄의 변위는 속히 음(negative)이 되어 줄의 분할된 부분을 여기시킨다. 따라서, t=tend가 되기 바로 직전부터 t=tend 및 t=tend+tdamp가 될 때까지, 스칼라부(54A/54B 및 58A/58B)의 반향 계수들은 1.0에 거의 근접하는 값으로 증가하며, 또한 스칼라부(52A/52B, 및 56A/56B)의 전송 계수들은 0.05와 같이 거의 0에 가까운 값으로 감소한다. 여기(excitation)에 따라, 스칼라 전송 계수 수열들은 비-대칭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부가적인 손실을 유도하기 위하여 한 쪽에서의 반향 및 전송 계수들의 합계는 1.0보다 작게 될 수 있다.The scalar portions 52A / 52B, 54A / 54B, 56A / 56B, and 58A / 58B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and the corresponding transition presented in FIG. 3 below. During t long <t <t end , the transmission coefficients of the scalar portions 52A / 52B and 56A / 56B in both directions are 1.0, and the echo coefficients of the scalar portions 54A / 54B and 58A / 58B are 0.0. As soon as the string begins to dampen, the runner suppresses displacement. The line displacement is zero when t = t end . Subsequently, the displacement of the string quickly becomes negative to excite the divided portion of the string. Therefore, t = t from just before the end until t = t end, and t = t end + t damp, echo coefficients of the scalar unit (54A / 54B and 58A / 58B) are in near proximity value to 1.0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coefficients of the scalar portions 52A / 52B and 56A / 56B also decrease to values near zero, such as 0.05. Depending on the excitation, scalar transmission coefficient sequences can be made asymmetric; Furthermore, the sum of the echo and transmission coefficients on one side may be less than 1.0 to induce additional losses.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도 1b에서 도시한 횡방향 진동 모드 합성장치는 브리지 필터(18)에서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두 개의 횡방향 모드들 사이에서 비팅을 모델링하는데, 이것에 대한 세부 사항들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브리지 필터는, 본질적으로, 다른 형태의 산란 접합부이며, 횡방향 모드 진동의 반향을 동일한 모드로 모델링하는 주파수 영역 필터(61A/61B)와 한 모드에서 다른 반대되는 모드로 횡방향 모드 진동을 전환하는 것을 모델링하는 필터들(63A/63B)을 포함한다. 이들 필터들의 파라미터들은 음이 진행하고 있는 동안에 수정되지 않지만, 그러나 이들 파라미터들은 횡방향 모드들간의 브리지 결합의 모델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주파수에 의존한다. 필터들(61A/61B, 63A/63B)로부터의 반향 신호와 전달 신호들은 가산기(65A/65B)에서 더해지며, 필터(46A/46B)로 전달되어 줄의 적합한 모드를 유도한다.As mentioned above, the transverse vibration mode synthesizer shown in FIG. 1B models the beating between the two transverse modes through interaction in the bridge filter 18, details of which are shown in FIG. 1A. Is shown. Basically, the bridge filter is essentially a different type of scattering junction and transverse mode oscillation from one mode to the other opposite to the frequency domain filters 61A / 61B which model the reverberation of the transverse mode oscillation in the same mode. Filters 63A / 63B for modeling conversion. The parameters of these filters are not modified while sound is going on, but these parameters are frequency dependent in order to maximize the modeling of the bridge coupling between the transverse modes. Echo and transfer signals from filters 61A / 61B and 63A / 63B are added at adder 65A / 65B and passed to filter 46A / 46B to induce a suitable mode of string.

위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TT 부분(20)에 의하여 생성된 시뮬레이션된 탭 톤은 물리적으로 모델링된 TVT 부분(14, 16)에 대한 경계 조건을 성립시킨다. 이것은 스칼라(67A/67B)가 곱해지는 TT 부분(20)의 출력을 가산기(65A/65B)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즉 다시 말해서 TT 부분(20)의 출력을 횡방향 진동 모드를 위한 초기 유도의 일환으로서 사용하고 또한 각각의 횡방향 모드에서의 진행파에 대한 경계 조건을 성립시킴으로써 구현된다.As noted above, the simulated tap tone generated by the TT portion 20 establishes the boundary conditions for the physically modeled TVT portions 14, 16. This causes the output of the TT portion 20 to be multiplied by the scalar 67A / 67B to be delivered to the adder 65A / 65B, that is to say that the output of the TT portion 20 is part of the initial induction for the transverse vibration mode. And by establishing boundary conditions for traveling waves in each transverse mode.

탄주되는 현악기 합성장치의 단순화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는 위에서 제시한 유닛들을 많이 포함하지만, 유닛들간의 상호작용은 덜 복잡하다. 특히, 상기 실시예는 길이방향 진동 톤 부분(12)과, 탭 톤 부분(20)과, 및 횡축 방향 진동 톤 부분(14, 16)을 포함한다. 상기 부분들의 출력들은 스칼라 증폭기(60, 62, 및 64)들에 의하여 가중처리되고, 그 다음에 가산기(66)에 의하여 합쳐진다. 상기 실시예는 이전의 실시예의 재생 품질을 제공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이 실시예가 예를 들어 기러기발에서 본체와 줄간의 연결 같은 것을 시뮬레이션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탭 톤과 횡방향 진동 톤들간의 상호작용은 TVT 부분(14, 16)의 출력과 TT 부분(20)의 출력을 단순히 더해서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다.A simplified embodiment of the stringed string synthesizing apparatus is shown in FIG. The above embodiment includes many of the units presented above, but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units are less complicated. In particular, the embodiment includes a longitudinal vibrating tone portion 12, a tab tone portion 20, and transverse vibration tone portions 14, 16. The outputs of the parts are weighted by scalar amplifiers 60, 62, and 64, and then summed by adder 66. This embodiment does not provide the reproduction quality of the previous embodiment, because this embodiment cannot simulate such a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rope, for example in a wild goose. The resulting interaction between the tap tone and the transverse vibration tones cannot be accurately represented by simply adding up the output of the TVT portions 14, 16 and the output of the TT portion 20.

위에서 제시하고 도 1b에서 도시한 물리적 모델링 합성은 다수개의 딜레이 라인들과 필터들을 사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구현시키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화된 실시예에서, 낮은 품질의 TVT 모델은 두 개의 횡방향 진동 모드의 웨이브테이블 합성을 이용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두개의 별도 합성되는 횡방향 진동 구성요소들이 더해져서, TVT 모드의 확실한 시뮬레이션일 수 있는 비팅을 생성하게 된다. 합산된 출력은 그 다음에 TT 부분의 어택부에 의하여 사용된 포락선{이하에서, 도 4a에서 제시하고 있는 포락선 회로(82)에 의하여 생성됨}과 같은 동일한 상승 형태를 갖는 시간 포락선이 곱해진다. 이것은 TT 부분과 TVT 부분이 동일한 상승 포락선을 사용하여 단일 톤으로서 인식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실행된다.The physical modeling synthesis presented above and shown in FIG. 1B is expensive to implement as a result, by using multiple delay lines and filters. In the simplifi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a low quality TVT model can be created by using wavetable synthesis of two lateral vibration modes. Next, two separate synthesized transverse vibration components are added, creating a beating that can be a solid simulation of the TVT mode. The summed output is then multiplied by a time envelope with the same rise pattern as the envelope used by the attack portion of the TT portion (hereafter generated by the envelope circuit 82 presented in FIG. 4A). This is done to ensure that the TT part and the TVT part are recognized as a single tone using the same rising envelope.

도 2에 있는 단순화된 합성장치는, 어택(attack) 탭 톤 및 댐프 탭 톤뿐만 아니라 길이방향 진동 톤에 대한 모델링을 할 수는 있지만, TVT의 물리적 모델링에서 실현될 수 있는 다이내믹 인터-모드 상호작용이 결핍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모델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VT 부분에 대한 경계 조건을 수립하기 위하여 TT 부분(20)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생성되는 결과는 도 1a에서 도시하는 더욱 복잡한 모델에서 이루어지는 시뮬레이션보다 덜 확실한 시뮬레이션이 되기 쉽다.The simplified synthesizer in FIG. 2 is capable of modeling not only attack tap tones and damp tap tones, but also longitudinal vibration tones, but dynamic inter-mode interactions that can be realized in physical modeling of TVTs. Is deficient. Furthermore, in the model,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possible to use the TT portion 20 to establish boundary conditions for the TVT portion. Therefore, the result produced tends to be less reliable than the simulation made in the more complicated model shown in FIG. 1A.

도 3에 참조하자면, 도 1a, 도 1b 및 도 2에서 제시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TVT와 TT와, LVT 성분들 간의 관계와 시간 순서를 이용하는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t=0에서 시작하여 시간 t=tend+tdamp에서 종료하는 단일의 연주된 음을 통해 탄주되는 현악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소리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description will be made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VT and TT used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A, 1B and 2, and the LVT components and the time order. As shown in Fig. 3, the sound produced by a string instrument that is played through a single played note starting at time t = 0 and ending at time t = t end + t damp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0<t<tdamp 이 기간동안에는, PD가 음을 연주하기 위하여 줄에 접촉하여 위치될 때에, 그 이전의 음에 대한 진동은 댐핑된다. 이것은 그 순간에 아주 짧은 지속기간을 갖는 윙윙거리는 잡음을 생성하는데, PD가 줄에서 슬라이딩을 시작할 때까지 계속한다. 이러한 윙윙거리는 잡음은 이 영역에서 탭 톤을 댐핑함으로써 시뮬레이션된다.0 <t <t damp During this period, when the PD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string to play a note, the vibration for the previous note is damped. This creates a buzzing noise with a very short duration at that moment, continuing until the PD starts sliding on the line. This buzzing noise is simulated by damping the tap tone in this region.

tdamp<<long 이 기간동안에는, PD가 줄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 때문에, 길이방향 진동 톤(LVT)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간격을 갖는 지속기간은, PD가 줄을 칠 때에 PD의 각도와 PD의 속도에 따라 (다시 말해서, PD가 줄에 수직이냐 평행이냐에 따라) 결정된다.t damp << long During this period, the longitudinal vibration tone LVT is generated because the PD slides along the line. The duration of this spacing is determined by the angle of the PD and the speed of the PD (ie, whether the PD is perpendicular or parallel to the string) as the PD lines up.

tlong<t<tend 이 기간이 시작되는 때에, 줄의 횡방향 진동 모드는 줄을 PD로부터 놓음으로써 여기된다. 줄로부터 악기의 본체로의 에너지 전달은 또한 이 영역에서의 어택 탭 톤(attack tap tone)에 의하여 시뮬레이션된, 탭 톤을 생성한다.t long <t <t end At the beginning of this period, the transverse vibration mode of the string is excited by releasing the string from the PD. The energy transfer from the strings to the instrument's body also produces a tap tone, simulated by an attack tap tone in this region.

tend<t<tend+tdamp 이 기간동안에는, 음에 대한 진동이, PD가 그 다음의 음을 연주하기 위하여 줄에 접촉하여 위치 될 때에, 댐핑이 된다. 이와 같은 간격의 지속기간은 통상적으로 그 이전에 음의 댐프 지속시간과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따라서 적합한 시뮬레이션은 각각의 분절된 음들간의 댐핑 시간에 진동을 병합한다.t end <t <t end + t damp During this period, vibrations on the sound are damped when the PD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string to play the next sound. Since the duration of this interval is typically not equal to the negative damp duration before, a suitable simulation thus incorporates the vibration in the damping time between each segmented notes.

도 4a에 참조하자면, 탭 톤 부분(20)의 세부 사항들이 제공되어 있다. 탭 톤은 FM 합성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생성된다. 물리적 모델은 이것보다 덜 효율적인데, 왜냐하면 본체가 2차원이상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물리적 모델이 서로에게 연결된 다수개의 딜레이 라인들을, 특히 이차원이나 삼차원의 도파관 망사(waveguide mesh)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a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FM 합성 모델은 실제적으로 감소된 복잡도를 갖는다.Referring to FIG. 4A, details of the tap tone portion 20 are provided. Tap tones are efficiently generated by FM synthesis. Physical models are less efficient than this because the body is more than two dimensional. This means that the physical model contains a number of delay lin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waveguide mesh. The FM synthesis model u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A actually has a reduced complexity.

어택 탭 톤 부분(70)을 우선 참조하자면, 탭 톤은 주파수 변조 캐리어에 의하여 시뮬레이션된다. 어택 탭 톤(TT)의 두 가지 주요한 발생이 있는데: 첫 번째는 줄이 진동을 시작하기 전에(즉 그 이전의 음이 댐핑될 때) 줄에 대한 PD의 초기 어택(attack)이고, 두 번째 발생은 PD가 줄을 놓아주고 줄이 에너지의 일부를 본체 및/또는 공진 회로에 전달할 때이다. 일단 두 번째의 발진이 유도되면, 둘 다 동시에 청취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발진기(72, 74)는 원하는 출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Referring first to attack tap tone portion 70, the tap tone is simulated by a frequency modulated carrier. There are two main occurrences of an attack tap tone (TT): the first is the PD's initial attack on the string before the string begins to vibrate (ie when the previous note is damped), and the second occurs. Is when the PD releases the string and the string delivers some of the energy to the body and / or the resonant circuit. Once a second oscillation is induced, both can listen at the same time. Thus, two oscillators 72 and 74 are used to produce the desired output.

각각의 발진기(72, 74)는 발진기의 출력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 1 입력과, 발진기의 출력 진폭을 제어하는 제 2 입력을 구비한다. 제 1 발진기(72)의 주파수 입력은 상수부(76)에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일정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한다. 제 1 발진기(72)의 진폭 입력은 포락선 회로(77)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은 일단 트리거링되면, 도 4a에서 도시하는 규정된 시간-포락선 처리된 파형을 출력한다. 따라서, 발진기(72)의 출력은 시간-포락선 처리된 일정한 주파수 교류 파형이다.Each oscillator 72, 74 has a first input for controlling the output frequency of the oscillator and a second input for controlling the output amplitude of the oscillator. The frequency input of the first oscillator 72 is connected to the constant portion 76, thus producing a constant oscillation frequency. The amplitude input of the first oscillator 72 is connected to an envelope circuit 77, which, once triggered, outputs a defined time-envelope processed waveform shown in FIG. 4A. Thus, the output of oscillator 72 is a time-enveloped constant frequency alternating waveform.

발진기(72)의 출력은 가산기(78)에 공급된다. 가산기(78)의 제 2 입력은 상수부(8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산기(78)의 출력은 발진기(72)에 의해 생성되어 일정한 베이스 라인 값 위에 포개지는 시간-포락선 처리된 일정한 주파수 교류 파형이다.The output of the oscillator 72 is supplied to the adder 78. The second input of the adder 78 is connected to the constant portion 80. Thus, the output of adder 78 is a time-enveloped constant frequency alternating waveform generated by oscillator 72 and superimposed over a constant baseline value.

가산기(78)의 출력은 제 2 발진기(74)의 주파수 입력에 연결되어 있다. 발진기(74)의 진폭 입력은 도 4a에서 도시하고 있는 시간-포락선 처리된 파형을 생성하는 제 2 포락선 처리 회로(8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라인(84)상의 발진기(74)의 출력은 상수부(80)에 해당되는 캐리어 주파수이며, 포락선 처리 회로(77)의 포락선에 따라 변조된 주파수이며, 또한 포락선 처리 회로(82)의 포락선에 따라 변조된 진폭이다. 상기의 파형은 탄주 도구와 줄의 연동에 의해 생성되는 어택 탭 톤의 정확한 표현이다.The output of adder 78 is connected to the frequency input of second oscillator 74. The amplitude input of the oscillator 74 is connected to a second envelope processing circuit 82 that generates the time-enveloped waveform shown in FIG. 4A. Therefore, the output of the oscillator 74 on the line 84 is the carrier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constant part 80, the frequency modulated according to the envelope of the envelope processing circuit 77, and also the envelope of the envelope processing circuit 82. Is the modulated amplitude according to The above waveform is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attack tap tone produced by the interlocking of the reel tool with the string.

이제부터 댐프 탭 톤 부분(88)을 참조하자면, 댐프 탭 톤은 다시 주파수 변조된 캐리어에 의하여 시뮬레이션된다. 다시 한번, 두 개의 발진기(90, 92)들이 원하는 출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 1 발진기(90)의 주파수 입력은 상수부(94)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은 이렇게 하여 일정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한다. 제 1 발진기(90)의 진폭 입력은 포락선 처리 회로(96)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포락선 처리 회로는 일단 트리거링되면 도 4a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규정된 시간-포락선 처리된 파형을 출력한다. 발진기(90)의 출력은 가산기(98)에 공급된다. 가산기(98)의 제 2 입력은 상수부(10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산기(98)의 출력은 발진기(90)에 의하여 생성되어 일정한 베이스 라인 값 위에 포개지는 일정한 주파수 교류 파형이다. 상기 출력은 제 2 발진기(92)의 주파수 입력에 연결된다. 발진기(92)의 진폭 입력은 제 2 포락선 처리 회로(94)로 연결되는데, 제 2 포락선 처리 회로는 도 4a에서 도시한 시간-포락선 처리된 파형을 생성한다. 따라서, 라인(101)에서의 발진기(92)의 출력은 상수부(100)에 해당되는 캐리어 주파수이며, 포락선 처리 회로(96)의 포락선에 따라 변조된 주파수 변조이며, 포락선 처리 회로(94)의 포락선에 따라 변조된 진폭이다. 이러한 파형은 횡방향으로 진동하는 줄에 대한 탄주 도구의 연동 생성되는 댐프 탭 톤의 정확한 표현이다.Referring now to the damp tap tone portion 88, the damp tap tone is again simulated by a frequency modulated carrier. Once again, two oscillators 90 and 92 are used to produce the desired output. The frequency input of the first oscillator 90 is connected to the constant portion 94, which in this way produces a constant oscillation frequency. The amplitude input of the first oscillator 90 is connected to an envelope processing circuit 96 which, once triggered, outputs a defined time-envelope processed waveform as shown in FIG. 4A. The output of oscillator 90 is supplied to adder 98. A second input of the adder 98 is connected to the constant portion 100. Thus, the output of adder 98 is a constant frequency alternating waveform generated by oscillator 90 and superimposed over a constant baseline value. The output is connected to the frequency input of the second oscillator 92. The amplitude input of oscillator 92 is connected to a second envelope processing circuit 94, which generates the time-enveloped waveform shown in FIG. 4A. Accordingly, the output of the oscillator 92 at the line 101 is the carrier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constant portion 100, the frequency modulation modulated according to the envelope of the envelope processing circuit 96, and the output of the envelope processing circuit 94. The amplitude modulated by the envelope. This waveform is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damp tap tone produced by the runner tool against the transversely vibrating string.

도 4a에 있는 시간 포락선 블록들(77, 82, 94, 및 96)은 길이방향과 횡방향의 진동이 시작하고 끝날 때에 적합하게 트리거링된다. 댐프 부분(88)은 도 3에서의 t=0과 t= tend에서 트리거링되며, 각각의 음이 끝나는 부분에서 청취가능하다. 어택 부분(70)은 도 3에서의 t= tlong에서 트리거링되며, 음이 시작할 때에 청취가능하다. 블록들(77, 82, 94, 및 96)의 각각에 대한 포락선들은 시뮬레이션되는 탄주된 현악기의 특정 기하학과 진동 모드에 따라 선택된다. 이러한 것들은 예컨대 PD속도, 기러기발에 대한 PD의 위치, 및 PD의 각도와 같은 성능에 관계되는 다수개의 파라미터들을 기록하는 것에서 결정될 수 있다. 몇 몇 경우에서, 사용된 악기에 따라, 어택 탭 톤이나 댐프 탭 톤에서 존재하는 모든 주파수를 적합하게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부분(70, 88)과 유사한 한 개나 그 이상의 부가적인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The temporal envelope blocks 77, 82, 94, and 96 in FIG. 4A are suitably triggered whe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vibrations begin and end. The damp portion 88 is triggered at t = 0 and t = t end in FIG. 3 and is audible at the end of each note. Attack portion 70 is triggered at t = t long in FIG. 3 and is audible at the beginning of the sound. The envelopes for each of the blocks 77, 82, 94, and 96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geometry and vibration mode of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being simulated. These can be determined from recording a number of parameters related to performance such as, for example, the PD speed, the position of the PD relative to the geese, and the angle of the PD. In some cases, depending on the instrument used, it may be necessary to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parts similar to parts 70 and 88 to properly simulate all frequencies present in the attack tap or damp tap tones. have.

탭 톤의 매우 초기 시점, 상세하게 말하자면 어택되고 있는 동안에, 생성된 소리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아주 넓다. 이러한 초기의 스펙트럼을 적합하게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부분(102)에 의하여 생성되는 포락선 처리된 백색 잡음은 부분(70 및/또는 88)에 의하여 생성된 FM합성의 탭 톤 위에 겹쳐진다. 부분(102)은 백색 잡음을 생성하는 무작위 신호 생성기(106)와 시간 포락선 처리 회로(104)를 포함하는데, 시간 포락선 회로는 트리거링되면 도 4b에서 도시하는 시간 포락선을 생성한다. 포락선 처리 회로(104)와 백색 잡음 생성기(106)의 출력은 배율기(108)에 전달되는데, 그 배율기는 라인(110)상에서 이들 신호들의 곱한 값들을 생성한다. 따라서, 라인(110)에서의 신호는 간단한 펄스의 백색 잡음이다. 회로(104)에 의하여 생성되는 포락선은 다양한 파라미터 변동을 갖는 악기를 녹음한 것으로부터 유사하게 결정된다.While being attacked at the earliest point in time of the tap tone, in particular, the frequency spectrum of the generated sound is very wide. In order to properly simulate this initial spectrum, the enveloped white noise generated by portion 102 is superimposed over the tap tone of the FM synthesis produced by portions 70 and / or 88. Portion 102 includes a random signal generator 106 that generates white noise and a time envelope processing circuit 104, which, when triggered, generates the time envelope shown in FIG. 4B. The output of the envelope processing circuit 104 and the white noise generator 106 is passed to a multiplier 108, which produces the multiplied values of these signals on line 110. Thus, the signal at line 110 is a simple pulse of white noise. The envelope produced by the circuit 104 is similarly determined from recording an instrument with various parameter variations.

감겨지거나 또는 매우 거친(rough) 줄의 경우에 탭 톤을 합성하는데 있어서 부가적인 문제점들이 제기된다. PD가 줄에서 슬라이딩을 하는 경우에, 탄주되는 현악기는, PD가 줄의 권선(winding)이나 거친 부분(rough) 각각을 칠 때에, 계속해서 재-유도되는 탭 톤을 생성한다. 줄이 감겨진 PD가 권선을 건너뛰고, 다음 권선을 칠 때마다 포락선 값은 증가한다. 이러한 과정은 줄에 대한 탄주 도구의 각도에 관계하는 횟수와, 및 PD의 측방향 속도에 관계되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복된다. PD가 빠를수록, 권선을 더욱 자주 건너뛰게 되고, 그래서 생성된 톤은 더욱 높은 주파수를 갖게 된다. 더 나아가서, 줄에 대한 탄주 도구의 각도가 예리할수록 더욱 많은 권선이 건너뛰게 되고, 또한 진폭이 증가하는 횟수가 더욱 많이 늘어난다.Additional problems arise in synthesizing tapped tones in the case of wound or very rough strings. In the case where the PD slides in the string,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produces a tapped tone that continues to be re-induced when the PD hits each of the winding or rough of the string. The coiled PD skips the winding, and the envelope value increases each time the next winding is hit. This process is repeated using the number of times related to the angle of the runner tool relative to the string, and the frequency related to the lateral velocity of the PD. The faster the PD, the more often the windings are skipped, so the generated tone has a higher frequency. Furthermore, the sharper the angle of the tool, relative to the string, the more windings are skipped and the more the amplitude increases.

이러한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회로(77, 82, 94 및/또는 96)에서 사용되는 포락선들은 톱니형태로 될 수 있다. 포락선의 한 예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일차적인 탭 톤을 시뮬레이션하는, 부분(70, 88) 외에도, 유사한 구조를 갖는 부가적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여기서 포락선 처리 회로는 PD가 줄의 권선을 건너뜀으로써 생성되는 부가적인 탭 톤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도 4b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은 톱니 형태의 포락선을 포함한다.To simulate this behavior, the envelopes used in circuits 77, 82, 94 and / or 96 may be sawtoothed. One example of an envelope is shown in FIG. 4B. As an alternative, it may be desirable to include additional portions having similar structures, in addition to portions 70 and 88, which simulate the primary tap tone, where an envelope processing circuit is created by the PD skipping the winding of the string. It includes a sawtooth-shaped envelope as shown in FIG. 4B to simulate additional tap tones that are made.

이제부터 도 5a에 참조하여, 줄의 길이방향 진동을 모델링하는 합성장치가 논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합성장치는 딜레이 라인(140)과, 가산기(144)를 거쳐서 루프에 연결되어 있는 저역통과 필터(142)를 포함한다. 가산기(144)의 제 2 입력은 배율기(146)에 의하여 생성된 포락선 처리된 백색 잡음을 수신한다. 배율기(146)는, 포락선 처리 회로(150)에 의하여 생성되는 포락선으로 생성기(148)로부터의 백색 잡음을 곱셈 처리하여 생성되는 백색 잡음을 생성한다. 따라서, 길이 방향 진동 모드는, 상기 모드를 여기시키는, 탄주 도구와 줄간의 마찰을 시뮬레이션하여 백색 잡음에 의하여 유도된다. {몇 몇 탄주되는 현악기에 대하여, 탄주 도구가 줄에서 슬라이딩을 할 때에, 줄의 거침(string roughness) 때문에, 인지될 수 있는 피치상에서 겹쳐진 몇 몇 잡음도 또한 들린다. 이러한 잡음은 철로 만든 줄에서보다 나일론이나 명주실로 만든 줄에서 더욱 중요하다.}Referring now to FIG. 5A, a synthesis apparatus for modeling longitudinal vibrations of a string may be discussed. In this embodiment, the synthesizer comprises a delay line 140 and a low pass filter 142 connected to the loop via an adder 144. The second input of adder 144 receives the enveloped white noise generated by multiplier 146. The multiplier 146 generates a white noise generated by multiplying the white noise from the generator 148 by the envelope generated by the envelope processing circuit 150. Thus, the longitudinal vibration mode is induced by white noise by simulating the friction between the tool and the string, which excites the mode. {For som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s, because of the string roughness when the instrument is sliding on the string, some noise is also heard which is superimposed on the perceived pitch. This noise is more important in nylon or silk thread than in iron.

도 5a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진동 모드에서의 피치는 딜레이 라인(140)의 길이와 저역 통과 필터(142)의 계수에 의하여 조절된다(필터가 초래하는 부가적인 위상 딜레이 때문에). 회로(150)에 의하여 생성되는 포락선은, 탄주 도구의 속도와 각도의 함수에 따라, 길이 방향 모드에서의 톤 형태를 또는 동등하게 길이방향 모드의 여기 지속기간을 샤프하게 하기 위하여 조절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A, the pitch in the longitudinal vibration mode is adjusted by the length of the delay line 140 and the coefficient of the low pass filter 142 (due to the additional phase delay caused by the filter). The envelope generated by the circuit 150 is adjusted to sharpen the tone shape in the longitudinal mode, or equally the excitation duration in the longitudinal mode, as a function of the speed and angle of the runner.

이제부터 도 5b를 참조하자면, 대안으로서의 실시예로서, 길이방향 모드는 주파수 변조 모델을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한 쌍의 주파수 변조기(152, 154)가 사용되는데, 이 한 쌍으로 충분한데 왜냐하면 길이방향 진동 모드가 고조파에 가까운 진동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진동의 지속기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더 간단한 모델은 이론적으로 더 정확한 것과 동일한 인지도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다시, 캐리어 주파수는 상수부(156)에 의하여 수립되어, 가산기(158)에 공급되는데, 가산기의 출력은 변조기(152)의 주파수 제어 입력단을 구동한다. 가산기(158)의 제 2 입력은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변조기(154)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다. 변조 신호의 주파수는 변조기(154)의 주파수 제어 입력단에 공급되는 상수부(160)의 상수와, 변조기(154)의 진폭 제어 입력으로 공급되는 포락선 처리 회로(162)에 의하여 생성된 포락선에 의하여 결정된다. 주파수 변조 캐리어의 진폭은 포락선 처리 회로(164)에 의하여 생성된 포락선에 의하여 제어되어, 변조기(152)의 진폭 제어 입력으로 공급된다. 캐리어 및 변조기 주파수들은 길이 방향 진동 모드의 피치에 따라 조절되는데, 이것은 탄주되는 현악기의 줄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잡음 성분은 줄의 표면 거칠기 정도를 고려하기 위하여, 가산기(166)에 의하여 상기 주파수 변조 캐리어에 가산된다. 잡음은 배율기(168)의 출력에서 생성되는 포락선 처리된 백색 잡음인데, 상기 배율기는 포락선 처리 회로(172)의 포락선으로 백색 잡음 생성기(170)의 출력을 곱셈 처리한다.Referring now to FIG. 5B,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longitudinal mode may be synthesized using a frequency modulation model.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frequency modulators 152, 154 is used, which is sufficient because the longitudinal vibration mode produces vibrations that are close to harmonics. In addition, because the duration of the vibration is very short, simpler models provide the same awareness as theoretically more accurate. Here again, the carrier frequency is established by the constant part 156 and supplied to the adder 158, the output of the adder driving the frequency control input of the modulator 152. A second input of adder 158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modulator 154 to receive a modulated signal. The frequency of the modulated signal is determined by the constant of the constant portion 160 supplied to the frequency control input of the modulator 154 and the envelope generated by the envelope processing circuit 162 supplied to the amplitude control input of the modulator 154. do. The amplitude of the frequency modulated carrier is controlled by an envelope generated by the envelope processing circuit 164 and supplied to the amplitude control input of the modulator 152. Carrier and modulator frequencies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pitch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mode, which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string of the stringed instrument. The noise component is added to the frequency modulated carrier by adder 166 to take into account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tring. The noise is enveloped white noise generated at the output of the multiplier 168, which multiplies the output of the white noise generator 170 by the envelope of the envelope processing circuit 172.

소프트웨어 부록이 본 명세서에 첨가되어 있다. 이 부록에서 설명하는 프로그램은 LISP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었으며, 필터나 딜레이 라인 등과 같은 유닛 신호 생성기들을 모델링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LISP 음악 패키지를 사용했다. 프로그램은 ":cl filename"의 명령어로서 실시될 수 있다. 프로그램 출력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클래식 기타 소리를 시뮬레이션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된 주요한 변수들과 그 변수들의 상호 연관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A software appendix has been added to this specification. The program described in this appendix is written in the LISP programming language and uses a generic LISP music package to model unit signal generators such as filters and delay lines. The program can be executed as a command of ": cl filename". The program output simulates a classical guitar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variables used in the software simulation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can be expressed as follows:

PD speed=function()PD speed = function ()

PD distance from bridge=function()PD distance from bridge = function ()

PD angle from String=function()PD angle from String = function ()

Attack tap amplitude=function(PD speed)Attack tap amplitude = function (PD speed)

Attack tap duration=function(Attack Tap Amplitude)Attack tap duration = function (Attack Tap Amplitude)

longitudinal duration=function(PD speed, PD angle from String)longitudinal duration = function (PD speed, PD angle from String)

Damp tap amplitude=function(PD speed, PD distance from bridge)Damp tap amplitude = function (PD speed, PD distance from bridge)

Damp tap duration=function(Damp tap amplitude)Damp tap duration = function (Damp tap amplitude)

Damp duration=function(PD speed)Damp duration = function (PD speed)

Wound long pitch=function(PD speed)Wound long pitch = function (PD speed)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설명되고, 이들 실시예들이 매우 상세하게 설명되었어도, 상기의 상세한 설명으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거나 한정하려는 것이 본 발명 출원인의 의도가 아니다. 부가적인 장점과 수정사항이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various embodiments, and thes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great detail, it is not the intention of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limit or limit in any way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Additional advanta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자면, 만약에 도 1b에서 도시하는 딜레이 라인들의 길이들이, 산란 필터들(50A/50B)이 줄 현침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근접 위치에 있게끔 배열되어 있다면, 모델은 현침 부위에 가까운 줄을 엄지손가락으로 댐핑하는 효과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lengths of the delay lines shown in FIG. 1B are arranged such that the scattering filters 50A / 50B are in a proximal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tring entanglement, the model may have a line close to the sensation. You can simulate the effect of damping with your thumb.

상기의 실시예에서 도 1b의 산란 접합부의 전송 및 반향 계수를 변경시킴으로써 모델링되는 댐핑 잡음은 예컨대 딜레이 라인들을 따라 있는 다양한 탭 점들을 평균을 내고 또한 그 평균을 출력으로 사용함으로써, 다른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다. 매우 작은 진폭을 갖는 백색 잡음이 가산될 수 있다(이러한 잡음은 하프시코드에서 특히 크다).In the above embodiment, damping noise modeled by changing th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coefficients of the scattering junction of FIG. 1B can be realized in other ways, for example by averaging the various tap points along the delay lines and using the average as the output. Can be. White noise with very small amplitude can be added (this noise is particularly loud in the harpsichord).

길이방향 모드에서 횡방향 모드로의 전환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가산기(24)의 입력에 음량 조절기(fader)를 제공함으로써 평활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TVT가 페이드 인(fade in)될 때에 LVT는 tlong후에 페이드 아웃(fade out)될 수 있다.The transition from the longitudinal mode to the transverse mode can be smoothed by providing a volume fader at the input of the adder 24 shown in FIG. 1A, resulting in an LVT when the TVT fades in. May fade out after t long .

다른 순수하게 충격에 의하여 발생하는 톤도 또한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대부분의 PSI들에서, 순수하게 충격에 의한 톤은 특수 효과로서 생성될 수 있다. 모든 이러한 것들이 TT 생성 유닛(20)에서의 FM 합성 파라미터들을 수정함으로써 쉽고 간단하게 합성될 수 있다.Other purely impact tones can also be simulated. In most PSIs, purely impact tones can be produced as special effects. All these can be synthesized easily and simply by modifying the FM synthesis parameters in the TT generation unit 20.

클래식 기타에서의 기술중 하나인, 탬보라(tambora) 기술에서, 손은 기러기발에 있는 정확한 줄을 타격한다. 이것은 도 1a에서 도시하는 딜레이 라인들의 기러기발 쪽에 대한 유한 값을 유도함으로써, 다시 말해서 기러기발에서 경계 조건을 유한하게 셋팅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In tambora technology, one of the techniques in classical guitar, the hand strikes the correct string in the goose paw. This can be realized by deriving a finite value for the wild geese side of the delay lines shown in FIG. 1A, that is, by finitely setting the boundary condition in the wild geese.

손으로 내는 잡음도 또한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이러한 잡음은 피부가 줄에서 슬라이딩을 할 때에, PSI의 거칠거나 또는 감겨진 줄에서 발생한다. 만약에 줄이 감겨지지 않았다면, 피치는 기본적으로 길이방향 모드의 기본 주파수이다. 만약에 줄이 감겨졌다면, 피치는 두 개의 겹친 소리(: 도 4b에서 도시한 톱니 형태의 포락선으로 이루어졌고, 도 1a이나 도 2의 실시예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는 LVT와 TT)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 더욱 높은 정확도는 약간의 주파수 변조를 유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손가락와 속도가 한 음에서 다른 음으로 이동할 때에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상, 손가락의 속도는 스튜디오 녹음에서 정확히 결정될 수 있는 음조곡선을 갖는다.Hand noise can also be simulated. This noise occurs in the rough or wound line of the PSI as the skin slides in the line. If the string is not wound, the pitch is basically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longitudinal mode. If the string is wound, the pitch is composed of two overlapping sounds: the serrated envelope shown in Fig. 4b, LVT and TT, which can be generated by using the embodiment of Fig. 1a or 2). Will consist. Higher accuracy can be achieved by inducing some frequency modulation because the finger and velocity are not constant when moving from one note to another. In fact, the speed of the finger has a pitch curve that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in studio recordings.

프렛트보드(fretboard)를 사용하는 PSI에서, 왼 손의 손가락들은 상승 이음줄(slur)을 분절하는데 사용되는데, 이것은 기본적으로 핑거보드(fingerboard)를 가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것은 TT와 동일한 시간에 시작하는 길이방향 진동에서 처럼 타격하여 생기는 소리를 생성하여서, 부가적인 TT 성분에 의하여 모델링될 수 있다. 왼손이 일반적으로 공진 회로로부터 어는 정도 거리를 둔 곳을 치기 때문에, 이러한 TT는 작은 진폭을 갖는다.In PSI using a fretboard, the fingers of the left hand are used to segment the rising slur, which is basically accomplished by hitting a fingerboard. This produces sound produced by striking as in longitudinal vibrations starting at the same time as the TT, so that it can be modeled by additional TT components. This TT has a small amplitude because the left hand is usually hitting a distance away from the resonant circuit.

하향 왼손 이음줄도 또한 핑거보드를 갖는 PSI에 전형적이다. 상승 이음줄은 줄을 잡아 당겨서 TVT가 시작하자마자 TT를 생성하는 손가락에 의하여 연주된다. 그래서 이러한 분절은 LVT 유닛을 단순히 끄고 도 1a에서 도시하는 TVT 딜레이 라인들의 딜레이 길이를 실시간으로 변경시킴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Downward left hand seams are also typical for PSI with a fingerboard. The rising seam is played by the fingers pulling the string and creating a TT as soon as the TVT starts. So this segment can be synthesized by simply turning off the LVT unit and changing the delay length of the TVT delay lines shown in FIG. 1A in real time.

화음(harmonics)들은 도 1b에서 도시하는 도파관 중 하나를 두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서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PD가 다른 위치에서 연주하고 있는 동안에 한 개의 손가락이 줄의 임의의 위치에서 멈추고 있는 것을 시뮬레이션한다.Harmonic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dividing one of the waveguides shown in FIG. 1B into two parts. This simulates one finger stopping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tring while the PD is playing at another position.

다른 다양한 탄주 기술들이 서로 다른 댐핑 잡음을 생성한다. 예컨대 클래식 기타에서, 이전의 음을 댐핑할 때, 손가락은 줄을 둘로 분할한다. 만약에 엄지 손가락이 연주하고 있다면, 줄의 현침 부위는 엄지 손가락의 살에 의하여 댐핑된다. 다른 한편으로, 만약에 다른 손가락들이 연주하고 있다면, 진동의 기러기발 부분은 살에 의하여 댐핑된다. 이러한 기술들은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도 1a에서의 필터들의 전송 계수와 반향 계수들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모델에 쉽게 병합될 수 있다.Various different pearling techniques produce different damping noises. For example, in a classical guitar, when damping a previous note, the finger splits the string into two. If the thumb is playing, the hanging part of the string is damped by the flesh of the thumb. On the other hand, if the other fingers are playing, the geese portion of the vibration is damped by the flesh. These techniques can be easily incorporated into the model by changing the transmission and echo coefficients of the filters in FIG. 1A to simulate operation.

따라서 더 넓은 측면에서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세부 사항들과, 대표적인 장치와 방법과 예시적인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원인의 일반적인 발명 개념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의 세부 사항들에 근거하여 다른 변경을 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vention in its broader aspects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etails shown and described, and representative apparatus and methods, and illustrative examples. Accordingly, other changes may be made based on the above detail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licant's general inventive concept.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과 복잡하지 않게 하면서도 전체 피치 범위에 대하여 합성 악기에 가장 근접하는 소리를 제공한다.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und that is closest to the synthesized musical instrument over the entire pitch range while being low cost and not complicated.

도 1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탄주되는 현악기의 합성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1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ynthesizing apparatus for a stringed string instru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a에서 도시하고 있는 탄주되는 현악기의 합성장치의 횡방향 진동 톤 부분과 브리지 필터 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상세한 블록 다이어그램.FIG. 1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showing the transverse vibration tone portion and bridge filter portion of the synthesizing apparatus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shown in FIG. 1A;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탄주되는 현악기의 합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synthesizing apparatus for a stringed string instru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시뮬레이션된 다양한 경과음의 타이밍을 도시하는 타이밍도.3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the timing of various elapsed sounds sim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1a 및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탄주되는 현악기의 합성장치의 탭 톤 부분의 상세한 블록 다이어그램.4A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tap tone portion of the synthesizing apparatus of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shown in FIGS. 1A and 2;

도 4b는 감긴 줄에 의하여 생성된 탭 톤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도 4a에서 제시하고 있는 탭 톤 부분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톱니 파형을 도시한 도면.4B illustrates a sawtooth waveform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tap tone portion shown in FIG. 4A to simulate tap tones generated by a wound string.

도 5a는 도 1a 및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탄주되는 현악기의 합성장치의 길이방향 진동 톤 부분에 대한 제 1 실시예의 상세한 블록 다이어그램.FIG. 5A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tone portion of the synthesizing apparatus of a stringed string instrument shown in FIGS. 1A and 2;

도 5b는 도 1a 및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탄주되는 현악기의 길이방향 진동 톤 부분에 대한 제 2 실시예의 상세한 블록 다이어그램.FIG. 5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tone portion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shown in FIGS. 1A and 2;

Claims (32)

탄주되는(plucked) 현악기의 줄을 탄주함으로써 발생되는 어택 경과음(attack transient)을 시뮬레이션하는 합성장치에 있어서,A synthesizing apparatus that simulates attack transients caused by chording strings of plucked strings, 제 1 지속기간을 갖는 청취가능한 어택 경과음에 대한 제 1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제 1 경과음 회로와;A first elapsed sound circuit for generating a first simulation of an audible attack elapsed sound having a first duration; 제 2 지속기간을 갖는 청취가능한 어택 경과음에 대한 제 2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제 2 경과음 회로와;A second elapsed sound circuit for generating a second simulation of the audible attack elapsed sound having a second duration; 상기 제 1 지속기간 또는 제 2 지속기간보다 긴 제 3 지속 기간동안, 청취가능한 톤(tone)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탄주되는 줄의 기본 고유 주파수(fundamental natural frequency)로 튜닝되는 공진 회로를 포함하고,For a third duration longer than the first or second duration, a resonant circuit tuned to the fundamental natural frequency of the chorded string to produce a simulation for an audible tone. Including, 각각의 상기 경과음 회로는, 상기 공진 회로로 하여금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청취가능한 톤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공진 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Wherein each said transient sound circuit is coupled to said resonant circuit to enable said resonant circuit to produce an audible tone that simulates the sound of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는 상기 탄주되는 줄의 횡방향 진동에 대한 기본 고유 주파수로 튜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2. The synthesiz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said resonant circuit is tuned to a fundamental natural frequency for lateral vibrations of said stringed string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회로는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delay element)와 제 1 및 제 2 필터 회로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의 출력은 상기 제 1 필터 회로의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필터 회로의 출력은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의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의 출력은 상기 제 2 필터 회로의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필터 회로의 출력은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의 입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2. The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resonant circuit comprises a first and a second delay element and a first and a second filter circuit, the output of the first delay element being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first filter circuit. The output of the first filter circuit is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second delay element, the output of the second delay element is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second filter circuit,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filter circuit is A synthesiz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one delay elemen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공진 회로는 상기 시뮬레이션된 톤의 상기 기본 주파수와 동일한 기본 고유 주파수를 갖고,The resonant circuit has a fundamental natural frequency equal to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simulated tone,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라인은 상기 줄을 탄주하는 일환으로서 줄의 횡방향 편향(deflection)을 나타내는 파형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라인들을 초기화함으로써 상기 제 2 경과음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elay lines include the second elapsed sound circuit by initializing the first and second delay lines using a waveform representing the transverse deflection of the string as part of the string run. Characterized in that the synthesiz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은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5. The synthesiz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waveform has a triangular for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로 전달되는 신호들의 조절가능한 부분을 제어될 수 있게 반향하고, 또한 상기 제 2 딜레이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로 전달되는(그리고, 제 1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제 2 딜레이 소자로 전달되는) 신호의 조절가능한 부분을 제어될 수 있게 반향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산란 접합부(scattering junction)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able portion of the signal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lay element through the first delay element is controllably reflected, and is also passed to the first delay element through the second delay element. A scattering junction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may be used to controllably control the adjustable portion of the signal (which is passed through the first delay element to the second delay element). Synthesis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된 톤이 끝나갈 때의 마지막 댐핑 주기(damping period) 동안에, 상기 산란 접합부는, 상기 댐핑 주기 이전의 시간에서보다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의 실제적으로 더 큰 부분을 반향시키도록, 제어 가능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during the last damping period at the end of the simulated tone, the scatter j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is more than at a time prior to the damping period. And is controllably adjusted to echo substantially larger portion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 각각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탄주 도구(PD: Plucking Device)와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현침(nut) 사이에서 신호가 전파될 때에 발생되는 딜레이를 시뮬레이션하는 현침-PD 딜레이(nut-PD delay) 부분과;A nut-PD delay portion for simulating a delay generated when a signal propagates between a plucking device (PD) and a nut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기러기발(bridge)과 상기 탄주 도구(PD)사이에서 신호가 전파될 때에 발생되는 딜레이를 시뮬레이션하는 PD-기러기발 딜레이 부분을 포함하는데,A PD-goose delay portion that simulates a delay that occurs when a signal propagates between the bridge of the chorded string instrument and the drum tool PD, 상기 산란 접합부는 상기 딜레이 소자의 상기 PD-기러기발 딜레이 부분과 상기 현침-PD 딜레이 부분사이에 있는 각각의 딜레이 소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And said scattering junction is connected to each delay element between said PD- goose-producing delay portion and said salient-PD delay portion of said delay ele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과음 회로는 제 1 및 제 2 발진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발진기의 출력은 상기 제 2 발진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2 발진기가 주파수 변조 캐리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2. The first oscillator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elapsed sound circuit comprises first and second oscillators, the output of the first oscillator controlling the frequency generated by the second oscillator, whereby the second oscillator is a frequency modulated carrier. Synthe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과음 회로는 잡음 생성기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잡음 생성기의 출력은 합성된 경과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발진기의 출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10. The synthesizer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elapsed sound circuit further comprises a noise generator, wherein the output of the noise generator is coupled to the output of the second oscillator to produce a synthesized elapsed soun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진 회로는,The resonant circuit, 상기 시뮬레이션된 톤의 상기 기본 주파수와 동일한 기본 고유 주파수를 갖고,Has a fundamental natural frequency equal to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simulated tone, 줄의 길이방향 진동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길이방향 진동 합성 부분을 더 포함하는데,Further comprising a longitudinal vibration synthesis portion to generate a simulation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of the string, 상기 공진 회로의 출력과 상기 길이방향 진동 합성 부분의 출력은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And the output of the resonant circuit and the output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synthesizing portion are combined to produce an output signal that simulates the sound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탄주되는 현악기의 줄을 탄주함으로써 발생되는 줄의 장기간(longer-term) 횡방향 진동과 일시적인 길이 방향의 진동을 시뮬레이션하는 합성장치에 있어서,In a synthesizing apparatus that simulates the long-term transverse vibrations and transient longitudinal vibrations of a string generated by chording strings of stringed stringed instruments, 상기 줄의 횡방향 진동에 대한 청취가능한 톤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기 위한 횡방향 진동 합성 부분과;A transverse vibration synthesis portion for generating a simulation of an audible tone for the transverse vibration of the string; 상기 줄의 길이방향 진동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기 위한 길이방향 진동 합성부분을 포함하는데,A longitudinal vibration synthesis portion for generating a simulation of the longitudinal vibration of the string, 상기 횡방향 및 길이방향 진동 합성 부분의 출력은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And the outputs of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vibration synthesizing portions are combined to produce an output signal that simulates the sound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합성 부분은 톱니 파형에 의하여 자극을 받아서,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감겨진 줄(a wound string)을 탄주할 때에 발생하는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13. The synthesizing apparatus as set forth in claim 12, wherein said longitudinal synthesizing portion is stimulated by a sawtooth waveform, and simulates an elapsed sound generated when an a wound string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is run.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진동 합성 부분은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와 제 1 및 제 2 필터 회로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의 출력은 상기 제 1 필터 회로의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필터 회로의 출력은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의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의 출력은 상기 제 2 필터 회로의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필터 회로의 출력은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의 입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lateral vibration synthesizing portion comprises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and first and second filter circuits, the output of the first delay element being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first filter circuit. And an output of the first filter circuit is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second delay element, an output of the second delay element is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second filter circuit, and an output of the second filter circuit is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element. And a synthesizer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delay elemen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진동 합성 부분은 상기 시뮬레이션된 톤의 기본 주파수와 동일한 기본 고유 주파수를 갖고,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lateral vibration synthesis portion has a fundamental natural frequency equal to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simulated tone, 상기 횡방향 진동 합성 부분은 줄을 탄주하는 일환으로서 상기 줄의 횡방향 편향을 나타내는 파형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라인들을 초기화함으로써 또한 자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And the lateral vibration synthesizing portion is further stimulated by initializing the first and second delay lines using a waveform representing the transverse deflection of the string as part of chording the string.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은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The synthesiz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waveform has a triangular shap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로 전달되는 신호들의 조절가능한 부분을 제어될 수 있게 반향하고, 또한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로 전달되는 신호의 조절가능한 부분을 제어될 수 있게 반향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산란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lable portion of the signal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lay element through the first delay element is controllably reflected, and is also passed to the first delay element through the second delay element. And a scattering junction connected to said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for reproducibly reflecting an adjustable portion of the signal.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된 톤이 끝나갈 때에 마지막 댐핑 주기 동안에, 상기 산란 접합부는 상기 댐핑 주기 이전보다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의 실제적으로 더 큰 부분을 반향시키도록 제어 가능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during the last damping period at the end of the simulated tone, the scatter junction is to reflect a substantially larger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than before the damping period. Synthe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able adjustment.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 각각은,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탄주 도구(PD)와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현침 사이에서 신호가 전파될 때에 발생되는 딜레이를 시뮬레이션하는 현침-PD 딜레이 부분과;A hang-PD delay portion that simulates a delay caused when a signal propagates between the hang tool PD and the hang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기러기발과 상기 탄주 도구(PD)사이에서 신호가 전파될 때에 발생되는 딜레이를 시뮬레이션하는 PD-기러기발 딜레이 부분을 포함하는데,And a PD-wild goose delay portion that simulates a delay that occurs when a signal propagates between the geese goose of the stringed instrument and the drum instrument PD. 상기 산란 접합부는 상기 딜레이 소자의 상기 PD-기러기발 딜레이 부분과 상기 현침-PD 딜레이 부분사이에 있는 각각의 딜레이 소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And said scattering junction is connected to each delay element between said PD- goose-producing delay portion and said salient-PD delay portion of said delay element. 탄주되는 현악기의 진동하는 줄을 댐핑하는 동안에 생성된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는 합성장치에 있어서,In the synthesizing apparatus for simulating the sound generated during the damping of the vibrating string of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시뮬레이션된 음에 해당되는 청취가능한 톤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음 합성 부분으로서, 상기 시뮬레이션된 음은 상기 줄의 시뮬레이션된 탄주의 시간으로부터 줄의 후속하는 시뮬레이션된 탄주 전의 마지막 댐핑 주기까지 연장되는 제 1 지속 기간을 갖는, 음 합성 부분과;A sound synthesis portion that produces a simulation of an audible tone corresponding to a simulated sound, wherein the simulated sound extends from the time of the simulated run of the string to the first damping period before the subsequent simulated run of the string. A sound synthesis portion having a period; 청취가능한 경과음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경과음 합성 부분으로서, 상기 청취가능한 경과음은 상기 제 1 지속기간보다 짧은 제 2 지속기간을 갖고, 상기 청취가능한 경과음의 시뮬레이션은 상기 마지막 댐핑 주기 동안에 합성되는, 경과음 합성 부분을 포함하는데,A progression synthesis portion for generating a simulation for audible passages, wherein the audible passages have a second duration shorter than the first duration, and the simulation of the audible passages is synthesized during the last damping period Including the part, 상기 음 합성 부분과 상기 경과음 합성 부분의 출력은 상기 댐핑 기간동안에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And the outputs of the sound synthesizing portion and the elapsed sound synthesizing portion are combined to produce an output signal that simulates the sound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during the damping period.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음 합성 부분은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와 제 1 및 제 2 필터 회로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의 출력은 상기 제 1 필터 회로의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필터 회로의 출력은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의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의 출력은 상기 제 2 필터 회로의 입력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필터 회로의 출력은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의 입력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21. The apparatus of claim 20, wherein the sound synthesis portion comprises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and first and second filter circuits, the output of the first delay element being connected to an input of the first filter circuit. The output of the first filter circuit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second delay element, the output of the second delay element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second filter circuit,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filter element is the first delay element. Synthe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input.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음 합성 부분은 상기 시뮬레이션된 톤의 상기 기본 주파수와 동일한 기본 고유 주파수를 갖고,The sound synthesis portion has a fundamental natural frequency equal to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simulated tone, 상기 음 합성 부분은 줄을 탄주하는 일환으로서 상기 줄의 횡방향 편향을 나타내는 파형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라인들을 초기화함으로써 자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And the sound synthesizing portion is stimulated by initializing the first and second delay lines using a waveform representing the transverse deflection of the string as part of chording the string.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은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23. The synthesiz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2, wherein the waveform is in the form of a triangl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로 전달되는 신호들의 조절가능한 부분을 제어될 수 있게 반향하고, 또한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로 전달되는 신호의 조절가능한 부분을 제어될 수 있게 반향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산란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22. The apparatus of claim 21, wherein the controllable echo of an adjustable portion of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delay element to the second delay element is controllable and is further transmitted to the first delay element through the second delay element. And a scattering junction connected to said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for reproducibly reflecting an adjustable portion of the signal.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된 톤이 끝나갈 때의 마지막 댐핑 주기 동안에, 상기 산란 접합부는 상기 댐핑 주기 이전의 시간에서보다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의 실제적으로 더 큰 부분을 반향시키도록 제어 가능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25. The apparatus of claim 24, wherein during the last damping period at the end of the simulated tone, the scatter junction is a substantially larger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than at the time before the damping period. Synthe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able adjustment to echo.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 각각은,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탄주 도구(PD)와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현침 사이에서 신호가 전파될 때에 발생되는 딜레이를 시뮬레이션하는 현침-PD 딜레이 부분과;A hang-PD delay portion that simulates a delay caused when a signal propagates between the hang tool PD and the hang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기러기발과 상기 탄주 도구(PD)사이에서 신호가 전파될 때에 발생되는 딜레이를 시뮬레이션하는 PD-기러기발 딜레이 부분을 포함하는데,And a PD-wild goose delay portion that simulates a delay that occurs when a signal propagates between the geese goose of the stringed instrument and the drum instrument PD. 상기 산란 접합부는 상기 딜레이 소자의 상기 PD-기러기발 딜레이 부분과 상기 현침-PD 딜레이 부분사이에 있는 각각의 딜레이 소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And said scattering junction is connected to each delay element between said PD- goose-producing delay portion and said salient-PD delay portion of said delay element. 탄주되는 현악기의 진동하는 줄을 댐핑하는 동안에 생성되는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는 합성장치에 있어서,In the synthesizing apparatus for simulating the sound generated during the damping of the vibrating string of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시뮬레이션된 음에 해당되는 청취가능한 톤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음 합성 부분으로서, 상기 시뮬레이션된 음은 상기 줄의 시뮬레이션된 탄주의 시간으로부터 줄의 후속하는 시뮬레이션된 탄주 전의 마지막 댐핑 주기까지 연장되는 제 1 지속 기간을 갖으며, 상기 음 합성 부분은,A sound synthesis portion that produces a simulation of an audible tone corresponding to a simulated sound, wherein the simulated sound extends from the time of the simulated run of the string to the first damping period before the subsequent simulated run of the string. Period, the sound synthesis portion, 각각이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단에 전달되는 신호의 주파수 필터링된 버전을 상기 출력단에서 생성하는 제 1 및 제 2 필터와;First and second filters, each having an input stage and an output stage and generating at the output stage a frequency filtered version of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input stage; 상기 제 1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 2 필터의 입력단으로 연결시키는 제 1 딜레이 소자와;A first delay element connec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filter to an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filter; 상기 제 2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 1 필터의 입력단으로 연결시키는 제 2 딜레이 소자와;A second delay element connec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filter to an input terminal of the first filter;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를 통해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에 전달하는 신호의 조절가능한 부분을 제어할 수 있게 반향하고,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를 통해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에 전달되는(그리고, 제 1 딜레이 소자를 통해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에 전달되는) 신호의 조절가능한 부분을 제어할 수 있게 반향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와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산란 접합부를 포함하는, 음 합성부분을 포함하는데,Echoes controllable portions of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delay element to the second delay element, an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lay element via the second delay element (and a first delay element). A negative synthesis portion, comprising a scattering junction connected to the first delay element and the second delay element, in order to be able to control the adjustable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tted via the second delay element This includes 상기의 마지막 댐핑 주기 동안에, 상기 음 합성 부분의 상기 산란 접합부는, 상기 댐핑 주기 이전보다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의 실제적으로 더 큰 부분을 반향시키도록 제어 가능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During the last damping period, the scattering junction of the sound synthesis portion is controllably adjusted to echo a substantially larger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than before the damping period. Synthe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딜레이 소자 각각은,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탄주 도구(PD)와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현침 사이에서 신호가 전파될 때에 발생되는 딜레이를 시뮬레이션하는 현침-PD 딜레이 부분과;A hang-PD delay portion that simulates a delay caused when a signal propagates between the hang tool PD and the hang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기러기발과 상기 탄주 도구(PD)사이에서 신호가 전파될 때에 발생되는 딜레이를 시뮬레이션하는 PD-기러기발 딜레이 부분을 포함하는데,And a PD-wild goose delay portion that simulates a delay that occurs when a signal propagates between the geese goose of the stringed instrument and the drum instrument PD. 상기 산란 접합부는 상기 딜레이 소자의 상기 PD-기러기발 딜레이 부분과 상기 현침-PD 딜레이 부분사이에 있는 각각의 딜레이 소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장치.And said scattering junction is connected to each delay element between said PD- goose-producing delay portion and said salient-PD delay portion of said delay element. 탄주되는 현악기의 줄을 탄주함으로써 생성되는 어택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simulating the attack elapsed sound generated by chording the string of the stringed stringed instrument, 탄주되는 줄의 기본 고유 주파수로 튜닝되는 공진 회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공진 회로는 자극을 받으면 제 1 지속 기간동안에 청취가능한 톤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공진 회로를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resonant circuit tuned to the fundamental natural frequency of the string to be run, wherein the resonant circuit generates a simulation of an audible tone for a first duration when stimulated; 상기 제 1 지속 기간보다 짧은 제 2 지속 기간을 갖는 제 1의 청취가능한 어택 경과음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simulation for a first audible attack elapsed sound having a second duration shorter than the first duration; 상기 제 1 지속 기간보다 짧은 제 3 지속 기간을 갖는 제 2의 청취가능한 어택 경과음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simulation for a second audible attack elapsed sound having a third duration shorter than the first duration; 상기 공진 회로가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청취 가능한 톤을 생성하도록 상기 공진 회로에 상기 청취가능한 어택 경과음의 시뮬레이션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택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Delivering a simulation of the audible attack elapsed sound to the resonant circuit such that the resonant circuit produces an audible tone that simulates the sound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탄주되는 현악기의 줄을 탄주함으로써 발생되는 줄의 장기간 횡방향 진동과 일시적인 길이방향 진동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simulating the long-term transverse vibration and temporary longitudinal vibration of the string generated by the stringing of the string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상기 줄의 상기 횡방향 진동에 대한 청취가능한 톤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simulation of an audible tone for said transverse vibration of said string; 상기 줄의 길이방향 진동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simulation of longitudinal vibration of the string;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시뮬레이션된 횡방향 진동과 상기 길이방향 진동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방법.Combining the simulated lateral vibration and the longitudinal vibration to produce an output signal that simulates the sound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탄주되는 현악기의 진동하는 줄을 댐핑하는 동안에 생성되는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simulating the sound generated during the damping of the vibrating string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시뮬레이션된 음에 해당되는 청취가능한 톤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뮬레이션된 음은 상기 줄의 시뮬레이션된 탄주의 시간으로부터 줄의 후속하는 시뮬레이션된 탄주 전의 마지막 댐핑 주기까지 연장되는 제 1 지속 기간을 갖는, 청취가능한 톤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simulation of an audible tone corresponding to the simulated sound, the simulated sound extending a first duration extending from the time of the simulated run of the string to the last damping period before the subsequent simulated run of the string. Generating a simulation of audible tones having; 상기 제 1 지속 기간보다 짧은 제 2 지속 기간을 갖는, 청취가능한 경과음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청취가능한 경과음의 상기 시뮬레이션은 상기 마지막 댐핑 주기 기간 동안에 생성되는, 청취가능한 경과음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simulation for an audible old sound having a second duration shorter than the first duration, wherein the simulation of an audible old sound is provided during the last damping period. Doing; 상기 댐핑 주기 기간 동안에 상기 탄주되는 현악기의 소리를 시뮬레이션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시뮬레이션된 음과 상기 시뮬레이션된 청취가능한 경과음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Combining the simulated sound and the simulated audible sound to produce an output signal that simulates the sound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during the damping period. 탄주되는 현악기의 진동하는 줄을 댐핑하고 있는 동안에 생성되는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simulating the sound generated while damping the vibrating string of the stringed string instrument, 시뮬레이션된 음에 해당되는 청취가능한 톤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음 합성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로, 상기 시뮬레이션된 음은 상기 줄의 시뮬레이션된 탄주의 시간부터 줄의 후속하는 시뮬레이션된 탄주 전의 마지막 댐핑 주기까지 연장되는 제 1 지속 기간을 갖는 청취가능한 톤의 시뮬레이션을 생성하는, 음 합성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음 합성장치의 음 합성 부분은,Providing a sound synthesizer that produces a simulation of an audible tone corresponding to the simulated sound, wherein the simulated sound extends from the time of the simulated run of the string to the last damping period before the subsequent simulated run of the string. Providing a sound synthesizer for generating a simulation of an audible tone having a first duration of time, wherein the sound synthesizer portion of the sound synthesizer comprises: 각각이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단에서 전달되는 신호의 주파수 필터링된 버전을 상기 출력단에서 생성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와;The first and second filters, each having an input stage and an output stage and generating at the output stage a frequency filtered version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put stage; 상기 제 1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 2 필터의 상기 입력단에 연결시키는 제 1 딜레이 소자와;A first delay element connec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filter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filter; 상기 제 2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 1 필터의 상기 입력단에 연결시키는 제 2 딜레이 소자와;A second delay element connec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filter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filter;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를 통해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에 전달하는 신호의 조절가능한 부분을 제어할 수 있게 반향하고,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를 통해 상기 제 1 딜레이 소자에 전달되는(그리고, 제 1 딜레이 소자를 통해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에 전달되는) 신호의 조절가능한 부분을 제어할 수 있게 반향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산란 접합부를 포함하는, 음 합성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Echoes controllable portions of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delay element to the second delay element, an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lay element via the second delay element (and a first delay element). Providing a scattering junction connected to said first and said second delay elements so as to be able to control an adjustable portion of the signal transmitted via said second delay element via: Steps; 상기 댐핑 주기 기간 이전보다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딜레이 소자를 통과하는 신호의 실제적으로 더 큰 부분을 반향하도록 상기 댐핑 주기 기간동안에 상기 음 합성장치의 상기 산란 접합부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과음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Adjusting the scattering junction of the sound synthesis device during the damping period to reflect a substantially larger portion of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ay elements than before the damping period. How to simulate the transition sound. <부록 :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Appendix: Software of the Invention
KR1019980039437A 1997-09-24 1998-09-23 Synthesizer and method for simulating transients and vibrations of string KR100570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437A KR100570569B1 (en) 1997-09-24 1998-09-23 Synthesizer and method for simulating transients and vibrations of st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35,460 1997-09-24
KR1019980039437A KR100570569B1 (en) 1997-09-24 1998-09-23 Synthesizer and method for simulating transients and vibrations of st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569B1 true KR100570569B1 (en) 2006-12-01

Family

ID=4174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437A KR100570569B1 (en) 1997-09-24 1998-09-23 Synthesizer and method for simulating transients and vibrations of st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56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2965A (en) * 1992-02-21 199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sical tone synthesizer
JPH06289877A (en) * 1993-04-06 1994-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sical sound synthesizing device and musical sound analyzing device
JPH07191678A (en) * 1993-01-11 1995-07-28 Yamaha Corp Musical sound synthesizing device
JPH07271373A (en) * 1994-03-29 1995-10-20 Yamaha Corp Musical tone synthesizing device
JPH0822284A (en) * 1994-07-04 1996-01-23 Yamaha Corp Musical tone synthesiz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2965A (en) * 1992-02-21 199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sical tone synthesizer
JPH07191678A (en) * 1993-01-11 1995-07-28 Yamaha Corp Musical sound synthesizing device
JPH06289877A (en) * 1993-04-06 1994-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sical sound synthesizing device and musical sound analyzing device
JPH07271373A (en) * 1994-03-29 1995-10-20 Yamaha Corp Musical tone synthesizing device
JPH0822284A (en) * 1994-07-04 1996-01-23 Yamaha Corp Musical tone synthesiz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th Physical modeling synthesis update
Overholt et al. Advancements in actuated musical instruments
US20080034946A1 (en) User controls for synthetic drum sound generator that convolves recorded drum sounds with drum stick impact sensor output
Halmrast et al. Gesture and timbre
Britt et al. The EMvibe: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ibraphone.
US5500486A (en) Physical model musical tone synthesis system employing filtered delay loop
US5272275A (en) Brass instrument type tone synthesizer
US6011213A (en) Synthesis of sounds played on plucked string instruments, using computers and synthesizers
KR100570569B1 (en) Synthesizer and method for simulating transients and vibrations of string
JP2586165B2 (en) Tone generator
Serafin et al. Modeling bowl resonators using circular waveguide networks
JP6028844B2 (en) Musical sound synthesizer and program
Dahlstedt Taming and Tickling the Beast-Multi-Touch Keyboard as Interface for a Physically Modelled Interconnected Resonating Super-Harp.
Pearson TAO: a physical modelling system and related issues
Curtin et al. Violin
Pekonen Computationally efficient music synthesis–methods and sound design
JP2002297139A (en) Playing data modification processor
Bader Whole geometry finite-difference modeling of the violin
Sanders et al. Synthesizing a guitar using physical modeling techniques
JP3360104B2 (en) Music signal generator
JP3097487B2 (en) Music synthesizer
Guettler Looking at starting transients and tone coloring of the bowed string
CN106356047B (en) Method and system for synthesizing and pronouncing miniature wave table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Olney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Modular Sound Synthesis
JP3075087B2 (en) Music synthes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50920

Effective date: 200512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