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475B1 - Methods of fabricating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 having split sub-digit lines surrounded by cladding layers - Google Patents

Methods of fabricating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 having split sub-digit lines surrounded by cladding lay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475B1
KR100570475B1 KR1020040064030A KR20040064030A KR100570475B1 KR 100570475 B1 KR100570475 B1 KR 100570475B1 KR 1020040064030 A KR1020040064030 A KR 1020040064030A KR 20040064030 A KR20040064030 A KR 20040064030A KR 100570475 B1 KR100570475 B1 KR 10057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terlayer insulating
forming
insulating layer
digit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5180A (en
Inventor
박재현
정홍식
정기태
정원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475B1/en
Priority to US11/077,669 priority patent/US20050205952A1/en
Publication of KR2006001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1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475B1/en
Priority to US12/048,082 priority patent/US756940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details concerning the memory cell structure, e.g. the layers of the ferromagnetic memory ce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도금층으로 둘러싸인 분할된 서브 디지트 라인들을 갖는 자기 램 셀의 제조방법들을 제공한다. 이 방법들은 반도체기판 상에 제1 층간절연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제1 층간절연층 내에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을 구비한다. 상기 그루브를 갖는 기판 상에 콘포말한 도금층(conformal cladding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그루브 내의 상기 도금층의 소정영역 상에 격리벽(separating wall)을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및 제2 그루브들로 분할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 내에 각각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을 형성한다. 상기 격리벽 및 도금층을 관통하여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측벽 상에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자기저항체 콘택 홀을 형성한다.Provided are methods of manufacturing a magnetic ram cell having divided sub digit lines surrounded by a plating layer. These methods include forming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ing a groove i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 conformal cladding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having the groove. A separating wall is formed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plating layer in the groove to div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groove into first and second grooves.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respectively. An opening is formed through the isolation wall and the plating layer and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the sub digit lines, and a spacer is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opening.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s etched using the spacer as an etch mask to form a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 expos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Description

도금층으로 둘러싸인 분할된 서브 디지트 라인들을 갖는 자기 램 셀의 제조방법들{Methods of fabricating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 having split sub-digit lines surrounded by cladding layers}Methods of fabricating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 having split sub-digit lines surrounded by cladding layers}

도 1은 종래의 자기 램 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agnetic ram cell.

도 2는 분할된 서브 디지트 라인들을 갖는 종래의 자기 램 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agnetic ram cell having divided sub digit line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램 셀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gnetic ram cells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램 셀의 제조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4 through 10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describ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gnetic ram cell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셀을 제조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금층으로 둘러싸인 분할된 서브 디지트 라인들을 갖는 자기 램 셀을 제조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thods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memory cells, and more particularly to methods of fabricating magnetic RAM cells having divided sub digit lines surrounded by a plating layer.

자기 램 소자들은 저전압 및 고속에서 동작될 수 있는 비휘발성 기억소자들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기 램 소자의 단위 셀에 있어서, 데이터는 자기 저항체(magnetic resistor)의 자기 터널 접합(magnetic tunnel junction; MTJ) 내에 저장된다. 상기 자기 터널 접합(MTJ)은 제1 및 제2 강자성층들(ferromagnetic layers) 및 그들 사이에 개재된 터널링 절연층(tunneling insulation layer)을 포함한다. 자유층(free layer)이라고도 언급되는 상기 제1 강자성층의 자기 분극(magnetic polarization)은 상기 자기 터널 접합을 가로지르는 자계를 이용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자계는 상기 자기 터널 접합의 주위를 지나는 전류에 의해 유기될(induced) 수 있고, 상기 자유층의 자기 분극은 고정층(pinned layer)이라고도 언급되는 상기 제2 강자성층의 자기 분극에 평행하거나 반평행(anti-parallel)할 수 있다. 상기 자계를 생성시키기 위한 전류는 상기 자기 터널 접합의 주위에 배치된 디지트 라인(digit line)이라고 불리우는 도전층을 통하여 흐른다.Magnetic RAM devices are widely used as nonvolatile memories that can operate at low voltages and high speeds. In the unit cell of the magnetic RAM device, data is stored in a magnetic tunnel junction (MTJ) of a magnetic resistor. The magnetic tunnel junction MTJ includes first and second ferromagnetic layers and a tunneling insulation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Magnetic polarization of the first ferromagnetic layer, also referred to as a free layer, can be varied using a magnetic field across the magnetic tunnel junction. The magnetic field may be induced by a current passing around the magnetic tunnel junction, and the magnetic polarization of the free layer is parallel or antiparallel to the magnetic polarization of the second ferromagnetic layer, also referred to as a pinned layer. It can be anti-parallel. Current for generating the magnetic field flows through a conductive layer called a digit line disposed around the magnetic tunnel junction.

양자역학(quantum mechanics)에 기초한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에 따르면, 상기 자유층 및 고정층 내의 자기 스핀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된 경우에, 상기 자기 터널 접합을 통하여 흐르는 터널링 전류는 최대값을 보인다. 이에 반하여, 상기 자유층 및 고정층 내의 자기 스핀들이 서로 반평행하도록 배열된 경우에, 상기 자기 터널 접합을 통하여 흐르는 터널링 전류는 최소값을 보인다. 따라서, 상기 자기 램 셀의 데이터는 상기 자유층 내의 자기 스핀들의 방향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spintronics based on quantum mechanics, when the magnetic spindles in the free layer and the fixed layer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the tunnel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tunnel junction shows a maximum value. In contrast, when the magnetic spindles in the free layer and the fixed layer are arranged antiparallel to each other, the tunnel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agnetic tunnel junction shows a minimum value. Thus, the data of the magnetic ram cell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spindle in the free layer.

도 1은 종래의 자기 램 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agnetic ram cell.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 상에 제1 층간절연층(3)이 적층된다. 상기 제1 층간절연층(3) 상에 디지트 라인(5)이 배치된다. 상기 디지트 라인(5) 및 상기 제1 층간절연층(3)은 제2 층간절연층(7)으로 덮여진다. 상기 제2 층간절연층(7) 상에 상기 디지트 라인(5)의 소정영역과 중첩하도록 자기 저항체(16)가 배치된다. 상기 자기 저항체(16)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 전극(11), 자기 터널 접합(13) 및 상부 전극(15)을 포함한다. 상기 자기 저항체(16) 및 상기 제2 층간절연층(7)은 제3 층간절연층(17)으로 덮여진다. 상기 제3 층간절연층(17) 상에 상기 상부전극(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트라인(19)이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 is stack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1. The digit line 5 is dispos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 The digit line 5 and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3 are covered with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7. The magnetoresistive member 16 is dispos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7 so as to overlap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digit line 5. The magnetoresistive body 16 includes a lower electrode 11, a magnetic tunnel junction 13, and an upper electrode 15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magnetoresistive body 16 and the second interlayer dielectric layer 7 are covered with a third interlayer dielectric layer 17. A bit line 19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15 is disposed on the thir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7.

상기 하부전극(11)은 상기 반도체기판(1)의 소정영역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전극(11)은 상기 디지트 라인(5)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하부전극(11)은 상기 디지트 라인(5)과 중첩하지 않는 연장부(A)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연장부(A)는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층들(3, 7)을 관통하는 하부전극 플러그(9)를 통하여 상기 반도체기판(1)의 소정영역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lower electrode 11 should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 Therefore, the lower electrode 11 should be formed to have a wider width than the digit line 5. In other words, the lower electrode 11 should be formed to have an extension portion A that does not overlap the digit line 5. The extension portion 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 through a lower electrode plug 9 penetrat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3 and 7.

결론적으로, 상기 하부전극(11)의 연장부(A)는 도 1에 보여진 종래의 자기 램 셀 사이즈의 축소(shrink)에 있어서 어려움을 초래한다.In conclusion, the extension A of the lower electrode 11 causes difficulty in shrinking the conventional magnetic ram cell size shown in FIG. 1.

최근에,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할된 서브 디지트 라인들을 갖는 자기 램 셀이 제안된 바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자기 램 셀의 쓰기 효율(writing efficienc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디지트 라인들의 측벽 및 하부면을 둘러싸는 도금층(cladding layer)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도금층을 채택하는 자기 램 셀이 미국특허 제6,430,084 B1에 "강자성 도금층을 구비하는 디지트 라인들 및 비트 라인들을 갖는 자기 램(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digit lines and bit lines with a ferromagnetic cladding layer)"라는 제목으로 리쪼 등(Rizzo et al.)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Recently, a magnetic RAM cell having divided sub digit lines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ddition, a cladding layer surrounding sidewalls and bottom surfaces of the digit lines is widely used to improve the writing efficiency of the magnetic RAM cell. The magnetic ram cell employing the plating layer is described in US Patent No. 6,430,084 B1 as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digit lines and bit lines with a ferromagnetic cladding layer". It has been disclosed by Rizza et al. In the title.

도 2는 상기 분할된 서브 디지트 라인들에 상기 미국특허 제6,430,084 B1에 개시된 도금층을 적용한 자기 램 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gnetic RAM cell in which the plating layer disclosed in US Pat. No. 6,430,084 B1 is applied to the divided sub digit lines.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21) 상에 제1 층간절연층(23)이 적층된다. 상기 제1 층간절연층(23) 내에 제1 및 제2 평행한 분할된 서브 디지트 라인들(27a, 27b)이 배치된다. 상기 제1 서브 디지트 라인(27a)의 양 측벽들 및 하부면은 제1 도금층(25a)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상기 제2 서브 디지트 라인(27b)의 양 측벽들 및 하부면 역시 제2 도금층(25b)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27a, 27b) 및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들(25a, 25b)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2 층간절연층(29)이 적층된다. 상기 반도체기판(21)의 소정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층들(23, 29)을 관통하는 자기터널 접합 콘택 플러그(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자기터널 접합 콘택 플러그(31)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27a, 27b) 사이의 영역을 지난다(pass through). 상기 제2 층간절연층(29) 상에 상기 자기터널 접합 콘택 플러그(31)와 접촉하는 자기터널 접합(33)이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2,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3 is stack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1. First and second parallel sub-digit lines 27a and 27b are disposed i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3. Both sidewall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b digit line 27a are surrounded by the first plating layer 25a, and both sidewall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b digit line 27b are also the second plating layer 25b. Surrounded by).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9 is stack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27a and 27b and the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s 25a and 25b. The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ic tunnel junction contact plug 31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23 and 29. The magnetic tunnel junction contact plug 31 passes through an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27a and 27b. A magnetic tunnel junction 33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tunnel junction contact plug 31 is dispos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29.

도 2에 보여진 상기 자기 램 셀 내에 데이터를 저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분할된 서브 디지트 라인들(27a, 27b)에 쓰기 전류(writing current)를 가하면, 제1 및 제2 자계들(35a, 35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자계들(35a, 35b)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터널 접합(33)의 일 측 및 타 측 내에 주로 분포된 다. 다시 말해서, 상기 쓰기 동작(writing operation) 동안 상기 자기 터널 접합(33)의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되는 자계를 형성시키기가 어렵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27a, 27b)의 모든 측벽들이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들(25a, 25b)에 의해 둘러싸여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분할된 서브 디지트 라인들(27a, 27b)을 갖는 자기 램 셀이 자계를 집속시키는 도금층을 채택할지라도, 상기 자기 램 셀의 쓰기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When writ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divided sub digit lines 27a and 27b to store data in the magnetic RAM cell shown in FIG. 2, first and second magnetic fields 35a and 35b are formed. do.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ields 35a and 35b are mainly distributed i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gnetic tunnel junction 33,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form a uniformly distributed magnetic field throughout the magnetic tunnel junction 33 during the writing operation. This is because all sidewall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27a and 27b are surrounded by the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s 25a and 25b. Accordingly, even if the magnetic ram cell having the divided sub digit lines 27a and 27b adopts a plating layer that focuses a magnetic field, there is a limit in improving the write efficiency of the magnetic ram cel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집적도와 아울러서 쓰기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자기 램 셀들의 제조방법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methods for manufacturing magnetic RAM cells, which may improve integration efficiency as well as write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분할된 디지트 라인들을 갖는 자기 램 셀의 제조방법들이 제공된다. 이 방법들은 반도체기판 상에 제1 층간절연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제1 층간절연층 내에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그루브를 갖는 기판 상에 콘포말한 도금층(conformal cladding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그루브 내의 상기 도금층의 소정영역 상에 격리벽(separating wall)을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의 적어도 일부(at least a portion)를 제1 및 제2 그루브들로 분할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 내에 각각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을 형성한다.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제1 층간절연층의 상부면 상의 상기 도금층이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그 결과, 상기 그루브의 측벽들 및 하부면 만을 덮는 도금층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 및 상기 도금층 패턴을 갖 는 기판 상에 캐핑층을 형성한다. 상기 캐핑층, 상기 격리벽 및 상기 도금층 패턴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 사이의 영역을 지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의 측벽 상에 절연성 스페이서(insulating spacer)를 형성한다.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자기저항체 콘택 홀을 형성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ethods of manufacturing a magnetic ram cell having divided digit lines are provided. These methods include forming a first interlayer dielectric layer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orming a groove in the first interlayer dielectric layer. A conformal cladding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having the groove. A separating wall is formed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plating layer in the groove to div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groove into first and second grooves.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respectively. While forming the sub digit lines, the plating layer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s selectively removed. As a result, a plating layer pattern covering only the sidewall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formed. A capping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having the sub digit lines and the plating layer pattern. An opening penetrating the capping layer, the isolation wall, and the plating layer pattern is formed. The opening is formed to pass through an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An insulating spacer is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opening.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s etched using the insulating spacer as an etch mask to form a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 expos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 층간절연층을 부분 식각함으로써(partially etching)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may be formed by partially etching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도금층은 강자성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the pl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layer.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격리벽의 형성은 상기 도금층을 갖는 기판 상에 몰딩층(molding layer)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몰딩층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그루브 내에 몰딩층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층간절연층의 상부면 상의 상기 도금층을 노출시키는 것과, 상기 몰딩층 패턴을 패터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still other embodiments, the forming of the isolation wall may include forming a molding layer on the substrate having the plating layer, planarizing the molding layer, and forming a molding layer pattern in the groove. The method may include exposing the plating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on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patterning the molding layer pattern.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격리벽은 라인 형태 또는 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리벽이 상기 라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리벽이 상기 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된 그루브(a single merged groove)를 구성할 수 있다.In still other embodiments, the isolation wall may be formed to have a line shape or an island shape. When the isolation wall is formed to have the line shape,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isolation wall is formed to have the island shape,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merged groove.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의 형성은 상기 격리벽을 갖는 기판 상에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을 채우는 도전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도전층 및 상기 도금층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제1 층간절연층의 상부면 및 상기 격리벽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구리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도전층 및 상기 도금층은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을 사용하여 평탄화될 수 있다.In still other embodiments, the 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may include forming a conductive layer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on the substrate having the isolation wall, and forming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Planarization may include exposing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isolation wall. Th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f a copper layer, and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may be planarized us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캐핑층 및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층간절연층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the capping layer and the insulating spacer may be formed as an insulating layer having an etch selectivity with respect to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홀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를 갖는 기판 상에 제2 층간절연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홀은 상기 캐핑층 및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층들을 식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In still other embodiments, before forming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ubstrate having the insulating spacer. In this case,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 may be formed by etching the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using the capping layer and the insulating spacer as an etching mask.

더 나아가서,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홀 내에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자기저항체를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자기저항체를 갖는 기판 상에 상부 층간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층간절연층 상에 상기 자기저항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트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은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a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can be formed in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 and a magnetoresistive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can b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In addition, an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on a substrate having the magnetoresistive body, and a bit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oresistive body may be formed on the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he bit line may be formed to 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sub digit line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여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conve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램 셀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magnetic ram cells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기판(51)의 소정영역에 소자분리층(101)이 배치된다. 상기 소자분리층(101)은 활성영역(101a)을 한정한다. 상기 활성영역(101a) 내에 서로 이격된 소오스 영역(107s) 및 드레인 영역(107d)이 제공된다. 상기 소오스 영역(107s) 및 드레인 영역(107d) 사이의 채널 영역 상부에 게이트 전극(105)이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05)은 상기 활성영역(101a)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워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05) 및 상기 채널 영역 사이에 게이트 절연층(103)이 개재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05), 소오스 영역(107s) 및 드레인 영역(107d)은 억세스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evice isolation layer 101 is dispos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1. The device isolation layer 101 defines an active region 101a. Source regions 107s and drain regions 107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in the active region 101a. The gate electrode 105 is disposed on the channel region between the source region 107s and the drain region 107d. The gate electrode 105 may extend to 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active region 101a to serve as a word line. A gate insulating layer 103 is interpos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105 and the channel region. The gate electrode 105, the source region 107s and the drain region 107d constitute an access transistor.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기판 상은 하부 층간절연층(109)으로 덮여진다. 상기 하부 층간절연층(109) 상에 공통 소오스 라인(111)이 배치된다. 상기 공통 소오스 라인(111)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층(109)을 관통하는 공통 소오스 라인 콘택 플러그(110)를 통하여 상기 소오스 영역(107s)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공통 소오스 라인(111)은 상기 게이트 전극(105)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the access transistor is covered with a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9. The common source line 111 is disposed on the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9. The common source line 1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region 107s through a common source line contact plug 110 passing through the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9. The common source line 111 may be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gate electrode 105.

상기 공통 소오스 라인(111) 및 상기 하부 층간절연층(109)은 제1 층간절연 층(53)으로 덮여진다.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 내에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이 배치된다. 상기 제1 서브 디지트 라인(57a)의 하부면(bottom surface) 및 외측벽(outer sidewall)은 제1 도금층 패턴(a first cladding layer pattern; 55a)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상기 제1 서브 디지트 라인(57a)의 상기 외측벽은 상기 제2 서브 디지트 라인(57b)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측벽에 해당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서브 디지트 라인(57b)의 하부면 및 외측벽은 제2 도금층 패턴(a second cladding layer pattern; 55b)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은 구리층 또는 알루미늄층과 같은 도전층이고,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 패턴들(55a, 55b)은 니켈철(nickel iron; NiFe)과 같은 강자성층(ferromagnetic lay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 패턴들(55a, 55b)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자속(magnetic flux)을 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mmon source line 111 and the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9 are covered with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disposed i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A bottom surface and an outer sidewall of the first sub digit line 57a are surrounded by a first cladding layer pattern 55a. The outer wall of the first sub digit line 57a corresponds to a side wall located opposite the second sub digit line 57b. Similarly, the bottom surface and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sub digit line 57b are surrounded by a second cladding layer pattern 55b.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are conductive layers such as a copper layer or an aluminum layer, and the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 patterns 55a and 55b are nickel iron (NiFe). It is preferable that the ferromagnetic layer (ferromagnetic layer). The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 patterns 55a and 55b focus magnetic flux generated by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은 연장되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 사이에 홀 형태의 개구부(hole-shaped opening)가 제공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은 연장되어 평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 사이에 라인 형태의 개구부(line-shaped opening)가 제공된다.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may extend to contact each other. In this case, a hole-shaped opening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may extend and b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is case, a line-shaped opening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은 차례로 적층된 제1 하부 층간절연층(53a) 및 제1 상부 층간절연층(5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 패턴들(55a, 55b)은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층(53b) 내에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may include a first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a and a first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b that are sequentially stacked.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 patterns 55a and 55b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b. have.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의 상부면들은 캐핑층(59)으로 덮여질 수 있다. 상기 캐핑층(59)은 연장되어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을 덮는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의 내측벽들(inner sidewalls), 즉 상기 개구부의 측벽은 절연성 스페이서(insulating spacer; 65)로 덮여질 수 있다.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65)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 상의 상기 캐핑층(59)의 측벽을 덮도록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Top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may be covered with a capping layer 59. The capping layer 59 extends to cover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In addition, inner sidewall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that is, sidewalls of the opening, may be covered with an insulating spacer 65. The insulating spacer 65 preferably extends to cover sidewalls of the capping layer 59 on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상기 캐핑층(59) 및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65)를 갖는 반도체기판은 제2 층간절연층(67)으로 덮여진다. 상기 캐핑층(59) 및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65)는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층들(53, 67)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층들(53, 67)이 실리콘 산화층인 경우에, 상기 캐핑층(59) 및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65)는 실리콘 질화층일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영역(107d)은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층들(53, 67) 및 상기 하부 층간절연층(109)을 관통하는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6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69)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 사이의 영역을 지난다. 이 경우에,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69)는 상기 캐핑층(59) 및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65)의 존재에 기인하여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과 자기정렬될 수 있다.The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the capping layer 59 and the insulating spacer 65 is covered with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7. The capping layer 59 and the insulating spacer 65 may be an insulating layer having an etch selectivity with respect to at least the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53 and 67. 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53 and 67 are silicon oxide layers, the capping layer 59 and the insulating spacer 65 may be silicon nitride layers. The drain region 107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69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53 and 67 and the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9.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69 passes through an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In this case,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69 may be self-aligned with the sub digit lines 57a and 57b due to the presence of the capping layer 59 and the insulating spacer 65.

상기 제2 층간절연층(67) 상에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69)를 덮는 자 기저항체(71)가 제공된다. 상기 자기저항체(71)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전극(121), 피닝층(pinning layer; 123), 고정층(pinned layer; 125), 터널링 절연층(tunneling insulation layer; 127), 자유층(free layer; 129) 및 상부전극(131)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하부전극(121)은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6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피닝층(123)은 반강자성층(antiferromagnetic layer)이고, 상기 고정층(125) 및 자유층(129)은 강자성층(ferromagnetic layer)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터널링 절연층(127)은 알루미늄 산화층과 같은 절연층일 수 있다.A magnetoresistive element 71 is provid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7 to cover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69. The magnetoresistance 71 may include a lower electrode 121, a pinning layer 123, a pinned layer 125, a tunneling insulation layer 127, and a free layer,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129 and the upper electrode 131. In this case, the lower electrode 1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69. The pinning layer 123 is an antiferromagnetic layer, and the pinned layer 125 and the free layer 129 are ferromagnetic layers. In addition, the tunneling insulating layer 127 may be an insulating layer such as an aluminum oxide layer.

상기 자기저항체(71) 및 상기 제2 층간절연층(67)은 상부 층간절연층(73)으로 덮여진다. 상기 상부 층간절연층(73) 상에 비트라인(75)이 제공된다. 상기 비트라인(75)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층간절연층(73)을 관통하는 비트라인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상부전극(1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magnetoresistive element 71 and the second interlayer dielectric layer 67 are covered with an upper interlayer dielectric layer 73. The bit line 75 is provided on the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73. The bit line 75 is disposed to cross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and passes through the bit line contact hole through the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7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131.

도 4 내지 도 10은 도 3에 보여진 자기 램 셀을 제조하는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4 to 10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magnetic ram cell shown in FIG. 3.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51) 상에 제1 층간절연층(53)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반도체기판(51)에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도 3에 보여진 소자분리층(101), 억세스 트랜지스터, 하부 층간절연층(109) 및 공통 소오스 라인(111)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51. Prior to forming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the device isolation layer 101, the access transistor, the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9 and the common shown in FIG. The source line 111 may be formed.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을 부분 식각하여 그루브(groove; G)를 형성한다. 상기 그루브(G)를 갖는 제1 층간절연층(53) 상에 콘포말한 도금층(conformal cladding layer; 55) 및 상기 그루브(G)를 채우는 몰딩층(molding layer)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콘포말한 도금층(55)은 강자성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몰딩층은 상기 도금층(55)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금층(55)이 니켈철(nickel iron; NiFe)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몰딩층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절연막(53)의 상부면 상의 상기 도금층(55)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몰딩층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그루브(G) 내에 몰딩층 패턴(56)을 형성한다. 상기 몰딩층의 평탄화는 에치백 공정 또는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is partially etched to form a groove G. A conformal cladding layer 55 and a molding layer filling the groove G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having the groove G. The conformal plating layer 55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layer, and the molding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layer having an etch selectivity with respect to the plating layer 55. For example, when the plating layer 55 is formed of a nickel iron (NiFe) layer, the molding layer may be formed of a silicon oxide film, a silicon nitride film, or a silicon oxynitride film. The molding layer is planarized to form a molding layer pattern 56 in the groove G until the plating layer 5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is exposed. The planarization of the molding layer may be performed using an etch back process or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한편,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은 제1 하부 층간절연층(53a) 및 제1 상부 층간절연층(53b)을 차례로 적층시키어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층(53b)은 상기 제1 하부 층간절연층(53a)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그루브(G)는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층(53b) 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first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a and a first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b. In this case, the first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b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having an etching selectivity with respect to the first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a, and the groove G may be formed in the first layer. It may be formed in the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b.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몰딩층 패턴(56)을 패터닝하여 상기 그루브(G)의 적어도 일부(at least a portion)를 제1 및 제2 그루브들(G1, G2)로 분할시키는 격리벽(separating wall; 56a)을 형성한다. 상기 격리벽(56a)이 라인 형태(line shape)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G1, G2)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격리벽(56a)이 섬 형태(island shape)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G1, G2)은 상기 격리벽들(56a) 사이의 영역들(regions)에서 서로 연결되어 통합된 그루브(merged groove)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molding layer pattern 56 is patterned to isol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groove G into first and second grooves G1 and G2. Forming a separating wall 56a. When the isolation wall 56a is formed to have a line shape,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G1 and G2 may be parallel to each other. Alternatively, when the isolation wall 56a is formed to have an island shape,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G1 and G2 may be divided into regions between the isolation walls 56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merged groove.

상기 격리벽(56a)을 갖는 기판 상에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G1, G2)을 채우는 도전층을 형성한다. 상기 도전층은 구리층 또는 알루미늄층과 같은 금속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상기 도전층이 통상의 사진/식각 공정(photolithography/etching process)을 사용하여 패터닝될 수 없는 금속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들은 상기 도전층이 다마신 공정으로 패터닝되어야만 하는 금속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들은 상기 도전층이 구리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다.A conductive layer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G1 and G2 is formed on the substrate having the isolation wall 56a. Th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f a metal layer such as a copper layer or an aluminum layer. The embodiments may be suitable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 metal layer that cannot be patterned using conventional photolithography / etching processes. In other words, the embodiments may be suitable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 metal layer that must be patterned by a damascene process. For example, the embodiments may be effective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 copper layer.

상기 도전층 및 상기 도금층(55)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의 상부면 및 상기 격리벽(56a)의 상부면을 노출시킨다. 상기 도전층이 전술한 바와 같이 구리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도전층 및 상기 도금층(55)은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을 사용하여 평탄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그루브(G)의 측벽들 및 바닥면(bottom surface)을 덮는 도금층 패턴(55')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G1, G2) 내에 각각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이 형성된다. 상기 격리벽(56a)이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인 형태를 갖는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격리벽(56a)이 상술한 바와 같이 섬 형태를 갖는다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은 상기 격리벽들(56a) 사이의 영역들에서 서로 연결되어 통 합된 디지트 라인(merged digit line)을 구성한다.The conductiv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55 are planarized to expose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and the top surface of the isolation wall 56a. When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 copper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55 may be planarized us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As a result, a plating layer pattern 55 ′ covering sidewalls and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G is formed, and first and second grooves G1 and G2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G1 and G2. Sub digit lines 57a and 57b are formed. When the isolation wall 56a has a line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may be form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lternatively, if the isolation wall 56a has an island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regions between the isolation walls 56a. To form a merged digit line.

계속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을 갖는 기판 상에 캐핑층(59)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핑층(59)은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이 실리콘 산화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캐핑층(59)은 실리콘 질화층 또는 실리콘 산질화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부 층간절연층(53a) 및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층(53b)을 차례로 적층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캐핑층(59)은 적어도 상기 제1 하부 층간절연층(53a)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Subsequently, a capping layer 59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having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The capping layer 59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having an etch selectivity with respect to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For example, whe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is formed of a silicon oxide layer, the capping layer 59 may be formed of a silicon nitride layer or a silicon oxynitride lay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first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a and the first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b as described above, the capping layer ( 59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having an etch selectivity with respect to at least the first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a.

상기 캐핑층(59)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61)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61)은 상기 캐핑층(59)의 일 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opening; 61a)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61a)는 상기 격리벽(56a)의 상부에 위치하고 홀 형태(hole shape)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61a)의 폭(61w)은 상기 격리벽(56a)의 폭(56w)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개구부(61a)의 폭(61w)은 상기 격리벽(56a)의 폭(56w)보다 작을 수 있다.A photoresist pattern 61 is formed on the capping layer 59. The photoresist pattern 61 is formed to have an opening 61a exposing a portion of the capping layer 59. The opening 61a may be positioned above the isolation wall 56a and may have a hole shape. The width 61w of the opening 61a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56w of the isolation wall 56a. Alternatively, the width 61w of the opening 61a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56w of the isolation wall 56a.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61)을 식각 마스크들로 사용하여 상기 캐핑층(59), 상기 격리벽(56a) 및 상기 도금층 패턴(55')을 식각하여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pass through) 개구부(63)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서브 디지트 라인(57a)의 하부면(57sb) 및 외측벽 (57sw)만을 덮는 제1 도금층 패턴(55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서브 디지트 라인(57b)의 하부면(57sb) 및 외측벽(57sw)만을 덮는 제2 도금층 패턴(55b)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의 내측벽들 상에는 어떠한 도금층도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61)의 개구부(61a)의 폭(61w)이 상기 격리벽(56a)의 폭(56w)보다 큰 경우에,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은 상기 개구부(63)를 형성하는 동안 식각저지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61)을 제거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apping layer 59, the isolation wall 56a, and the plating layer pattern 55 ′ are etched using the photoresist pattern 61 as an etching mask to form the sub digit lines ( An opening 63 passes through the area between 57a and 57b. As a result, a first plating layer pattern 55a covering only the bottom surface 57sb and the outer wall 57sw of the first sub digit line 57a is formed, and the bottom surface 57sb of the second sub digit line 57b is formed. ) And a second plating layer pattern 55b covering only the outer wall 57sw is formed. That is, no p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When the width 61w of the opening 61a of the photoresist pattern 61 is larger than the width 56w of the isolation wall 56a, the sub digit lines 57a and 57b are formed in the opening 63. While forming the may act as an etch stop layer. Next, the photoresist pattern 61 is removed.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61)이 제거된 기판 상에 절연성 스페이서층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층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개구부(63)의 측벽을 덮는 절연성 스페이서(65)를 형성한다.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층은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이 실리콘 산화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층은 실리콘 질화층 또는 실리콘 산질화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부 층간절연층(53a) 및 상기 제1 상부 층간절연층(53b)을 차례로 적층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층은 적어도 상기 제1 하부 층간절연층(53a)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65)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의 내측벽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 패턴들(55a, 55b)의 내측벽들을 덮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8, an insulating spacer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from which the photoresist pattern 61 is removed, and the insulating spacer layer is anisotropically etched to form an insulating spacer 65 covering sidewalls of the opening 63. do. The insulating spacer layer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having an etch selectivity with respect to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For example, whe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is formed of a silicon oxide layer, the insulating spacer layer may be formed of a silicon nitride layer or a silicon oxynitride lay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first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a and the first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b 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ng spacer layer May be formed as an insulating layer having an etch selectivity with respect to at least the first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a. As a result, the insulating spacer 65 covers inner wall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and inner wall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 patterns 55a and 55b. Is form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65)를 갖는 기판 상에 제2 층간절연 층(6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절연층(67)은 상기 제1 층간절연층(53)과 동일한 물질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캐핑층(59) 및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65)는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층들(53, 67)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층들(53, 67)을 식각공정을 사용하여 패터닝하여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pass through) 자기저항체 콘택 홀(67a)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기판에 억세스 트랜지스터 및 하부 층간절연층(109)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홀(67a)은 상기 하부 층간절연층(109)을 관통하여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도 3의 107d)을 노출시킨다.Referring to FIG. 9,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7 may be formed on a substrate having the insulating spacer 65.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7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layer as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53. Accordingly, the capping layer 59 and the insulating spacer 65 may have an etch selectivity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53 and 67. Subsequently, the first and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53 and 67 are patterned using an etching process to pass through a reg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The resistor contact hole 67a is formed. As shown in FIG. 3, when the access transistor and the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9 ar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 67a penetrates through the low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9 to access the access transistor. Drain region (107d in FIG. 3) is exposed.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홀(67a)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캐핑층(59) 및 스페이서(65)는 식각저지막(etch stop layer)의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홀(67a)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과 자기정렬될 수 있다.The capping layer 59 and the spacer 65 serve as an etch stop layer while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 67a is formed. Accordingly,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 67a may be self-align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홀(67a) 내에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69)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절연층(67) 상에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69)를 덮는 자기저항체(71)를 형성한다. 상기 자기저항체(71)는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69) 및 상기 제2 층간절연층(67) 상에 하부전극층, 피닝층, 고정층, 터널링 절연층, 자유층 및 상부전극층을 차례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전극층, 자유층, 터널링 절연층, 고정층, 피닝층 및 하부전극층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닝층은 반강자성층으로 형성하 고, 상기 고정층 및 자유층은 강자성층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자기저항체(71)를 갖는 반도체기판 상에 상부 층간절연층(73)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69 may be formed in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 67a using a conventional method. A magnetoresistive element 71 covering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69 is form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7. The magnetoresistive element 71 sequentially forms a lower electrode layer, a pinning layer, a pinning layer, a tunneling insulation layer, a free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layer on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69 and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67. The upper electrode layer, the free layer, the tunneling insulating layer, the pinning layer, the pinning layer and the lower electrode layer may be formed by successively patterning. The pinning layer is formed of an antiferromagnetic layer, and the pinned layer and the free layer are formed of a ferromagnetic layer. Subsequently, an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73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the magnetoresistive body 71.

상기 상부 층간절연층(73)을 패터닝하여 상기 자기저항체(71)를 노출시키는 비트라인 콘택홀을 형성한다. 상기 비트라인 콘택홀을 갖는 반도체기판 상에 금속층과 같은 도전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비트라인 콘택홀을 덮고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비트라인(75)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비트라인(75)은 상기 비트라인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자기저항체(7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73 is patterned to form a bit line contact hole exposing the magnetoresistive element 71. Forming a conductive layer such as a metal layer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the bit line contact hole, patterning the conductive layer to cover the bit line contact hole and cros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ub digit lines 57a and 57b. Form 75. As a result, the bit line 7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oresistive element 71 through the bit line contact ho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 램 셀의 상기 제1 및 제2 도금층 패턴들(55a, 55b)은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의 하부면들 및 외측벽들만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에 쓰기 전류(ID)를 인가하면, 상기 자기저항체(71)의 전체에 걸쳐서 상기 비트라인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균일한 자계(H)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금층 패턴들(55a, 55b)이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의 내측벽들 상에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기램 셀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개선된 쓰기 효율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은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을 채택하는 다마신 기술을 사용하여 패터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57a, 57b)을 구리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 patterns 55a and 55b of the magnetic RAM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ly bottom surfaces and outer wall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57a and 57b. It is formed to cover. Accordingly, when a write current I D is applied to the sub digit lines 57a and 57b, a uniform magnetic field H is generated along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bit line over the entire magnetoresistive element 71. Can be formed. This is because the plating layer patterns 55a and 55b are not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the sub digit lines 57a and 57b. Accordingly, the magnetic RAM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a markedly improved write efficiency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addition, the sub digit lines 57a and 57b can be patterned using a damascene technique that employs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ery useful when the sub digit lines 57a and 57b are formed of a copper layer.

Claims (14)

반도체기판 상에 제1 층간절연층을 형성하고,Forming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상기 제1 층간절연층 내에 그루브를 형성하고,Forming a groove i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상기 그루브를 갖는 기판 상에 콘포말한 도금층(conformal cladding layer)을 형성하고,Forming a conformal cladding layer on the substrate having the groove, 상기 그루브 내의 상기 도금층의 소정영역 상에 격리벽(separating wall)을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및 제2 그루브들로 분할시키고,Forming a separating wall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plating layer in the groove to div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groove into first and second grooves,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을 각각 채우는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층간절연층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면서 상기 그루브의 측벽들 및 하부면 만을 덮는 도금층 패턴을 형성하고,Forming a plating layer pattern covering only the sidewall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while exposing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while forming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respectively; ,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 및 상기 도금층 패턴을 갖는 기판 상에 캐핑층을 형성하고,Forming a capping layer on the substrate having the sub digit lines and the plating layer pattern; 상기 캐핑층, 상기 격리벽 및 상기 도금층 패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 사이의 영역을 지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An opening passing through an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digit lines through the capping layer, the isolation wall, and the plating layer pattern, 상기 개구부의 측벽을 덮는 스페이서를 형성하고,Forming a spacer covering a sidewall of the opening,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자기저항체 콘택 홀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Forming a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 exposing the semiconductor substrate by etching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using the spacer as an etching mas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제1 층간절연층을 부분 식각함으로써(partially etching)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And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by partially etching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금층은 강자성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The plating layer is a magnetic ram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ferromagnetic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벽을 형성하는 것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forming the isolation wall 상기 도금층을 갖는 기판 상에 몰딩층을 형성하고,Forming a molding layer on the substrate having the plating layer, 상기 몰딩층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그루브 내에 몰딩층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층간절연층의 상부면 상의 상기 도금층을 노출시키고,Planarizing the molding layer to form a molding layer pattern in the groove while simultaneously exposing the plating lay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상기 몰딩층 패턴을 패터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And patterning the molding layer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격리벽은 라인 형태 또는 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The isolation wall is a magnetic ram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line form or an island form.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격리벽이 상기 라인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은 서로 평행하도록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And when the isolation wall is formed to have the line shape,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are define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격리벽이 상기 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된 그루브(a single merged groove)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When the isolation wall is formed to have the island shape,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merged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디지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것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sub digit lines 상기 격리벽을 갖는 기판 상에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을 채우는 도전층을 형성하고,Forming a conductive layer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on the substrate having the isolation wall, 상기 도전층 및 상기 도금층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제1 층간절연층의 상부면 및 상기 격리벽의 상부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And planarizing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to expose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the top surface of the isolation wall.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도전층은 구리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The conductive layer is a magnetic RAM cell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copper laye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도전층 및 상기 도금층은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을 사용하여 평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And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plating layer are planarized using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핑층 및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층간절연층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And the capping layer and the spacer are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having an etch selectivity with respect to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홀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스페이서를 갖는 기판 상에 제2 층간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홀은 상기 캐핑층 및 상기 스페이서를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층들을 식각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And forming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on the substrate having the spacers before forming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s, wherein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s are formed by using the capping layer and the spacers as etch masks. And etching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홀을 채우는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고,Forming a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filling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hole,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자기저항체 콘택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자기저항체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And forming a magnetoresistan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oresistive contact plug on the insulating layer.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자기저항체를 갖는 기판 상에 상부 층간절연층을 형성하고,Forming an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on the substrate having the magnetoresistance; 상기 상부 층간절연층 상에 상기 자기저항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트라인은 상기 서브 디지트 라인들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램 셀 제조방법.And forming a bit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gnetoresistance on the upper interlayer insulating layer, wherein the bit line is formed to 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sub digit lines. .
KR1020040064030A 2004-03-19 2004-08-13 Methods of fabricating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 having split sub-digit lines surrounded by cladding layers KR1005704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030A KR100570475B1 (en) 2004-08-13 2004-08-13 Methods of fabricating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 having split sub-digit lines surrounded by cladding layers
US11/077,669 US20050205952A1 (en) 2004-03-19 2005-03-11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s having split sub-digit lines having cladding layers thereon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12/048,082 US7569401B2 (en) 2004-03-19 2008-03-13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s having split subdigit lines having cladding layers thereon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030A KR100570475B1 (en) 2004-08-13 2004-08-13 Methods of fabricating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 having split sub-digit lines surrounded by cladding lay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180A KR20060015180A (en) 2006-02-16
KR100570475B1 true KR100570475B1 (en) 2006-04-12

Family

ID=3712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030A KR100570475B1 (en) 2004-03-19 2004-08-13 Methods of fabricating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 having split sub-digit lines surrounded by cladding lay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47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0084B1 (en) 2001-08-27 2002-08-06 Motorola, Inc.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digit lines and bit lines with a ferromagnetic cladding la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0084B1 (en) 2001-08-27 2002-08-06 Motorola, Inc.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digit lines and bit lines with a ferromagnetic cladding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180A (en)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9401B2 (e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s having split subdigit lines having cladding layers thereon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10710B1 (e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KR100746021B1 (en) MRAM arrays with reduced bit line resistance and method to make the same
JP5305584B2 (en) MTJMRAM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TJMRAM array
US7247506B2 (en) Method for producing magnetic memory device
US20060220084A1 (en) Magnetoresistive effect ele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70206411A1 (e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Including Contact Plugs Between Magnetic Tunnel Junction Structures and Substrates and Related Methods
US20110076784A1 (en) Fabrication of Magnetic Element Arrays
KR101159240B1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641667B1 (en) Image displaying method and image displaying device
US676486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magneto resistive elemen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5020507B2 (en) Magnetic memory device, magnetic memory device manufacturing, and magnetic memory device operating method
JP3908746B2 (e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US7002195B2 (e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cells having split sub-digit lines
KR100660539B1 (en) Magnetic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0727486B1 (en) Magnetic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0541555B1 (e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s having split sub-digit lines with cladding layer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570475B1 (en) Methods of fabricating a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 having split sub-digit lines surrounded by cladding layers
JP2005260083A (en)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TWI807394B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844285B2 (en) Magnetic tunnel junction memory cell with a buffer-layer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20040047262A (en) Magnetic memory using vertical transistor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