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089B1 -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089B1
KR100570089B1 KR1020060005205A KR20060005205A KR100570089B1 KR 100570089 B1 KR100570089 B1 KR 100570089B1 KR 1020060005205 A KR1020060005205 A KR 1020060005205A KR 20060005205 A KR20060005205 A KR 20060005205A KR 100570089 B1 KR100570089 B1 KR 10057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topographic
data
digital ma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여일
Original Assignee
새한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항업(주) filed Critical 새한항업(주)
Priority to KR102006000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치지도로부터 지형정보 및 심볼 확인 설정 범위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부(10);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를 지형도에 적용하는 데이터 적용모듈부(20); 상기 수신한 수치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모듈부(30); 상기 지형도에 도시된 다수의 심볼이 서로 겹쳐지는 현상을 정리하는 정리모듈부(40); 상기 데이터 생성모듈부를 통해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생성하는 지형도 생성모듈부(50);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서 수신한 수치지도 데이터 및 확인 설정 범위 신호를 저장하며, 소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메모리부(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치지도의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변환과정을 거치지 않고 출력수단을 통해서 종이형태의 지형도를 출력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지형도를 자동으로 제작하여 경제성 및 정확성을 높임으로써, 품질 향상에 효과가 있다.
수치지도, 지형도, 지형정보, 심볼, 레이어, 객체

Description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topography using the digital map and method therefor}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
도 2a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er 2.0 형식을 이용하여 도시된 수치지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2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Ver 2.0을 이용하여 도시된 지형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2c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er 1.0 형식을 이용하여 도시된 수치지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2d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형도의 보완 항목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e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Ver 1.0을 이용하여 보완된 지형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3a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경계선을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3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막음선을 이용하여 도로경계선을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4a 는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지류계 및 경지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4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성된 지류계 및 경지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5a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육지와 바다의 경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5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다 영역을 자동으로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정구역안내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7a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인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7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인도 값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볼이 정리된 지형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8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모든 지형지물이 표현된 지형도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8c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볼 중복확인을 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a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9b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방법에 관한 상세 흐름도.
본 발명은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산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수치지도로부터 종이형태의 1/5,000 지형도를 제작할 때, 수치지도의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변환과정을 거치지 않고 출력수단을 통해서 종이형태의 지형도를 출력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형도를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형도를 제작하기 위해서 국토지리정보원(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은 항공기를 통해 촬영된 사진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지형도의 원판을 제작한 후, 그 원판을 이용하여 종이형태의 지형도를 인쇄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원판을 통해서 지형도를 제작하는 경우, 지형의 기복, 변위 및 높이의 변화가 발생될 때마다 새로운 원판을 제작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형도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전산화가 도입되어 항공사진의 도화에서 얻어지는 지형정보를 전산파일 형태의 수치지도로 저장함으로써, 지형정보의 관리 및 공급 측면에서 정확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런데, 상술한 수치지도로 저장된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종이형태의 지형도를 제작하는 경우에 먼저, 수치지도에 대한 수작업에 따른 편집 작업을 수행한 후,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종이형태로 인쇄 가능한 작업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지형도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복잡한 변환 과정을 수작업 통해 지형도를 제작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오류가 발생하고, 제작 시간이 오랜 기간 소요되며, 이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산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수치지도로부터 종이형태의 1/5,000 지형도를 제작할 때, 수치지도의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변환과정을 거치지 않고 출력수단을 통해서 종이형태의 지형도를 출력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형도를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할 때, 제작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지형도 제작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형도를 자동으로 제작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오류를 감소시켜 제작되는 지형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에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치지도로부터 지형정보 및 심볼 확인 설정 범위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부(10);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를 지형도에 적용하는 데이터 적용모듈부(20); 상기 수신한 수치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모듈부(30); 상기 지형도에 도시된 다수의 심볼이 서로 겹쳐지는 현상을 정리하는 정리모듈부(40); 상기 데이터 생성모듈부를 통해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생성하는 지형도 생성모듈부(50);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서 수신한 수치지도 데이터 및 확인 설정 범위 신호를 저장하며, 소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메모리부(60);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입력부(10)는, 수치지도 Ver 2.0 및 수치지도 Ver 1.0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적용모듈부(20)는, 상기 수치지도 Ver 2.0의 레이어 정보 및 해당 객체의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지형도를 도식하는 도식모듈(21); 및 상기 수치지도 Ver 2.0 형식으로 표현된 지형도를 상기 수치지도 Ver 1.0의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형도를 보완하는 보완모듈(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적용모듈부(20)는, 상기 수치지도 Ver 2.0의 레이어 정보 및 해당 객체의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지형도를 도식하는 도식모듈 (21); 및 상기 수치지도 Ver 2.0 형식으로 표현된 지형도를 상기 수치지도 Ver 1.0의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형도를 보완하는 보완모듈(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생성모듈부(30)는,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도로면이 서로 교차되는 도로경계선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한 후, 그 도로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도로를 표현하는 도로막음선 생성모듈(31);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수계면이 서로 교차되는 점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하여 수계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수계를 표현하는 수계막음선 생성모듈(32);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하는 지류계심볼 생성모듈(33);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하는 경지계심볼 생성모듈(34); 상기 지형도의 전체면을 바다색으로 표현한 후, 육지부에 존재하는 행정구역면을 경계가 없는 백색으로 채워 수부와 육지의 경계를 표현하는 수부 및 지형경계 심볼 생성모듈(35); 상기 수치지도상에 존재하는 행정구역경계면의 속성으로부터 행정구역 명칭을 추출하고 그 결정 결과를 별도로 저장된 행정구역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행정구역의 위계를 결정하고, 이를 행정구역안내도에 적용함으로써 행정구역안내도를 생성하는 행정구역안내도 생성모듈(36); 및 각 도엽의 상대위치관계를 표시하는 색인도 생성모듈(3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1/5,000의 축적을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시스템을 이용한 지형도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시스템이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서 수치지도 데이터 및 심볼 확인 범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수치지도 데이터를 지형도에 적용하는 단계; (c) 상기 시스템이 상기 수신한 수치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형도를 제작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시스템이 데이터 생성모듈부를 통해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형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지형도를 종이형태로 출력하기 위해 저장한 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 (c) 단계는, (c-1)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도로면이 서로 교차되는 도로경계선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한 후, 그 도로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도로를 표현하는 단계; (c-2)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수계면이 서로 교차되는 점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하여 수계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수계를 표현하는 단계; (c-3)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하는 단계; (c-4)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하는 단계; (c-5) 상기 지형도의 전체면을 바다색으로 표현한 후, 육지부에 존재하는 행정구역면을 경계가 없는 백색으로 채워 수부와 육지의 경계를 표현하는 단계; (c-6) 상기 수치지도상에 존재하는 행정구역경계면의 속성으로부터 행정구역 명칭을 추출하고 그 결정 결과를 별도로 저장된 행정구역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행정구역의 위계를 결정하고, 이를 행정구역안내도에 적용함으로써 행정구역안내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c-7) 각 도엽의 상대위치관계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 (c-7) 단계 이후에, 정리모듈부가 상기 지형도에 도시된 다수의 심볼이 서로 겹쳐지는 현상을 정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8c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치지도(Digital Map)는 컴퓨터상에서 도로·철도·건물·하천·산·논·밭 등 다양한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을 도식(기호)과 3차원의 위치좌표로 표현한 디지털(Digital)지리정보로 제1차 국가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계획에 따라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제작된 Ver 1.0을 기본으로 하여 2001년부터 수정·갱신하면서 Ver 2.0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여기서, 수치지도 Ver 2.0은 기존의 수치지도가 가지고 있는 논리적인 모순 및 기하학적인 문제점이 제거된 지형 및 속성정보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지리정보데이터(무결점수치지도, Clean Data)이고, 교통, 수계 및 해양, 건물 및 시설물, 문화 및 시설, 식생, 지형, 경계, 주기 등 총 8개 대분류와 104개의 소분류로 구성되었으며, 사용자중심으로 제작되어 있어 최소한의 수정으로 필요한 주제도 및 지리정보 시스템에 활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1/5,000의 축적을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1/25,000, 1/50,000, 1/100,000, 1/250,000 등의 다양한 축적에 관한 지형도를 자동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수치지도 Ver 1.0 및 Ver 2.0의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변환과정을 거치지 않고 출력수단을 통해서 종이형태의 지형도를 출력 가능하게 함으로써 지형도를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형도(地形圖, topographical map) 제작 시스템은, 데이터 입력부(10), 데이터 적용모듈부(20), 데이터 생성모듈부(30), 데이터 정리모듈부(40), 지형도 생성모듈부(50), 데이터 메모리부(60), 도시되지 않은 프린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출력부(70) 및 도시되지 않은 모니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80)를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부(10)는 수치지도의 지형정보 및 사용자로부터 심볼 중복 확인 범위의 설정 신호를 수신하는데, 수치지도 Ver 2.0의 데이터 및 수치지도 Ver 1.0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수치지도 Ver 2.0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객체는 해당되는 레이어의 정보와 각 객체의 고유한 속성값을 갖고, 수치지도 Ver 1.0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객체는 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심볼 중복 확인 범위는 정확한 지형도 제작을 겹쳐지는 심볼들을 정리하기 위해서 일정한 범위를 설정한다.
또한, 데이터 적용모듈부(20)는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도에 적용하도록 하는 바, 도식모듈(21) 및 보완모듈(22)을 포함한다.
도식모듈(21)은 수치지도 Ver 2.0의 레이어(Layer) 정보와 해당 객체의 속성을 이용하여 1/5,000 지형도에서 규정된 도식(圖式)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도 2a 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수치지도 Ver 2.0의 도로중심선(A002) 레이어에 해당하는 객체들 중 '도로구분' 속성이 면리간도로인 경우에 5.0mm 와 0.5mm 의 파선으로 표현하고, '도로구분' 속성이 소로인 경우에 3.5mm 와 0.5mm 의 파선으로 표현하며, 그 이외의 속성인 경우에 백색선으로 표현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치지도 Ver 2.0에서 정의된 레이어 구분과 해당 객체의 속성값을 이용하여 1/5,000 지형도의 도식을 자동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화면에서의 객체는 해당 레이어의 선, 면 및 농담 등 일률적으로 표현되지만,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도 형식으로 표현되는 경우, 레이어 정보뿐만 아니라 각각의 객체가 포함하는 속성값에 따라 지형도의 도식에 표현된다.
그리고 보완모듈(22)은 수치지도 Ver 2.0 형식으로 표현된 지형도를 수치지도 Ver 1.0의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보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치지도 Ver 1.0은 각 객체가 속성을 갖고 있지 않으며, 레이어의 구성 또한 수치지도 Ver 2.0과는 전혀 다르므로 수치지도 Ver 1.0의 각 레이어를 이용하여 도시된 지형에 서로 대응하는 지형지물을 보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수치지도 Ver 1.0의 데이터를 입력할 때 대상 레이어를 어떠한 지형지물로 표현할지를 선택하여 도 2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레이어를 설정한 후, 기설정된 데이터를 보완하면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형도로 표현된다.
참고적으로, 기존의 1/5,000 지형도 제작은 수치지도 Ver 1.0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현재의 지형도 표현을 위해 수치지도 Ver 2.0의 객체들에 대해 정위치 편집 등의 작업이 추가로 필요한 경우, 수치지도 Ver 2.0의 수작업 편집기능과 더불어 기존 수치지도 Ver 1.0을 직접 지형도 제작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데이터 생성모듈부(30)는 수치지도 Ver 2.0을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하기 위한 지형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로막음선 생성모듈(31), 수계막음선 생성모듈(32), 지류계심볼 생성모듈(33), 경지계심볼 생성모듈(34), 수부 및 지형경계 심볼 생성모듈(35), 행정구역안내도 생성모듈(36) 및 색인도 생성모듈(37)을 포함한다.
도로막음선 생성모듈(31)은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도로면이 서로 교차되는 도로경계선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한 후, 그 도로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도로를 표현한다.
이때, 막음선은 분리된 면의 경계에 백색(면의 채움색)의 선을 추가로 도시함으로써 실제 분리되어 있지만 시각적인 측면에서 연속적인 면으로 보이게 하는 방식을 뜻한다.
예를 들면 도 3a 에 도시된 도면에 있어서, 도로경계(A001) 레이어는 수치지도 Ver 2.0에서 구간별로 분리된 형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분리된 도로경계 레이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도로면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입력된 도로경계 레이어의 모든 객체를 상호 비교하여 동일한 시점, 종점 좌표를 갖는 선(각 면의 경계선)을 찾은 후, 각각의 선마다 동일한 시종점을 갖는 막음선을 생성하여 새로운 별도의 막음선 레이어를 정의하고 그 레이어의 객체로 저장한다.
여기서, 종이형태의 지형도로 출력하는 경우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도로경계 면의 경계선을 백색으로 도시하여 시각적으로 도로면이 연속적으로 보이 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수계막음선 생성모듈(32)은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수계(水界)면이 서로 교차되는 점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하여 수계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수계를 표현한다.
또한 지류계심볼 생성모듈(33)은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함으로써 지형도의 지류계를 표현한다.
이때, 지형도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수치지도 Ver 2.0은 지류계의 객체를 단순한 면으로만 저장하며, 별도의 속성항목으로서 지류계의 종류를 저장하고 별도의 편집과정을 거치지 않고 속성항목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기호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지류계의 형태 또는 크기 등에 따라 표현되는 기호를 이동하거나 삭제하는 방식의 편집기능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으로 기호를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지류계 면으로부터 기호객체를 자동 생성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경지계심볼 생성모듈(34)은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함으로써 지형도의 경지계를 표현한다.
예를 들면,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류계(D001) 및 경지계(D002)로 저장된 객체들을 검색하여 각각의 객체마다 무게중심점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된 무게중심점의 좌표에 해당 객체의 속성에 맞는 심볼을 새로운 객체로 생성한 후,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레이어(D901, D902, D903, D904, D905)로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새롭게 생성 및 저장된 객체들은 각각 개별적인 객체이므로 이동과 삭제 등이 원활하여 필요에 따라 편집하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부 및 지형경계 심볼 생성모듈(35)은 지형도의 전체면을 바다색(면의 채움색)으로 표현한 후, 육지부에 존재하는 행정구역면을 경계가 없는 백색을 채움으로써 바다에만 회색을 도식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도 5a 에 도시된 육지와 바다의 경계를 단순한 선의 형태로 표현된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생성할 경우, 바다를 별도의 색을 도식함으로써 단순한 선의 형태로 관리되는 경계선만으로 육지와 바다를 표현하는데 먼저, 지형도 전체 면을 바다색으로 채운 후, 육지부의 행정구역면을 이용하여 육지부에 백색을 채움으로써,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다에만 회색을 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되며, 그 위에 다시 지형지물을 도식에 맞추어 표시함으로써 바다부를 포함한 지형도를 그릴 수 있게 된다.
또한 행정구역안내도 생성모듈(36)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지도상에 존재하는 행정구역경계면의 속성으로부터 행정구역 명칭을 추출하고 그 결정 결과를 별도로 저장된 행정구역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행정구역의 위계(位階)를 결정하고, 이를 행정구역안내도에 적용함으로써 행정구역안내도를 생성한다.
이때, 행정구역안내도는 지형도의 하단부에 행정구역을 표시하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색인도 생성모듈(37)은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도엽(圖葉)의 상대위치관계를 표시한다.
즉, 색인도는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엽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도엽정보파일을 이용하여 도엽정보를 로드함으로써, 지형도를 제작하는 해당도엽의 주변도엽 위치를 자동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색인도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또한, 정리모듈부(40)는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심볼이 서로 겹쳐진 현상을 정리함으로써, 지형도의 시인성을 높인다.
수치지도상에 실제의 지형지물에 맞추어 묘지 및 기타 심볼 등의 객체들을 그대로 지형도상에 표현하는 경우에 가독성(可讀性)이나 시각적인 효과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묘지 심볼 같은 경우에 묘지가 많은 지역의 경우 다수의 심볼이 겹쳐서 표현됨으로 정확한 지형도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도 8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심볼 확인 범위의 설정 신호에 의한 지형도상의 범위(가로: 3.5, 세로: 3.5) 내에서 서로 겹쳐지는 심볼들을 정리한다.
또한, 지형도 생성모듈부(50)는 데이터 생성모듈(30)을 통해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1/5,000 지형도를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부(60)는 데이터 입력부(10)로 수신한 수치지도 Ver 2.0의 데이터, 수치지도 Ver 1.0의 데이터 및 심볼 확인 범위의 설정 신호를 저장하며,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80)는 생성된 지형도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을 통해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9a 및 도 9b 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통한 지형도 제작 방법에 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부(10)는 수치지도 Ver 1.0의 데이터, 수치지도 Ver 2.0의 데이터 및 사용자로부터 심볼 중복 확인 범위의 설정 신호를 수신한다(S10).
이때, 수치지도 Ver 2.0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객체는 해당되는 레이어의 정보와 각 객체의 고유한 속성값을 갖고, 수치지도 Ver 1.0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객체는 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심볼 중복 확인 범위는 정확한 지형도 제작을 위해 지형도상에서 서로 겹쳐지는 심볼들을 정리하기 위해 일정한 범위를 설정한다.
데이터 적용모듈부(20)는 데이터 입력부(10)를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를 지형도에 적용한다(S20). 더욱 구체적으로, 데이터 적용모듈부(20)는 수치지도 Ver 2.0의 레이어 정보와 해당 객체의 속성을 이용하여 1/5,000 지형도에서 규정된 도식을 표현한 후, 수치지도 Ver 1.0의 각 레이어를 이용하여 도시된 지형에 서로 대응하는 지형지물을 보완한다. 객체들 중 '도로구분' 속성이 면리간도로인 경우에 5.0mm 와 0.5mm 의 파선으로 표현하고, '도로구분' 속성이 소로인 경우에 3.5mm 와 0.5mm 의 파선으로 표현하며, 그 이외의 속성인 경우에 백색선으로 표현한다.
다음, 데이터 생성모듈부(30)는 수치지도 Ver 2.0을 이용하여 지형도 제작을 하기 위한 지형정보를 생성하는데(S30), 본 단계에 대하여 도 9b 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생성모듈부(30)의 도로막음선 생성모듈(31)은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도로면이 서로 교차되는 도로경계선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한 후, 그 도로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도로를 표현한다(S31).
다시 말하면, 분리된 도로경계 레이어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도로면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입력된 도로경계 레이어의 모든 객체를 상호 비교하여 동일한 시점, 종점 좌표를 갖는 선(각 면의 경계선)을 찾은 후, 각각의 선마다 동일한 시종점을 갖는 막음선을 생성하여 새로운 별도의 막음선 레이어를 정의하고 그 레이어의 객체로 저장한다. 이때, 막음선은 분리된 면의 경계에 백색(면의 채움색)의 선을 추가로 도시함으로써 실제 분리되어 있지만 시각적인 측면에서 연속적인 면으로 보이게 하는 방식을 뜻한다.
다음, 데이터 생성모듈부(30)의 수계막음선 생성모듈(32)은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수계면이 서로 교차되는 점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하여 수계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수계를 표현한다(S32).
데이터 생성모듈부(30)의 지류계심볼 생성모듈(33)은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 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함으로써 지형도의 지류계를 표현한다(S33).
데이터 생성모듈부(30)의 경지계심볼 생성모듈(34)은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함으로써 지형도의 경지계를 표현한다(S34).
여기서, 지류계 및 경지계로 저장된 객체들을 검색하여 각각의 객체마다 무게중심점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된 무게중심점의 좌표에 해당 객체의 속성에 맞는 심볼을 새로운 객체로 생성한 후, 별도의 레이어로 저장한다.
데이터 생성모듈부(30)의 수부 및 지형경계 심볼 생성모듈(35)은 지형도의 전체면을 바다색(면의 채움색)으로 표현한 후, 육지부에 존재하는 행정구역면을 경계가 없는 백색으로 채운다(S35). 부연하면, 육지와 바다의 경계를 단순한 선의 형태로 표현된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생성하는 경우에 바다를 별도의 색으로 도식함으로써 단순한 선의 형태로 관리되는 경계선만으로 육지와 바다를 표현하는데, 먼저 지형도 전체 면을 바다색으로 채운 후, 육지부의 행정구역면을 이용하여 육지부에 백색을 채운다. 결과적으로 바다에만 회색을 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되며, 그 위에 다시 지형지물을 도식에 맞추어 표시함으로써 바다부를 포함한 지형도를 그릴 수 있게 된다.
데이터 생성모듈부(30)의 행정구역안내도 생성모듈(36)은 수치지도상에 존재하는 행정구역경계면의 속성으로부터 행정구역 명칭을 추출하고 그 결정 결과를 별도로 저장된 행정구역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행정구역의 위계를 결정하고, 이를 행정구역안내도에 적용함으로써 행정구역안내도를 생성한다(S36).
그리고, 데이터 생성모듈부(30)의 색인도 생성모듈(37)은 각 도엽의 상대위치관계를 표시한다(S37). 즉, 도엽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도엽정보파일을 이용하여 도엽정보를 로드함으로써, 지형도를 제작하는 해당 도엽의 주변도엽 위치를 자동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색인도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다음, 정리모듈부(40)는 지형도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심볼이 서로 겹쳐진 현상을 정리한다(S40).
제 S30 단계를 통해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한다(S50).
생성된 지형도를 출력장치를 통해 종이형태로 출력하기 위해 저장한 후,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S6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수치지도의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변환과정을 거치지 않고 출력수단을 통해서 종이형태의 지형도를 출력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지형도를 자동으로 제작하여 경제성 및 정확성을 높임으로써, 품질 향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형도 제작 과정을 단순화 및 자동화함으로써, 제작 시간 감소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치지도로부터 지형정보 및 심볼 확인 설정 범위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부(10);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를 지형도에 적용하는 데이터 적용모듈부(20);
    상기 수신한 수치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모듈부(30);
    상기 지형도에 도시된 다수의 심볼이 서로 겹쳐지는 현상을 정리하는 정리모듈부(40);
    상기 데이터 생성모듈부를 통해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생성하는 지형도 생성모듈부(50);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서 수신한 수치지도 데이터 및 확인 설정 범위 신호를 저장하며, 소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메모리부(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10)는,
    수치지도 Ver 2.0 및 수치지도 Ver 1.0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적용모듈부(20)는,
    상기 수치지도 Ver 2.0의 레이어 정보 및 해당 객체의 속성을 이용하여 상기 지형도를 도식하는 도식모듈(21); 및
    상기 수치지도 Ver 2.0 형식으로 표현된 지형도를 상기 수치지도 Ver 1.0의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형도를 보완하는 보완모듈(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모듈부(30)는,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도로면이 서로 교차되는 도로경계선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한 후, 그 도로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도로를 표현하는 도로막음선 생성모듈(31);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수계면이 서로 교차되는 점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하여 수계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수계를 표현하는 수계막음선 생성모듈(32);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하는 지류계심볼 생성모듈(33);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하는 경지계심볼 생성모듈(34);
    상기 지형도의 전체면을 바다색으로 표현한 후, 육지부에 존재하는 행정구역면을 경계가 없는 백색으로 채워 수부와 육지의 경계를 표현하는 수부 및 지형경계 심볼 생성모듈(35);
    상기 수치지도상에 존재하는 행정구역경계면의 속성으로부터 행정구역 명칭을 추출하고 그 결정 결과를 별도로 저장된 행정구역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행정구역의 위계를 결정하고, 이를 행정구역안내도에 적용함으로써 행정구역안내도를 생성하는 행정구역안내도 생성모듈(36); 및
    각 도엽의 상대위치관계를 표시하는 색인도 생성모듈(3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1/5,000의 축적을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6.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시스템을 이용한 지형도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시스템이 데이터 입력부를 통해서 수치지도 데이터 및 심볼 확인 범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수치지도 데이터를 지형도에 적용하는 단계;
    (c) 상기 시스템이 상기 수신한 수치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지형도를 제작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시스템이 데이터 생성모듈부를 통해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형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시스템이 생성된 상기 지형도를 종이형태로 출력하기 위해 저장한 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 단계는,
    (c-1)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도로면이 서로 교차되는 도로경계선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한 후, 그 도로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도로를 표현하는 단계;
    (c-2) 구간별로 별도의 면으로 구축되어 있는 각각의 수계면이 서로 교차되는 점에 대하여 자동으로 막음선을 생성하여 수계면 위에 다시 막음선을 도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수계를 표현하는 단계;
    (c-3)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하는 단계;
    (c-4) 특수한 형태의 경계선을 갖는 면으로 표현하며, 그 면에 대한 무게중심을 계산하여 그 중심위치에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을 표현하는 단계;
    (c-5) 상기 지형도의 전체면을 바다색으로 표현한 후, 육지부에 존재하는 행정구역면을 경계가 없는 백색으로 채워 수부와 육지의 경계를 표현하는 단계;
    (c-6) 상기 수치지도상에 존재하는 행정구역경계면의 속성으로부터 행정구역 명칭을 추출하고 그 결정 결과를 별도로 저장된 행정구역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행정구역의 위계를 결정하고, 이를 행정구역안내도에 적용함으로써 행정구역안내도를 생성하는 단계; 및
    (c-7) 각 도엽의 상대위치관계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c-7) 단계 이후에,
    정리모듈부가 상기 지형도에 도시된 다수의 심볼이 서로 겹쳐지는 현상을 정 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방법.
KR1020060005205A 2006-01-18 2006-01-18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10057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05A KR100570089B1 (ko) 2006-01-18 2006-01-18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05A KR100570089B1 (ko) 2006-01-18 2006-01-18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089B1 true KR100570089B1 (ko) 2006-04-12

Family

ID=3718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205A KR100570089B1 (ko) 2006-01-18 2006-01-18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0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674B1 (ko) * 2007-05-07 2008-01-09 삼아항업(주)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0043B1 (ko) 2008-01-18 2008-08-05 대한민국 수치임상도 제작 운영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161A (ja) 2001-08-21 2003-03-05 Foundation Of River & Basin Integrated Communications Japan 流域情報生成システム
KR100495869B1 (ko) 2004-11-30 2005-06-17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수치지도 축소편집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161A (ja) 2001-08-21 2003-03-05 Foundation Of River & Basin Integrated Communications Japan 流域情報生成システム
KR100495869B1 (ko) 2004-11-30 2005-06-17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수치지도 축소편집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674B1 (ko) * 2007-05-07 2008-01-09 삼아항업(주)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50043B1 (ko) 2008-01-18 2008-08-05 대한민국 수치임상도 제작 운영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22273B (zh) 一种图数可拆合制图方法
CN105989198B (zh) 基于bim的公路参数化自动建模方法和系统
US5278946A (en) Method of presenting multimedia data in a desired form by comparing and replacing a user template model with analogous portions of a system
CN106530170B (zh) 一种区域生态保护红线的边界优化方法
CN101916297B (zh) 一种批量符号化的快速成图方法
CN105760536A (zh) 一种基于地理数据库的地质图件建库装置及方法
CN104281746A (zh) 一种基于点云的交通安全道路特征图成图方法
GB2526807A (en) Updating single regions of a navigational database
CN104833347A (zh) 基于gps定位的灌区渠系勘测方法及勘测系统
CN101763356B (zh) 一种虚拟地图中地形数据的获取和组织方法
CN110688756B (zh) 一种采集和制图一体化的竣工图制作方法
KR100570089B1 (ko) 수치지도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
JP2002081008A (ja) デジタル地図データを用いた土工設計支援システム
JP4232055B1 (ja) 地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CN105786994A (zh) 一种基于地理信息的油气田勘探开发信息集成系统及方法
CN109145044A (zh) 一种基于多体系基础地理信息数据基准模型
Guilbert et al. Generalisation of submarine features on nautical charts
Bowman Engineering data meet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Stoter et al. Approaches of national 3D mapping: research results and standardisation in practice
Basaraner Model generalization in gis
JP3702444B2 (ja) 地図記号発生型・トポロジ暗示型データによる地図情報システム
US20100088014A1 (en) Computer process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 archaeological map which can be consulted by means of navigation
JP2003173138A (ja) 道路ネットワーク生成装置および方法
CN118069763A (zh) 一种煤矿地测数据与图纸联动系统及方法
CN111833415A (zh) 一种电子地图中组合注记的配置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