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976B1 -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976B1
KR100568976B1 KR1020040105566A KR20040105566A KR100568976B1 KR 100568976 B1 KR100568976 B1 KR 100568976B1 KR 1020040105566 A KR1020040105566 A KR 1020040105566A KR 20040105566 A KR20040105566 A KR 20040105566A KR 100568976 B1 KR100568976 B1 KR 100568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ssage
mine
beacon fram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용
민승욱
김윤주
송경희
유광현
이석규
노경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32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for defining a routing cluster members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은 다수의 단말기로 구성된 임시 네트워크에서 숨겨진 노드(hidden node)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각 단말간 연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MINE (n), NOT_MINE (n), 및 NOT_YOURS (q) 메시지를 토대로 여러 개의 의사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도록 하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이러한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근거로 하여 의사 액세스 포인트로 선정된 단말에게만 비콘 프레임의 전송에 참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IEEE 802.11 ad hoc 네트워크를 위해 연결 계수 정보를 포함하는 3가지 메시지가 단말 간의 연결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만 생성되어 전송됨으로써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동작에 필요한 부가적인 트래픽이 최소화 되고, 이러한 메시지 교환을 통해 의사 액세스 포인트로 선정된 단말에게만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여 비콘 프레임의 전송 부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IEEE 802.11, ad hoc 네트워크,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비콘 프레임 전송

Description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METHOD FOR BEACON FRAME TRANSFERRING OF AD HOC NETWORK}
도 1은 IEEE 802.11 임시 네트워크(ad hoc network)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이용되는 MINE (n) 메시지를 정의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이용되는 NOT_MINE (n) 메시지를 정의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이용되는 NOT_YOURS (q) 메시지를 정의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IEEE 802.11 ad hoc 무선랜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과 이 클러스 터링 알고리즘을 토대로 효율적인 비콘 프레임 전송 방식을 제안한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IEEE 802.11 임시 네트워크(ad hoc network)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802.11 ad hoc 네트워크는 오직 단말(STA, STATION)만으로 구성되고,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STA)은 나머지 단말(STA)을 한 번의 홉(hop)만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설계된다.
ad hoc 네트워크 내에서 각 단말(STA)이 한 번의 홉만으로 다른 단말(STA)과 연결된다는 가정은 ah doc 네트워크가 점점 복잡해지는 상황에서 타당하지 않으며, 어떤 단말(STA)의 전송 커버리지(coverage)에도 속하지 않는 단말(STA)이 존재하는 숨겨진 노드(hidden node)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숨겨진 노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이하,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종래 기술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방법은 ad hoc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단말(STA)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작은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방송하고, 각 단말은 이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고려하여 다른 단말과의 무선 링크 상태를 파악하여 라우팅 링크 설정에 반영한다.
이러한 라우팅 방법은 어떤 ad hoc 네트워크도 균일(flat)하게 취급하여 클러스터링(clustering) 알고리즘도 필요 없이 멀티홉(multihop) 라우팅에 기반을 두 는 것이다.
다음, 종래 기술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방법은 멀티홉 라우팅에 기반을 둔 것으로서 하나의 ad hoc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클러스터(cluster)로 나누고, 각 클러스터에 중심이 되는 단말(STA)을 선정하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이러한 라우팅 방법은 ad hoc 네트워크를 2단계의 계층 구조로 변형시키는 방식으로써 라우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각 단말(STA)이 나머지 단말(STA)에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헬로우(HELLO)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방송하고, 이 헬로우 메시지에 기반하여 각 단말(STA)은 나머지 단말(STA)과의 연결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하게 라우팅 한다.
이렇게 주기적인 방송되는 헬로우 메시지는 ad hoc 네트워크 내에 매우 큰 트래픽 부하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IEEE 802.11 ad hoc 무선랜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경합(contention)에 근거한 전송 방식에서는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메시지를 각 단말(STA)이 전송하려고 경합에 참여하게 되므로 무선 자원을 낭비할 가능성이 매우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IEEE 802.11 표준에 따르면 ad hoc 네트워크 내의 각 단말(STA)은 ad hoc 네트워크의 관리 정보(management information)를 전달하기 위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하여 각 단말(STA)이 경합에 참여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비콘 프레임 전송 방식은 단말(STA)의 수가 많아질수록 지나치게 많은 단말(STA)이 비콘 프레임 전송을 위하여 경합에 참여하게 되어 무선 자원의 전 송 효율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ad hoc 네트워크에서 각 단말(STA)로 새로운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클러스터링(clustering) 알고리즘의 개발과 효율적인 비콘 프레임 전송 방식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IEEE 802.11 ad hoc 무선랜 네트워크에서 기존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동작에 필요한 부가적인 트래픽을 최소화시키고, 아울러 비콘 프레임의 전송 부하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기로 구성된 임시 네트워크에서 숨겨진 노드(hidden node)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특정 메시지를 바탕으로 여러 개의 의사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다수의 서브 네트워크를 구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은, 다수의 단말들로 구성된 임시 네트워크에서 비콘 프레임 전송을 진행하는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각 단말들이 다른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단말이 단말간 연결 상태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수신 단말은 단말간 연결 상태가 변화된 경우에, 상기 수신 단말기와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들의 개수를 고려하여 클러스터링 관련 메시지들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c) 각 단말들은 상기 (b) 단 계에서 전송된 메시지들을 교환하여 자신이 의사 액세스 포인트(pseudo access point)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의사 액세스 포인트에 해당하는 단말은 자신과 연결된 다수 단말들의 MAC 주소를 파악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의사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단말은 자신의 의사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를 파악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의사 액세스 포인트로 선정된 단말들만 비콘 프레임 전송에 참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단말1이 자신의 연결 계수(N(i))를 단말1과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의 개수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이 초기 상태에서 자신의 연결 계수를 '0'으로 하고, 자신과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과의 집합을 공집합으로 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에서 이용되는 MINE (n), NOT_MINE (n), NOT_YOURS (q) 메시지를 정의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은 먼저 각 단말(STA)들은 동일한 ad hoc 네트워크 내의 다른 단말(STA)에게 데이터 전송을 시도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IEEE 802.11 MAC 규격에 정의된 각종 프레임 타입(TYPE)을 모두 포함한 것으로 각 단말(STA)은 다른 단말(STA)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다른 단말(STA)과의 연결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단말(STA) i와 단말(STA) j가 서로 연결되었음을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정의 1 : 단말(STA) i가 다른 단말(STA) j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 전송에 해당되는 ACK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함; 여기서, 각 단말(STA)에서 연결 상태와 관련되어 관리하는 연결 계수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정의 2 : 단말(STA) i의 연결 계수 N(i)은 단말(STA) i와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STA)의 개수로 정의됨; 각 단말(STA)은 ad hoc 네트워크 내의 연결 상태가 바뀔 경우에 3 가지의 메시지(MINE (n), NOT_MINE (n), NOT_YOURS (q))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MINE (n), NOT_MINE (n), 및 NOT_YOURS (q) 메시지에서 n과 q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STA)의 개수로서 RA(Receiving Address)의 개수와 일치하고, type, subtype 필드의 값은 모두 2진수로 표시한다.
MINE (n), NOT_MINE (n), NOT_YOURS (q) 메시지의 대부분의 필드는 기존의 필드와 동일하지만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내의 type, subtype 필드는 기존의 것 중에서 현재 예약된(reserved) 상태에 있는 것을 이용하여 정의한다.
즉, MINE(n) 메시지, NOT_MINE(n) 메시지, 및 NOT_YOURS(n) 메시지는 프레임 제어, 기간/ID, 수신 주소(RA, Receiving Address), 송신 주소(TA, Transmitting Address), 시퀀스 제어, 프레임 체크 섬(FCS, Frame Check Sum) 필드로 구성되고, 각각의 메시지는 프레임 제어 필드의 타입 및 서브타입(subtype)의 필드 값을 변경하여 구분한다.
예를 들면, MINE (n) 메시지는 (type)/(subtype) 필드를 11/0000, NOT_MINE (n) 메시지는 11/10000, NOT_YOURS (q) 메시지는 11/0100으로 한다.
MINE (n), NOT_MINE (n), 및 NOT_YOURS (q) 메시지는 아래와 같은 각각의 조건들(CON1,CON2, CON3)에 의해 단말에서 생성되어 각 단말(STA)로부터 전송된다.
먼저 단말(STA) i가 MINE (n) message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조건(CON1)은 다음과 같다.
CON1 : 단말(STA) i가 가지고 있는 연결 계수가 변화하고, 단말(STA) i가 이전에 수신한 MINE 메시지의 계수보다 자신의 연결 계수가 큰 경우에 MINE (n=N (i))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MINE (n)의 RA 1, RA 2, …, RA n은 단말(STA) i와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STA)의 MAC 주소이다.
단말(STA) i의 연결 계수는 단말(STA) i와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STA)과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전파 상태가 좋지 않아서 더 이상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을 수 없는 경우에 바뀌거나(상황 1), 혹 단말(STA) i와 연결 상태에 있지 않 은 다른 단말(STA)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전파 상태가 좋아져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경우에 바뀐다.(상황 2)
위에서, 상황 1은 최근 시간(T>0) 동안 단말(STA) i와 단말(STA) i와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STA) 간의 데이터 전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적이 한번도 없을 때 발생한다.
다음, 단말(STA) i가 NOT_MINE (n)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조건(CON2)은 다음과 같다.
CON2 : 단말(STA) i가 자신의 연결 계수보다 더 큰 계수를 가지는 MINE (m)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이전에 자신이 전송한 MINE (n) 메시지를 취소한다. 이때 NOT_MINE (n) 메시지는 이전에 전송한 MINE (n) 메시지에서 subtype 필드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0과 같이 변경하여 생성된다.
NOT_MINE (n) 메시지를 수신한 다른 단말(STA)은 이전에 수신한 MINE (n) 메시지를 취소하고 NOT_MINE (n) 메시지를 토대로 필요할 경우에 적절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단말(STA) i가 NOT_YOURS (q)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조건(CON3)은 다음과 같다.
CON3 : 단말(STA) i가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MINE (n)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계수가 가장 큰 MINE (m) 메시지의 계수가 자신의 연결 계수보다 크면 계수가 가장 큰 MINE (m) 메시지 외에 다른 MINE (n) 메시지의 수신을 취소하기 위하여 NOT_YOURS (q)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 NOT_YOURS (q) 메시지의 계수 q는 자신에게 MINE (n) 메시지를 전송 한 단말(STA) 중에서 계수가 가장 큰 MINE (m)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STA)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STA)의 개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q개의 단말(STA)의 MAC 주소가 도 4의 RA 1, AR 2, …, RA q이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MINE (n) 메시지, NOT_MINE (n) 메시지, 및 NOT_YOURS (q) 메시지를 전송하는 조건1, 조건2, 및 조건 3을 간략히 정의한다.
조건1 : 단말(STA) i는 다른 단말(STA)로부터 전송된 MINE (n) 메시지 보다 자신의 연결 계수 N (i)이 더 큰 경우에 연결 계수가 바뀔 때마다 MINE (n=N (i)) 메시지를 전송한다.
조건2 : 단말(STA) i는 자신이 이미 전송한 MINE (n) 메시지의 계수보다 더 큰 계수를 가지는 MINE (m)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이전에 전송한 MINE (n) 메시지를 취소하기 위하여 NOT_MINE (n) 메시지를 전송한다.
조건3 : 단말(STA) i는 자신이 여러 단말(STA)로부터 수신한 MINE (n) 메시지 중에서 계수가 가장 큰 MINE (m) 메시지의 계수 m 이 자신의 연결 계수보다 더 큰 경우에 자신이 수신한 MINE (m) 메시지 이외의 다른 MINE (n) 메시지의 수신을 취소하기 위하여 NOT_YOURS (q)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q는 자신에게 MINE (n) 메시지를 전송 한 단말(STA) 중에서 계수가 가장 큰 MINE (m)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STA)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STA)의 개수를 의미한다.
각 단말(STA)은 초기 상태에서 자신의 연결 계수를 0으로 하고 자신과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STA)의 집합을 공집합으로 한다. 각 단말은 데이터의 송수신, 또는 MINE (n) 메시지, NOT_MINE (n) 메시지, 및 NOT_YOURS (q)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있는다.(S1)
그리고 각 단말(STA)은 이후에 수신되는 데이터와 MINE (n) 메시지, NOT_MINE (n) 메시지, 및 NOT_YOURS (q) 메시지를 처리하여 다음의 4가지 행동을 취한다.
행동1 :단말(STA) 중에서 자신과 연결 상태가 변한 단말(STA)이 존재하면 이를 반영하여 연결 계수와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STA)의 집합을 변경한다.(S2, S3)
행동2 : 조건 1을 만족하면 MINE (n)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4, S5)
행동3 : 조건 2를 만족하면 NOT_MINE (n)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6, S7)
행동4 : 조건 3을 만족하면 NOT_YOURS (q)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8, S9)
각 단말(STA)은 초기 상태에서 모두 의사(PSEUDO)(pseudo)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되지만, MINE (n) 메시지, NOT_MINE (n) 메시지, 및 NOT_YOURS (q) 메시지의 교환에 의해 자신이 의사(PSEUDO) AP인지를 파악하는데, 각 단말(STA)은 어떤 시점에서 최종적으로 자신이 취소되지 않은 MINE (n)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에 의사(pseudo) AP가 된다.(S10)
특정 단말(STA)이 자신이 의사(PSEUDO) AP가 아니면 자신의 의사(PSEUDO) AP 의 MAC 주소를 파악하고(S11), 자신이 의사(PSEUDO) AP라면 자신과 연결된 다수의 단말(STA)의 MAC 주소를 파악한다.(S12)
이렇게 하여 단말(STA)은 자신과 연결 상태에 있는 단말(STA)이 자신과 연결되어 비콘 프레임과 같은 방송(broadcast)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단말(STA)이 된다. 따라서 기존의 IEEE 802.11 ad hoc 무선랜 네트워크와 달리 pseudo AP로 선정된 단말(STA)에게만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비콘 프레임이 전송되도록 한다.(S13)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은 IEEE 802.11 ad hoc 네트워크를 위해 연결 계수 정보를 포함하는 3가지 메시지가 단말간의 연결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만 생성되어 전송됨으로써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의 동작에 필요한 부가적인 트래픽이 최소화 되고, 이러한 메시지 교환을 통해 의사 액세스 포인트로 선정된 단말에게만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여 비콘 프레임의 전송 부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다수의 단말들로 구성된 임시 네트워크에서 비콘 프레임 전송을 진행하는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각 단말들이 다른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단말이 단말간 연결 상태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수신 단말은 단말간 연결 상태가 변화된 경우에, 상기 수신 단말과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들의 개수를 고려하여 클러스터링 관련 메시지들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c) 각 단말들은 상기 (b) 단계에서 전송된 메시지들을 교환하여 자신이 의사 액세스 포인트(pseudo access point)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의사 액세스 포인트에 해당하는 단말은 자신과 연결된 다수 단말들의 MAC 주소를 파악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의사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단말은 자신의 의사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를 파악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의사 액세스 포인트로 선정된 단말들만 비콘 프레임 전송에 참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단말1이 단말2에게 데이터 전송시 상기 단말1이 데이터 전 송에 해당되는 ACK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에 상기 단말1과 단말2는 서로 연결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단말1이 자신의 연결 계수(N(i))를 단말1과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의 개수로 정의하는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각 단말이 초기 상태에서 자신의 연결 계수를 '0'으로 하고, 자신과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과의 집합을 공집합으로 하는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은 자신과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 단말이 존재하면 연결 계수 및 연결 상태에 있는 다른 단말의 집합을 변경하는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단말1이 다른 단말로부터 각 단말의 연결 계수 정보를 포함하는 MINE(n)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1의 연결 계수(N(i))와 비교하여 상기 연결 계수가 변경되면 MINE(n=N(i))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단말1이 이미 송신한 자신의 MINE(n) 메시지의 연결 계수보다 더 큰 연결 계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2의 MINE(m)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MINE(n) 메시지를 취소하기 위해 NOT_MINE(N)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b-3) 상기 단말 1이 다수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MINE(n) 메시지 중에서 연결 계수가 최고치인 단말 2의 MINE(m) 메시지의 연결 계수(m)가 상기 단말1의 연결 계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단말1이 수신한 MINE(m) 메시지를 제외한 다른 MINE(n) 메시지를 취소하기 위해 NOT_YOURS(q, 단말2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의 개수)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INE(n) 메시지, NOT_MINE(n) 메시지, 및 NOT_YOURS(n) 메시지는 프레임 제어, 기간/ID, 수신 주소(RA, Receiving Address), 송신 주소(TA, Transmitting Address), 시퀀스 제어, 프레임 체크 섬(FCS, Frame Check Sum) 필드로 구성되고, 상기 각 메시지는 프레임 제어 필드의 타입 및 서브타입(subtype)의 필드 값을 변경하여 구분하는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초기 상태에서 모든 단말이 의사 액세스 포인트가 되고, 최종적으로 각 단말은 자신이 취소되지 않은 MINE(n)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에 의사 액세스 포인트로 판단하는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KR1020040105566A 2004-12-14 2004-12-14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KR100568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566A KR100568976B1 (ko) 2004-12-14 2004-12-14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566A KR100568976B1 (ko) 2004-12-14 2004-12-14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8976B1 true KR100568976B1 (ko) 2006-04-07

Family

ID=3718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566A KR100568976B1 (ko) 2004-12-14 2004-12-14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9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4084B1 (en) 2020-10-23 2022-04-12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beacon-based passive cluster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MANET)
US11665658B1 (en) 2021-04-16 2023-05-30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of doppler corrections for time synchronized transmitter and receiver
US11726162B2 (en) 2021-04-16 2023-08-15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neighbor direction and relative velocity determination via doppler nulling techniques
US11737121B2 (en) 2021-08-20 2023-08-22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to compile and distribute spatial awareness information for network
US11977173B2 (en) 2019-11-27 2024-05-07 Rockwell Collins, Inc. Spoofing and denial of service detection and protection with doppler nulling (spatial awarene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4776A (ja) * 2002-09-12 2004-04-02 Stmicroelectronics Nv 電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4776A (ja) * 2002-09-12 2004-04-02 Stmicroelectronics Nv 電子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10477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4814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82150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7173B2 (en) 2019-11-27 2024-05-07 Rockwell Collins, Inc. Spoofing and denial of service detection and protection with doppler nulling (spatial awareness)
US11304084B1 (en) 2020-10-23 2022-04-12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beacon-based passive cluster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MANET)
US11665658B1 (en) 2021-04-16 2023-05-30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of doppler corrections for time synchronized transmitter and receiver
US11726162B2 (en) 2021-04-16 2023-08-15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neighbor direction and relative velocity determination via doppler nulling techniques
US11737121B2 (en) 2021-08-20 2023-08-22 Rockwell Collins, Inc. System and method to compile and distribute spatial awareness information for net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05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cket transmissions within wireless networks to enhance network formation
US8248989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using cyclic frame
WO2008157662A1 (en) Method for discovering a route to a peer node in a multi-hop wireless mesh network
US2007022343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EP2163052A1 (en) Multi-radio node with a single routing module which manages routing for multiple different radio modules
US20080316951A1 (en) Method for discovering a route to an intelligent access point (iap)
WO20090326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bridge in a network
CN112534782B (zh) 针对蓝牙网的独立冗余路径发现
Dang et al. Multi-channel MAC protocol with Directional Antennas in wireless ad hoc networks
Aryafar et al. Distance-1 constrained channel assignment in single radio wireless mesh networks
KR20050104409A (ko) 애드-훅 접속에 의해 확장되는 셀룰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기지국
CN108366393B (zh) 无线网络通信系统、网络通信方法及通信设备
KR101487722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
Zhang et al. A directional-antenna based MAC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Kamruzzaman et al. Dynamic TDMA slot reservation protocol for cognitive radio ad hoc networks
Spachos et al. Performance comparison of opportunistic routing schem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1395857A (zh) 用于在带有隐藏节点的自组网络中进行多跳数据传输的方法
ES2264473T3 (es) Sistema y metodo para planificar transmisiones, utilizando informaciones de pertenencia a una red y de proximidad.
KR100568976B1 (ko) 임시 네트워크에서의 비콘 프레임 전송 방법
CN110996266B (zh) 自组网系统的多播组数据传输方法
EP203466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a route and a node of a possible parallel route for data transmission
Feng et al. A deafness free MAC protocol for ad hoc networks using directional antennas
Diab et al. Channel allocation evaluation for a multi-channel MAC protocol
Hsu et al. A multi-channel mac protocol using maximal matching for ad hoc networks
Shrivastava et al. Comparison of AOMDV Routing Protocol under IEEE802. 11 and TDMA Mac Layer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