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475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475B1
KR100568475B1 KR1020030055290A KR20030055290A KR100568475B1 KR 100568475 B1 KR100568475 B1 KR 100568475B1 KR 1020030055290 A KR1020030055290 A KR 1020030055290A KR 20030055290 A KR20030055290 A KR 20030055290A KR 100568475 B1 KR100568475 B1 KR 100568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ood
subscriber
menu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2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17176A (en
Inventor
김종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30055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475B1/en
Publication of KR20050017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475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정보 제공 방법은 음식 메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가입자로부터 가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가입자로부터 자동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가입자의 위치 정보, 가입자 신상 정보 및 소정의 공통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음식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식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음식 메뉴를 자동 알림 정보에 따라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은 가입자 신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 음식 메뉴 데이터 베이스, 자동 알림 정보 데이터 베이스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이를 이용하여 음식 메뉴를 결정하여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음식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의 특성 및 상황에 맞는 음식과 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손쉽게 얻을 수 있다.
Disclosed ar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atabase the food menu; Receiving and storing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 Receiving and storing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subscriber;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Determining one or more food menus from the food menu database using some or all of the subscriber's location information,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and predetermined comm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food menu to the subscriber according to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base including a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database, a food menu databas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and the like, using the food menu It includes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o determine and transmit to the subscr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the fo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the subscriber and the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hereto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d는 각각 신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 음식메뉴 데이터 베이스, 음식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자동 알림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나타낸다.2A to 2D show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a food menu database, a restaurant information database, and an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입자의 위치 및 신상 정보에 따라 음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according to a subscriber's loc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일반인들은 대부분 음식 메뉴를 결정하는데 고민을 한다. 예를 들어, 직장인들은 매일 점심 및/또는 저녁으로 무엇을 먹을까 고민한다. 또한, 일상적인 생활을 하던 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그 지역의 유명한 음식이나 별미 를 먹고 싶어 하지만 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음식 메뉴를 결정하기 힘든 경우도 있다. 더구나, 근래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자신의 질병이나 체질을 고려하여 음식 메뉴를 결정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체질, 질병이나 성별과 같은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식단을 결정하여 주는 방법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17050호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10460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식단 정보 제공 방법은 개인의 특성 정보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 음식 메뉴 결정 정보-예를 들어, 식사 위치(장소), 시각, 날씨나 계절 등-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식단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종래의 식단정보 제공 방법은 가입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가입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메뉴(점심/저녁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The general public has a hard time deciding on a food menu. For example, office workers wonder what to eat for lunch and / or dinner every day. In addition, if you move to a place other than your daily life, you may want to eat the famous food or delicacy in the area, but there is a lack of information that makes it difficult to decide on the food menu. Moreover, in recent years,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due to improved living standards. Therefore, there is a tendency to decide the food menu in consideration of one's disease and constitutio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iet using such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constitution, disease or gender is shown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17050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10460.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oviding diet information does not use various food menu decision information other than person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for example, meal location (time), time of day, weather or season, etc.) and thus influences in determining the die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ie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s difficult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sired menu (lunch / dinner menu) at the desired time of the subscriber.

따라서, 음식 메뉴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들을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식 메뉴를 결정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한다면, 음식 메뉴 결정에 대한 가입자의 고민이나 노력을 덜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if a database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f the food menu is determined and the food menu is determined and provided to the subscriber, it may be possible to alleviate the subscriber's worry or effort about the food menu decision.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입자 신상 정보, 가입자 위치 정보, 공통 정보 등 음식 메뉴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이용하여 음식 메뉴를 결정하고, 결정된 음식 메뉴와 이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음식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food menu by using factors influencing the food menu decision, such as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common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food menu and related inform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providing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ystem to the subscrib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음식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음식 메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b) 상기 가입자로부터 가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가입자로부터 자동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가입자의 위치 정보, 상기 가입자 신상 정보 및 소정의 공통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음식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식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를 상기 자동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food information to a subscrib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databaseting a food menu; (b) receiving and storing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 (c) receiving and storing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 (d)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e) determining one or more food menus from the food menu database using some or all of the subscriber's location information, the subscriber's personal information and predetermined common information; And (f) transmitting the determined food menu to the subscriber according to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은 (g) 상기 가입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자동 알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 를 소정의 음식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h) 상기 추출된 음식점 정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Preferably, the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comprises the steps of: (g) extracting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rmined food menu from a predetermined restaurant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subscriber'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h) transmitting the extracted restaurant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 및 상기 추출된 음식점 정보는 단문 메시지 형태로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된다. Also preferably, the determined food menu and the extracted restaurant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은 (i) 상기 가입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음식점까지의 약도 정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Also preferably, the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 transmitting the route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to the restaurant to the subscriber.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은 (j) 상기 가입자가 섭취한 음식 메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k) 상기 저장된 상기 가입자가 섭취한 음식 메뉴를 소정 단위로 분석하여 분석된 음식 정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Also preferably, the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the steps of: (j) receiving and storing a food menu consumed by the subscriber; And (k) analyzing the food menu ingested by the subscriber in a predetermined unit and providing the analyzed food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 역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음식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음식 메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b) 상기 가입자로부터 가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가입자로부터 식사 장소를 포함하는 음식 메뉴 결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가입자 신상 정보, 상기 음식 메뉴 결정 정보 및 소정의 공통 정보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음식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식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of providing food information to a subscrib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comprising: (a) databaseting a food menu; ; (b) receiving and storing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 (c) receiving food menu decision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 including meal location; (e) determining one or more food menus from the food menu database using some or all of the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the food menu determination information and predetermined common information; And (f) transmitting the determined food menu to the subscriber.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음식 메뉴 결정 정보는 식사 목적, 식사 상대 및 식사 시각을 더 포함한다. Preferably, the food menu determina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meal purpose, a meal partner, and a meal time.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은 (g) 상기 식사 장소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를 소정의 음식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h) 상기 추출된 음식점 정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Also preferably,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may include: (g) extracting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rmined food menu from a predetermined restaurant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dining place; And (h) transmitting the extracted restaurant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 및 상기 추출된 음식점 정보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된다. Also preferably, the determined food menu and the extracted restaurant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us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음식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음식 메뉴 데이터 베이스 및 가입자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신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이동통신망, 인터넷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가입자 신상 정보, 상기 가입자의 위치 정보 및 소정의 공통 정보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음식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식 메뉴를 결정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음식 정보 제공 서버를 구비하며, 상기 가입자 신상 정보는 상기 가입자의 성별, 연령, 체질 및 질병 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공통 정보는 특정일, 계절 및 날씨 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The system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a system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to a subscrib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food menu database and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A database comprising a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database; And determine one or more food menus from the food menu database by using some or all of the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and predetermined common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and the database. And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for transmitting, wherein the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sex, age, constitution, and disease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and the predetermined comm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ecific day, season, and weather information. It includes one.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음식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가입자로부터 자동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자동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를 전송한다.Preferably,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receives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 and stores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food menu according to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는 가입자 신상 정보, 위치 정보, 그 외 음식 메뉴 결정에 필요한 여러 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고려하여 각 가입자의 특성 및 상황에 맞는 음식과 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손쉽게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bscriber us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foods and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each subscriber's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in consideration of some or all of various factors necessary for determining persona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other food menus. You can get it easily.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기(110),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120),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구비한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terminal 110,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120,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and a database 140. Equipped.

이동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50)에 접속하기 위한 기능과 음식 정보 수신을 위해 필요한 신상 정보 및 자동 알림 여부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110)는 또한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이동통신망(150)을 통해 제공되는 음식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mobile terminal 110 provides a function for acces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50 and a function for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utomatic notification required for receiving food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10 also provides a function of receiving and displaying food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50 from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SMSC(120)는 가입자에게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SMSC(120)는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음식 정보를 수신하여 가입자의 이동 단말기(110)로 음식 정보가 담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The SMSC 120 is a device for provid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to a subscriber. The SMSC 120 receives the food information from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and transmits a short message containing the food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10 of the subscriber.

음식정보 제공 서버(130)는 이동통신망(150) 및 데이터 베이스(140)에 연결된다.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또한 인터넷(160)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입자는 이동 단말기(110) 대신에 인터넷(160)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 단말기(예를 들어, 개인용 PC)(170)를 통하여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에 접속하여 신상 정보 및 자동 알림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50 and the database 140.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is also connected to the internet 160. Accordingly, the subscriber accesse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through an Internet terminal (for example, personal PC) 170 that can access the Internet 160 instead of the mobile terminal 110,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You can also enter.

데이터 베이스(140)는 신상정보 데이터 베이스(141), 음식메뉴 데이터 베이스(143), 음식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5), 자동 알림 정보 데이터 베이스(147) 및 섭취 음식 정보 데이터 베이스(149)를 포함한다. 신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14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이름, ID(예를 들어, 이동전화번호), 성별, 연령, 체질, 생일이나 기념일, 질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base 140 includes a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141, a food menu database 143, a restaurant information database 145, an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147, and an intake food information database 149. . As shown in FIG. 2A,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140 may include a subscriber's name, an ID (eg, a mobile phone number), a gender, an age, a constitution, a birthday or an anniversary, a disease, and the like.

신상정보는 가입자가 이동단말기(110) 또는 인터넷 단말기(170)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상 정보 중 가입자 ID와 같은 일부 정보는 이동통신망(150)을 구성하는 일 요소로서, 홈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HLR(Home Location Register)(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is preferably input by the subscriber using the mobile terminal 110 or the Internet terminal 170. Som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subscriber ID, may be obtained from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not shown) having home subscriber information as one el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50.

음식 메뉴 데이터 베이스(143)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질(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별 선호되거나 기피되는 음식 리스트(211), 각 질병(예를 들어, 당뇨, 고혈압 등)에 대해 선호되거나 기피되는 음식 리스트(212), 지역별 음 식 리스트(213) 들이 저장될 수 있다. 지역별 음식 리스트에는 안동 지역에 대해서 "찜닭", 전주 지역에 대해서 "비빔밥", 제주 지역에 대해서 "옥돔"과 같이 각 지역의 전통/별미/유명 음식이 포함된다.As shown in FIG. 2B, the food menu database 143 includes a list of preferred or avoided foods 211 for each constitution (sun, luni, yangyang, and noisin), each disease (for example, diabetes, hypertension, etc.). Preferred or avoided food list 212, regional food list 213 may be stored. The regional food list includes traditional, delicacy and famous foods of each region, such as "steamed chicken" for the Andong region, "bibimbap" for the Jeonju region, and "okdom" for the Jeju region.

이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지만, 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별 음식 리스트, 날씨에 따라 선호되는 음식 리스트, 특정일(예를 들어, 중복, 말복, 크리스마스, 어린이날, 동지 등)별 선호되는 음식 리스트, 연령대별 선호되는 음식 리스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elsewhere, the list of foods by season (spring, summer, autumn, winter), the list of preferred foods according to the weather, the list of preferred foods by specific days (e.g. duplicates, horseshoe, Christmas, children's day, winter solstice, etc.) The food list, the preferred food list by age group, and the like may be stored.

음식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5)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점명, 전화번호, 위치 정보, 지역, 제공 음식 메뉴 리스트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음식점 위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정보이다. As illustrated in FIG. 2C, the restaurant information database 145 may store a restaurant name, a phone number, location information, a region, a food menu list, and the lik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briefly indicates the restaurant location.

자동 알림 정보 데이터 베이스(147)에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입자별 자동 알림 여부, 수신 날짜, 수신 시각, 수신 메뉴 등의 자동 알림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자동 알림 여부는 자동 알림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해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수신 날짜는 매일, 격일, 주 1회, 특정 요일 또는 특정일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신 메뉴는 점심 메뉴, 저녁 메뉴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수신 시각은 음식정보를 수신 받고자 하는 시간대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 알림이 설정되어 있으면, 음식 정보 제공 서버(30)는 설정된 수신 날짜, 설정된 수신 시각에 설정된 수신 메뉴에 관련된 음식 정보를 가입자에게 자동으로 제공한다. 자동 알림이 해제되어 있으면, 수신 날짜, 수신 시각이나 수신 메뉴가 설정되어 있더라도 음식 정보가 자동으로 가입자에게 제공되지는 않는다. As shown in FIG. 2D,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147 may stor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o automatically notify each subscriber, a reception date, a reception time, a reception menu, and the like. Whether the automatic notific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is set or released. The reception date may be set every day, every other day, once a week, on a specific day, or on a specific day. The reception menu may be set as a lunch menu or dinner menu. The reception time is for setting a time zone for receiving food information. If the automatic notification is set,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30 automatically provides the subscriber with foo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t menu on the set reception date and the set reception time. If the automatic notification is turned off, the food information is not automatically provided to the subscriber even if the reception date, reception time or reception menu are set.                     

섭취 음식 정보 데이터 베이스(149)에는 가입자가 실제 섭취한 음식 정보가 저장된다. 섭취한 음식 정보는 월, 분기 또는 년 단위로 분석되어 가입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분석 정보에는 음식섭취 분포도, 편식 정도, 평균 섭취 열량, 각 영양소(예를 들어,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등)별 섭취 비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ntake food information database 149 stores the food information actually ingested by the subscriber. Ingested food information may be analyzed on a monthly, quarterly or yearly basis and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The analysis information may include a distribution of food intake, the degree of diet, the average calorie intake, and the intake rate of each nutrient (eg, fat, carbohydrates, protein, etc.).

데이터 베이스(140)는 상술한 신상정보 데이터 베이스(141), 음식 메뉴 데이터 베이스(143), 음식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5), 자동 알림 정보 데이터 베이스(147) 및 섭취 음식 정보 데이터 베이스(149) 외에 계절, 특정일(예를 들어, 중복, 말복, 크리스마스, 어린이날, 동지 등) 정보가 저장되는 공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는 날씨 정보, 온도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database 140 i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141, the food menu database 143, the restaurant information database 145,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147, and the intake food information database 149.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mon information database (not shown) in which information on seasons and specific days (eg, duplicates, horse outfits, Christmas, children's day, winter solstice, etc.) is stored. The common information database may further include weather information and temperature information.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가입자가 입력한 가입자 신상 정보 및 자동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한다. 또한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가입자 신상 정보, 가입자 위치 정보 및 공통 정보 들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음식 메뉴를 결정한다. 가입자 위치 정보는 가입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 따라서, 가입자 위치 정보는 이동통신망(150)을 구성하는 하나의 장치로서, 방문 가입자의 정보를 가지는 VLR(Visitor Location Register)로부터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receives the subscrib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subscriber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140.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determines a food menu using some or all of the subscriber's personal information, the subscriber'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ommon information. The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indicates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subscriber station is located. Accordingly, the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is one device constitu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50, and is preferably obtained from a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having information about visiting subscribers.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음식 메뉴를 결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이하, 음식 메뉴 결정 프로그램이라 함)을 이용할 수 있다.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각 정보에 대하여 우선권 또는 가중치를 두어 음식 메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신상 정보, 각각의 공통 정보 및 가입자 위치 정보에 우선순위 또는 가중치가 있을 수 있다.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또한 복수의 음식 메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결정된 음식 메뉴를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이 때, 자동 알림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식 메뉴는 설정된 자동 알림 정보에 따라 가입자에게 전송된다.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may use a predetermined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od menu determination program) to determine a food menu.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may determine a food menu by giving priority or weight to each piece of information. That is, each personal information, each common information, and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may have priority or weight.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may also determine a plurality of food menu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transmits the determined food menu to the subscriber. At this time, when the automatic notification is set, the food menu is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according to the set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결정된 음식 메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를 음식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결정된 음식 메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란 가입자의 현재 위치 근처에 있는 음식점이나 가입자가 요청한 지역의 음식점으로서, 결정된 음식 메뉴를 제공하는 음식점에 대한 정보를 말한다. 음식점 정보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점명, 전화번호,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알림이 설정된 경우에는, 결정된 음식 메뉴 및 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는 SMSC(120)를 통하여 단문 메시지 형태로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extracts the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rmined food menu from the restaurant information database and transmits it to the subscriber. The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rmined food menu is a restaurant nea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ubscriber or a restaurant in a region requested by the subscriber, and refers to information on a restaurant that provides the determined food menu. As shown in FIG. 2C, the restaurant information may include a restaurant name, a telephone numb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When the automatic notification is set,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ermined food menu and the related restaurant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terminal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through the SMSC 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음식점의 약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도 정보 데이터 베이스(182)와 지도 정보 제공 서버(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도 정보 제공 서버(180)는 지도 정보 데이터 베이스(182)를 읽어 들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특정 음식점까지의 약도를 맵 형태로 표현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p information database 182 and a map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80 in order to provide the map information of a restaurant. The map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80 reads the map information database 182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a map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ubscriber to a specific restaurant in a map form.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은 자동 알 림 기능을 이용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3 uses an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Referring to Figures 1 to 3, it will be described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가입자가 가입자 신상 정보를 입력한다(S310). 가입자 신상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의 하나의 대표적 방법은, 가입자가 이동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여, 미리 정해진 신상 정보 항목에 대하여 입력하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가입자가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기(170)를 이용하여 인터넷(160)을 통하여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에 접속하여 미리 정해진 신상 정보 항목에 대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입력된 가입자 신상 정보는 신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141)에 저장된다.First, the subscriber inputs the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S310). One representative method of inputting the subscriber's personal information is a method in which a subscriber connects to a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the mobile terminal 110 and inputs a predetermined personal information item. As another method, the subscriber may acces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through the Internet 160 and input a predetermined personal information item by using the Internet-capable terminal 170. The entered subscriber's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141.

가입자가 자동 알림 정보를 입력한다(S320). 자동 알림 정보의 입력 방법은 가입자 신상 정보의 입력 방법과 유사하다. 입력된 자동 알림 정보는 자동 알림 정보 데이터 베이스(147)에 저장된다.The subscriber inputs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S320).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input method is similar to the subscriber personal information input method. The input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147.

도 3에서는 자동 알림이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자동 알림이 설정된 경우,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설정된 수식 시각을 기준으로 음식 메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설정된 수신 시각을 기준으로 가입자 위치 정보를 얻는다(S330). 그리고,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수신시각을 기준으로 가입자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신상 정보, 공통 정보를 이용하여 음식 메뉴 데이터 베이스(143)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식 메뉴를 결정한다(S340). 이 때,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가입자가 위치한 지역의 수신 시각의 날씨 정보 및 온도 정보를 더 이용할 수도 있다.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가 음식 메뉴를 결정하는데, 음식 메뉴 결정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In FIG. 3, it is assumed that automatic notification is set. When the automatic notification is set,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determines the food menu based on the set formula time. In detail,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obtains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t reception time (S330). In addi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determines one or more food menus from the food menu database 143 using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pre-stored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and comm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ption time (S340). . At this time,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may further use weather information a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time of the region where the subscriber is located.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determines a food menu, and a food menu determining program may be used.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결정된 음식 메뉴와 관련된 음식점 정보를 음식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5)로부터 추출한다(S350). 관련된 음식점 정보란, 가입자가 요청한 식사 장소 근처에서 상기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점에 대한 정보이다.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결정된 음식 메뉴와 추출된 음식점 정보를 설정된 자동 알림 정보에 따라 가입자에게 전송한다(S360). 도 3에서는, 결정된 음식 메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를 추출한 후, 음식 메뉴와 음식점 정보를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하지만, 결정된 음식 메뉴를 먼저 전송한 후, 가입자가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음식 메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를 가입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결정된 음식 메뉴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후자가 더 바람직할 것이다.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extracts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rmined food menu from the restaurant information database 145 (S350). The related restaura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a restaurant providing a food selected by the subscriber near a meal place requested by the subscriber.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transmits the determined food menu and the extracted restaurant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according to the set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S360). In FIG. 3, after extracting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rmined food menu, the food menu and the restaurant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However, after transmitting the determined food menu first, if the subscriber selects one of them,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food menu may be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If there is more than one food menu determined, the latter would be preferred.

가입자가 전송된 음식점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지도 정보를 요청하는지 판단하여(S370), 요청하는 경우에는 지도 정보를 전송한다(S380). 지도 정보는 지도 정보 데이터 베이스(182)를 읽어, 가입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원하는 음식점까지의 약도를 맵 형태로 표현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지도 정보 제공 서버(180)에 의해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scriber determines whether to request the map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restaurant information (S370), and if requested, transmits the map information (S380). The map information is preferably transmitted by the map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80 configured to read the map information database 182 and provide a map form of a map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ubscriber to the desired restaurant.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정보 제공 방법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 내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4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food information is assumed to use a wireless Internet service. Referring to FIGS. 1 and 2 and 4, a method of providing food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s as follows.                     

먼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가입자가 음식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한다(S410). 가입자 신상 정보를 입력한다(S420). 가입자 신상 정보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신상 정보 항목에 대하여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된 가입자 신상 정보는 신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141)에 저장된다.First, the subscriber accesse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S410).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is input (S42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subscriber's personal information is preferably input to a predetermined personal information item. The entered subscriber's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base 141.

가입자가 음식 메뉴 결정 정보를 입력한다(S430). 음식 메뉴 결정 정보는 가입자가 미리 설정해 두는 정보가 아니라 음식 정보를 요청할 때마다 입력될 필요가 있는 일회성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식사 장소, 식사 시각, 식사 목적, 식사 상대에 대한 정보이다. 식사 장소는 대 지역(서울/경기/강원/제주 등)과 소 지역(강남/명동/영등포 등)으로 입력될 수 있다. 식사 목적은 생일이나 기념일의 축하, 사업상, 데이트 등으로 구분하여 입력될 수 있다. 식사 상대는 가족, 연인, 친구 등으로 구분하여 입력될 수 있다. 식사 시각은 월/일/시각 등으로 입력될 수 잇다. 음식 메뉴 결정 정보의 입력 방법은 가입자 신상 정보 및/또는 자동 알림 정보의 입력 방법과 유사하다. The subscriber enters the food menu determination information (S430). The food menu decision information is preferably one-time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entered every time the food information is requested, rather than information previously set by the subscriber.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meal place, a meal time, a meal purpose, and a meal partner. The dining place may be input to a large area (Seoul / Gyeonggi / Gangwon / Jeju, etc.) and a small area (Gangnam / Myeongdong / Yeongdeungpo, etc.). The meal purpose may be input by dividing into a celebration of a birthday or an anniversary, a business, a date, and the like. The dining partner may be input by dividing into a family, a lover or a friend. The meal time may be input in month / day / time and the like. The input method of the food menu decision information is similar to the input method of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 or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가입자가 입력한 결정 정보를 기반으로 신상 정보 및/또는 공통 정보를 이용하여 음식 메뉴 데이터 베이스(143)로부터 음식 메뉴를 결정하여(S440), 결정된 음식 메뉴를 가입자에게 전송한다(S450).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가 음식 메뉴를 결정하는데, 음식 메뉴 결정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가입자가 결정된 음식 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460).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선택된 음식 메뉴에 응답하여, 선택된 음식 메뉴와 관련된 음식점 정보를 음식점 정보를 음식점 정보 데이터 베이스(145)로부터 추출하여 가입자에게 전송한다(S470). 관련된 음식점 정보란, 가입자가 요청한 식사 장소 근처에서 상기 가입자에 의해 선택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점에 대한 정보이다.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determines a food menu from the food menu database 143 u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 or common information based on the decision information input by the subscriber (S440), and determines the determined food menu to the subscriber. Transmit (S450).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determines a food menu, and a food menu determining program may be used. The subscriber selects one of the determined food menus (S460). In response to the selected food menu,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extracts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food menu from the restaurant information database 145 and transmits the restaurant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S470). The related restaura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a restaurant providing a food selected by the subscriber near a meal place requested by the subscriber.

가입자가 전송된 음식점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지도 정보를 요청하는지 판단하여(S480), 요청하는 경우에는 지도 정보를 전송한다(S490). 이 때, 지도 정보 데이터 베이스(182)가 이용된다. 가입자의 접속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S500), 가입자가 접속을 종료하면 음식 정보 제공 서비스는 종료되고, 가입자가 접속을 종료하지 않으면, 음식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S440)나 음식 메뉴 결정 정보 입력 단계(S430)로 되돌아 갈 수 있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scriber requests the map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restaurant information (S480), and when requested, the map information is transmitted (S490). At this time, the map information database 182 is used. Determining whether the subscriber has terminated the access (S500), if the subscriber terminates the connec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is terminated, and if the subscriber does not terminate the access, determining the food menu (S440) or inputting the food menu decision information (S500). It may return to (S430).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은 가입자가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에 접속하여(S610), 가입자가 실제 먹은 음식 메뉴를 입력한다(S620). 입력된 음식 메뉴는 섭취 음식 정보 데이터 베이스(149)에 저장된다. 저장된 섭취 음식 정보를 이용하여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월, 분기 또는 년 단위로 가입자별로 섭취한 음식을 분석한다. 이와 같은 분석 작업을 위해 음식 정보 제공 서버(130)는 분석 및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i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criber accesses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S610) and inputs a food menu actually eaten by the subscriber (S620). The input food menu is stored in the intake food information database 149. Using the stored ingested food informatio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analyzes the food ingested for each subscriber on a monthly, quarterly or annual basis. For such an analysis task,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may use an analysis and statistical program.

분석된 음식 정보는 가입자에게 제공된다(S640). 분석된 음식 정보에는 음식섭취 분포도, 편식 정도, 평균 섭취 열량, 각 영양소(예를 들어,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등)별 섭취 비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nalyzed foo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ubscriber (S640). The analyzed food information may include a food intake distribution, a degree of unbalance, average calorie intake, and an intake rate of each nutrient (eg, fat, carbohydrates, protein, etc.).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는 가입자 신상 정보, 위치 정보, 그 외 음식 메뉴 결정에 필요한 여러 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고려하여 각 가입자의 특성 및 상황에 맞는 음식과 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가입자는 가입자의 특성 및 상황에 맞는 음식이 무엇이지 그리고, 이러한 음식을 제공해주는 음식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고민하거나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없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bscriber use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foods and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each subscriber's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in consideration of some or all of various factors necessary for determining personal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other food menus. You can get it easily. Therefore, the subscriber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or try hard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food that i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the subscriber and the restaurant providing the food.

Claims (18)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음식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of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food information to a subscrib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음식 메뉴를 체질 및 질병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호 음식 및 기피 음식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a) classifying and categorizing the food menu into preferred foods and avoidance foods for any of constitutions and diseases; (b) 상기 가입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입자의 체질 및 질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가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b) receiving and storing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including any one of the constitution and illness of the subscriber from the subscriber's terminal; (c)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자동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c) receiving and storing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 station; (d)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d)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station; (e)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가입자 신상 정보 및 공통정보-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특정일, 계절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가입자의 위치 정보, 상기 가입자 신상 정보 및 공통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에 미리 부여된 우선 순위 또는 가중치에 따라 상기 음식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식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 및(e) some or al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terminal,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and the common information, wherein the comm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ecific day, season, and weather information; Determining one or more food menus from the food menu database according to a priority or weight previously given to each subscriber's personal information and eac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mmon information; And (f)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를 상기 자동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and (f) transmitting the determined food menu to the subscriber terminal according to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g)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자동 알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를 소정의 음식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g) extracting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rmined food menu from a predetermined restaurant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terminal and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h) 상기 추출된 음식점 정보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and (h) transmitting the extracted restaurant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st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음식점 정보는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xtracted restaurant information is 음식점명, 전화번호, 음식점 위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A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restaurant name, a phone number, and a restaurant loc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 및 상기 추출된 음식점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termined food menu and the extracted restaurant information is 단문 메시지 형태로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음식점까지의 약도 정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 (i) transmitting food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terminal to the restaurant to the subscriber; and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알림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is 수신 날짜, 수신 시각 및 수신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reception date, a reception time and a reception menu.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메뉴 데이터 베이스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od menu database is 지역별 음식 리스트, 계절별 음식 리스트, 특정일별 음식 리스트 및 연령대별 음식 리스트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some or all of the regional food list, seasonal food list, specific daily food list and age-specific food li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 상기 가입자가 섭취한 음식 메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j) receiving and storing a food menu consumed by the subscriber; And (k) 상기 저장된 상기 가입자가 섭취한 음식 메뉴를 소정 주기로 분석하여 분석된 음식 정보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and (k) analyzing the stored food menu of the subscrib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providing the analyzed food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terminal.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음식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of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food information to a subscrib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음식 메뉴를 체질 및 질병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호 음식 및 기피 음식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a) classifying and categorizing the food menu into preferred foods and avoidance foods for any of constitutions and diseases; (b)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입자의 체질 및 질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가입자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b) receiving and storing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including any one of the constitution and illness of the subscriber from the subscriber terminal; (c)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음식 메뉴 결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receiving food menu determination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 station; (e)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가입자 신상 정보 및 공통정보-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특정일, 계절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가입자의 위치 정보, 상기 가입자 신상 정보 및 공통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에 미리 부여된 우선 순위 또는 가중치에 따라 상기 음식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식 메뉴를 결정하는 단계; 및(e) some or al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terminal,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and the common information, wherein the comm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ecific day, season, and weather information; Determining one or more food menus from the food menu database according to a priority or weight previously given to each subscriber's personal information and each information included in common information; And (f)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 and (f) transmitting the determined food menu to the subscriber termin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메뉴 결정 정보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ood menu determination information is 식사 장소, 식사 목적, 식사 상대 및 식사 시각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ny one of a meal place, a meal purpose, a meal partner, and a meal tim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g) 상기 식사 장소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에 관련된 음식점 정보를 소정의 음식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g) extracting restaur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termined food menu from a predetermined restaurant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dining place; And (h) 상기 추출된 음식점 정보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and (h) transmitting the extracted restaurant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sta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 및 상기 추출된 음식점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etermined food menu and the extracted restaurant information is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to the subscriber terminal us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정보 제공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음식점까지의 약도 정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 (i) transmitting food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terminal to the restaurant to the subscriber; and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 상기 가입자가 섭취한 음식 메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j) receiving and storing a food menu consumed by the subscriber; And (k) 상기 저장된 상기 가입자가 섭취한 음식 메뉴를 소정 주기로 분석하여 분석된 음식 정보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방법.and (k) analyzing the stored food menu of the subscrib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providing the analyzed food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terminal.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음식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In a system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food information to a subscribe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복수의 음식 메뉴가 체질 및 질병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호 음식 및 기피 음식으로 분류된 음식 메뉴 데이터 베이스 및 가입자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신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A database comprising a food menu datab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food menus are classified as preferred foods and avoided foods for any of constitutions and diseases, and a subscriber information information database includ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상기 이동통신망, 인터넷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가입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상기 가입자 신상 정보 및 공통정보-여기서, 상기 공통 정보는 특정일, 계절 및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가입자의 위치 정보, 상기 가입자 신상 정보 및 공통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에 미리 부여된 우선 순위 또는 가중치에 따라 상기 음식 메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음식 메뉴를 결정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식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시스템.A part of the subscriber station's location information, the subscrib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common information, wherein the comm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ecific day, season and weather information; Food information for determining one or more food menus from the food menu database according to the priorities or weights previously assigned to eac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ubscriber's location information, the subscrib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comm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food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terminal. Fo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providing serv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정보 제공 서버는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상기 가입자로부터 자동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자동 알림 정보에 따라 상기 결정된 음식 메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시스템.Receiving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ubscriber and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determined food menu according to the automatic notification informatio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정보 제공 서버는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상기 가입자가 섭취한 음식 메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가입자가 섭취한 음식 메뉴를 분석하여 분석된 음식 정보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식정보 제공 시스템.And receiving and storing the food menu ingested by the subscriber in the database, and analyzing the food menu ingested by the subscriber and providing the analyzed food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KR1020030055290A 2003-08-11 2003-08-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5684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290A KR100568475B1 (en) 2003-08-11 2003-08-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290A KR100568475B1 (en) 2003-08-11 2003-08-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176A KR20050017176A (en) 2005-02-22
KR100568475B1 true KR100568475B1 (en) 2006-04-07

Family

ID=3722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290A KR100568475B1 (en) 2003-08-11 2003-08-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4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40B1 (en) * 2005-10-19 2007-06-15 김용훈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nt situation
KR102663078B1 (en) * 2021-05-31 2024-05-02 이승수 Running chef recipe wiki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176A (en) 200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2931A1 (en) Menu Personalization
US10992609B2 (en) Text-messaging based concierge services
US7941430B2 (en) Multi-mode location based e-directory service enabl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S97630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essage/content using location information
US20080032719A1 (en) Centralized establishment-based tracking and messaging service
US201201019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intelligent advertizing service based on mobile user contextual matching
JP5732441B2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de Rezende et 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food outside the home in Brazil
JP2012216082A (en) Image management system, control method of image management system,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90024621A1 (en) Method to set up online book collections and facilitate social interactions on books
KR201901221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diet and recipe for companion animal
CN102884523B (en) Information provider uni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e processing routine and the information that have recorded to provide the record medium of processing routine
CN104317920A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and information pushing system based on intelligent user demand matching
CN1060563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ing information
KR1007273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according to present situation
JP2010286960A (en) Meal log generation device, meal log generation method, and meal log generation program
KR1005684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2095592B1 (en) Method for providing choosing meun service per meal using survival game
JP2014059786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1191121A (en) Smart tourism target matching method based on big data
JP2015141467A (en) Comment presentation program, comment presentation method, and comment presentation device
KR102120207B1 (en) Me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ward service for inducing hashtag upload
KR20030096933A (e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et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KR101643189B1 (en) Management server, system and method including database for screening the agricultural functional food
KR102479745B1 (en) In-stadium delivery service districu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