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659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659B1
KR100567659B1 KR1020030017165A KR20030017165A KR100567659B1 KR 100567659 B1 KR100567659 B1 KR 100567659B1 KR 1020030017165 A KR1020030017165 A KR 1020030017165A KR 20030017165 A KR20030017165 A KR 20030017165A KR 100567659 B1 KR100567659 B1 KR 10056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request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574A (ko
Inventor
정기중
나동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659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7/00Making conical articles by winding
    • B31C7/02Forming truncated con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GPS(A-GPS)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요청 조건을 위치기반서비스 서버에 설정하면,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측위 서버와 통신 요청을 개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GPS 위성신호를 근거하여 상기 위치측위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정보 요청 조건(예를 들어, 시간 주기 및/또는 영역 범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측위 서버와 통신 요청을 개시하여 위치측위 서버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측함으로써, 기지국 시스템, 교환기, 위치측위 서버 및 위치기반서비스 서버의 부하를 저감시키고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조 GPS, LBS, PDE, 위치측위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METHOD OF DETERMINING POSI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시스템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시스템의 또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20 : 기지국 시스템(BTS/BSC)
30 : 교환기(MSC) 40 : 위치측위 서버(PDE)
50 : 위치기반서비스(LBS) 서버 60 : GPS 위성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GPS(Assisted GPS; A-GPS)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측위 방법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단순히 하나의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영역내에 들어있는지 어떤지로 판단하는 파일롯 PN(pilot PN) 방식이고, 두 번째는 어느 정도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왕복 지연(Round Trip Delay)이나 파이롯 위상(pilot phase)을 이용하는 방법이며, 마지막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GPS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의 도움을 받아서 처리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에 GPS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의 도움을 받아서 처리하는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GPS 안테나와 GPS 처리모듈 및 IS-801-1을 처리하는 소프트웨어가 포함되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 정보와 GPS 정보를 위치측위 서버(PDE)로 전송하고, PDE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A-GPS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A-GPS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측하는 방법은 위치기반서비스(LBS) 서버로부터 위치측위 요청이 발생할 경우, 위치측위 서버(PDE)는 참조 GPS 위성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PDE로부터 전송된 참조 GPS 위성정보에 근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에 필요한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PDE로 전송한다. PDE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GPS 위성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측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LBS 서버로부터 위치측위 요청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지국 시스템(BTS/BSC), 교환기(MSC), PDE 및 LBS 서버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요청 조건을 위치기반서비스 서버에 설정하면,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측위 서버와 통신 요청을 개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GPS 위성신호를 근거하여 상기 위치측위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측함으로써, 기지국시스템(BTS/BSC), 교환기(MSC), PDE 및 LBS 서버의 부하를 저감시키고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조 GPS(A-GPS)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요청 조건을 위치기반서비스 서버에 설정하면,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측위 서버와 통신 요청을 개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GPS 위성신호를 근거하여 상기 위치측위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측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은 시간 주기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은 영역 범위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은 시간 주기 및 영역 범위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가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을 만족하는지 어떤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측위 서버와 통신 요청을 개시하는 단계; 상기 위치측위 서버가 참조 GPS 위성신호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GPS 위성 신호를 상기 위치측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측위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GPS 위성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를 행하고, 계측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은 트래픽 채널중 음성 및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미사용 영역을 사 용하여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은 IS-95A/B망 뿐만 아니라 현재 운용중인 cdma2000 1x EV-DO, EV-DV, 4세대 등 차세대 이동통신망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 기지국 시스템(BTS/BSC; 20), 교환기(MSC; 30), 위치측위 서버(PDE; 40) 및 위치기반서비스(LBS) 서버(5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LBS 서버(50)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 요청 조건(예를 들어, 시간 주기 및/또는 영역 범위)에 근거하여 기지국 시스템(20) 및 교환기(30)를 통해 위치측위 서버(PDE; 40)와 통신 요청을 개시하여, PDE(40)로부터 전송된 참조 GPS 위성정보를 근거하여 GPS 위성(60)으로부터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참조 GPS 위성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가 현재 위치에서 검색 가능한 GPS 위성(60)의 번호 등에 관한 정보이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는 PDE(40)로 전송된 참조 GPS 위성정보에 근거한 GPS 위성만을 검색하기 때문에, 빠르게 GPS 위성(60)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측위를 행하기 위해 이 GPS 위성 신호를 기지국 시스템(20) 및 교환기(30)를 통해 PDE(40)로 전송한 다.
PDE(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통신 요청이 있는 경우, GPS 위성(60)으로부터 참조 GPS 수신기(60)를 통해 전송된 참조 GPS 위성정보를 교환기(30) 및 기지국 시스템(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또한, PDE(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GPS 위성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를 계측하게 된다.
LBS 서버(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한 위치정보 요청 주기 및/또는 조건을 설정하고, 이 위치정보 요청 주기 및/또는 조건을 교환기(30) 및 기지국 시스템(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에 대한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를 설정하고(S21), LBS 서버(도 1을 참조; 50)는 이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로 전송한다(S22). 이 때, 이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는 트래픽 채널중 음성 및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미사용 영역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단계 S23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가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를 만족하는지 어떤지를 식별하여,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를 만족하는 경우, 단계 S24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는 PDE(도 1을 참조; 40)와 통신 요청을 개시한다.
단계 S25에서, PDE(도 1을 참조; 40)는 참조 GPS 위성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로 전송하고, 단계 S26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한 후, 이 GPS 위성 신호를 PDE(도 1을 참조; 40)로 전송한다. 이 때, 이 GPS 위성 신호는 트래픽 채널중 음성 및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미사용 영역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단계 S27에서, PDE(도 1을 참조; 40)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로부터 전송된 GPS 위성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의 위치측위를 행하고, 단계 S28에서 PDE(도 1을 참조; 40)는 계측된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의 위치를 LBS 서버(도 1을 참조; 5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시스템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에 대한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를 설정하고(S31), LBS 서버(도 1을 참조; 50)는 이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를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로 전송한다(S32). 이 때, 이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는 트래픽 채널중 음성 및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미사용 영역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단계 S33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가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를 만족하는지 어떤지를 식별하여, 이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단계 S34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는 PDE(도 1을 참조; 40)와 통신 요청을 개시한다.
단계 S35에서, PDE(도 1을 참조; 40)는 참조 GPS 위성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로 전송하고, 단계 S36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한 후, 이 GPS 위성 신호를 PDE(도 1을 참조; 40)로 전송한다. 이 때, 이 GPS 위성 신호는 트래픽 채널중 음성 및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미사용 영역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단계 S37에서, PDE(도 1을 참조; 40)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로부터 전송된 GPS 위성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의 위치측위를 행하고, 단계 S38에서 PDE(도 1을 참조; 40)는 계측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LBS 서버(도 1을 참조; 5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시스템의 또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에 대한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 및 영역 범위를 설정하고(S41), LBS 서버(도 1을 참조; 50)는 이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 및 영역 범위를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로 전송한다(S42). 이 때, 이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 및 영역 범위는 트래픽 채널중 음성 및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미사용 영역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단계 S43에서,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가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를 만족하는지 어떤지를 식별하여,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를 만족하는 경우, 단계 S44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가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를 만족하는지 어떤지를 식별한다. 본 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가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를 만족하는지 어떤지를 식별한 후,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를 만족하는지 어떤지를 식별하였지만,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가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를 만족하는지 어떤지를 식별한 후,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를 만족하는지 어떤지를 식별하여도 무방하다.
단계 S44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가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단계 S45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는 PDE(도 1을 참조; 40)와 통신 요청을 개시한다.
단계 S46에서, PDE(도 1을 참조; 40)는 참조 GPS 위성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계 S47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한 후, 이 GPS 위성 신호를 PDE(도 1을 참조; 40)로 전송한다. 이 때, 이 GPS 위성 신호는 트래픽 채널중 음성 및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미사용 영역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단계 S48에서, PDE(도 1을 참조; 40)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로부터 전송된 GPS 위성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도 1을 참조; 10)의 위치측위를 행하고, 단계 S49에서 PDE(도 1을 참조; 40)는 계측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LBS 서버(도 1을 참조; 50)로 전송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요청 조건을 위치기반서비스 서버에 설정하면,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 요청 조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측위 서버와 통신 요청을 개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GPS 위성신호를 근거하여 상기 위치측위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측함으로써, 기지국시스템(BTS/BSC), 교환기(MSC), PDE 및 LBS 서버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보조 GPS(A-GPS)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 및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를 위치기반서비스 서버에 설정하면,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 또는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 및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 또는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 및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위치측위 서버와 통신 요청을 개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GPS 위성신호를 근거하여 상기 위치측위 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 또는 위치정보 요청 시간 주기 및 위치정보 요청 영역 범위는 트래픽 채널중 음성 및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미사용 영역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
KR1020030017165A 2003-03-19 2003-03-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 KR10056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165A KR100567659B1 (ko) 2003-03-19 2003-03-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165A KR100567659B1 (ko) 2003-03-19 2003-03-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574A KR20040082574A (ko) 2004-09-30
KR100567659B1 true KR100567659B1 (ko) 2006-04-04

Family

ID=3736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165A KR100567659B1 (ko) 2003-03-19 2003-03-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25B1 (ko) * 2005-05-17 2007-0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의 위치관리애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09510468A (ja) * 2005-10-06 2009-03-12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初期gps信号を取得する方法及びそれによるシステム
KR100775769B1 (ko) * 2006-06-27 2007-11-12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무선통신 환경에서 위치기반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574A (ko)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576B1 (ko) 이동 무선 통신 디바이스용 데이터 송신
US6490456B1 (en) Locating a mobile unit in a wireless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6002936A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network of terminal-based positioning method capabilities
US6801778B2 (en) Efficient location of mobile radiotelephones using cellular and GPS information
CN100399041C (zh) 位置信息的提供
KR20050041792A (ko) 이동통신망에서 중계기 시간 지연 판단 방법
CN102761901A (zh) 一种测量上报方法和设备
KR20060116257A (ko) 다중 네트워크 위치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EP2242313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positioning system performance during continuous positioning procedure
JP2011509396A (ja) Wwan/wlan位置推定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82309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ybrid mode positioning sche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308806C2 (ru) Доставка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в подвижную станцию в системе радиосвязи
KR100567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측위 방법
GB2410860A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Handover
KR100625431B1 (ko) 무선통신망에서의 단말기 위치결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279723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 전화기의 위치추적 방법
KR10042280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응형 위치 서비스 방법
KR20070066579A (ko) Gps를 이용한 물품 위치 안내 기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8076A (ko)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KR20100113586A (ko) Phs 네트워크에서 로케이트 및 보조 로케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1403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전송 조건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79468A (ko) 자동 위치 저장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와시스템
KR100954452B1 (ko) Agps를 지원하는 td-scdma 단말기의측위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7527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무선측위 서비스를 위한 신호의수신능력 개선 방법
KR1999003995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추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