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676B1 -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답안작성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답안작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676B1
KR100566676B1 KR1020060008372A KR20060008372A KR100566676B1 KR 100566676 B1 KR100566676 B1 KR 100566676B1 KR 1020060008372 A KR1020060008372 A KR 1020060008372A KR 20060008372 A KR20060008372 A KR 20060008372A KR 100566676 B1 KR100566676 B1 KR 100566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examinee
smart card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박주철
조동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스마텍
Priority to KR102006000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험관리기관의 고유식별번호와, 수험관리자 코드 및 답안입력시간범위 정보 등의 초기정보를 포함하는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로서, 스마트카드의 IC단자(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카드 통신부(101)와, 스마트카드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와 수험자에 의해 입력되는 답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5)와,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 카운터부(107)와, 키입력부(109)와, 수험자로부터 입력받을 각종 데이터를 위해 입력 양식과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1)와, 수험관리자의 단말기(30a) 또는 수험관리자용 스마트카드(30b)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통신부(113), 및 상기 구성요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15)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답안작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카드, 답안작성, OMR, CBT

Description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답안작성 방법{ ANSWER MARKING APPARATUS USING SMARTCARD AND THE ANSWER MARKING METHOD USING THI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환경을 나타낸 예시도,
도 1b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드와 답안작성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답안작성 장치의 기능적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답안작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 발명에 따른 답안작성 장치
101 : 카드 통신부 103 : 암복호화부
105 : 저장부 107 : 시간 카운터부
109 : 키입력부 111 : 디스플레이부
113 : 외부 통신부 115 : 제어부
117 : 전원부 10 : 편의수단
20a, 20b :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
30a : 수험관리자 단말기 30b : 수험관리자용 스마트카드
본 발명은 전자식 답안작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카드(SmartCard)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답안작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시험 방식을 살펴보면, 시험 관리자에 의해 배포된 OMR카드에 수험자가 답안을 마킹하고, 시험 관리자가 일괄적으로 OMR카드를 수거한 후, OMR판독기를 통해 채점하는 방식과, 모든 과정이 컴퓨터상에서 이루어지는 CBT(Computer Based Training) 방식 두 가지로 대분된다.
기본적으로 다량의 시험지 및 OMR카드가 요구되는 전자의 방식은, 번거로운 시행 절차, 예를 들어 수험관리자가 수험자의 신분증을 확인한 후 OMR카드의 확인란 또는 배포된 시험지의 확인란에 행하는 사인(Signature) 등의 절차와,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OMR카드의 훼손이 발생할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더욱이 OMR카드 판독시 오독(誤讀)(주로 수험자에 의한 마킹 실수에 기인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수험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불이익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CBT라는 후자의 방식이 도입되었는데, 이 CBT 방식은 컴퓨터상에서 수험자가 즉석에서 문제를 풀고, 답안을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시험이 완료됨과 동시에 성적 집계가 이루어지며, 그 관리 비용이 시험지와 OMR카드 기반의 방식보다 경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바, MCP나 노벨, 컴팩 등 유수의 IT전문 자격시험에 도입되었고 최근 토플(TOEFL)을 비롯한 각종 영어 검정시험까지 그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CBT 방식에 익숙하지 못한 수험자(특히, 컴퓨터 환경에 익숙하지 못한 수험자)들로서는 시험에 따른 기본적인 중압감 외에 시험 환경에 대한 부담감을 감수해야 하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경우 수험자는 자신의 실력에 대한 진정한 평가를 받을 수게 됨은 자명한 사실이다. 게다가 컴퓨터의 오류나 정전 등의 예기치 못한 상황 하에서는 원활한 시험 진행이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전국적으로 시행되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등의 경우 설비 구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상기 CBT 방식을 적용한다는 것은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감수해야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두 가지 시험방식의 장점을 통합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주요 목적은 사용자가 시험지 기반의 친숙한 시험환경에서 종래와 같이 수험자의 실수에 의한 오독이 발생할 우려 없이 해당 답안을 스마트카드(SmartCard)에 정확하게 저장 또는 기록할 수 있는 답안작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수험관리기관이 부여하는 수험관리자 코드 기반의 전자적인 승인절차가 이루어지는 답안작성 장치를 제공함에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시험 답안 작성 환경의 일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시험장에는 통상적으로 의자와 책상의 기능을 겸한 수험자 편의수단(10)이 마련되어 있다. 편의수단(10) 위에는 수험자별로 배포된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20a)와 본 발명에 따른 답안작성 장치(100)가 위치한다.
상기 답안작성 장치(100)는 도 1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카드타입의 스마트카드(20a)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카드 삽입구(S1)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슬롯 삽입구는 스마트카드의 종류에 상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도 1c의 'SIM'타입의 스마트카드(20b)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카드 삽입구(S2)가 그 일예이다. 본 실시예에서 답안작성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카드 삽입구(S1) 또는 제 2 카드 삽입구(S2)를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도 1d에서와 같이 카드타입 및 'SIM'타입의 스마트카드(20a, 2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20a, 20b)는 기본적으로 수험관리기관의 고유식별번호(예: 학교 코드) 그리고 수험관리자 코드, 테이블 형식의 답안입력 포맷, 답안입력시간범위 정보로 구성된 초기정보 등의 1차 발급정보(고유식별번호 + 초기정보)를 포함한 상태로 발급된 스마트카드로서, 수험관리기관별로 수험자 정보(예: 학생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 시험유형정보(예: 시험지 유형, 과목수, 객관식/주관식) 및 시험장 정보(소정 길이의 문자와 숫자로 조합된 코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답안입력 포맷에 따른 답안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답안입력시간범위 정보는 수험자의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험자가 정해진 시간에만 답안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이 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답안작성 장치(100)에 대한 기능적 구성도로서, 스마트카드(20a, 20b)의 IC단자(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국제표준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또는 독출하는 카드 통신부(101)와;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데이터 독출시 암호화된 데이터를 암복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복호화하는 한편 스마트카드에 데이터 입력시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하는 암복호화부(103)와; 스마트카드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와 수험자에 의해 입력되는 답안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105)와;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 카운터부(107)와; 국문, 영문, 숫자, 특수문자, 기능키(예: 국문/영문 변환키, 방향키) 등을 포함하여 수험자로부터 키 눌림 신호를 인지하는 키입력부(109)와; 통상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이 데이터를 시각화된 정보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1)와; 수험관리자의 단말기(30a)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통신부(113)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15);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7); 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카드 통신부(101)는 국제표준 프로토콜인 'ISO/IEC 7816' 규격에 따라 스마트카드(20a, 20b)와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이미 국제적으로 약정된 표준뿐만 아니라 차후 약정될 표준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 등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예컨대 교통카드나 신용카드 등의 결제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ISO/IEC 14443' 규격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RF태그의 판독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ISO 15693' 규격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근거리 양방향 통신에 적용되고 있는 'ISO/IEC 18092' 규격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등이 이에 해당한다.
부연하면 현재 실현되고 있거나 가까운 장래에 실현될 각종 표준 규격의 프로토콜들을 적용 가능함에 따라 본 발명의 카드 통신부(101)는 이들 규격에 따르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카드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타의 리더 장치(SmartCard Reader Device)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암복호화부(103)는 상술한 프로토콜에 의거한 암호화/복호화 알고리즘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혹은 별도의 알고리즘, 예를 들어 수험관리기관이 지정한 별도의 알고리즘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저장부(105)는 기본적으로 비휘발성의 메모리(예: EEPROM)로서, 스마트카드 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 예컨대 수험관리자 코드, 답안입력 포맷, 답안입력시간범위 정보 등의 초기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수험자가 키입력부(109)를 통해 입력하는 답안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입력되는 답안정보는 상기 답안입력 포맷에 부합하도록 저장된다.
시간 카운터부(107)는 자체적으로 시간을 카운팅(Counting)하는 기능, 특히 국제표준시간을 카운팅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리셋(Reset)이 되지 않도록 독립된 전원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카운팅되는 시간은 수험자가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서 답안을 입력하도록 하는 판단기준이 되며, 답안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시간정보(시각정보)로서 이용된다.
상기 키입력부(10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험자에 의한 키 눌림 신호를 인지하며, 키 배열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기능키를 통해 한글, 영문, 숫자 변환이 이루어지는 키패드(Key Pad)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기능키로서 방향키(←, →, ↑, ↓)가 포함되어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수험자로부터 입력받을 각종 데이터를 위해 소정의 입력양식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키입력부(109)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각종 오류메시지 또는 배터리 잔량 등을 표시한다.
외부 통신부(1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험관리자의 단말기(30a)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데, 특히 수험관리자 코드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내지는 상기 저장부(105)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험관리자의 단말기(30a) 또는 수험관리자용 스마트카드(30b)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수험자관리 코드는 수험관리자에 의한 수험자 개개인의 승인절차에 사용되며, 이것은 보통 시험개시 전에 이루어지는 수험관리자(감독관, Supervisor)가 수험자의 개인인증카드(주민등록증 또는 학생증)을 확인한 후, 배포된 시험지 또는 답안카드(OMR) 카드에 사인(Signature)을 행하는 등의 인위적 절차를 전자적 절차로 대체하는 것이라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험관리자의 단말기(30a)에는 수험관리기관에 의해 관리되는 수험관리자 코드가 기 저장되어 있어야 함은 자명하며, 외부 통신부(113)를 통해 전송되는 수험관리자 코드 외에, 수험관리자의 성명, 소속기관, 승인시각 등의 수험관리자 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말기(30a)와 외부 통신부(113) 간의 통신유효거리는 통상의 교통카드의 통신거리와 같이 근거리로 제한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통신거리가 제한되어야 하는 주된 이유는 수험장에는 수험자의 수에 상응하는 답안작성 장치가 배치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수험관리자 코드를 제공하는 단말기(30a)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험관리자별로 발급된 스마트카드(이하, '수험관리자용 스마트카드')(30b)로도 설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수험관리자용 스마트카드(30b)에는 상기 수험관리자 코드가 기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험관리자 코드는,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수험관리자의 단말기(30a) 또는 수험관리자용 스마트카드(30b)로부터 획득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수험관리자가 직접 키입력부(109)를 통해 수험관리자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5)는 기본적으로 각 구성요소(101 ~ 113)들을 제어함과 아울러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카드 통신부(101)를 통해 수험자의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20a 또는 20b)가 접속되었음을 감지하고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초기정보를 독출하여 저장부(105)에 저장한다. 이때 독출되는 초기정보는 앞서 언급했다시피 암호화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암복호화부(103)를 통해 복호화한 후 저장부(105)에 저장한다. 참고적으로 스마트카드의 데이터 입출력시에는 암복호화가 기본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언급을 생략한다.
이후, 키입력부(109)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카드(20a 또는 20b)에 대한 개인화 절차를 수행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수험자로부터 수험자정보를 비롯하여 시험유형정보와 시험장 정보를 입력받아 카드 통신부(101)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에 기록함으로써 개인화 절차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외부 통신부(113)를 통해 수험관리자 코드를 획득하여 상기 초기정보에 포함된 수험관리자 코드와 비교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승인절차를 수행한다. 승인절차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키입력부(109)를 통해 답안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답안입력 포맷에 따라 저장부(105)에 임시 저장하거나 또는 즉각적으로 스마트카드에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제어부(115)는 수험자에 의한 답안 입력을 답안 입력시의 시간 카운터(107)에서 생성되는 시간정보(시각정보)가 초기정보의 답안입력시간범위 내에 속할 경우에만 가능토록 한다. 이때 입력되는 답안정보와 는 입력시의 시간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수험자의 답안정보가 저장부(105)에 임시 저장되거나 입력시마다 즉각적으로 스마트카드에 기록(저장)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활한 답안 수정을 위해 답안정보 입력 완료 직전까지 저장부(105)에 임시 저장한 후, 일괄적으로 스마트카드에 기록되는 것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부연하여, 상기 답안정보 입력 완료 후 상기 저장부(105)에 임시 저장된 답안정보는 만에 하나 발생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의 손상을 대비하여 답안 채점 과정 종료 시점까지 저장 및 관리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전원부(117)는 각 구성요소의 안정적인 작동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배터리(Battery)를 기반으로 하는 전원부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참고적으로 근래의 배터리는 대용량의 특징을 가지는 바, 답안작성 시간 동안 충분한 작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 답안작성 장치(100)를 통한 구체적인 답안작성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3a를 살펴보면, 수험자가 배포된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20a 또는 20b)를 카드 삽입구(S1 또는 S2)에 삽입하면, 제어부(117)는 스마트카드가 카드 통신부(101)에 접속되었음을 인지하고 접속된 스마트카드의 정상여부를 확인한다(S301, S303). 정상인지 여부는 카드 통신부(101)를 통해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독출되는지 아닌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으며, 만약 정상이라면(S305), 스마트카드의 전술한 초기정보(수험관리자 코드, 답안입력 포맷, 답안입력시간범위 정보 등)를 독출하여 저장부(105)에 저 장한다(S307).
이어서 제어부(115)는 키입력부(109)를 통해 수험자로부터 수험자 정보를 비롯한 시험유형정보와 시험장 정보를 입력받아 스마트카드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스마트카드를 개인화시킨다(S309). 이후, 제어부(115)는 외부 통신부(113)를 통해 수험관리자의 단말기(30a) 또는 수험관리자용 스마트카드(30b)로부터 수험관리자 코드를 수신하거나, 수험관리자가 키입력부(109)를 통해 입력하는 수험관리자 코드를 수신하여(S311), 이를 상기 저장부(105)에 저장된 초기정보의 수험관리자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3).
제 S313 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한다면 제어부(115)는 상기 수험관리자 코드 및 수험관리자 정보를 스마트카드에 기록하며(S315), 키입력부(109)를 통해 수험자로부터 답안정보를 수신하고(S317), 답안정보의 입력시의 입력 시간정보를 시간 카운터부(107)를 통해 획득하여 그 시간정보가 저장부(105)에 기 저장된 답안입력시간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S319), 시간범위 내에 속한다면 상기 입력된 답안정보와 획득한 시간정보를 저장부(105)에 저장한다(S321).
전술한 제 S317 단계 내지 S321 단계는 답안정보 입력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제 S321 단계의 답안정보가 저장부(105)에 저장된 후, 답안정보 입력 완료시에 시간정보와 함께 일괄적으로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20a 또는 20b)에 기록되는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앞서 언급했다시피 저장부(105)에 저장됨과 동시에 스마트카드에 기록되는 것으로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S315 단계의 수험관리자 코드 및 수험관리자 정보가 스마트카드에 기록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저장부(105)에 임시로 저장된 후 답안정보 입력 완료시에 스마트카드에 저장되는 것으로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상기 수험관리자 코드 및 수험관리자 정보의 기록 시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S305 단계의 판단결과가 정상이 아니거나, 또는 제 S313 단계의 판단결과가 일치하지 아니하거나, 제 S319 단계의 판단결과 시간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5)가 그 각각에 상응하는 오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11)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시험지 기반의 친숙한 시험환경에서 해당 답안을 스마트카드(SmartCard)에 정확하게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인위적 승인절차와 달리 수험관리기관이 부여하는 수험관리자 코드 기반으로 신뢰성 있고 신속한 승인절차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답안입력 시간을 엄격히 통제함으로써 부정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수험관리기관의 고유식별번호와, 수험관리자 코드 및 답안입력시간범위 정보 등의 초기정보를 포함하는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로서,
    상기 스마트카드의 IC단자(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카드 통신부(101)와;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와 수험자에 의해 입력되는 답안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5)와; 시간정보를 생성하는 시간 카운터부(107)와; 키입력부(109)와; 수험자로부터 입력받을 각종 데이터를 위해 입력 양식과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1)와; 수험관리자의 단말기(30a) 또는 수험관리자용 스마트카드(30b)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통신부(113); 및 상기 구성요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5)는,
    상기 카드 통신부(101)를 통해 독출한 초기정보를 저장부(105)에 저장하며, 키입력부(109)를 통해 입력받은 수험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카드에 대한 개인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외부 통신부(113) 또는 키입력부(109)를 통해 획득한 수험관리자 코드와 상기 초기정보의 수험관리자 코드의 비교를 통해 승인절차를 수 행하며, 상기 키입력부(109)를 통해 답안정보를 입력받아 스마트카드에 기록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5)는,
    답안정보를 입력받을 시에 상기 시간 카운터부(107)로부터 생성된 시간정보가 상기 초기정보의 답안입력시간범위 정보 내에 속한다면 상기 답안정보와 시간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는 암복호화부(10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111)는,
    국문, 영문, 숫자, 특수문자와, 국문/영문 변환키 및 방향키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부(113)는,
    상기 저장부(105)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험관리자의 단말기(30a) 또는 수험관리자용 스마트카드(30b)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7. 제 1 항에 기재된 장치를 이용한 답안작성 방법으로서,
    (a) 제어부(115)가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의 초기정보를 독출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키입력부(109)를 통해 수험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외부 통신부(113)를 통해 수험관리자의 단말기(30a) 또는 수험관리자용 스마트카드(30b)로부터 수험관리자 코드를 수신하거나, 수험관리자가 키입력부(109)를 통해 입력하는 수험관리자 코드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초기정보의 수험관리자 코드와 비교한 후, 일치한다면 상기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에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가 키입력부(109)를 통해 답안정보를 수신하고, 시간 카운터부(107)로부터 획득한 시간정보가 상기 초기정보의 답안입력시간범위 정보 내에 속한다면 상기 답안정보를 상기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안작성 장치를 이용한 답안작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a) 단계 이전에,
    (a-1) 상기 제어부가 카드 통신부(101)에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가 접속되었음을 인지하는 단계; 및
    (a-2)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의 정상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안작성 장치를 이용한 답안작성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작성용 스마트카드에 저장되는 상기 제 (d) 단계의 답안정보는 상기 시간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안작성 장치를 이용한 답안작성 방법.
KR1020060008372A 2006-01-26 2006-01-26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답안작성 방법 KR10056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72A KR100566676B1 (ko) 2006-01-26 2006-01-26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답안작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72A KR100566676B1 (ko) 2006-01-26 2006-01-26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답안작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6676B1 true KR100566676B1 (ko) 2006-03-31

Family

ID=3718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372A KR100566676B1 (ko) 2006-01-26 2006-01-26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답안작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088B1 (ko) * 2018-12-18 2020-05-29 백태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및 채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088B1 (ko) * 2018-12-18 2020-05-29 백태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시험 및 채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69407A1 (en) Rfid reader/writer device
EP0115904A2 (en) Transaction terminal with simplified data entry
JPS6356785A (ja) 携帯可能記憶媒体処理装置
GB2201125A (en) Verification device
JPS61276061A (ja) 取引タ−ミナル
KR20080098358A (ko) 표시부가 제공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카드
US11334553B2 (en) Data logger for dental or medical autoclave
KR100566676B1 (ko)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답안작성 방법
US8543148B2 (en) Wireless assessment administration system and process
KR101095947B1 (ko) 무선통신 기반의 다기능 전자 신분증
RU2290695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одготовки и провед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голосования
US4852165A (en) Secu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identifier
KR20060103043A (ko) 시험 문제 단말기를 이용한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4545B1 (ko) 시험 응시 시스템 및 방법
PT2075726E (pt) Aparelho utilizável na autentificação de documentos, processo para utilização da aparelho, e documentos produzidos por tal processo, ou processos
JPH02162213A (ja) Icカードを使用する測定装置
CN211787090U (zh) 一种不可篡改的电子成绩单与考试信息的存储和查验系统
KR100906398B1 (ko) 바코드를 이용한 시험부정행위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13739A (ko)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답안채점 장치 및 이를 이용한답안채점 방법
JP3566340B2 (ja) 選挙端末装置
CN112749873A (zh) 安全执行数字化考试的方法和系统
KR100825909B1 (ko) 시험부정행위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Santos et al. Securing a health information system with a government issued digital identification card
Jamdade et al. Automatic Attendance System using Arduino and GSM Module
KR20130015105A (ko) 공용 혈압계를 이용한 개인혈압정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