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490B1 - 액자형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액자형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490B1
KR100564490B1 KR1020040016348A KR20040016348A KR100564490B1 KR 100564490 B1 KR100564490 B1 KR 100564490B1 KR 1020040016348 A KR1020040016348 A KR 1020040016348A KR 20040016348 A KR20040016348 A KR 20040016348A KR 100564490 B1 KR100564490 B1 KR 100564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er
frame
gear
fil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173A (ko
Inventor
구남식
김병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4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이나 코너부위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공기조화기와 연동하여 운전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는,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프레임(130)과,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110)과, 토출구(122,126)가 형성되는 전면프레임(120)과, 상기 토출구(122,12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200)가 포함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개폐장치(200)는 쌍으로 이루어지는 취부암(230)과, 서로 맞물려 연동하여 상기 취부암(230)의 좌우이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토출구(122)를 차폐하는 토출베인(124)을 좌우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후면프레임(130)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34)가 형성되어 공기정화기(100)가 건물 벽면 또는 코너에 걸어져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넬(110)에는 이미지(그림 또는 사진)가 부가되고, 아바타가 투시되는 아바타표시부(1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에서는 공기정화 능률이 향상되고, 실내공간이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정화기, 필터, 액자형, 후방흡입

Description

액자형 공기정화기{ Air purifier }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방외관을 보인 측면토출베인이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방외관을 보인 측면토출베인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후방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요부구성인 필터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요부구성인 필터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가 전면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와 측면토출베 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취부암의 정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취부암의 배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링크기어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제 2 기어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제 1 기어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배면커버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가 부착된 전면프레임의 배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가 측면토출베인을 닫은 상태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가 측면토출베인을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가 건물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 인 조감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가 공기조화기와 연동하여 운전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형 공기정화기가 건물 내벽의 코너(corner)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공기청정기 110. 전면판넬
112. 디스플레이창 114. 아바타창
120. 전면프레임 122. 측면토출구
124. 측면토출베인 126. 하면토출구
128. 하면토출베인 130. 후면프레임
132. 흡입그릴 134. 걸림돌기
134'. 걸림볼트 136. 보조통기공
138. 필터안착부 140. 필터장치
142. 필터어셈블리 144. 필터프레임
144'. 필터삽입부 150. 디스플레이부
152. 아바타표시부 154. 콘트롤창
156. 판넬걸이홈 160. 송풍팬
170. 오리피스 172. 오리피스공
174. 콘트롤박스 176. 오존발생기
178. 토출루브 200. 개폐장치
210. 전면커버 220. 배면커버
230. 취부암 240. 제 1 기어
250. 제 2 기어 260. 링크 기어
300. 스텝모터 S1. 가스센서
S2. 습도센서 S3. 먼지센서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면(코너부위 포함)에 설치되어 후방으로부터 외부(실내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다음, 여러방향으로 토출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기는 실내 공기 중에 함유된 각종 먼지, 가스, 악취, 연기와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에는 건물 실내의 일정부분(탁자 등)에 놓여져 사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는, 흡입그릴(12)이 전방측에 장착되고,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14)이 상측면에 형성되는 캐비닛(16)과, 상기 흡입그릴(12)의 내측에 장착되어 흡입그릴(12)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 가스 등 각종 불순물을 포집하는 필터(18)와, 상기 필터(18)가 끼워지는 고 정패널(20)과, 실내공기를 필터(18)측으로 불어 넣어주고 토출시키는 송풍압을 부여하는 송풍팬(22)과, 상기 송풍팬(22)이 내장되고 상기 캐비닛(16)의 내부에 장착되어 송풍팬(22)에 의해 발생된 송풍압을 가이드하는 팬 하우징(24)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패널(20)에 끼워지는 필터 장착구조는 필터(18)가 측방향에서 고정패널(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필터(18)의 상측면 및 하측면이 걸림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26)이 고정패널(20)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푸시버튼부(28)가 형성되고, 필터(18)의 타측면과 고정패널(20)의 측면 끝부분에는 필터(18)를 한번 누르면 걸림 작용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걸림작용이 해제되는 푸시 체결기구가 장착된다.
상기 푸시 체결기구는 필터(18)의 타측면에 돌출되는 록킹후크(30)와, 고정패널(20)의 측면에 장착되어 록킹후크(30)가 삽입되어 걸림 작용되는 록킹부재(32)로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필터 장착구조는 필터(18)를 고정패널의 가이드 홈(26)을 따라 측면에서 밀어 넣으면 필터에 형성된 록킹후크(30)가 고정패널에 장착된 록킹부재(32)에 삽입되어 걸림 작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푸시버튼부(28)를 다시 한번 누르면 록킹부재(32)에서 록킹후크(30)의 걸림이 해제되어 필터(18)가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공기정화기는 실내의 바닥면이나 테이블 등과 같은 일정한 위치에 올려놓아야 하므로, 공기정화기 설치에 필요한 별도의 바닥 공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벽면(또는 커버)에 용이하게 설치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정화기의 토출구가 토출구 개폐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는,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프레임과,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가 포함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토출구를 차폐하는 토출베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장치는 쌍으로 이루어지는 취부암과, 서로 맞물려 연동하여 상기 취부암의 좌우이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프레임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공기정화기가 건물 벽면 또는 코너(corner)에 걸어져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프레임의 전방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패널에는 이미지(그림 또는 사진)가 부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프레임에는 아바타가 표시되는 아바타표시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에서는 공기정화 능률이 향상되고, 실내공간이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의 전방 사시도가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로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의 후방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100)의 전면외관은 사각평판의 전면판넬(110)이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면판넬(110)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50)가 외부로 투시되는 디스플레이창(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디스플레이창(112)의 상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아바타표시부(152)가 투시된는 아바타창(11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창(112)과 아바타창(114)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의 상태가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판넬(110)에는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의 그림이나 사진과 같은 이미지(image)가 부가되기도 한다. 즉 사용자가 실내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해 유명한 화가의 사진을 상기 전면판넬(110)에 코팅 또는 인쇄에 의해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판넬(110)에 전자액자나 피디피(PDP;Plazma Display Panel)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예를 들어 개인의 인물사진이나 가족사진)이나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전면판넬(110)의 후방에는 전방을 커버하고 전면판넬(110)을 지지하는 전면프레임(1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넬(110)은 전면프레임(120)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 양측단에는 소정의 경사면(120')이 형성되고, 이러한 경사면(120')에는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측면토출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122)에는 공기정화기(10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측면토출베인(124)이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측면토출구(122) 내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토출루브(178)가 더 설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측에는 공기정화기(10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프레임(130)이 구비된다.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중앙부는 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후면프레임(130)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통기공(132')이 형성된 흡입그릴(1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후면프레임(130)에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장치(140)와 아래에서 설명할 각종 센서를 포함한 다수의 정화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필터장치(140)는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흡입그릴(132)에는 네개의 걸림돌기(134)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34)는 상기 흡입그릴(132)의 하단부 좌우측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걸림돌기(134)에는 걸림볼트(134')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림볼트(134')가 건물 벽면에 설치되는 설치판 의 걸림공에 삽입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공기정화기(100)가 건물벽면의 임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상단부분에는 전후를 관통하는 보조통기공(136)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통기공(136)은 아래에서 설명할 먼지센서(S3)나 가스센서(S1) 등에 외부(실내)의 공기가 용이하게 접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상기 전면프레임(120) 및 전면프레임(120)과 후면프레임(130) 사이에 설치되는 각 구성부품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정화된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하면토출구(126)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하면토출구(126)에는 하면토출베인(128)이 설치되어 하면토출구(126)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에는 공기정화기(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엘씨디(LCD) 또는 엘이디(LED)로 구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콘트롤박스(174)와 연결되어 공기정화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이러한 작동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상측에는 아바타표시부(15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아바타표시부(152)는 설정된 아바타가 표시되는 곳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와 마찬가지로 엘씨디(LCD;액정 표시 소자) 또는 엘이디(LED)로 구성된다.
상기 아바타표시부(152)에 표시되는 아바타는 이른바 '나의 분신'이라고 불 리는 사이버상의 캐릭터를 이르는 말로서, 인터넷이나 기타 외부기기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공기정화기(100)의 작동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 또는 표정의 아바타가 상기 아바타표시부(152)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 상단부에는 콘트롤창(154)이 형성된다. 상기 콘트롤창(154)은 아래에서 설명할 오리피스(170)에 구비되는 콘트롤박스(174)의 각종 부품이 돌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토출구개폐장치(200)가 더 설치되어 상기 측면토출베인(124)을 개폐한다. 그리고 전면프레임(120)의 상하 모서리부에는 상기 전면판넬(110)이 걸어져 고정되는 판넬걸이홈(15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후측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송풍팬(16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160)은 상기 흡입그릴(132)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팬(16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17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170)의 중앙부에는 상기 송풍팬(160)으로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공(172)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오리피스공(172)의 주위에는 상기 송풍팬(16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가이드(173)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가이드(173)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에 형성되는 토출구(122,126)의 위치 또는 형상에 따라 소정의 형태로 그리고 소정의 위치에 형 성된다.
상기 오리피스(170)의 전면 상단부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장되어 상기 송풍팬(16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 공기정화기(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박스(17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174)의 우측에는 오존발생기(176)가 설치된다. 상기 오존발생기(176)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오존(O3)을 발생시켜 흡입되는 공기중의 세균이나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어셈블리(142)에 서식하는 세균을 박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오리피스(170)의 좌우측단에는 상기 송풍팬(16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루브(178)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루브(178)는 소정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측면토출구(1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전면(내측면) 상단부에는 다수의 센서가 설치된다. 즉 상기 보조통기공(136)의 상측에 가스센서(S1), 습도센서(S2) 및 먼지센서(S3)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센서(S1)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보조통기공(136)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각종 가스류를 감지하여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스센서(S1)가 공기 오염도 측정값을 콘트롤박스(174)에 송신하고, 콘트롤박스(174)에서는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공기정화기의 작동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가스센서(S1)의 좌측에는 습도센서(S2)가 더 설치된다. 상기 습도센서(S2)는 상기 보조통기공(136)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습기를 측정하여 콘트롤박스(174)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습도센서(S2)의 좌측에는 먼지센서(S3)가 더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먼지센서(S3)는 공기중의 이물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콘트롤박스(174)의 제어부로 전달하여, 공기정화기(100)의 세기가 조절되게 한다.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장치(140)가 장착되는 필터안착부(138)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안착부(138)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필터장치(140)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선단부 좌우측단에는 필터장치(140)의 슬라이딩과 고정을 위한 필터가이드(138')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프레임(130)의 하단부분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장치(140)가 상방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필터착탈구(138")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안착부(138)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터장치(14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장치(140)는 다기능의 필터어셈블리(142)와, 상기 필터어셈블리(14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필터프레임(1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프레임(144)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42)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필터삽입부(144')가 필터어셈블리(142)의 외형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필터프레임(144)이 상기 후면프레임(130)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는 필터손잡이(144")가 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는 장방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삽입부(144')에 설치되며, 공기정화기(100)의 외부(실내공간)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는 다수개의 필터 결합체로 구성되어, 공기중의 이물 제거는 물론, 세균 박멸과 항균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는 도 7에 그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되는 공기속에 포함된 먼지 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142a)가 필터어셈블리(142)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프리필터(142a)는 상대적으로 큰 구멍을 가지는 망사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망사면에는 항균작용을 하도록 별도의 제품이 첨가되기도 한다.
상기 프리필터(142a)의 후측에는 프리필터(142a)를 통과한 미세먼지를 2차적으로 걸러주는 헤파(HEPA)필터(142b)가 구비된다. 상기 헤파필터(142b)는 항균효과를 가진 녹차의 카테킨 성분이 코팅된 고성능 필터로 0.3 마이크로미터(㎛)의 미세먼지도 거의 99.97%이상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헤파필터(142b)의 후측에는 공기중의 냄새입자를 1차적으로 걸러주는 탈취필터(142c)가 구비된다. 상기 탈취필터(142c)는 초강력 활성탄 필터가 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공기 중의 담배냄새와 음식냄새를 탈취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탈취필터(142c)의 후측에는 기존 탈취필터보다 탁월한 냄새제거력으로 김치냄새와 담배냄새 및 생선비린내 등을 말끔히 제거하는 카본나노볼(CNB)필터(142d)가 구비된다.
카본나노볼(CNB)은 2백~5백nm 크기의 구(球)형 탄소 구조체로 표면에 수 나 노미터 크기의 기공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높은 표면 흡착면적을 가진다. 이와 같이, 표면 흡착면적이 높다는 것은 악취 성분과 유기물질을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카본나노볼필터(142d)에 사용되는 카본나노볼은 실리카(Silica) 전구체를 이용한 7단계 합성 방법을 통해 탄소 구조체의 외피 두께와 기공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종 오염원 별로 흡착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카본나노볼필터(142d)에서는 탄소 구조체의 내부 빈 공간에 악취 물질을 분해하는 촉매를 첨가시킴으로써 오염물의 흡착과 분해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기존 활성탄에 비해 악취가스 제거 능력이 8~12배나 높으며 수질오염 물질 제거와 관련된 흡착력도 15배 이상 높다.
상기 카본나노볼필터(142d)의 후측에는 오존제거필터(142e)가 구비된다. 상기 오존제거필터(142e)는 공기중의 오존(O3)을 제거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오존발생기(176)에서 발생된 오존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이 되도록 한다.
상기 오존제거필터(142e)의 후측에는 필터어셈블리(142)의 후면을 형성하는 나노은필터(142f)가 구비된다. 상기 나노은필터(142f)는 지구상에서 항균성이 가장 강한 금속인 은을 망에 코팅하여 필터 구석의 세균번식까지 억제하도록 하는 것으로, 은으로 이루어진 나노실버가 나노실리카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나노은필터(142f)는 수지로 형성되는 망에 나노은을 코팅처리하거나, 수지로 망을 형성할 때 나노은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한편 상기 필터어셈블리(142)의 전방에는 별도의 에어필터(14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146)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일차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프리필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에어필터(146)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142)에는 프리필터(142a)가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전면프레임(120)에는 상기 측면토출베인(124)을 유동시켜 측면토출구(122)를 개폐하는 토출구 개폐장치(200)가 구비되며, 도 8에는 이러한 토출구 개폐장치(200)의 설치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8에는 상기 토출구 개폐장치(20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 개폐장치(200)는 전면커버(210)와 배면커버(220)에 의해 보호되며, 측면토출베인(124)이 상기 개폐장치(200)의 양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토출베인(12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취부암(230)에 결합되는 걸림고리(410)가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전면커버(210)의 후측에는 좌우로 유동되는 취부암(230)이 구비된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취부암(230)은 부메랑과 유사한 형태를 이루며, 두 개가 한 쌍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양 끝단에 상기 측면토출베인(124)에 구비된 걸림고리(410)와 결합되기 위한 걸림후크(23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취부암(23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기 측면토출베인(124)를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사상이 적용되는 모든 형상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취부암(230)의 대략 중앙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 또는 하측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타이랩 기어(23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랩 기어(234)의 하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취부암(230)이 수평하게 좌우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가이드 홈(232)이 포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타이랩 기어(234)의 상부 또는 하부면에 형성된 기어이는 후술하게 될 제 1 기어의 기어이와 맞물린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타이랩 기어(234)는 좌우로 왕복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타이랩 기어(234)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수평하게 형성되는 타이랩 기어 안내홈(235)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235)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타이랩 기어(234)가 상기 취부암(23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상기 취부암(230) 상측면(전면)을 지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취부암(230)의 배면을 살펴 보면, 상기 수평 가이드홈(232)의 상측부에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는 취부암 가이드 리브(236)가 형성된다. 상기 취부암 가이드 리브(236)는 상기 수평 가이드 홈(23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취부암(230)이 좌우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왕복운동 할 수 있고, 궤도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개폐구조를 구성하는 링크기어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크 기어(260)는 수직 상하방 운동하며, 일측면에 제 2 기어이(266) 및 제 1 기어이(26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기어이(265) 는 상기 개폐장치를 구동하는 모터(후술함)와 연결된 제 2 기어(후술함)와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 받는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링크 기어(260)는 수직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 기어(260)의 수직 상하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 2 기어이(266)와 맞물린 제 1 기어(후술함)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취부암(230)에 구비된 타이랩 기어(234)가 좌우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 기어(260)의 대략 중앙부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수직 가이드 홈(261)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 홈(261)은 후술하게 될 하부 커버에 고정 형성된 수직 가이드 리브가 삽입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 리브와 상기 수직 가이드 홈(261)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링크 기어(260)가 수직 상하 운동하면서 궤도를 이탈하지 않도록 도와 준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구조의 구성요소인 제 1 기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14는 상기 개폐구조의 구성요소인 제 2 기어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2 기어(250)는 기어축(251)과, 상기 기어축(25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최상부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상기 타이랩 기어(234)에 형성된 기어이와 맞물리는 상부 기어이(252)와, 상기 상부 기어이(252)의 하측에 상부 기어이(25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링크 기어(260)에 형성된 제 2 기어이(266)와 맞물리는 하부 기어이(253)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250)는 상기 링크 기어(260)의 상하 운동에 의하여 상기 하부 기어이(253)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하부 기어이(25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 기어이(25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기어이(252)와 맞물려 있는 상기 타이랩 기어(234)가 좌우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기어(240)에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배면에 장착되는 스텝 모터(후술함)의 축에 연결되는 기어축(241)과, 상기 기어축(241)의 외주면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는 기어이(242)가 구비된다.
상기 스텝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기어축(24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기어축(2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이(242)와 맞물리는 상기 링크 기어(260)의 제 1 기어이(265)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개폐장치가 안착되는 배면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배면커버(220)는 상하측 및/또는 좌우측 테두리에 커버 고정 리브(221)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210)와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상기 커버 고정 리브(221)는 상기 전면커버(210)의 테두리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상기 배면커버(220)는 중심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어(240)의 기어축(241)이 관통되도록 하는 제 2 기어 관통홀(243)과, 상기 제 2 기어 관통홀(243)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기어(250)의 기어축(251)이 관통되도록 하는 제 1 기어 관통홀(254)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링크 기어(260)의 측면에 접하는 부분에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가지고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링크 기어(260)가 좌우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링크 기어 측면 이탈 방지리브(2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 기어(260)가 최하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링크 기어(260)의 저면에 접하는 부분에 소정의 길이와 높이를 가지고 수평하게 형성되는 하부 이탈 방지 리브(264)가 더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 이탈 방지 리브(264)는 상기 링크 기어(260)가 상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상기 링크 기어(260)가 최대로 하강할 수 있는 한계를 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배면커버(22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취부암(230)의 외측면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취부암 이탈 방지 리브(2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취부암 이탈 방지 리브(222)는 상기 측면토출베인(124)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취부암(230)이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며, 상기 취부암(23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취부암 이탈 방지 리브(222)는 상기 취부암(230)이 바깥쪽으로 최대한 벌어질 수 있는 한계를 설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취부암(230)이 좌우 이동 가능 구간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면커버(220)의 하측 좌우측에는 상기 취부암(230)의 하측에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 가이드 홈(232)에 삽입되는 수평 가이드 보스(233)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 보스(233)의 상측부에는 취부암 가이드 리브(236)가 삽입되어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취부암 가이드 레일(224)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가이드 보스(233)는 상기 수평 가이드(232)에 삽입되어 상기 취부암(230)이 항상 동일한 구간을 좌우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취부암 가이드 리브(236) 또한, 상기 취부암 가이드 레일(224)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취부암(230)이 동일 구간을 왕복운동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 1 기어관통홀(254)의 상측 및 하측에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타이랩 기어 가이드 리브(223)가 형성된다. 상기 타이랩 기어 가이드 리브(223)는 상기 타이랩 기어(234)가 상기 제 2 기어(250)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타이랩 기어(234)의 상측 및 하측면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타이랩 기어(234)가 상기 제 2 기어(250)와 맞물린 상태에서 좌우 왕복 운동 하는 과정 중에, 상기 타이랩 기어(234)가 상기 제 2 기어(2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가 부착된 전면 프레임의 배면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20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는 정회전 및 역회전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스텝모터(300)가 사용된다.
상기 스텝 모터(300)는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상측부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스텝 모터(300)의 모터축은 상기 제 1 기어(240)의 기어축(241)과 연결되어, 상기 스텝 모터(300)의 회전력을 상기 링크 기어(260)에 전달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100)가 작동되면, 상기 측면토출베인(124)과 하면토출베인(128)이 상기 측면토출구(122)와 하면토출구(126)를 각각 개방하게 되며, 상기 팬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160)이 회전되면서 상기 후면프레임(130)에 형성된 흡입그릴(132)을 통해 실내 공간의 공기가 공기정화기(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정화기(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필터(146)를 거쳐 필터어셈블리(142)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는 다수의 필터 결합체로 구성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필터어셈블리(142)에 의해 공기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은 물론 냄새까지도 제거된다.
즉 상기 프리필터(142a)에서는 흡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먼지가 1차적으로 걸러지며, 이러한 프리필터(142a)를 통과한 미세먼지는 상기 헤파(HEPA)필터(142b)에 의해 0.3 마이크로미터(㎛)의 미세먼지도 99.97%이상이 거의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헤파필터(142b)를 통과한 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냄새입자 등은 1차적으로 상기 탈취필터(142c)에 의해 제거된 다음, 이러한 탈취필터(142c)보다 더 강력한 냄새제거력을 구비한 카본나노볼(CNB)필터(142d)에 의해 재차 제거된다.
상기 오존제거필터(142e)에서는 오존발생장치(80)에서 발생된 오존이 제거되고, 상기 나노은필터(142f)에서는 필터에서의 세균번식까지 억제된다.
한편 상기 오존발생기(176)에서는 오존이 발생되어 상기 흡입그릴(132)을 통 해 유입되는 흡입공기에 분사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존(O3)이 흡입되는 공기와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를 살균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를 통과하면서, 이물과 냄새가 제거된 정화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170)에 의해 안내되어 송풍팬(160)의 중앙부로 유입된 다음, 송풍팬(160)의 원심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송풍팬(16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측면토출구(122) 및 하면토출구(126)를 통해 외부(실내공간)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토출구(122)와 하면토출구(126)를 개폐하는 측면토출베인(124)과 하면토출베인(128)은 별도로 작동되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기의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상기 측면토출구(122)와 하면토출구(126)가 모두 개방되도록 하고, 취침시와 같이 공기정화가 그다지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하면토출구(126)는 닫히게 하고, 상기 측면토출구(122)만 개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정화기(100)를 장시간 사용한 다음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142)를 교환하여야 하며, 이때에는 상기 필터프레임(144)에 형성된 필터손잡이(144")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하방으로 내려 필터장치(140)를 상기 후면프레임(13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필터어셈블리(142)에 다수개의 필터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한꺼번에 다수의 필터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새로운 필터어셈블리(142)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분리의 역순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100)의 애프터서비스를 위해서는 상기 전면판넬(110)의 분리만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120)에는 상기 콘트롤박스(174)가 돌출되는 콘트롤창(154)이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0) 및 아바타표시부(152)도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면판넬(110)의 분리만으로 대부분의 애프터서비스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토출베인(124)은 상기 토출구 개폐장치(200)에 의해 개폐되는데, 이러한 개폐장치(200)의 작동상태가 도 17과 도 18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토출구가 닫힌 상태에서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기 토출구가 열린 상태에서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토출구 개폐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측면토출베인(124)이 열리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공기정화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면프레임(120)의 배면에 장착된 스텝모터(300)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텝모터(300)가 작동하면, 상기 스텝모터(300)와 축연결된 제 1 기어(2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 기어(24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기어(240)와 맞물린 제 1 기어이(265)가 상승하게 되어, 상기 링크 기어(260)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 기어(260)가 상승함에 따라서, 상기 제 2 기어(25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2 기어(250)의 하측에 맞물린 좌측 타이랩 기어(234)가 우측으로 이 동되면서, 좌측에 구비된 취부암(230)도 좌측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상기 제 2 기어(250)의 상측에 맞물린 우측 타이랩 기어(234)는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우측에 구비된 취부암(230)은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토출베인(124)이 닫히는 과정은 상기 스텝 모터(300)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기어(2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측면토출베인(124)이 열리는 단계를 역으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정화기(100)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와 연동하여 운전되도록 구성되기도 하며, 도 19 및 도 20에는 이러한 공기조화기와 공기정화기(100)가 연동하여 운전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R) 등을 이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310)를 동작시키면, 상기 실내기(310)에 내장된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신호가 송신되고, 이러한 신호는 마주보고 있는 상기 공기정화기(100)의 신호수신부에 수신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정화기(100)의 신호수신부에 실내기(310)의 작동 신호가 수신되면 공기정화기(100)의 작동이 시작된다.
이때 상기 실내기(310)와 연통되어 있는 실외기(320)도 동시에 작동되고, 상기 실내기(310)의 작동이 정지되면 이러한 신호가 상기 공기정화기(100)에 전달되어 공기정화기(100)의 작동도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기(100)와 더불어 별도의 공기청정기(330)가 실내에 구비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안방의 일측 벽면에 액자형 공기청정기(330)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정화기(100)의 작동과 마찬가지로 상기 실내 기(310)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내의 안방에 다른 액자형 공기조화기(310')가 설치되어 함께 연동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정화기(100)는 건물 내부의 코너(corner)에도 설치 가능하다.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코너(corner)와 대응되는 장착판(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한 다음 상기 후면프레임(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34)와 걸림볼트(134')를 이용하여 장착판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기(100)의 아바타표시부(152)에는 다양한 표정의 아바타가 등장하여 현재의 실내상태를 표현한다. 즉 상기 보조통기공(136)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센서(S1,S2,S3)에 의해 실내공기의 상태가 감지되고, 이러한 실내공기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아바타의 표정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실내의 공기가 비교적 청정한 상태인 경우에는 아바타가 밝게 웃는 모습이 표현되고, 반대로 실내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인 경우에는 아바타가 울거나 찡그린 표정을 갖는 등 다양한 모양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정화기(100) 내부에는 녹음 기능이 구비되기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거나 별도의 음향을 녹음하여 설정된 음성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자신만의 목소리로 공기정화기(100)의 작동상태 및 현 실내의 상태를 안내하거나 별도의 멜로디를 이용하여 작동상태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바타는 공기조화기의 제품이 출시되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프로그램화되어 출시되지만, 차후에 사용자가 임의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외부 기기를 통해 아바타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에 의하면, 후방으로부커 외부(실내공간)의 공기가 흡입되어 측방과 하방으로 토출된다. 또한 측방 또는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에서는 공기의 정화능력이 향상되고, 정화된 공기의 토출영역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전면패널을 전면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며, 전면패널의 분리만으로 콘트롤박스 등의 내부 수리가 가능하므로 애프터서비스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기는 후면프레임에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와 걸림볼트에 의해 실내의 벽면 특히 코너(corner)에도 설치가능하다. 따라서 실내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나 공기청정기 등과 연동하여 운전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실내공간의 공기조화가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기기에 의해 총체적으로 이루어지진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 주거공간의 창출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전면패널에는 가족의 사진이나 유명한 화가의 그림을 부가할 수 있으므로, 실내공간의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독특한 나만의 아바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구매욕 향상이 기대된다.

Claims (7)

  1.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전면판넬의 후방에 구비되어 전면판넬을 지지하며,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후측에 구비되며,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장치와;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개폐장치는,
    쌍으로 이루어지는 취부암과, 서로 맞물려 연동하여 상기 취부암의 좌우이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토출구를 차폐하는 토출베인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전면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스텝모터에 의해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흡입그릴이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공기정화기가 건물 벽면 또는 코너(corner)에 걸어져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에는 이미지(그림 또는 사진)가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에는 아바타가 표시되는 아바타표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형 공기정화기.
KR1020040016348A 2004-03-11 2004-03-11 액자형 공기정화기 KR100564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348A KR100564490B1 (ko) 2004-03-11 2004-03-11 액자형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348A KR100564490B1 (ko) 2004-03-11 2004-03-11 액자형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173A KR20050091173A (ko) 2005-09-15
KR100564490B1 true KR100564490B1 (ko) 2006-03-29

Family

ID=3727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348A KR100564490B1 (ko) 2004-03-11 2004-03-11 액자형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560B1 (ko) * 2006-11-06 2013-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972A (ko) * 2001-05-22 2002-1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972A (ko) * 2001-05-22 2002-1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그릴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173A (ko)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256B1 (ko) 액자형 공기정화기
KR101076957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90B1 (ko) 액자형 공기정화기
KR100587092B1 (ko) 액자형 공기정화기
KR100575318B1 (ko) 액자형 공기정화기
KR100633181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KR100564491B1 (ko) 액자형 공기정화기
KR10056449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200347252Y1 (ko) 조명액자형 공기 청정기
KR20050106153A (ko) 액자형 공기정화기
KR100564493B1 (ko) 공기청정기
KR200391623Y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88B1 (ko) 공기청정기
KR100687360B1 (ko) 공기청정 시스템
KR20050089934A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구조
KR20060111027A (ko) 공기청정기
KR100575315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87B1 (ko) 공기청정기
KR100564476B1 (ko) 공기청정기
KR100575308B1 (ko) 공기청정기
KR20050089447A (ko) 공기청정기
KR100564479B1 (ko) 공기청정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60112756A (ko) 공기청정기
KR100633183B1 (ko) 공기청정기
KR20050087231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