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293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293B1
KR100564293B1 KR1020050111175A KR20050111175A KR100564293B1 KR 100564293 B1 KR100564293 B1 KR 100564293B1 KR 1020050111175 A KR1020050111175 A KR 1020050111175A KR 20050111175 A KR20050111175 A KR 20050111175A KR 100564293 B1 KR100564293 B1 KR 10056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elevating
rack
pinion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11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뚜껑과; 중심에 통공이 형성되어 내주연 상단에 맨홀뚜껑이 안착되고 외측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거치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체로, 상단에는 거치대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너트로 채결되는 체결볼트가 돌출되고, 통공의 연장선상에 출입공이 형성되며, 좌우 내측면 중심부에는 상하부로 길게 래크기어가 돌출형성된 승강몸체와;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로부터 승강몸체 내측면이 외측면에 끼워지는 사각통체로, 상부 외주연에는 승강몸체가 승강되는 승강요부가 형성되며, 상단 좌우측 외면에는 래크기어가 위치되는 래크장홈이 형성되고, 래크장홈 내측에는 래크기어에 이맞춤되는 피니언기어가 축결합되며, 피니언기어는 고정걸쇠에 의해 회동고정되는 승강핸들에 의해 구동된 승강구동기어의 회동력을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승강종기어를 구동시키고, 이에 이맞춤된 피니언종기어를 구동시킴으로써 피니언축에 의해 구동되는 고정몸체를 구비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에 관한 것이다.
맨홀뚜겅, 거치대, 승강몸체, 래크기어, 고정몸체, 피니언기어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Manhole structure for adjustment the hight}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승강몸체와 고정몸체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승강몸체와 고정몸체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고정몸체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고정몸체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몸체 11 : 승강핸들
11a : 고정걸쇠 12 : 피니언기어
13 : 피니언축 14 : 피니언종기어
15 : 승강구동기어 16 : 동력전달수단
17 : 승강종기어 18 : 래크장홈
19 : 승강요부 20 : 승강몸체
21 : 래크기어 22 : 출입공
23 : 체결볼트 24 : 너트
30 : 거치대 31 : 통공
32 : 체결공 40 : 맨홀뚜껑
41 : 구멍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형의 변형에 능동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맨홀을 설치할 수 있고, 또 맨홀 높이 조절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강한 외부충격에도 변형의 우려가 전혀 없어 구조적으로 안정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에 관한 것이다.
맨홀(Manhole)은 노면(路面)에 지하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게 만든 구멍으로, 설치하는 장소는 관의 굵기 ·방향이 바뀌는 곳, 기점이나 교차점,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에 설치되며, 통풍이나 관거(管渠)의 연락에도 이용된다. 모양은 시공하기가 수월한 원형이 가장 많고, 이 밖에 사각형 ·타원형 등도 있다. 입구는 주위를 철로 만든 틀이나 돌로 테두리를 두르고, 보통 지름이 60cm 정도인 주철 또는 철근 콘크리트제(製)인 원형 뚜껑을 덮는다. 본체는 콘크리트 또는 벽돌로 만들며, 통로 구멍의 안지름은 1∼1.2m인 것이 많다. 바닥은 관로의 바닥과 같게 하거나, 다소 내려서 침전물을 수용할 수 있게 만든다. 깊이는 관로의 깊이에 따라 다르지만, 깊은 것은 100m가 넘는 것도 있다
통상적으로 맨홀덮개의 설치 기준은 첫째로, 뚜껑 상면과 지면의 높이를 동 일하게 하는 것과, 둘째로 그 상태(뚜껑 상면과 지면이 평평한 상태)가 항상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준으로 맨홀덮개를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도로공사(주로 덧씌우기 공사 등)나 그 밖의 이유(지면침하로 인한 뚜껑돌출 등)로 뚜껑 상면과 지면이 평평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에, 위와 같이 맨홀덮개 상면과 지면의 높이가 달라졌을 경우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맨홀을 폐쇄하거나 그 높이를 보정하는 방법이 동원되었다. 즉, 맨홀덮개 상면이 지면에서 함몰되었을 경우에는 맨홀을 묻어버렸고, 맨홀덮개 상면이 지면에서 돌출되었을 경우에는 별도의 공사를 통해 뚜껑의 높이를 보정하였다.
그렇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맨홀 폐쇄방법이나 뚜껑의 높이 보정방법은 막대한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되었고, 또한 상수관로 등에 제수변을 또다시 설치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도 동반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맨홀덮개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맨홀철개가 개발되었으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생산원가가 높은 폐단이 있었고, 한편 그 작동도 용이하게 할 수 없었음은 물론 원할하지도 못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수변에 대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제수변은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 등과 같은 관로(메인관로 또는 분기관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기 맨홀에 의해 노출되며, 그 기능은 어느 한곳의 관로를 교체하거나 누수로 인하여 관로를 수리하고자 할 때 그 작업을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즉, 일정 구간의 관로에 흐르는 상수 등의 흐름을 차단시 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맨홀을 미리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뿐만 아니라, 하수관측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일반가정이나 상가의 배수관측으로 역류하여 입주민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등, 생활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배수관 및 하수관과 맨홀의 접합부가 견고히 밀폐되지 못하여 오수 또는 하수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관측에서 유입된 부유물이 맨홀의 내부 또는 하수관에 적체되어 맨홀 및 하수관이 빈번히 막혀 배수시설을 유지, 보수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덮개로 구성된 맨홀에 있어서; 맨홀 몸체의 내주면을 종방향으로 절개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돌기의 상측부에 몸체의 접선방향으로 관통하되 몸체의 중심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핀 삽입공과; 양측단에 체결구를 형성하여 핀 삽입공에 삽입하는 핀과; 상측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한 다수의 걸림돌기를 외주면에 형성함과 아울러 맨홀 몸체의 안내홈에 상기 걸림돌기를 핀에 걸쳐질 수 있도록 삽입하여 설치하는 덮개받침과; 덮개받침의 상측에 덮개가 안치되도록 안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맨홀 몸체를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와 유출구가 형성된 하부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부와 하부가 접하는 하부의 상단에 받침턱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하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상측보다 하측의 직경이 작고 상측단에는 걸림편을 형성한 악취차단통과, 망사체로서 상단에 견인줄이 형성된 걸림편을 형성한 거름망을 형성하되, 악취차단통 및 거름망의 각 걸림편을 상기 받침턱에 안치하여 설치하며, 외주면에 패킹을 끼운 배수관이 삽입되는 유입구의 내주면은 몸체의 중심부측 내경이 작게 테이퍼지도록 형성하되, 유입구의 종단측에 다수의 절개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외주면에 밴드가 결속되는 요홈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패킹을 끼운 하수관이 삽입되는 유출구는 내관과 외관으로 형성하여 이중관으로 형성하되, 내관은 몸체의 중심부측으로 확관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고, 외관은 직선형으로서 종단측에 다수의 절개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외주면에 밴드가 결속되는 요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이 실용신안등록 제20-0356471호로 등록공고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맨홀 높이조절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제조비용이 상승됨으로 인해 가격경쟁력이 낮아지고,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충격에 의해 맨홀덮개이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덮개를 중앙의 수장공에 수장하면서 지지편으로 그 수장이 유지되도록 하는 덮개판으로 구성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가 상부에 결합되는 매설용 철개본체로 이루어지는 맨홀철개에 있어서, 철개본체 내벽 둘레의 돌출부에 나사공 수개를 등간격 형성한 후 각각의 나사공 상단에 일정깊이의 확장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 나사공에는 일정위치에 받침편이 형성된 조절보울트의 나사부를 각기 체결하여 받침편 상면에 덮개판의 지지편이 얹혀지도록 하되, 조절보울트 상단의 고정체결부를 덮개판의 지지편을 거쳐 덮개 외면의 안착홈까지 관통되도록 하여 덮개 외면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너트가 체결되도록 하여서된 제수변용 맨홀철개의 덮개체 높이 조절 장치가 공개특허 10-2004-0070864호로 특허공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맨홀 높이조절장치는 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격이 좁아 그 적용범위가 적고, 그 이상으로 간격을 벌리면 내부 오수의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며, 조절볼트로만 맨홀덮개와의 간격을 벌리면서 지지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강도가 무척 취약하여 강한 외부 충격에 의해 조절볼트가 변형될 우려가 있고 이에 따라 중량이 큰 대형차량의 통과시 맨홀덮개가 일측으로 기울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충격에 의해 맨홀덮개가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형의 변형에 능동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맨홀을 설치할 수 있고, 또 맨홀 높이 조절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강한 외부충격에도 변형의 우려가 전혀 없어 구조적으로 안정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맨홀뚜껑과;
중심에 통공이 형성되어 내주연 상단에 맨홀뚜껑이 안착되고 외측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거치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체로, 상단에는 거치대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너트로 채 결되는 체결볼트가 돌출되고, 통공의 연장선상에 출입공이 형성되며, 좌우 내측면 중심부에는 상하부로 길게 래크기어가 돌출형성된 승강몸체와;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로부터 승강몸체 내측면이 외측면에 끼워지는 사각통체로, 상부 외주연에는 승강몸체가 승강되는 승강요부가 형성되며, 상단 좌우측 외면에는 래크기어가 위치되는 래크장홈이 형성되고, 래크장홈 내측에는 래크기어에 이맞춤되는 피니언기어가 축결합되며, 피니언기어는 고정걸쇠에 의해 회동고정되는 승강핸들에 의해 구동된 승강구동기어의 회동력을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승강종기어를 구동시키고, 이에 이맞춤된 피니언종기어를 구동시킴으로써 피니언축에 의해 구동되는 고정몸체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승강몸체와 고정몸체의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승강몸체와 고정몸체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고정몸체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고정몸체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 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는, 다수개의 구멍(41)이 형성된 맨홀뚜껑(40)과, 맨홀뚜껑(40)이 안착고정되는 거치대(30)와, 상단에 거치대(30)가 고정되고 고정몸체(10) 상부 외측면에서 승강되는 승강몸체(20)와, 상부 외주연에 승강몸체(20)가 안착되어 승강핸들(11)에 의해 승강몸체(20)를 승강시키는 고정몸체(10)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30)는 중심에는 통공(31)이 형성되어 내주연 상단에 맨홀뚜껑(40)이 안착되고, 외측에는 다수개의 체결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몸체(20)는, 하부의 고정몸체(10) 상부 외측면에 끼워져 승강되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체로, 상단에는 거치대(30)의 체결공(32)을 관통하여 너트(24)로 채결되는 체결볼트(23)가 돌출되고, 통공(31)의 연장선상에는 출입공(22)이 형성되며, 좌우 내측면 중심부에는 상하부로 길게 래크기어(21)가 각각 돌출형성된다.
상기 고정몸체(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로부터 승강몸체(20) 내측면이 외측면에 끼워지는 사각통체로, 상부 외주연에는 승강몸체(20)가 승강되는 승강요부(19)가 형성되며, 상단 좌우측 외면에는 래크기어(21)가 위치되는 래크장홈(18)이 형성되고, 래크장홈(18) 내측에는 래크기어(21)에 이맞춤되는 피니언기어(12)가 축결합되며, 피니언기어(12)는 고정걸쇠(11a)에 의해 회동고정되는 승강핸들(11)에 의해 구동된 승강구동기어(15)의 회동력을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16)에 의해 승강종기어(17)를 구동시키고, 승강종기어(17)는 이맞춤된 피니언종기어(14) 를 구동시킴으로써 피니언축(13)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거치대(30)의 체결공(32)에 승강몸체(20) 상단의 체결볼트(23)를 관통시킨 다음, 너트(24)로 체결시키면서 거치대(30)는 승강몸체(20)의 출입공(22) 연장선상에 통공(31)을 위치시키 상태로 체결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몸체(10)를 지중에 고정시킨 다음, 고정몸체(10)의 승강요부(19)에 승강몸체(20)를 서서히 하강시키면 된다. 이때, 승강몸체(20)의 좌우측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래크기어(21)는 고정몸체(10)의 좌우측 외측면에 형성된 래크장홈(18)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고정몸체(10) 상부 외측면에 승강몸체(20)가 위치되면, 작업자는 출입공(22)을 통해 고정몸체(10) 내부로 들어가서, 승강핸들(11)을 회동시켜서 승강구동기어(15)를 구동시키고, 이에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16)을 거쳐서 승강종기어(17)를 회동시키면, 이에 기어이맞춤된 피니언종기어(14)를 구동시킴으로써 피니언축(13)을 통해 피니언기어(12)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승강핸들(11)에 의해 피니언기어(12)가 좌우측에서 각각 구동되면, 이에 이맞춤된 승강몸체(20)의 래크기어(21)는 상승되어 승강몸체(20)는 고정몸체(10)에서 서서히 상부로 상승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거치대(30)의 상단이 지표면과 동일평면에 위치되면, 작업자는 승강핸들(11)을 고정걸쇠(11a)로 고정시키고 출입공(22)을 통해 외부로 나와 거치 대(30)의 통공(31) 내주연에 맨홀뚜껑(40)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렇게 적당한 위치로 승강몸체(20)를 적절히 상승이동시킨 다음에는 고정몸체(10)의 승강요부(19)에 별도의 지지링(도시않음)을 끼워맞춰 승강몸체(20) 하단과 고정몸체(10) 사이의 틈새를 매움으로써 고정몸체(10)의 승강요부(19) 상에서 승강몸체(20)를 더욱 완강히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형의 변형에 능동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맨홀을 설치할 수 있고, 또 맨홀 높이 조절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강한 외부충격에도 변형의 우려가 전혀 없어 구조적으로 안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맨홀뚜껑과;
    중심에 통공이 형성되어 내주연 상단에 맨홀뚜껑이 안착되고 외측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거치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통체로, 상단에는 거치대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너트로 채결되는 체결볼트가 돌출되고, 통공의 연장선상에 출입공이 형성되며, 좌우 내측면 중심부에는 상하부로 길게 래크기어가 돌출형성된 승강몸체와;
    상부가 개방되어 상부로부터 승강몸체 내측면이 외측면에 끼워지는 사각통체로, 상부 외주연에는 승강몸체가 승강되는 승강요부가 형성되며, 상단 좌우측 외면에는 래크기어가 위치되는 래크장홈이 형성되고, 래크장홈 내측에는 래크기어에 이맞춤되는 피니언기어가 축결합되며, 피니언기어는 고정걸쇠에 의해 회동고정되는 승강핸들에 의해 구동된 승강구동기어의 회동력을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승강종기어를 구동시키고, 이에 이맞춤된 피니언종기어를 구동시킴으로써 피니언축에 의해 구동되는 고정몸체를 구비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
KR1020050111175A 2005-11-21 2005-11-21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 KR10056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175A KR100564293B1 (ko) 2005-11-21 2005-11-21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175A KR100564293B1 (ko) 2005-11-21 2005-11-21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293B1 true KR100564293B1 (ko) 2006-03-29

Family

ID=3717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175A KR100564293B1 (ko) 2005-11-21 2005-11-21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2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748B1 (ko) * 2014-04-11 2016-04-06 주식회사 한국미터택 맨홀뚜껑의 높이조절장치
KR20200015224A (ko) * 2018-08-03 2020-02-12 강두환 높이 및 경사 조절식 맨홀
KR102189619B1 (ko) 2020-07-10 2020-12-11 계원토건 주식회사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맨홀 장치
KR102193143B1 (ko) 2020-05-12 2020-12-18 계원토건 주식회사 맨홀용 각도 및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748B1 (ko) * 2014-04-11 2016-04-06 주식회사 한국미터택 맨홀뚜껑의 높이조절장치
KR20200015224A (ko) * 2018-08-03 2020-02-12 강두환 높이 및 경사 조절식 맨홀
KR102107671B1 (ko) * 2018-08-03 2020-05-07 강두환 높이 및 경사 조절식 맨홀
KR102193143B1 (ko) 2020-05-12 2020-12-18 계원토건 주식회사 맨홀용 각도 및 높이 조절장치
KR102189619B1 (ko) 2020-07-10 2020-12-11 계원토건 주식회사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맨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7901B1 (en) Adjustable manhole apparatus
US20070081857A1 (en) Four parts manhole enabling an easy install and height adjustment
KR100612088B1 (ko)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AU2010273166B2 (en)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KR10056429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구조
KR101204536B1 (ko) 수압조절기능을 갖는 맨홀덮개
US5660422A (en) Adjustable lifting device
KR100588297B1 (ko) 하수도관의 역류방지 장치
KR101156757B1 (ko)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100604449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상하수도용 맨홀
KR100616325B1 (ko) 맨홀의 뚜껑 높이조절장치
KR100681956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101660400B1 (ko) 덮개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1310689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구조
US20150043972A1 (en)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KR20100010477U (ko) 수문
KR100654632B1 (ko) 맨홀 물막이로 발생된 수두차 및 가설수로를 이용한무동력 하수관거 물돌리기 공법 및 그 장치
KR102134641B1 (ko) 맨홀뚜껑 인상용 링
KR100634186B1 (ko) 도로 배수구 집수맨홀
KR101179084B1 (ko) 맨홀뚜껑의 잠금장치
KR200399178Y1 (ko) 맨홀의 높이조절링
KR100823979B1 (ko) 높이조정용 맨홀 및 그 조정기구
KR102263374B1 (ko) 맨홀 뚜껑 높이 조절 장치를 구비한 밸브실
KR101208590B1 (ko) 맨홀뚜껑 개폐 보호 장치
KR102177466B1 (ko) 밸브 덮개 설치형 제수 밸브 보호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